맨위로가기

황해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해선은 일제강점기 미쓰비시 제철소에서 개인 산업 철도로 사용하기 위해 개통한 협궤 노선으로, 이후 여러 철도 회사에 인수되어 확장되었다. 사리원, 해주 등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조선철도가 황해선 네트워크를 크게 확장했다. 1944년 조선총독부 철도에 매각되어 분할되었으며, 광복 이후에는 대부분이 북한에 위치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교통 - 조선철도
    조선철도는 1923년 여러 회사의 합병으로 설립된 일제강점기 최대 규모의 사기업으로, 철도망 확장, 버스 사업, 황해도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다 해방 후 남북한 철도청 및 철도성으로 편입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교통 - 동만주철도
    동만주철도는 1930년대 일본 자본으로 건설되어 함경북도 경원역과 훈춘을 연결하는 협궤 철도로 시작했으며, 이후 만주국 영토 내로 연장되었으나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폐선되었다.
  • 통합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경원선, 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에서 용문 구간을 운행했던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되면서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 통합된 철도 노선 - 동해남부선
    일제강점기에 시작된 동해남부선은 부전에서 포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로 개궤 및 동해본선으로 편입, 복선 전철화 사업을 통해 통근 교통 개선 및 화물 운송 기능이 강화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동해북부선
    동해북부선은 일제강점기 동해선 계획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나 남북 분단으로 단절, 폐지되었고 현재 강릉~제진 간 연결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청년이천선
    청년이천선은 북한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동서 횡단 철도 노선으로, 평산역과 세포청년역을 연결하며 평부선과 강원선을 이어주고, 건설에는 청년돌격대와 정치범 수용소 수용자들이 동원되었으며 1962년부터 198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통 및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황해선
노선 정보
이름황해선 (黃海線)
로마자 표기Hwanghae Seon
종류여객/화물
운영 상태1944년 분단
위치황해도
기점사리원
종점해주
역 수63
개통1919년–1937년
소유주조선 철도
운영자조선 철도
노선 성격중량 철도
지역 철도
노선 길이294.3km
선로 수단선
최소 곡선 반지름알 수 없음
최대 경사알 수 없음
노선 번호알 수 없음
전철화알 수 없음
최고 속도알 수 없음

2. 역사

황해선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철도 노선으로, 여러 회사의 인수, 합병, 노선 연장 과정을 거쳤다.

1919년 5월 20일, 미쓰비시 제철소가 상해(삼강)-내토 (화산까지) 구간을 산업 철도로 개통했다.[2] 1920년 4월 21일, 서선개발철도가 이 노선을 인수했다.[3]

서선개발철도는 사리원-재령-상해(21.5km, 1920년 12월 21일),[4] 재령-신천(13.6km, 1921년 11월 16일) 구간을 건설했다.[5]

1923년 4월 1일, 서선개발철도는 조선철도에 합병되었고, 조선철도는 상해-내토, 사리원-상해-신천 노선을 묶어 '''황해선'''이라 칭했다.[6]

이후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주요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날짜구간길이최초 건설자
1919년 5월 20일상해–내토15km미쓰비시 제철소
1920년 12월 21일사리원–재령21.5km서선개발철도
1921년 11월 16일재령–신천13.6km서선개발철도
1924년 9월 1일화산–미력8km조선철도
1925년 9월 1일미력–하성15.2km조선철도
1929년 11월 1일신천–수교29km조선철도
1929년 11월 12일신원–학현22.6km조선철도
1930년 12월 11일학현–동해주6.4km조선철도
1931년 11월 12일동해주–해주항7.5km조선철도
1931년 12월 21일동해주–연안45.1km조선철도
청단–덕달12.7km조선철도
1932년 9월 1일연안–토성34.1km조선철도
1933년 7월 1일해주–동해주2.3km조선철도
1936년 12월 11일해주–취야19.3km조선철도
1937년 1월 21일수교–장연17.7km조선철도
1937년 5월 10일동포–정도0.7km조선철도
1937년 5월 19일취야–옹진24.2km조선철도



1944년 4월 1일, 조선철도의 황해선은 국유화되어 여러 노선으로 분할되었다.[17] 1944년 10월 1일에는 사리원-하성 간 표준궤 노선 (황해본선)이 건설되었고, 기존 하성역은 '구하성역'으로 개칭되었다.[18]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반도 분단으로 황해선 대부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하게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이 인수했다.[19] 도해선 일부는 대한민국 (미군정)에 속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구 황해선 전체가 북한에 위치하게 되었다.[19]

황해선은 경의선경성평양 중간 지점인 토성(개풍)에서 분기, 서해안 해주(해주청년)을 거쳐 북상하여 경의선 사리원(사리원청년)을 잇는 155km 정도의 본선(762mm 궤간)이었다. 최고 70km/h의 쾌속·급행 열차와 석탄, 광석을 실은 중량 화물 열차가 운행되었다.[23]

2. 1. 일제강점기

미쓰비시 제철은 1919년 5월 20일 상해(삼강)에서 내토를 거쳐 화산까지 15km 구간을 산업 철도로 개통했다.[2] 서선개발철도는 이 노선을 1920년 4월 21일에 인수했다.[3]

서선개발철도는 사리원에서 재령을 거쳐 상해까지 21.5km 구간(1920년 12월 21일 개통),[4] 재령에서 신천까지 13.6km 구간(1921년 11월 16일 개통)을 건설했다.[5]

1923년 4월 1일, 서선개발철도는 5개 철도 회사와 합병하여 조선철도를 설립, 모든 노선과 운영을 인수했다.[6] 조선철도는 상해-내토 노선과 사리원-상해-신천 노선을 묶어 '''황해선'''이라 칭했다.

