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형 간염바이러스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 헤파토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A형 간염의 원인이다.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을 자연 숙주로 삼으며, 현재 7개의 유전자형이 존재한다. 바이러스는 대변-구강 경로와 혈액을 통해 전염되며, 섭취 후 구인두 및 장 상피세포를 거쳐 간으로 이동하여 간세포와 쿠퍼세포 내에서 증식한다. 바이러스는 캡시드에 의해 포장된 양성 단일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며, 세포질에서 복제된다. 잠복기는 15~50일이며, 사망률은 0.5% 미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형 간염 - A형 간염 백신
A형 간염 백신은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비활성화 또는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백신으로, 세계보건기구는 발생률이 높은 지역에서 예방 접종을 권장하며, 한국에서는 국가 예방접종 사업을 통해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 피코르나바이러스과 - 엔테로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는 폴리오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 그룹으로, 분변-구강 경로 또는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어 발열, 수막염, 심근염, 수족구병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통해 예방하고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요법으로 치료한다. - 피코르나바이러스과 - A형 간염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오염된 음식이나 물, 감염자와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간 질환으로,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A형 간염바이러스 | |
|---|---|
| 분류 | |
![]() | |
| 군 | 제4군 (1본쇄 RNA +쇄) |
| 과 | 피코르나바이러스과 |
| 속 | 헤파토바이러스속 |
| 종 | A형 간염바이러스 |
| 학명 | Hepatovirus A |
| 동의어 | Hepatovirus A Hepatitis A virus Human hepatitis A virus Simian hepatitis A virus |
2. 분류
피코르나바이러스목 피코르나바이러스과 간염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간염바이러스속의 모식종이다. 인간 등의 척추동물을 자연 숙주로 삼는다.[3][4]
하나의 혈청형과 7개의 유전자형이 발견되었는데,[9] 이 중 4개는 사람을, 3개는 유인원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14] 인간 유전자형은 I에서 III까지 총 6개의 아형(IA, IB, IIA, IIB, IIIA, IIIB)이 발견되었다. 유인원 유전자형은 IV-VI로 번호가 매겨졌다. 유전자형 VII이 사람에게서 한 번 발견된 적이 있다.[10] 유전자형 III은 인간뿐만 아니라 올빼미원숭이에게서도 발견된다. I형이 대부분의 감염 사례를 보이는데, 여기서는 다시 IA가 대부분을 차지한다.[11]
A형 간염바이러스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의 일종으로, 바이러스 외피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캡시드라는 단백질 껍질 안에 양성 단일가닥 RNA 형태의 유전체가 포장되어 있다.[14] 숙주 종에 따라 코돈 사용 방식에 차이를 보이며, 효율이 낮은 내부리보솜도입점을 가지고 있다.[15] 캡시드를 암호화하는 구역에는 보존성이 높은 희귀 코돈 군집이 있어 항원 변이를 제한한다.[3][16]
간염바이러스속에는 현재 13종이 추가로 분류되어 있는데, 이 종들은 박쥐, 설치류, 고슴도치, 땃쥐류를 감염시킨다.[5] 혈청학적 분석 결과는 A형 간염이 설치류에서 처음 나타났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기각류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간염바이러스 B는 대략 1,800년 전에 A형 간염바이러스와 분기한 것으로 드러났다.[6][7] 이외에도 히말라야마멋을 감염시키는 히말라야마멋 헤페토바이러스가 있는데, 이 바이러스는 유인원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주(strain)과 대략 1,000년 전에 분기한 것으로 나타났다.[8]
3. 유전자형
매년 1.73e-4~9.76e-4개의 뉴클레오타이드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2][13] 인간 감염주는 3,600년 전에 다른 유인원주에서 분리된 것으로 보인다.[13] 유전자형 III와 IIIA 균주의 평균 분리시기는 각각 592년 전과 202년 전으로 추정되었다.[13]
4. 구조
구조 대칭성 캡시드 정이십면체 유사 T=3 외피 없음
4. 1. 유전체 구조
