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식세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식세포는 19세기 후반 일리아 메치니코프에 의해 처음 발견된 면역 세포로, 다양한 조직에 존재하며 식세포 작용, 항원 제시, 사이토카인 분비를 통해 면역 반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는 단핵구의 분화를 통해 생성되며, M1과 M2, 조절 대식세포 등 다양한 형태로 활성화되어 염증 조절, 상처 치유, 조직 재생 등에 관여한다. 이들은 결핵, 리슈만편모충 감염, HIV 감염 등 다양한 질병의 병인과 관련되며, 암의 성장과 전이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식세포 - 조직구
조직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여러 기관으로 이동해 분화하는 세포로, 단핵구-탐식 세포 계통의 일부로서 식작용, 항원제시 등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등으로 분화하고 과도한 증식 시 조직구증을 유발할 수 있다. - 대식세포 - 폐포대식세포
폐포대식세포는 폐포 내에 존재하는 식세포로서 항상성 유지, 숙주 방어, 조직 재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패턴인지수용체를 통해 병원체를 인식 및 제거하고, 손상되거나 죽은 세포를 식세포 작용을 통해 제거하며,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을 분비하여 면역 반응 조절 및 조직 손상 복구에 기여한다. - 결합 조직 세포 - 지방 세포
지방 세포는 에너지 저장, 체온 조절, 호르몬 분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갈색, 골수, 백색 지방 세포로 나뉘고 대사 질환과 관련 있는 지방 저장 세포이다. - 결합 조직 세포 - 형질 세포
형질 세포는 B 림프구에서 분화된 항체 생산 세포로, 풍부한 세포질과 특징적인 핵을 가지며, 면역글로불린 생산을 통해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비정상적 증식은 질병을 유발하고 분화 결함은 면역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 식세포 - 세포 매개 면역
세포 매개 면역은 항체의 도움 없이 T 세포, 자연 살해 세포(NK 세포), 대식세포 등의 세포들이 직접 항원을 제거하는 면역 반응으로, 세포독성 T 세포는 감염 세포나 암세포를 파괴하고, NK 세포는 비자기 세포를 파괴하며, 대식세포는 식균 작용을 통해 병원체를 제거하고,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하며, 바이러스 감염, 암, 이식 거부 반응 등에 관여한다. - 식세포 - 호중구
호중구는 혈액 내에서 가장 풍부한 백혈구로서 세균 감염에 대한 신속한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식세포 작용, 탈과립, 호중구 세포외덫 형성 등의 항미생물 작용을 수행하고 염증 반응을 조절하며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대식세포 |
---|
2. 역사
일리아 메치니코프는 19세기 후반 대식세포를 처음 발견했다.[129] 그는 철학적 통찰력과 생명 진화 연구를 결합하여 대식세포 분야에 혁명을 일으켰다.[130] 1960년대에 반 퓌르트(Van Furth)는 성인의 순환 혈액 단핵구가 모든 조직 대식세포의 기원이 된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131] 최근 몇 년 동안, 대식세포에 관한 출판물들은 여러 상주 조직 대식세포가 발생의 배아 단계 동안 형성되기 때문에 혈액 단핵구와 독립적이라고 보고하였다.[132] 21세기에는 조직에 존재하는 대식세포의 기원에 관한 모든 아이디어가 종합되어, 생리학적으로 복잡한 유기체가 혈액 단핵구에 의존하지 않는 메커니즘에 의해 독립적으로 대식세포를 형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33]
대식세포는 신체 내 여러 위치에 존재하며, 각 위치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은 단핵 식세포 시스템(이전의 망상내피계)을 구성하여 신체 방어 및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
1892년, 러시아 (현 우크라이나)의 미생물학자이자 동물학자인 일리야 메치니코프(1845-1916)는 움직이면서 무언가를 먹는 세포를 발견하고 이를 대식세포라고 명명했다. 메치니코프는 이 공로로 190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136]
3. 구조