이후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대폭 확장했다. 주요 확장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날짜구간길이
1924년 9월 1일화산-미력8km[7]
1925년 9월 1일미력-신원-하성15.2km
1929년 11월 1일신천-수교29km[8]
1929년 11월 12일신원-학현22km[8]
1930년 12월 11일학현-동해주6.4km[8]
1931년 11월 12일동해주-해주항(룡당포)7.5km[9]
1931년 12월 21일동해주-연안45.1km[9]
1932년 9월 1일연안-토성34.1km (\례성강 다리 건설)[10]
1933년 7월 1일동해주-해주2.3km[11]
1934년 5월 11일서변역(동포) 개업[12]
1935년 8월 11일신덕역 개업[12]
1936년 12월 11일해주-취야19.3km
1937년 1월 21일수교-장연17.7km[14]
1937년 5월 10일동포-정도0.7km (지선)[15]
1937년 5월 19일취야-옹진24.2km[16]



1944년 4월 1일,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선철에 매각했고, 선철은 이를 흡수하여 여러 노선으로 분할했다:[17]


  • 덕달선: 청단-덕달 (12.7km)
  • 하성선: 신원-하성 (0.4km)
  • 장연선: 삼강-장연 (68.9km)
  • 청도선: 동포-정도 (0.7km)
  • 내토선: 화산-내토 (2.1km)
  • 옹진선: 해주-옹진 (43.5km)
  • 사해선: 사리원-화산-신원-해주 (89.8km)
  • 도해선: 동해주-토성 (79.7km)


1944년 10월 1일, 선철은 사리원-하성 간 41.7km의 표준궤 노선 (황해본선)을 건설했다. 하성에 새 역이 개통되면서 기존 역은 '구하성역'으로 개칭되었다.[18]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반도 분단으로 구 황해선 대부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하게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이 인수했다.[19] 도해선 일부는 대한민국 (미군정)에 속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구 황해선 전체가 북한에 위치하게 되었다.[19]

황해선은 경의선경성평양 중간 지점인 토성(개풍)에서 분기, 서해안 해주(해주청년)을 거쳐 북상하여 경의선 사리원(사리원청년)을 잇는 155km 정도의 본선(762mm 궤간)이었다. 최고 70km/h의 쾌속·급행 열차와 석탄, 광석을 실은 중량 화물 열차가 운행되었다.[23]

2. 1. 1. 조선철도 이전

미쓰비시 제철이 개인 산업 철도로 사용하기 위해 상해(후에 삼강)에서 내토를 거쳐 화산까지 15km의 762mm 협궤 노선을 1919년 5월 20일에 개통하였다.[2] 그 직후, 서선개발철도가 이 노선을 인수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다음 해 4월 21일에 인수하였다.[3]

서선개발철도는 사리원에서 재령을 거쳐 상해까지 21.5km 노선 공사를 시작하여 1920년 12월 21일에 개통했으며,[4] 다음 해 11월 16일에는 재령에서 신천까지 13.6km 구간을 연장하였다.[5]

1923년 4월 1일, 서선개발철도는 다른 5개의 철도 회사와 합병하여 조선철도를 결성하고 이전 회사의 모든 노선과 운영을 인수하였다.[6] 조선철도는 이후 상해-내토 노선을 서선개발철도에서 인수한 사리원-상해-신천 노선과 함께 묶어 '''황해선'''이라 불렀다.

2. 1. 2. 조선철도 시대

미쓰비시 제철소(Mitsubishi Ironworks)가 1919년 5월 20일 개인 산업 철도로 사용하기 위해 상해 (후에 삼강)에서 내토를 거쳐 화산까지 협궤 노선을 개통했다.[2] 그 직후, 서선개발철도(West Chōsen Development Railway)가 이 노선을 인수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1920년 4월 21일에 인수했다.[3]

얼마 지나지 않아 서선개발철도는 사리원에서 재령을 거쳐 상해까지 구간의 협궤 노선 공사를 시작하여 1920년 12월 21일에 개통했으며,[4] 1921년 11월 16일에는 재령에서 신천까지 구간을 연장했다.[5]

1923년 4월 1일, 서선개발철도는 다른 5개의 철도 회사와 합병하여 조선철도(Chōsen Railway)를 설립하고 이전 회사의 모든 노선과 운영을 인수했다.[6] 조선철도는 이후 상해-내토 노선을 서선개발철도에서 인수한 사리원-상해-신천 노선과 함께 묶어 '''황해선'''이라 불렀다.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크게 확장했으며, 첫 번째 확장은 1924년 9월 1일에 화산에서 미력까지 연장한 것이었다.[7] 1년 후 조선철도는 미력-신원-하성 노선을 개통했다.

