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슴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슴도치는 몸길이 약 20cm의 포유류로, 꼬리, 귀, 다리가 짧고 몸집이 뭉툭하며 가시가 돋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동아시아 북동부에 분포하며, 한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 서식한다. 밤에 활동하며 곤충, 유충, 거미, 뱀, 도마뱀 등을 먹고 산다.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정착하기도 하며, 일본에서는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판매 및 사육이 금지된 종도 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이 종을 "관심 필요 종"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노루
노루는 긴 목과 큰 귀를 가진 사슴과 동물로, 붉은색 또는 회색 털을 가지며, 유라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잡초를 먹고 살지만, 서식지 감소와 개체 수 변동으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고슴도치아과 - 유럽고슴도치
유럽고슴도치는 유럽 원산의 가시 덮인 야행성 고슴도치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며 위험 시 몸을 둥글게 말고 서식지 파괴와 교통사고로 개체수 감소 우려가 있어 IUCN 레드리스트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었고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는다. - 고슴도치아과 - 긴귀고슴도치
긴귀고슴도치는 동부 지중해 지역부터 아시아 건조 지역까지 분포하며 곤충, 작은 척추동물을 먹고 사는 야행성 고슴도치이다. - 1858년 기재된 포유류 - 모래고양이
모래고양이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종으로,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사막에 분포하며 설치류 등을 먹고 살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호받는다. - 1858년 기재된 포유류 - 리처드슨땅다람쥐
리처드슨땅다람쥐는 북미 초원 지대에 서식하며 굴을 파고 사는 설치류로, 꼬리 흔드는 행동 때문에 "플리커테일"이라고도 불리며 농작물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있다.
고슴도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분류 | |
학명 | Erinaceus amurensis 에리나케우스 아무렌시스 |
속 | 고슴도치속 |
종 | 아무르 고슴도치 |
과 | 고슴도치과 |
목 | 진무맹장목 |
강 | 포유강 |
문 | 척삭동물문 |
계 | 동물계 |
보전 상태 | |
IUCN | LC (최소 관심) |
한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
형태 | |
![]() | |
명명 | |
명명자 | 레오폴트 폰 슈렌크 |
발표 년도 | 1858년 |
분포 | |
![]() | |
학명 이명 |
2. 분포
아무르 고슴도치는 러시아 아무르 주, 프리모르스키 지방, 중국 만주, 한반도 등지에 서식한다. 서식 범위는 북위 29도 부근인 양쯔강 남쪽에서 아무르강 유역과 한반도 북부까지 이어진다. 초원, 숲 가장자리,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된 숲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IUCN 적색 목록에는 계곡과 저지대에서 발견되며 고지대나 경작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나와 있지만,[2] ''중국의 포유류''에는 산악 지대, 아고산 지대, 스텝, 관목지, 경작지, 마을 및 도시 공원 등도 적합한 서식지라고 언급되어 있다.[5]
동아시아에서 북동아시아에 분포하며,[11] 일본의 일부 지역에는 외래종으로 정착했다.[12] 가나가와현오다와라시와 시즈오카현이토시에 정착했으며, 오다와라시에서는 1987년에 서식이 확인되었다.[15] 이토시의 이즈 고원에서는 1995년부터 2003년 사이에 약 130마리가 포획되었다.[16] 도치기현, 이와테현, 나가노현, 도야마현에서도 목격 및 포획 사례가 있다.[11] 애완동물로 길러지던 개체가 버려지거나 달아나 야생화된 것으로 보인다.[12] 일본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에도 도입되었다.[6]
일본에서는 홍적세 퇴적물에서 고슴도치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일본에도 고슴도치가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일본에 고슴도치가 정착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16] 분포가 확대될 경우, 곤충이나 육상 권패류를 포식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12] 고슴도치속 4종은 「생태계 등에 피해를 주는 외래생물에 의한 피해 방지법」에 의해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어 판매 및 사육이 불가능하다.[12]
2. 1. 한국 내 분포