세포 이름 해부학적 위치 지방 조직 대식세포 지방 조직 단핵구 골수 / 혈액 쿠퍼 세포 간 동굴 조직구 림프절 폐포 대식세포 (먼지 세포) 폐포 조직 대식세포 (조직구) 결합 조직 미세아교세포 중추 신경계 호프바우어 세포 태반 사구체 내 간질 세포[12] 신장 파골 세포[13] 뼈 랑게르한스 세포 피부 상피양 세포 육아종 적색수질 대식세포 (동맥동 내피 세포) 비장의 적색수질 복막 대식세포 복강 혈관주위 대식세포[14] 혈관과 밀접하게 관련됨
3. 1. 종류
대식세포는 신체 내 여러 위치에 존재하며, 각 위치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은 단핵 식세포 시스템(이전의 망상내피계)을 구성하여 신체 방어 및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
세포 이름 | 해부학적 위치 |
---|---|
지방 조직 대식세포 | 지방 조직 |
단핵구 | 골수 / 혈액 |
쿠퍼 세포 | 간 |
동굴 조직구 | 림프절 |
폐포 대식세포 (먼지 세포) | 폐포 |
조직 대식세포 (조직구)는 거대 세포로 이어진다 | 결합 조직 |
미세아교세포 | 중추 신경계 |
호프바우어 세포 | 태반 |
사구체 내 간질 세포[12] | 신장 |
파골 세포[13] | 뼈 |
랑게르한스 세포 | 피부 |
상피양 세포 | 육아종 |
적색수질 대식세포 (동맥동 내피 세포) | 비장의 적색수질 |
복막 대식세포 | 복강 |
혈관주위 대식세포[14] | 혈관과 밀접하게 관련됨 |
고환에서 대식세포는 라이디히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돕고, 고환의 면역 특권 환경 조성에 기여한다.[15] 심장 상주 대식세포는 갭 연접을 통해 심장 근육 세포와 소통하며 전기 전도에 참여한다.[16]
대식세포는 활성화 상태에 따라 M1과 M2로 나뉜다. M1 대식세포는 LPS와 IFN-감마에 의해 활성화되어 염증을 유발하고 세균을 죽이는 기능을 한다.[54][55] M2 대식세포는 IL-4 등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처 치유 및 조직 복구에 관여한다.[55]
멜라닌 세포가 멜라닌을 합성하는 반면, 멜라노파지는 식세포 작용을 통해 멜라닌을 흡수한다.[76][77] 이는 문신이 유지되는 기전 중 하나이다.[78]
장 대식세포는 소화관에 적응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포식작용을 수행한다.[125] 이는 장내 미생물군집과의 공존을 위한 중요한 특징이다. 장 상피 세포가 분비하는 TGF-β는 장 대식세포를 비염증성으로 유지시킨다.[125]
4. 발생
대식세포는 혈액 속 백혈구의 5%를 차지하는 단구(단핵 백혈구)가 분화하여 생성된다. 조혈모세포에서 분화된 단구는 골수에서 성숙하여 혈류에 들어간다. 단구는 약 2일 동안 혈액 속에 머물다가 혈관 벽을 통과하여 조직 내로 들어가 약 8시간에 걸쳐 대식세포가 된다. 이 과정은 백혈구 혈관 외 유출이라고 불리며, 혈관의 내피를 통해 단핵구가 손상된 조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단핵구는 손상된 세포, 병원체, 그리고 이미 그 부위에 있는 대식세포에 의해 방출되는 사이토카인을 포함한 다양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화학 주성을 통해 손상 부위로 유인된다. 조직에 들어간 대식세포는 세포 내에 리소좀을 비롯한 과립을 늘리고 소화 효소를 축적한다.
성인의 건강한 조직에 존재하는 대식세포는 순환 단핵구에서 유래하거나 출생 전에 형성된 후 성인기 동안 단핵구와 독립적으로 유지된다.[18][19] 반면, 질병 부위에 축적되는 대부분의 대식세포는 일반적으로 순환하는 단핵구에서 유래한다.[20] 고환과 같은 일부 부위에서는 대식세포가 증식을 통해 기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대식세포는 분열을 통해 증식할 수 있으며, 호중구와 달리 수명이 수개월로 더 길다.
대식세포는 19세기 후반 일리아 메치니코프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129] 이후 1960년대에 반 퓌르트는 성인의 순환 혈액 단핵구가 모든 조직 대식세포의 기원이 된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131] 최근에는 여러 상주 조직 대식세포가 발생의 배아 단계 동안 형성되기 때문에 혈액 단핵구와 독립적이라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132] 21세기에는 조직에 존재하는 대식세포의 기원에 관한 모든 아이디어가 종합되어, 생리학적으로 복잡한 유기체가 혈액 단핵구에 의존하지 않는 메커니즘에 의해 독립적으로 대식세포를 형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33]
진화상 매우 이른 단계부터 존재하며, 척추동물·무척추동물을 가리지 않고 거의 모든 동물에 존재한다. B 세포 등 다른 백혈구는 대식세포에서 진화했으며, 혈관이나 심장을 구성하는 세포와도 기원이 같다.