이후 4년 동안 네트워크는 변경되지 않았지만, 이후 일련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먼저, 사리원-신천 노선은 1929년 11월 1일에 신천에서 수교까지 연장되었고, 1929년 11월 12일에는 신원-학현 구간이, 1930년 12월 11일에는 학현-동해주 구간이 연장되었다.[8] 1년도 채 되지 않아 조선철도는 다시 노선을 연장하여, 1931년 11월 12일에는 동해주에서 해주항역(룡당포)까지 구간을 건설했다.[9]

조선철도는 해주 주변의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1931년 11월 12일에 동해주에서 룡당포의 해주항까지 노선을 개통한 후, 해주의 동쪽에서 건설을 시작하여 경의선과의 남쪽 연결을 만들었다. 이 새로운 협궤 노선의 첫 번째 구간은 동해주에서 연안까지로, 1931년 12월 21일에 개통되었다.[9]

두 번째 구간은 례성강에 다리를 건설해야 했기 때문에 훨씬 더 집중적인 작업이 필요했다. 일본의 기관차 제조업체 기차제작(Kisha Seizō)에서 35개의 거더를 공급했고,[10] 노선은 1932년 9월 1일에 개통되어 연안에서 새로운 다리를 건너 토성 (후에 개풍으로 개칭)에서 경의선과 연결되었다. 동해주에서 해주까지 서쪽 연장은 1933년 7월 1일에 개통되었다.[11] 조선철도는 1934년 5월 11일에 동해주에서 남쪽에 서변역 (후에 동포로 개칭, 현재는 왕신), 1935년 8월 11일에 신원과 하성 사이에 신원에서 떨어진 신덕역을 개통했다.[12]

확장은 1936년 12월 11일에 해주에서 취야까지 새로운 선로가 개통되면서 서쪽으로 향했다. 1937년 1월 21일에는 수교에서 장연까지 연장이 개통되었다.[14] 1937년 5월 10일에 동포에서 정도까지 지선이 개통되었고,[15] 9일 후 취야에서 옹진까지 연장이 이어졌다.[16]

황해선 건설 연표
날짜구간길이최초 건설자
1919년 5월 20일상해–내토15km미쓰비시 제철소
1920년 12월 21일사리원–재령21.5km서선개발철도
1921년 11월 16일재령–신천13.6km서선개발철도
1924년 9월 1일화산–미력8km조선철도
1925년 9월 1일미력–하성15.2km조선철도
1929년 11월 1일신천–수교29km조선철도
1929년 11월 12일신원–학현22.6km조선철도
1930년 12월 11일학현–동해주6.4km조선철도
1931년 11월 12일동해주–해주항7.5km조선철도
1931년 12월 21일동해주–연안45.1km조선철도
청단–덕달12.7km조선철도
1932년 9월 1일연안–토성34.1km조선철도
1933년 7월 1일해주–동해주2.3km조선철도
1936년 12월 11일해주–취야19.3km조선철도
1937년 1월 21일수교–장연17.7km조선철도
1937년 5월 10일동포–정도0.7km조선철도
1937년 5월 19일취야–옹진24.2km조선철도



조선철도는 1944년 4월 1일에 황해선 네트워크를 선철에 매각했고, 선철은 황해선 네트워크를 흡수하여 분할하여 각 구간에 새로운 이름을 부여했다:[17]


  • 청단–덕달 (12.7km) → 덕달선
  • 신원–하성 (0.4km) → 하성선
  • 삼강–장연 (68.9km) → 장연선
  • 동포–정도 (0.7km) → 청도선
  • 화산–내토 (2.1km) → 내토선
  • 해주–옹진 (43.5km) → 옹진선
  • 사리원—화산—신원—해주 (89.8km) → 사해선
  • 동해주–토성 (79.7km) → 도해선


교통량이 표준궤 노선의 건설을 정당화한다고 판단하여, 선철은 사리원에서 하성까지 41.7km의 새로운 노선을 건설하여 황해본선이라고 불렀다. 하성에 새로운 역이 개통되면서 신원에서 협궤 노선의 기존 역은 "구하성역"으로 개칭되었다.[18]

태평양 전쟁 종전과 그에 따른 한반도 분단 이후, 구 황해선 네트워크의 대부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위치하게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 의해 인수되었다.[19] 그러나 도해선의 대부분은 대한민국이 된 미군정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선은 장방갈산 사이의 38선에 의해 분할되었으며, 한국철도공사는 1950년까지 토성과 청단 사이의 노선에서 여객 열차를 운행했다.[20] 한국 전쟁 종전 후, 구 황해선 네트워크 전체가 북한 내에 위치하게 되었다.[19]