피코르나바이러스로 바이러스 외피가 없으며 양성 단일가닥 RNA가 캡시드에 의해 포장된 형태로 존재한다.[14] 주 숙주로 삼는 종에 따라 코돈의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효율이 좋지 않은 내부리보솜도입점을 보유하고 있다.[15] 캡시드를 암호화하는 구역에 보존성이 높은 희귀 코돈 군집이 존재하여 항원의 변이를 제한한다.[3][16]
| 유전체의 형태 | 유전체 분절 |
|---|---|
| 선형 | 단일조각 |
5. 복제 주기
바이러스 복제는 세포질에서 일어난다. 숙주 세포 내부로 침입은 숙주 수용체에 부착함으로써 세포내이입을 유도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의 복제 모델을 따라 복제된다. 번역 시에는 숙주 세포의 리보솜을 사용한다. 이후 용균 및 비로포린을 통해 숙주 세포 외부로 배출된다. 잠복기는 15~50일이며 사망률은 0.5% 미만이다.[18]
5. 1. 감염 경로
A형 간염바이러스는 섭취 이후 구인두 및 장의 상피세포를 통해 혈액으로 들어간다.[17] 혈액을 타고 간으로 이동해 간의 대식세포인 쿠퍼세포와 간세포 내에서 증식한다. 비리온은 담즙에서 분비되어 대변을 통해 외부로 나오며, 혈중에 항-HAV IgM이 나타나기 약 11일 전부터 대량으로 배출된다.[17]5. 2. 증식 및 배출
바이러스 복제는 세포질에서 일어난다. 숙주 세포 내부로 침입은 숙주 수용체에 부착함으로써 세포내이입을 유도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의 복제 모델을 따라 복제된다. 번역 시에는 숙주 세포의 리보솜을 사용한다. 이후 용균 및 비로포린을 통해 숙주 세포 외부로 배출된다. 비리온은 담즙에서 분비되어 대변을 통해 외부로 나온다. 바이러스는 혈중에 항-HAV IgM이 나타나기 약 11일 동안 대량으로 배출된다. 잠복기는 15~50일이며 사망률은 0.5% 미만이다.[18]유전체는 간세포 내에서 캡시드로 포장되어 배출된다. 다른 피코르나바이러스들과는 달리 번역 개시를 위해 진핵세포 개시인자인 4G(eIF4G)를 온전하게 유지해야 한다.[18]
참조
[1]
웹인용
Rename12 ''Picornavirus'' species
https://talk.ictvonl[...]
2019-03-12
[2]
간행물
Virus taxonomy. Seven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https://talk.ictvonl[...]
Academic Press, San Diego
2000
[3]
웹인용
Viral Zone
http://viralzone.exp[...]
ExPASy
2015-06-15
[4]
웹인용
Virus Taxonomy: 2014 Release
http://ictvonline.or[...]
2015-06-15
[5]
저널
Hepatovirus Ecology Consortium. Evolutionary origins of hepatitis A virus in small mammals
[6]
저널
Discovery of a novel hepatovirus (Phopivirus of seals) related to human hepatitis A virus
[7]
웹인용
Genus: ''Hepatovirus''
https://talk.ictvonl[...]
2019-03-12
[8]
저널
A novel hepatovirus identified in wild woodchuck ''Marmota himalayana''
[9]
저널
Genetic variability of hepatitis A virus
2003-12
[10]
저널
Genetic characterization of wild-type genotype VII hepatitis A virus
http://vir.sgmjourna[...]
2002-01
[11]
저널
Characterization of hepatitis A virus isolates from subgenotypes IA and IB in Rio de Janeiro, Brazil
2002-01
[12]
저널
Bayesian coalescent inference of hepatitis A virus populations: evolutionary rates and patterns
2007-11
[13]
저널
Full length genomes of genotype IIIA Hepatitis A Virus strains (1995–2008) from India and estimates of the evolutionary rates and ages
2009-12
[14]
저널
Genetic variability and molecular evolution of hepatitis A virus
2007-08
[15]
저널
Low efficiency of the 5' nontranslated region of hepatitis A virus RNA in directing cap-independent translation in permissive monkey kidney cells
https://archive.org/[...]
1994-08
[16]
저널
Hepatitis A virus mutant spectra under the selective pressure of monoclonal antibodies: codon usage constraints limit capsid variability
https://archive.org/[...]
2008-02
[17]
서적
Medical Microbiology
Elsevier Mosby
2005
[18]
저널
Fine-tuning translation kinetics selection as the driving force of codon usage bias in the hepatitis A virus capsid
20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