5. 기능
대식세포는 식작용, 항원 제시, 사이토카인 분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육 손상, 성장 및 재생과 관련하여 대식세포는 두 가지 "파도"로 나타난다. 첫 번째 파도는 식세포 집단으로, 손상된 근육 섬유의 내용물을 분해한다. 이들은 근육 세포 손상 또는 재부하 시작 후 약 24시간에 최고 농도에 도달하고 48시간 후에 감소한다.[59][60][61][62] 두 번째 그룹은 비식세포 유형으로, 재생 섬유 근처에 분포하며 2~4일 사이에 최고조에 달하고 근육 조직이 재건되는 동안 며칠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60]
대식세포는 근육의 증식, 분화, 성장, 수리 및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가용성 물질을 방출하지만, 이러한 효과를 매개하는 요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62] 대식세포는 부상 후 치유 과정에서 여러 조직에 축적된다.[63]
대식세포는 상처 치유에 필수적이다.[64] 이들은 부상 후 이틀째에 다형핵 백혈구를 대체하고 상처 부위에서 가장 우세한 세포가 된다.[65] 혈소판 및 기타 세포에서 분비되는 성장 인자에 의해 상처 부위로 유인된 혈류의 단핵구는 혈관벽을 통해 해당 부위로 들어가 대식세포로 성숙한다.[66] 비장은 부상 조직에 배치될 준비가 된 단핵구의 절반을 저장하고 있다.[67][68]
대식세포는 박테리아와 손상된 조직을 탐식하고,[64] 프로테아제를 방출하여 손상된 조직을 변연 절제한다.[69] 또한 성장 인자 및 사이토카인과 같은 여러 인자를 분비하여 치유의 증식 단계에 관여하는 세포를 해당 부위로 유인한다.[70] 대식세포는 주변 환경의 낮은 산소 농도에 의해 자극받아 혈관 신생을 유도하고 가속화하는 인자를 생성하며,[72] 상처를 재상피화하고, 육아 조직을 생성하며, 새로운 세포 외 기질을 형성하는 세포를 자극한다.[73]
멜라닌 세포는 멜라닌을 멜라노솜을 통해 합성하고 다양한 발달 단계를 거치는 반면, 멜라노파지는 식세포 작용을 통해 포식된 멜라닌만을 리소좀 유사 파고솜에 축적한다.[76][77] 이는 죽은 진피 대식세포의 색소가 후임자에 의해 식세포 작용을 받으면서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문신을 동일한 위치에 유지한다.[78]
모든 조직은 고유의 특화된 거주 대식세포 집단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기질 및 기능 조직과 상호 연결을 유지한다.[79][80] 이러한 거주 대식세포는 비이동성이며, 조직의 생리적 기능을 지원하는 필수 성장 인자를 제공하고,[81] 염증 손상으로부터 조직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82]
5. 1. 식작용
대식세포의 주요 기능은 식작용으로, 세균, 바이러스, 죽은 세포, 세포 잔해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식작용은 병원체에 대한 초기 방어 및 세포 사멸 잔해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2][24] 염증 초기에는 호중구가 이 역할을 담당하지만, 염증 후기(48시간 이후)에는 대식세포가 모여 죽은 호중구나 세균을 식작용으로 처리한다.[22]'''a.''' 파고사이토시스를 통한 섭취, 파고솜 형성
'''b.''' 리소좀과 파고솜의 융합으로 파고리소좀 생성; 병원체는 효소에 의해 분해됨
'''c.''' 폐기물 배출 또는 동화 (후자는 그림에 없음)
'''구성 요소:'''
'''1.''' 병원체
'''2.''' 파고솜
'''3.''' 리소좀
'''4.''' 폐기물
'''5.''' 세포질
'''6.''' 세포막

대식세포는 패턴 인식 수용체(PRR)를 통해 병원체의 병인 연관 분자 패턴(MAMP)을 인식하여 식세포 작용을 일으킨다.[28] 톨 유사 수용체(TLR), 청소부 수용체(SR), C형 렉틴 수용체 등이 이에 해당한다.[28] 보체 단백질이나 항체같은 옵소닌을 통해 간접적으로 병원체를 인식하기도 한다.[29] 옵소닌은 대식세포의 식세포 활성을 돕는다.[29][30][31]
병원체가 소화될 때 대식세포는 호흡 폭발을 겪는다. 이는 반응성 산소종(ROS) 및 기타 항균 분자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더 많은 산소를 소비하는 과정이다.[27][32]
5. 2. 항원 제시
대식세포는 전문 항원 제시 세포(APC)로서, 탐식된 항원의 펩타이드를 세포 표면의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II 분자에 제시하여 헬퍼 T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40] 대식세포는 림프절을 떠나 감염 부위에 도달한 이전에 활성화된 헬퍼 T 세포, 또는 조직 내에 존재하는 기억 T 세포와 상호 작용한다.[42]대식세포는 헬퍼 T 세포 활성화에 필요한 두 가지 신호를 모두 제공한다.
- 1) 대식세포는 항원 펩타이드가 결합된 MHC 클래스 II 분자를 제시하여 해당 T 세포 수용체(TCR)가 인식하도록 한다.
- 2) PRR에 의한 병원체 인지는 대식세포가 CD80과 CD86 (일명 B7)과 같은 공동 자극 분자를 상향 조절하도록 유도하여 T 도우미 세포의 CD28에 결합하여 공동 자극 신호를 제공한다.[34][40]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해 헬퍼 T 세포는 완전한 효과기 기능을 수행하고, TCR 신호 부재로 인한 세포 자멸사를 막기 위한 지속적인 생존 및 분화 신호를 받게 된다.[40]

대식세포는 항원을 섭취하면, 각종 사이토카인을 방출하여 특정 T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식작용을 통해 섭취하고 분해한 이물질을 여러 조각으로 만든 다음, 원래 세포 내에 가지고 있던 MHC 클래스 II 분자(MHC-II)와 결합시켜 세포 표면에 노출시킨다. 이를 대식세포에 의한 '''항원 제시'''라고 부른다.