황해선은 조선철도국(鮮局) 경의본선의 경성에서 평양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토성(현재의 개풍)에서 분기하여 북위 38도선 부근을 따라 서해안의 해주(해주청년)에 이르며, 여기서 북상하여 경의선 사리원(사리원청년)을 잇는 것이 155km 정도의 본선(그 외는 지선)이며, 762mm 궤간이면서 당시 내지의 국철 지방 간선과 비슷한 설비와 규모를 갖추어 최고 70km/h의 쾌속·급행 열차와 석탄, 광석을 탑재한 중량 화물 열차가 운행되었다[23]

조선 철도의 762mm 궤간 노선에서는, 810형(1D 텐더 기관차)이 1929년 함북선에 도입되기 전까지는 탱크 기관차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짧은 구간에 급탄수 설비를 배치하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텐더 기관차가 도입된 후에도 장거리 주행을 고려한 텐더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고정 2축의 작은 것을 사용했다[24]

2. 2. 해방 이후

1945년 8.15 광복과 그에 따른 한반도 분단 이후, 구 황해선 네트워크 대부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위치하게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이 인수하였다.[19] 그러나 도해선 대부분은 미군정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이 노선은 장방갈산 사이의 38선에 의해 분할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1950년까지 토성과 청단 사이 노선에서 여객 열차를 운행했다.[20] 한국 전쟁 종전 후, 구 황해선 네트워크 전체가 북한 내에 위치하게 되었다.[19]

3. 노선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단계적으로 확장했다. 1919년 5월 20일 미쓰비시 제철소가 상해(후에 삼강) - 내토 구간을 개통했고, 1920년 4월 21일 서선개발철도가 인수했다.[2][3]

이후 서선개발철도는 사리원-재령-상해(1920년 12월 21일), 재령-신천(1921년 11월 16일) 구간을 개통했다.[4][5] 1923년 4월 1일, 서선개발철도는 다른 5개 철도 회사와 합병하여 조선철도가 되었고, 이 노선들은 조선철도의 소유가 되었다.[6] 조선철도는 이 노선들을 묶어 황해선이라 불렀다.

조선철도는 1924년 9월 1일 화산-미력 구간,[7] 1925년 9월 1일 미력-신원-하성 구간을 개통했다.[7] 1929년 11월 1일 신천-수교, 1929년 11월 12일 신원-학현, 1930년 12월 11일 학현-동해주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8]

1931년 동해주-해주항(룡당포) 구간,[9] 경의선 연결을 위해 동해주-연안 구간이 개통되었다.[9] 례성강 다리 건설 후 1932년 9월 1일 연안-토성(개풍) 구간이 개통되어 경의선과 연결되었고,[10] 1933년 7월 1일 동해주-해주 구간이 개통되었다.[11]

이후 1934년 5월 11일 서변역(동포, 현재 왕신), 1935년 8월 11일 신덕역이 개통되었다.[12] 1936년 12월 11일 해주-취야, 1937년 1월 21일 수교-장연,[14] 1937년 5월 10일 동포-정도,[15] 1937년 5월 19일 취야-옹진 구간이 개통되었다.[16]

1944년 4월 1일,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조선총독부 철도(선철)에 매각했고, 선철은 이를 여러 노선으로 분할했다.[17]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반도 분단으로 구 황해선 대부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위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이 인수했다.[19] 도해선 대부분은 미군정 지역에 위치, 장방갈산 사이 38선에 의해 분할, 한국철도공사는 1950년까지 토성-청단 간 여객 열차를 운행했다.[20] 한국 전쟁 후 구 황해선 전체가 북한에 위치하게 되었다.[19]

황해선 건설 연표는 다음과 같다.

날짜구간최초 건설자
1919년 5월 20일상해–내토미쓰비시 제철소
1920년 12월 21일사리원–재령서선개발철도
1921년 11월 16일재령–신천서선개발철도
1924년 9월 1일화산–미력조선철도
1925년 9월 1일미력–하성조선철도
1929년 11월 1일신천–수교조선철도
1929년 11월 12일신원–학현조선철도
1930년 12월 11일학현–동해주조선철도
1931년 11월 12일동해주–해주항조선철도
1931년 12월 21일동해주–연안조선철도
청단–덕달조선철도
1932년 9월 1일연안–토성조선철도
1933년 7월 1일해주–동해주조선철도
1936년 12월 11일해주–취야조선철도
1937년 1월 21일수교–장연조선철도
1937년 5월 10일동포–정도조선철도
1937년 5월 19일취야–옹진조선철도


3. 1. 사해선 (삼강-해주항)

(km)접속 노선소재지
(1944년 당시)비고삼강(三江)0.0장연선황해도 재령군구 역명: 상해역(上海驛)광탄(廣灘)6.0석탄(石灘)10.8화산(花山)12.9내토선장수산(長壽山)16.2미력(未力)20.9신원(新院)30.6하성선염탄(鹽灘)37.5신주막(新酒幕)45.8벽성군학현(鶴峴)52.6동해주(東海州)59.0토해선해주시청양(靑陽)62.11937년 이후 신설동포(東浦)65.1정도선해주항(海洲港)66.51937년도 영업 거리를 적용

[17]

3. 2. 장연선 (삼강-장연)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1937년 1월 21일에 수교에서 장연까지 17.7km 구간을 개통하였다.[14] 이로써 삼강(상해)에서 장연을 잇는 구간이 완성되었다.