아무르 고슴도치는 러시아 아무르 주, 프리모르스키 지방, 중국 만주, 한반도에 서식한다. 서식 범위는 북위 29도 부근, 즉 양쯔강 바로 남쪽에서 아무르강 유역과 한반도 북부까지 이어진다. 초원, 숲 가장자리,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된 숲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2] 일본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에도 도입되었다.[6]2. 2. 국외 분포
아무르 고슴도치는 러시아 아무르 주와 프리모르스키 지방, 중국 만주, 그리고 한반도에 서식한다. 서식 범위는 북위 29도 부근, 즉 양쯔강 바로 남쪽에서 아무르강 유역과 한반도 북부까지 이어진다. 초원, 숲 가장자리,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된 숲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IUCN 적색 목록에 따르면 계곡과 저지대에서 발견되며 고지대나 경작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2] 하지만, ''중국의 포유류''는 이와 달리 산악 지대, 아고산 지대, 스텝, 관목지, 경작지, 마을 및 도시 공원 등도 적합한 서식지라고 언급한다.[5]동아시아에서 북동아시아에 분포한다.[11] 일본의 일부 지역에는 외래종으로 정착해 있다.[12] 가나가와현오다와라시와 시즈오카현이토시에 정착해 있으며, 오다와라시에서는 1987년에 서식이 확인되었다.[15] 이토시의 이즈 고원에서는 1995년부터 2003년 사이에 약 130마리가 포획되었다.[16] 도치기현, 이와테현, 나가노현, 도야마현에서도 목격 및 포획 사례가 있다.[11] 애완동물로 길러지던 개체가 버려지거나 달아나 야생화된 것으로 생각된다.[12]
일본에서도 홍적세의 퇴적물에서 고슴도치의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옛날에는 일본에도 고슴도치가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일본에 고슴도치가 정착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16]
분포가 확대될 경우, 곤충이나 육상 권패류를 포식함으로써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12]
고슴도치속에 분류되는 총 4종은, 「생태계 등에 피해를 주는 외래생물에 의한 피해 방지법」에 의해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어 판매 및 사육이 불가능하다.[12]
3. 형태
몸길이는 약 20cm 안팎으로 대형종이다. 꼬리 길이는 2.3-3.7cm이다. 체모가 변형되어 생긴 가시가 몸에 돋아 있으며, 전체적으로 억세며 가로줄 모양의 어두운 무늬가 있다. 귓바퀴가 짧고 주둥이가 돼지처럼 뾰족하며 발톱이 잘 발달했다. 귀·다리·꼬리가 짧고 몸집은 뭉툭하다. 천적과 맞닥뜨리면 네 다리를 배 부위에 모아 공처럼 몸을 둥글게 하여, 등에 난 가시털로 자신을 방어한다.
유럽고슴도치와 근연관계에 있으며, 크기가 약간 더 크고 색깔이 더 밝다. 머리에서 몸통까지의 길이는 160mm에서 290mm 사이이며, 꼬리는 매우 짧다. 무게는 600g에서 1000g 사이이다. 머리, 등, 옆구리는 길고 날카로운 가시로 덮여 있다. 이 가시는 두 가지 색깔을 띤다. 어떤 것은 순백색이고, 다른 것은 흰색 또는 황갈색 바탕과 끝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중간에 어두운 갈색의 중앙 부분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옅고 갈색을 띤 회색을 띤다. 머리의 가시는 좁은 맨살 띠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케라틴으로 덮인 가시는 강해서 부러지거나 빠지지 않는다. 이 가시는 위협을 받을 때 방어 기제로 사용된다. 고슴도치는 공 모양으로 몸을 웅크리는데, 이때 가시는 바깥쪽을 향하고 얼굴/머리는 안쪽으로 말려 들어간다.[4] 얼굴과 아랫부분은 옅은 털로 덮여 있다.[5]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239-286mm, 꼬리 길이는 25-40mm, 몸무게는 468-920g이다.[13] 근연종인 유럽고슴도치와 모습이 매우 비슷하여, 두개골 형태를 통해 식별할 필요가 있다.[12]
4. 생태
고슴도치는 활엽수림과 혼효림에 많이 살며, 삼림 속의 녹초와 열매는 물론 곤충이나 곤충의 유충, 거미, 뱀, 도마뱀, 장지뱀, 민달팽이 등도 두루 포식하여 생태계의 조절자 역할을 맡는다. 11월부터 동면에 들어가고 가시갈이를 하며, 한 배에 3~7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임신 기간은 약 1개월이다. 러시아의 아무르 주, 프리모르스키 지방, 중국 만주, 한반도 등이 원산지이다. 애완동물로도 많이 기르며 고양이와 함께 공생하기도 한다.[2][3][5]
다른 고슴도치와 마찬가지로 야행성이며, 밤에 나와 작은 절지동물, 특히 파리 유충, 지렁이, 지네, 달팽이, 쥐, 개구리, 때로는 과일을 찾아 먹는다. 중국 자료에서는 검은담비의 먹이가 된다고 하지만, 러시아 자료에서는 이를 반박한다. 여름에 1~2번 출산하며, 각 출산에서 4~6마리의 새끼를 낳고, 10월경에 무활동 상태에 들어가 봄까지 동면에 들어간다.[2][3][5]
일본에서는 밭, 과수원, 공원과 같은 환경에 서식한다.[13] 일본 개체의 행동권은 1.8ha~1.9ha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14] 곤충, 거미, 육생 권패류, 쥐류, 개구리류, 파충류, 조류의 알 등을 먹는다.[11] 일반적으로 3~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3]
5. 인간과의 관계
고슴도치는 활엽수림과 혼효림에 주로 살며, 곤충, 거미, 뱀, 도마뱀, 민달팽이 등을 먹어 생태계 조절자 역할을 한다. 러시아 아무르 주, 프리모르스키 지방, 중국 만주, 한반도 등이 원산지이다.