대식세포에 의한 항원 제시 신호는 헬퍼 T 세포라고 불리는 림프구에 전달된다. 헬퍼 T 세포의 표면에는 CD4라는 헬퍼 T 세포 특유의 표면 단백질과 T 세포 수용체(TCR)라고 불리는 수용체 단백질이 존재하며, 각각 대식세포의 MHC-II와 대식세포에 의해 제시된 항원과 결합함으로써 헬퍼 T 세포가 활성화된다. T 세포 수용체의 구조는 헬퍼 T 세포마다 다르며, 대식세포에 의해 제시된 항원 조각과 딱 맞는 수용체를 가진 헬퍼 T 세포만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헬퍼 T 세포는 인터류킨이나 림포카인 등의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자신이 인식하는 것과 같은 항원을 인식하는 B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B 세포는 형질 세포로 분화하여 증식하고, 항원에 대응하는 항체를 생성하여 방출한다. 항체는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항체-항원 복합체를 만든다. 대식세포는 이 항체-항원 복합체에 끌려가 이 복합체를 탐식한다. 항체가 결합된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대식세포가 매우 효율적으로 잡아먹을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이때 T 세포는 림포카인을 방출하는 등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거나, B 세포의 증식, 분화를 돕는다.
5. 3. 활성화
대식세포는 T 세포가 생산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활성화된다.[138] 사이토카인은 항원과 접촉한 T 세포 및 일부 다른 백혈구가 생산하는 물질로, 주요 표적은 대식세포이다. 사이토카인은 다양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식세포 기동 요소 (maf), 대식세포 이동 저지 인자 (mmif), 면역 복합체, c3b, 다양한 펩타이드, 다당류, 면역 보조제 등이 존재한다. 어떤 종류의 사이토카인은 단핵구의 성숙을 촉진하고, 대식세포를 증식시켜 식세포 작용을 활성화시키며, 어떤 것은 대식세포를 모아 항원을 공격하게 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염증 반응이 강해진다.대식세포 활성화에는 여러 형태가 있지만,[17] 주요 그룹은 '''M1'''과 '''M2'''의 두 가지이다.[54]
- M1 대식세포: LPS와 IFN-감마에 의해 활성화되며,[54] 높은 수준의 IL-12와 낮은 수준의 IL-10을 분비한다. 염증 유발, 살균 및 탐식 기능을 한다.[55]
- M2 대식세포: 상처 치유 및 조직 복구와 같은 건설적인 과정에서 기능하며, IL-10과 같은 항염증 사이토카인을 생성하여 손상적인 면역 체계 활성화를 중단시킨다.[56] 높은 수준의 IL-10, TGF-베타를 생성하고, 낮은 수준의 IL-12를 생성한다.[56]
M1 대식세포는 염증 초기 단계에서 지배적이며 인터페론-γ(IFN-γ), 종양 괴사 인자(TNF), 손상 관련 분자 패턴(DAMP)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러한 매개 분자는 인터루킨-6 및 TNF와 같은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을 생성하는 염증 유발 반응을 생성한다. M1 대식세포와 달리 M2 대식세포는 인터루킨-4 또는 인터루킨-13을 추가하여 항염증 반응을 분비한다. 또한 상처 치유에 역할을 하며 혈관 재형성 및 재상피화에 필요하다.[55]
일반적으로 M1이 먼저 유도되어 이물질이나 병원체 등을 염증과 함께 공격하고, M2가 뒷정리 및 브레이크를 거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M2는 억제성 인터루킨 IL-10 및 TGF-β와 같은 조절성 사이토카인을 생산한다.[138]
최근 연구에서는 M1, M2 외에도 고전적 활성화 대식세포, 상처 치유 대식세포, 조절성 대식세포의 3가지 또는 그 중간적인 활성화 상태가 존재한다고 보고 있으며, 대식세포 활성화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Nat rev immunol 2008 Vol.8 958-969).
5. 4. 기타 기능
대식세포는 식세포 작용 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파골세포는 산과 가수분해 효소를 분비하여 뼈를 분해한다.[26] 뇌에 존재하는 소교세포에도 다양한 기능이 있다.피부에 존재하는 조직구(표피 내 대식세포)나 간의 쿠퍼 성상세포, 폐포에 존재하는 진애 세포(폐포 대식세포)도 대식세포의 일종이다.
6. 질병과의 관련성
대식세포는 면역 체계와 관련된 많은 질병에 관여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염증성 병변인 육아종 형성에 참여한다.[84] 비효율적인 탐식 작용과 대식세포 기능 장애를 보이는 일부 질환들도 보고되었다.