1944년 4월 1일,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조선총독부 철도(선철)에 매각하였고, 삼강-장연 구간은 장연선으로 명명되었다.[17]

역명영업 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1944년 당시)
비고
삼강0.0사해선황해도재령군구 역명: 상해역
금산4.1
재령9.6
백석13.1신천군
창촌17.1
신천온천20.5
신천23.2
황해룡문29.4구 역명: 용문역
문화34.3
삼천온천39.8구 역명: 삼천역
궁흥43.3
야촌46.5송화군
수교52.2
송화온천56.9
낙산62.5장연군
낙도65.9
장연69.9

3. 3. 내토선 (화산-내토)

内土線|나이토 선|내토선일본어황해도 재령군에 있는 화산내토를 연결하는 조선총독부 철도(선철)의 철도 노선이었다. 이 노선은 원래 미쓰비시 제철소의 사설 산업 철도로 건설되었다.

1919년 5월 20일, 미쓰비시 제철소는 화산에서 내토를 거쳐 상해(이후 삼강)까지 구간의 협궤 노선을 개통했다.[2] 1920년 4월 21일, 서선개발철도가 이 노선을 인수했다.[3] 1923년 4월 1일, 서선개발철도는 다른 5개의 철도 회사와 합병하여 조선철도가 되었고, 이 노선은 조선철도의 소유가 되었다.[6] 조선철도는 이 노선을 황해선의 일부로 편입시켰다.

1944년 4월 1일, 조선철도는 황해선 네트워크 전체를 선철에 매각했고, 선철은 이 노선을 '''내토선'''으로 분리하였다.[17]

황해선 내토선 구간 역 목록 (1944년 당시)
역명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
화산0.0사해선황해도 재령군
내토2.1


3. 4. 하성선 (신원-구하성)

조선철도는 1925년 9월 1일에 미력-신원-하성 노선을 개통했다.[7] 194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선철)는 황해선 네트워크를 조선철도로부터 인수하여 각 구간에 새로운 이름을 부여했다.[17] 그 중 신원-하성 구간은 하성선이 되었다.

선철은 교통량을 근거로 사리원에서 하성까지 표준궤 노선을 건설하여 황해본선으로 명명했다. 하성에 새 역이 개통되면서 기존 신원의 협궤 노선 역은 "구하성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8]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반도 분단으로 구 황해선 네트워크 대부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하게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이 인수했다.[19] 한국 전쟁 이후 구 황해선 네트워크 전체가 북한에 위치하게 되었다.[19]

역명영업 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1944년 당시)
비고
신원0.0사해선황해도 재령군
신덕3.5style="text-align: left" | 1935년 8월 11일 개업[36]
구하성5.5|

3. 5. 토해선 (토성-해주)

조선철도해주시 주변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1931년 12월 21일에 동해주에서 연안까지 구간을 개통하였다.[9] 이후 례성강에 다리를 건설하는 난공사 끝에, 1932년 9월 1일에 연안에서 토성(개풍으로 개칭)까지 노선이 개통되어 경의선과 연결되었다.[10] 1933년 7월 1일에는 동해주에서 해주까지 2.3km 구간이 개통되었다.[11]

194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선철)는 조선철도로부터 황해선 네트워크를 인수하여 여러 노선으로 분할하였는데, 이때 토성-해주 구간은 토해선으로 명명되었다.[17]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토해선 대부분은 미군정 지역에 위치하게 되었고, 장방갈산 사이의 38선에 의해 분할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1950년까지 토성과 청단 사이에서 여객 열차를 운행했다.[20] 한국 전쟁 이후, 구 황해선 네트워크 전체가 북한 내에 위치하게 되었다.[19] 한국 전쟁 이전까지는 대한민국의 열차가 토성역에서 청단역까지 운행되었다.[37]

역명영업 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1944년 당시)
토성(土城)0.0경의선(평부선)경기도 개풍군
예성강(禮成江)7.0
성호(星湖)12.3
배천온천(白川温泉)17.3
홍현(紅峴)21.0
무구(無仇)24.6
연안온천(延安温泉)28.7
연안(延安)34.2
봉서(鳳西)39.9
풍천(楓川)45.6
천태(天台)50.6
심계(深桂)55.3
청단(青丹)58.8
내성(來城)63.0
천결(泉決)67.9
영양(迎陽)74.5
동해주(東海州)79.4사해선
해주(海州)81.7옹진선

3. 6. 옹진선 (해주-옹진)

조선철도주식회사는 1937년 5월 19일에 취야-옹진 구간(24.2km)을 개통하였다.[16] 1944년 4월 1일에 황해선 네트워크 전체가 국유화되면서, 해주-옹진 구간(43.5km)은 옹진선으로 분리되었다.[17]