5. 1. 문화
조선 시대 그림에는 고슴도치가 오이를 지고 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고슴도치도 제 새끼 함함하다고 한다'는 속담은 부모 눈에는 제 자식이 다 예뻐 보이거나, 제 자식을 덮어놓고 옹호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5. 2. 애완동물
애완동물로 많이 기르며 고양이와 함께 공생하기도 한다.[15] 일본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와 시즈오카현 이토시에 정착해 있으며, 오다와라시에서는 1987년에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즈 고원에서는 1995년부터 2003년 사이에 약 130마리가 포획되었다.[16] 도치기현, 이와테현, 나가노현, 도야마현에서도 목격 및 포획 사례가 있다.[11] 애완동물로 길러지던 개체가 버려지거나 달아나 야생화된 것으로 생각된다.[12]일본에서도 홍적세의 퇴적물에서 고슴도치의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옛날에는 일본에도 고슴도치가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일본에 고슴도치가 정착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16] 분포가 확대될 경우, 곤충이나 육상 권패류를 포식함으로써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12]
본 종을 포함한 고슴도치속에 분류되는 총 4종은, 「생태계 등에 피해를 주는 외래생물에 의한 피해 방지법」에 의해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어 판매 및 사육이 불가능하다.[12]
5. 3.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E. amurensis''가 흔한 종이며 특별한 위협이 확인되지 않아 보존 상태를 "관심 필요 종"으로 평가했다.[2] 이 고슴도치들은 흔하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8년의 수명을 가진다. 야생에서의 수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8]참조
[1]
간행물
MSW3 Soricomorpha
[2]
IUCN
Erinaceus amurensis
2022-02-18
[3]
서적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with JavaScript: Bringing classic computing approaches to the Web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4]
웹사이트
Photo Ark: Amur Hedgehog
https://www.national[...]
2018-03-19
[5]
서적
A Guide to the Mammal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Wild Mammals of Japan
Shoukadoh Book Sellers and The Mammal Society of Japan
2015
[7]
웹사이트
Amur Hedgehog
[8]
웹사이트
Amur Hedgehog - Erinaceus amurensis - Details - Encyclopedia of Life
http://eol.org/pages[...]
[9]
IUCN
Erinaceus amurensis
2022-04-02
[10]
서적
食虫目・貧歯目・翼手目・有袋目全種名リスト
平凡社
[11]
웹사이트
ハリネズミ属
https://www.nies.go.[...]
[12]
서적
決定版 日本の外来生物
平凡社
2008-04-21
[13]
서적
日本の哺乳類 改訂版
東海大学出版会
2005-07-20
[14]
서적
The Wild Mammals of Japan
Shoukadoh
2009-07
[15]
간행물
神奈川県におけるハリネズミの野生化
神奈川県立博物館
[16]
서적
日本外来哺乳類フィールド図鑑
旺文社
2005-07-20
[17]
IUCN
Erinaceus amurensis
http://www.iucnredli[...]
2008-07-30
[18]
웹사이트
https://species.nibr[...]
[19]
간행물
MSW3 Erinaceomorp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