일부 병원체는 대식세포의 탐식 작용을 방해하여 대식세포 내에서 생존한다. 이는 병원체가 면역 체계로부터 숨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형의 질병에는 결핵(결핵균에 의해 발생)과 리슈만편모충증(리슈만편모충 종에 의해 발생)이 있다.[87] 대식세포는 미생물에 독성인 산화 질소와 활성 산소 중간체의 유도를 포함한 방어 기전을 진화시켰고,[85] 미생물의 영양 공급을 제한하고 자가소화를 유도하는 능력을 진화시켰다.[86]
결핵균은 대식세포의 방어 기작을 회피하며 세포를 사용하여 증식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결핵균에 의한 폐 감염에 반응하여 말초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TNF-α, IL-6)의 분비 증가와 감염 제거에 필수적인 해당 작용 활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M1 표현형으로 성숙한다.[1] 리슈만편모충 기생충은 대식세포의 식포 내에서 생존하며, 리소좀으로의 발달을 막아 파괴되는 것을 피한다.
관절 내 대식세포 감염은 급성기 및 급성기 이후 치쿤구니야 (CHIKV 또는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 동안 국소 염증과 관련이 있다.[88] 아데노바이러스(유행성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는 숙주 대식세포 내에 잠복 상태로 남아 초기 감염 후 6~18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바이러스를 배출할 수 있다. ''브루셀라속''은 파고솜과 리소좀의 융합을 억제하여 대식세포 내에 잠복 상태로 남아 브루셀라증(파동열)을 유발한다. 재향군인병의 원인균인 ''레지오넬라 폐렴균'' 또한 대식세포 내에 자리 잡는다.
대식세포는 죽상경화증의 진행성 플라크 병변을 생성하는 데 관여하는 주요 세포이다.[89] 급성 심근 경색 발생 후 대식세포의 국소적인 모집이 일어나는데, 이들은 잔해, 세포 사멸 세포를 제거하고 조직 재생을 준비하는 기능을 한다.[90] 대식세포는 저칼륨혈증 마우스에서 허혈로 유발된 심실 빈맥으로부터 보호한다.[91]
대식세포는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에도 역할을 한다. T 세포와 마찬가지로 대식세포도 HIV에 감염될 수 있으며, 신체 전체에서 지속적인 바이러스 복제의 저장소가 될 수도 있다. HIV는 gp120이 CD4 및 두 번째 막 수용체인 CCR5 (케모카인 수용체)에 결합하여 대식세포에 들어갈 수 있다. 순환하는 단핵구와 대식세포는 모두 바이러스의 저장소 역할을 한다.[92] 대식세포는 HIV-1에 의한 감염에 CD4+ T 세포보다 더 잘 저항할 수 있지만, HIV 감염에 대한 감수성은 대식세포 아형에 따라 다르다.[93]
대식세포는 종양 세포의 증식과 침윤을 촉진하고, 종양 혈관생성을 촉진하며, 항종양 면역 세포를 억제함으로써 종양 성장과 진행에 기여할 수 있다.[94][95]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종양 괴사 인자(TNF)-알파와 같은 염증성 화합물은 유전자 스위치인 핵 인자-카파 B를 활성화시킨다. NF-κB는 종양 세포의 핵으로 들어가 세포 사멸을 멈추고 세포 증식과 염증을 촉진하는 단백질의 생산을 활성화시킨다.[96] 게다가 대식세포는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알파),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M-CSF/CSF1), IL-1 및 IL-6을 포함한 많은 혈관생성 촉진 인자의 공급원 역할을 하여 종양 성장에 더욱 기여한다.[97]
대식세포는 다수의 종양에 침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수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뇌암 및 전립선암을 포함한 특정 암에서 불량한 예후와 상관관계가 있다.[98][99] 일부 종양은 M-CSF/CSF1, MCP-1/CCL2 및 안지오텐신 II를 포함하여 종양 내 대식세포의 증폭 및 동원을 유발하는 인자를 생성할 수도 있다.[100][101][102] 또한, 종양 배액 림프절의 아피막동 대식세포는 종양 유래 물질의 확산을 억제하여 암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103]
실험 연구에 따르면 대식세포는 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면역 요법 및 표적 치료를 포함한 모든 치료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5][104][105] 대식세포는 치료 결과에 긍정적, 부정적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식세포는 여러 방식으로 보호 작용을 할 수 있는데, 죽은 종양 세포를 제거(식세포 작용)하거나, 일부 항암제의 약물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으며,[106] 일부 치료법에 의해 활성화되어 항종양 면역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107] 대식세포는 또한 여러 면에서 해로울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양한 화학 요법,[108][109] 방사선 치료[110][111] 및 면역 요법을 억제할 수 있다.[112][113] 대식세포는 종양 진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세포의 수를 줄이거나 표현형을 조작하는 치료 전략이 현재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험되고 있다.[114][115] 그러나 대식세포는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DCC)에도 관여하며, 이러한 기전은 특정 암 면역 요법 항체에 중요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116] 유사하게,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도록 유전자 조작된 대식세포가 종양 부하를 줄이는 유망한 치료 접근법으로 확인되었다.[117]