해주–옹진 (구 선철 옹진선)
거리역명colspan="2" |
총; kmS2S; km한국어일본어훈민정음한자/가나
0.00.0해주Kaishū해주海州토해선
1.01.0청양Seiyō청양青丹사해선
2.92.9동포Tōho동포東浦정도선
7.04.1서해주Nishi-Kaishū서해주西海州
10.83.7서석Seiseki서석西席
19.38.5취야Suiya취야翠野
22.33.0국봉Kikuhō국봉菊峰
26.84.5장둔Chōton장둔長屯
34.27.4신강령Shinkōrei신강령新康翎
40.15.9냉정Reisei냉정冷井
43.53.4옹진Ōshin옹진甕津


3. 7. 정도선 (동포-정도)

동포역과 정도역 사이를 잇는 0.7km 구간은 1937년 5월 10일에 개통되었다.[15] 이 노선은 1944년 4월 1일에 국유화되어 조선총독부 철도(선철)에 흡수되었고, 선철은 이 노선을 '''정도선'''으로 명명했다.[17]

동포–정도 (선철 정도선)
거리역명colspan="3" |
총; kmS2S; km한국어일본어훈민정음한자/가나연결
0.00.0동포Tōho동포東浦옹진선
0.70.7정도Teitō정도鼎島


4. 역 목록

1944년 4월 1일 기준 황해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40]

사리원–해주항 (선철도 사해선)
거리역명
총; kmS2S; km한국어훈민정음한자연결
0.00.0사리원사리원沙里院경의선
1.51.5서사리원서사리원西沙里院
3.62.1미곡미곡嵋谷
8.14.5서종서종西鐘
11.93.8상해
삼강 (1940년부터)
상해
삼강
上海
三江
장연선
17.96.0광탄광탄広灘
22.74.8석탄석탄石灘
24.82.1화산화산花山내토선
28.13.3장수산장수산長寿山
32.84.7미력미력未力
42.59.7신원신원新院하성선
49.46.9염탄염탄塩灘
57.78.3신주막신주막新酒幕
64.56.8학현학현鶴峴
70.96.4동해주동해주東海州토해선
74.03.1청양청양青陽1937년 개통
77.03.0동포동포東浦정도선
78.41.4해주항해주항海洲港



삼강–장연 (선철도 장연선)
거리역명
총; kmS2S; km한국어훈민정음한자연결
0.00.0상해
삼강 (1940년부터)
상해
삼강
上海
三江
사해선
4.14.1금산금산金山
9.65.5재령재령載寧
13.13.5백석백석白石
17.14.0창촌창촌倉村
20.53.4신천온천신천온천信川温泉
23.22.7신천신천信川
29.46.2용문용문竜門
34.34.9문화문화文化
39.85.5삼천온천삼천온천三泉温泉
43.33.5궁흥궁흥弓興
46.53.2야촌야촌野村
52.25.7수교수교水橋
56.94.7송화온천송화온천松禾温泉
62.55.6낙산낙산楽山
65.93.4낙도낙도楽道
69.94.0장연장연長淵



화산–내토 (선철도 내토선)
거리역명
총; kmS2S; km한국어훈민정음한자연결
0.00.0화산화산花山사해선
2.12.1내토내토內土



신원–하성 (선철도 하성선)
거리역명
총; kmS2S; km한국어훈민정음한자연결
0.00.0신원신원新院사해선
3.53.5신덕신덕新德
5.52.0하성하성下聖



토성–해주 (선철도 토해선)
거리역명
총; kmS2S; km한국어훈민정음한자연결
0.00.0토성토성土城경의선
6.96.9예성강예성강禮成江
12.25.3성호성호星湖
17.25.0배천온천배천온천白川温泉
21.03.8홍현홍현紅峴
24.63.6무구무구無仇
28.64.0연안온천연안온천延安温泉
34.15.5연안연안延安
39.85.7봉서봉서鳳西
45.55.7풍천풍천楓川
50.55.0천태천태天台
55.24.7심계심계深桂
58.73.5청단청단青丹덕달선
62.94.2내성내성來城
67.74.8천결천결泉決
74.36.6영양영양迎陽
79.24.9동해주동해주東海州사해선
81.52.3해주해주海州옹진선



청단–덕달 (선철도 덕달선)
거리역명
총; kmS2S; km한국어훈민정음한자연결
0.00.0청단청단青丹토해선
4.34.3화양화양花陽
12.78.4덕달덕달徳達



동포–정도 (선철도 정도선)
거리역명
총; kmS2S; km한국어훈민정음한자연결
0.00.0동포동포東浦옹진선
0.70.7정도정도鼎島



해주–옹진 (선철도 옹진선)
거리역명
총; kmS2S; km한국어훈민정음한자연결
0.00.0해주해주海州토해선
1.01.0청양청양青丹사해선
2.92.9동포동포東浦정도선
7.04.1서해주서해주西海州
10.83.7서석서석西席
19.38.5취야취야翠野
22.33.0국봉국봉菊峰
26.84.5장둔장둔長屯
34.27.4신강령신강령新康翎
40.15.9냉정냉정冷井
43.53.4옹진옹진甕津