비만 지방 조직 내에서 염증성 대식세포의 증가가 인슐린 저항성 및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 비만 합병증에 기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118] 따라서 지방 조직 대식세포의 염증 상태 조절은 비만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가능한 치료 목표로 간주되어 왔다.[119] 지방 조직 대식세포는 교감 신경 지배에 의해 항염증성 항상성 조절을 받지만, ADRB2 유전자 녹아웃 쥐를 사용한 실험에 따르면, 이러한 효과는 직접적인 Beta-2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방 세포 기능 조절을 통해 간접적으로 발휘되며, 이는 대식세포의 아드레날린 자극이 비만 시 지방 조직의 염증 또는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에 불충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20]
CCR2 결핍 쥐의 지방 조직 내에서 호산구의 수가 증가하고, 대체 대식세포 활성이 증가하며, 제2형 사이토카인 발현 경향이 높아진다. 더욱이, 이러한 효과는 고지방 식단으로 인해 쥐가 비만해졌을 때 더욱 심화되었다.[121] 이는 부분적으로 지방 세포(지방 세포)의 괴사에 의해 유도된 대식세포의 표현형 전환에 의해 발생한다. 비만인 개인에서 일부 지방 세포가 파열되어 괴사성 세포사를 겪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주하는 M2 대식세포가 M1 표현형으로 전환된다. 이는 비만과 관련된 만성적인 저등급 전신 염증 상태의 원인 중 하나이다.[122][123]
조직 대식세포와 구조는 매우 유사하지만, 장 대식세포는 소화관이라는 자연 환경에 적응하여 특정한 특성과 기능을 진화시켰다. 대식세포와 장 대식세포는 높은 가소성을 가지고 있어 환경에 따라 표현형이 변화한다.[124] 대식세포와 마찬가지로 장 대식세포는 분화된 단핵구이지만, 장 대식세포는 장내 미생물군집과 공존해야 한다. 장내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는 "자기"로 인식되지 않고 대식세포에 의한 포식작용의 잠재적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어려운 과제이다.[125]
장내 박테리아의 파괴를 막기 위해 장 대식세포는 다른 대식세포와 비교하여 중요한 차이점을 발전시켰다. 우선, 장 대식세포는 염증 반응을 유도하지 않는다. 조직 대식세포는 IL-1, IL-6 및 TNF-α와 같은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방출하는 반면, 장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성하거나 분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변화는 장 대식세포의 환경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발된다. 장을 둘러싼 장 상피 세포는 TGF-β(TGF-β,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를 방출하며, 이는 염증성 대식세포에서 비염증성 대식세포로의 변화를 유도한다.[125]
장 대식세포에서 염증 반응이 억제되더라도, 포식작용은 여전히 수행된다. 장 대식세포가 박테리아인 ''S. typhimurium'' 및 ''E. coli''(대장균)을 효과적으로 포식할 수 있으므로 포식작용 효율에는 변화가 없지만, 장 대식세포는 포식작용 후에도 사이토카인을 방출하지 않는다. 또한, 장 대식세포는 지질다당류(LPS), IgA 또는 IgG 수용체를 발현하지 않는다.[126] LPS 수용체의 부재는 장 대식세포가 장내 미생물군집의 미생물 연관 분자 패턴인 MAMPS/PAMPS을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장에 중요하다. 또한 IL-2 및 IL-3 성장 인자 수용체도 발현하지 않는다.[125]
장 대식세포는 염증성 장 질환(IBD), 예를 들어 크론병(CD) 및 궤양성 대장염(UC)과 같은 질환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장에서 장 대식세포는 장 내 염증 반응을 제한하지만, 질병 상태에서는 장 대식세포의 수와 다양성이 변화한다. 이는 장의 염증과 IBD의 질병 증상으로 이어진다. 장 대식세포는 장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염증이나 병원체의 존재는 항상성을 변화시키고, 동시에 장 대식세포도 변화시킨다.[127] 새로운 단핵구 모집 또는 이미 존재하는 장 대식세포의 변화에 의한 장 대식세포의 변화에 대한 결정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26]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대식세포는 세포 외 소포를 방출하여 세균에 대한 철분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패혈증 결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8]
대식세포는 동물이 병원체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초기 단계의 살균을 수행함과 동시에 항원 제시를 통해 항체 생성을 위한 첫 번째 신호로 작용하는 등 중요한 항상성 유지 기구의 일각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과도한 활성화 등 대식세포 기능의 이상은 면역 시스템의 많은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염증 괴사를 일으킨 조직을 덮어 육아종을 형성한다. 또한 죽상 동맥경화가 진행되는 데에도 중요하다. 대식세포의 역할 중 하나는 혈관벽에 쌓인 변성 콜레스테롤의 처리인데, 변성 콜레스테롤이 처리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존재할 경우, 혈관벽 아래에 숨어 거품화되어 그 자리에 침착한다. 이것이 죽상 동맥경화의 원인이다.
일부 병원 세균과 바이러스에는 대식세포에 의한 탐식 작용을 회피하는 기능을 획득한 것이 있다. 세균으로는 리스테리아, 이질균, 살모넬라(티푸스균), 레지오넬라, 결핵균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바이러스에서는 에이즈의 병원체인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가 CD4 분자를 발현하는 면역 세포인 헬퍼 T 세포와 대식세포에 감염된다. 대식세포는 강력한 살균 작용을 하지만 살균을 면한 특정 병원체는 다른 면역 세포의 공격도 항체에 의한 작용도 미치지 않는 그 대식세포 세포 내에 감염됨으로써 숙주 체내에서 유주·확산을 계속하고 그 병원성의 발휘에 관여한다. 예를 들어, 티푸스균은 장관에 침입한 후 장간막 림프절의 대식세포에 감염된 후 혈류에 들어가 전신성 감염증 (균혈증)을 일으킨다. 또한 결핵균이나 HIV는 마찬가지로 잠복 감염되어 오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다.
참조
[1]
논문
NIX-mediated mitophagy regulate metabolic reprogramming in phagocytic cells during mycobacterial infection
2021-01
[2]
웹사이트
Regenerative Medicine Partnership in Education
https://web.archive.[...]
2015-05-07
[3]
논문
Imaging Cardiovascular and Lung Macrophages With th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ensor 64Cu-Macrin in Mice, Rabbits, and Pigs
2020-10
[4]
논문
Macrophages in the embryo and beyond: much more than just giant phagocytes
2008-09
[5]
논문
M1 and M2 Macrophages: Oracles of Health and Disease
[6]
서적
Janeway's immunobiology
Garland Science, New York
[7]
논문
A polarizing question: do M1 and M2 microglia exist?
2016-07
[8]
논문
Cell size of alveolar macrophages: an interspecies comparison
1997-09
[9]
논문
Expression of macrophage-selective markers in human and rodent adipocytes
2005-10
[10]
서적
Ilya Mechnikov: His Life and Work
Honolulu, Hawaii: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11]
논문
Macrophage plasticity, polarization, and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2018-09
[12]
서적
Principles of Renal Physiology, 5th edition
Springer
[13]
논문
Topography-mediated immunomodulation in osseointegration; Ally or Enemy
2022-12
[14]
논문
Deciphering the heterogeneity of the Lyve1+ perivascular macrophages in the mouse brain.
[15]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lipophilic factor produced by macrophages that stimulates steroidogenesis
2000-03
[16]
논문
Macrophages Facilitate Electrical Conduction in the Heart
2017-04
[17]
논문
Exploring the full spectrum of macrophage activation
2008-12
[18]
논문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resident macrophages
2016-01
[19]
논문
Tissue-Resident Macrophage Ontogeny and Homeostasis
2016-03
[20]
논문
The journey from stem cell to macrophage
2014-06
[21]
논문
Two populations of self-maintaining monocyte-independent macrophages exist in adult epididymis and testis
2021-01
[22]
논문
Inflammation in wound repair: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2007-03
[23]
논문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enhance macrophage killing of bacterial pathogens
2021-09
[24]
논문
A Role of Macrophages: An Overview
http://jddtonline.in[...]
2017-11-15
[25]
논문
Hijacking of Macrophages by Salmonella (310r) Through 'Types III' Secretion Like Exocytotic Signalling : A Mechanism for Infection of Chicken Ileum
https://www.research[...]