5. 특징

황해선은 조선철도국(鮮局) 경의선경성에서 평양 사이 중간 지점인 토성(현재의 개풍)에서 분기하여 북위 38도선 부근을 따라 서해안의 해주(현재의 해주청년)에 이르고, 여기서 북상하여 경의선 사리원을 잇는 약 155km의 본선(그 외는 지선)이다. 762mm 궤간으로 당시 내지의 국철 지방 간선과 비슷한 설비와 규모를 갖추어 최고 70km의 쾌속·급행 열차와 석탄, 광석을 실은 중량 화물 열차가 운행되었다.[23]

또한, 조선 철도의 762mm 궤간 노선에서는 1929년 함북선에 810형(1D 텐더 기관차)이 도입되기 전까지 탱크 기관차만 사용했기 때문에 짧은 구간에 급탄수 설비를 배치하였다. 이 때문에 텐더 기관차가 도입된 후에도 장거리 주행을 위한 텐더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고정 2축의 작은 것을 사용했다.[24]

6. 관련 문화

소설가 이상은 단편 〈지팽이 역사〉에서 황해선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38]

大體로 이 黃海線이라는 鐵道의 「레일」幅은 너무 좁아서 똑 「튜럭 크레일」幅만한 것이 참 앙증스럽습니다. 그리로 굴러 다니는 기차 그 기차를 끌고 달리는 機關車야말로 가엽서 눈물이 날 地境입니다.|대체로 이 황해선이라는 철도의 「레일」폭은 너무 좁아서 똑 「튜럭 크레일」폭만한 것이 참 앙증스럽습니다. 그리로 굴러 다니는 기차 그 기차를 끌고 달리는 기관차야말로 가여워 눈물이 날 지경입니다.일본어

그야말로 사람이 치우면 사람이 다칠는지 機關車가 다칠는지 참 알 수 없을 만치 귀엽고도 갸륵한 데다가 그래도 「크롯싱」에 오면 말뚝에다가 간판을 써서 가로되 「汽車에 조심」그것을 읽은 다음에 나는 S더러 농담으로 그 간판을 사람에게 보이는 쪽에는 「汽車에 조심」그렇게 쓰고 機車에서 보이는 쪽에는 「사람에 조심」 그렇게 따로따로 썼으면 여러 가지 意味로 보아 좋겠다고 그래 보았더니 뜻밖에 S 또 贊成하였습니다.|그야말로 사람이 치우면 사람이 다칠는지 기관차가 다칠는지 참 알 수 없을 만치 귀엽고도 갸륵한 데다가 그래도 「크롯싱」에 오면 말뚝에다가 간판을 써서 가로되 「기차에 조심」그것을 읽은 다음에 나는 S더러 농담으로 그 간판을 사람에게 보이는 쪽에는 「기차에 조심」그렇게 쓰고 기차에서 보이는 쪽에는 「사람에 조심」 그렇게 따로따로 썼으면 여러 가지 의미로 보아 좋겠다고 그래 보았더니 뜻밖에 S 또 찬성하였습니다.일본어

S의 그 人生觀을 집어 넣어 가지고 다니는 가방은 캡을 쓴 旅館 심부름꾼 녀석이 들고 벌써 「플랫폼」에 들어서서 저쪽 機車가 올 쪽을 熱心으로 바라보고 섰는지라 時間은 좀 남았는데 혹 그 「갸꾸비끼」 녀석이 그 가방 속에 든 人生觀을 건드리지나 않을까 겁이 나서 얼른 그 가방을 이리 빼앗으려고 얼른 우리도 開札을 通過하여서 「플랫폼」으로 가는데 旅館 「뽀오이」가 「갸꾸비끼」나 호텔 自動車 運轉手들은 一年間 入場券을 한꺼번에 샀는지는 모르지만 함부로 드나드는데 다른 사람은 餞送을 하려 「플랫폼」에 들어가자면 入場券을 사야된다고 驛夫가 強硬하게 막는지라 그럼 入場券 값은 얼마냐고 그랬드니 十錢이라고 그것 참 비싸다고 그랬드니 驛夫가 힐끗 十錢이 무엇이 호되어서 그리느냐는 눈으로 그 사람을 보니까 그 사람은 그만 十錢이 아까워서 그 사람의 親한 사람의 餞送을 「플랫폼」에서 하는 것만은 中止하는 모양입니다.|S의 그 인생관을 집어 넣어 가지고 다니는 가방은 캡을 쓴 여관 심부름꾼 녀석이 들고 벌써 「플랫폼」에 들어서서 저쪽 기차가 올 쪽을 열심히 바라보고 섰는지라 시간은 좀 남았는데 혹 그 「갸꾸비끼」 녀석이 그 가방 속에 든 인생관을 건드리지나 않을까 겁이 나서 얼른 그 가방을 이리 빼앗으려고 얼른 우리도 개찰을 통과하여서 「플랫폼」으로 가는데 여관 「뽀오이」가 「갸꾸비끼」나 호텔 자동차 운전수들은 일년간 입장권을 한꺼번에 샀는지는 모르지만 함부로 드나드는데 다른 사람은 전송을 하려 「플랫폼」에 들어가자면 입장권을 사야된다고 역부가 강경하게 막는지라 그럼 입장권 값은 얼마냐고 그랬더니 십전이라고 그것 참 비싸다고 그랬더니 역부가 힐끗 십전이 무엇이 호되어서 그리느냐는 눈으로 그 사람을 보니까 그 사람은 그만 십전이 아까워서 그 사람의 친한 사람의 전송을 「플랫폼」에서 하는 것만은 중지하는 모양입니다.일본어

장난감 같은 「씨그낼」이 떨어지더니 갸륵한 機關車가 연기를 제법 펄석펄석 뿜으면서 汽車도 슥 한번 울려보면서 들어옵니다.|장난감 같은 「씨그낼」이 떨어지더니 갸륵한 기관차가 연기를 제법 펄석펄석 뿜으면서 기적도 슥 한번 울려보면서 들어옵니다.일본어

金테를 둘이나 둘는 月給을 많이 타는 높은 驛長과 金테를 하나밖에 아니 둘는 月給을 좀 적게 타는 助役이 나와 섰다가 그 儀禮히 주고 받고 하는 굴렁쇠를 이 얌전하게 생긴 機車도 역시 주고 받는지라 하도 어줍지 않아서 S와 나와는 그래도 이 機車를 타기는 타야 하겠지만도 원체 겁도 나고 가엾기도 하여서 몸뚱이가 조곰 해지는 것 같아서 간즐리우는 것처럼 남 보기에 좀 쳐다 보일만치 웃었습니다.|금테를 둘이나 두른 월급을 많이 타는 높은 역장과 금테를 하나밖에 아니 두른 월급을 좀 적게 타는 조역이 나와 섰다가 그 의례히 주고 받고 하는 굴렁쇠를 이 얌전하게 생긴 기차도 역시 주고 받는지라 하도 어줍지 않아서 S와 나와는 그래도 이 기차를 타기는 타야 하겠지만도 원체 겁도 나고 가엾기도 하여서 몸뚱이가 조금 해지는 것 같아서 간지러운 것처럼 남 보기에 좀 쳐다 보일만치 웃었습니다.일본어

鐘이 울리고 호르라기가 불리고 하는 체는 다 하느라고 汽車이 쓱 한번 울리고 機關車에서 픽- 소리가 났읍니다.|종이 울리고 호루라기가 불리고 하는 체는 다 하느라고 기적이 쓱 한번 울리고 기관차에서 픽- 소리가 났습니다.일본어

汽車가 떠납니다. 十錢이 아까와서 「플랫폼」에 들어오지 아니한 맥모자를 쓴 사람이 누구를 向하여 그리는지 쭈굴쭈굴한 定하지도 못한 손수건을 흔드는 것이 보였습니다. 칙칙푹팍 칙칙푹팍 그리면서 징검다리로도 넉넉한 개川에 놓인 鐵橋를 건너갈 때 같은데는 제법 흡사하게 汽車는 소리를 내일줄 아는 것이 아닙니까.|기차가 떠납니다. 십전이 아까워서 「플랫폼」에 들어오지 아니한 맥모자를 쓴 사람이 누구를 향하여 그리는지 쭈굴쭈굴한 정하지도 못한 손수건을 흔드는 것이 보였습니다. 칙칙푹팍 칙칙푹팍 그리면서 징검다리로도 넉넉한 개천에 놓인 철교를 건너갈 때 같은 데는 제법 흡사하게 기차는 소리를 낼 줄 아는 것이 아닙니까.일본어

참조

[1] 간행물 Ministry of Railways Combined Timetable 1 November 1942 Tōa Travel Co. (東亜旅行社)
[2]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19-06-16
[3]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20-05-04
[4]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20-12-27
[5]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21-11-19
[6] 뉴스 Establishment of the Chosen Railway http://newslibrary.n[...] Dong-A Ilbo 1923-09-03
[7]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24-09-05
[8]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30-12-16
[9]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31-12-26
[10] 서적 汽車会社蒸気機関車製造史 Kōyūsha 1972
[11] 간행물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The List of the Stations as of 1 October 1937) Japanese Government Railways 1937
[12]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34-05-08
[13]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35-08-19
[14]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37-01-28
[15]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37-05-14
[16]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37-05-26
[17]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44-03-29
[18]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官報 1944-09-15
[19] 서적 将軍様の鉄道
[20] 웹사이트 100 Years of Rail Travel - The 38th Parallel (in Japanese) http://www.geocities[...] 2019-08-14
[21] 문서
[2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5143号 1944-03-29
[23] 문서
[24] 문서
[25]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2054号 1919-06-16
[2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2317号 1920-05-04
[27]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2514号 1920-12-27
[28]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2782号 1921-11-19
[2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3620号 1924-09-05
[3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1187号 1930-12-16
[3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1492号 1931-12-26
[3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2195号 1934-05-08
[3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3096号 1937-05-14
[3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3106号 1937-05-26
[35]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5286号 1944-09-15
[3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2581号 1935-08-19
[37] 웹사이트 百年の鉄道旅行ー北緯38度線の狀況 https://web.archive.[...]
[38] 간행물 《月刊 每申》 1934-08-01 # 월간 간행물이므로 날짜는 1일로 설정
[3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143호 1944-03-29
[4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143호 1944-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