2000
[26]
논문
Macrophage cytokines: involvement in immunity and infectious diseases
2014-10-07
[27]
서적
Kuby Immunology
W. H. Freeman
2018-05-25
[28]
논문
Microbial Phagocytic Receptors and Their Potential Involvement in Cytokine Induction in Macrophages
2021-04-29
[29]
논문
The Phagocytic Function of Macrophage-Enforcing Innate Immunity and Tissue Homeostasis
2017-12
[30]
논문
Phagocytosis: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a Universal Biological Process
2020-06-02
[31]
논문
C3 receptors on macrophages
1988-01-01
[32]
논문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ell signaling: respiratory burst in macrophage signaling
2002-12
[33]
논문
NF-κB signaling in inflammation
2017-07-14
[34]
서적
Janeway's Immunobiology
W. W. Norton & Company
[35]
논문
Macrophage responses to lipopolysaccharide are modulated by a feedback loop involving prostaglandin E2, dual specificity phosphatase 1 and tristetraprolin
2017-07-28
[36]
논문
Major role of adipocyte prostaglandin E2 in lipolysis-induced macrophage recruitment
2016-02-24
[37]
논문
Inflammation in wound repair: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2007-03
[38]
논문
Changing the paradigm of IFN-γ at the interface between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Macrophage-derived IFN-γ
2020-07
[39]
논문
Filopodia act as phagocytic tentacles and pull with discrete steps and a load-dependent velocity
2007-07
[40]
논문
Macrophages: Their Untold Story in T Cell Activation and Function
Elsevier
2019
[41]
논문
Antigen presentation to naive CD4 T cells in the lymph node
2003-08
[42]
서적
Janeway's Immunobiology
Garland Science
[43]
논문
Lymph node macrophages
2012
[44]
논문
The Surprising Story of IL-2
2020-09
[45]
논문
The 3 major types of innate and adaptive cell-mediated effector immunity
2015-03
[46]
논문
Defects in Macrophage Reprogramming in Cancer Therapy: The Negative Impact of PD-L1/PD-1
2021-06-23
[47]
논문
T cell-macrophage interactions and granuloma formation in vasculitis
2014
[48]
논문
Macrophage Activation and Functions during Helminth Infection: Recent Advances from the Laboratory Mouse
2018-07-02
[49]
논문
Alternative activation of macrophages
2003-01
[50]
논문
IL-1 receptor 2 (IL-1R2) and its role in immune regulation
2013-08
[51]
논문
Antigen Cross-Presentation by Macrophages
2020-07-08
[52]
논문
The antigen presenting cells instruct plasma cell differentiation
2014-01
[53]
서적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W.B Saunders Company
[54]
논문
The lymphocyte story
https://www.newscien[...]
2007-09-13
[55]
논문
Macrophage Phenotypes Regulate Scar Formation and Chronic Wound Healing
2017-07
[56]
논문
Tumor associated macrophages and neutrophils in tumor progression
2013-07
[57]
논문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atherosclerosis
2010-04
[58]
논문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controls M2 macrophage differentiation and foam cell formation
2012-04
[59]
논문
Distinguishing unloading- versus reloading-induced changes in rat soleus muscle
1993-01
[60]
논문
Differential response of macrophage subpopulations to soleus muscle reloading after rat hindlimb suspension
1994-07
[61]
논문
Macrophage invasion does not contribute to muscle membrane injury during inflammation
1999-04
[62]
서적
Skeletal Muscle Repair and Regeneration
[63]
논문
Modulation of macrophage activation state protects tissue from necrosis during critical limb ischemia in thrombospondin-1-deficient mice
[64]
웹사이트
Wound healing: Chronic wounds
http://www.emedicine[...]
2006
[65]
논문
The phases of cutaneous wound healing
http://www-ermm.cbcu[...]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3-21
[66]
서적
Essential practice of surgery
Springer
2003
[67]
논문
Identification of splenic reservoir monocytes and their deployment to inflammatory sites
2009-07
[68]
논문
Immunology. Dispensable but not irrelevant
2009-07
[69]
논문
Surgical physiology of wound healing: a review
http://www.jpgmonlin[...]
[70]
웹사이트
Wound Healing, Growth Factors
http://www.emedicine[...]
2006
[71]
논문
Macrophages restrain contraction of an in vitro wound healing model
2004-08
[72]
논문
The role of apoptosis in wound healing
1998-09
[73]
논문
Update on wound dressings: Indications and best use
2004-06
[74]
웹사이트
Scientists identify cell that could hold the secret to limb regeneration
https://www.theverge[...]
the verge.com
2013-05-23
[75]
논문
Macrophages are required for adult salamander limb regeneration
2013-06
[76]
논문
Lysosomes in malanin phagocytosis and synthesis
1967-10
[77]
논문
Cellular and subcellular differentiation of melanin phagocytosis and synthesis by lysosomal and melanosomal activity
1966-01
[78]
논문
Unveiling skin macrophage dynamics explains both tattoo persistence and strenuous removal
2018-04
[79]
논문
Tissue-specific signals control reversible program of localization and functional polarization of macrophages
2014-05
[80]
논문
Environment drives selection and function of enhancers controlling tissue-specific macrophage identities
2014-12
[81]
논문
Crosstalk between muscularis macrophages and enteric neurons regulates gastrointestinal motility
2014-07
[82]
논문
Resident Macrophages Cloak Tissue Microlesions to Prevent Neutrophil-Driven Inflammatory Damage
2019-04
[83]
논문
Origin and Differentiation of Nerve-Associated Macrophages
2020-01
[84]
서적
Macrophages: Biology and Role in the Pathology of Diseases
Springer New York
2014
[85]
논문
Functions of ROS in Macrophages and Antimicrobial Immunity
2021-02
[86]
논문
Macrophage defense mechanisms against intracellular bacteria
2015-03
[87]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McGraw Hill
[88]
논문
Chikungunya disease: infection-associated markers from the acute to the chronic phase of arbovirus-induced arthralgia
[89]
논문
Atherosclerosis: role of chemokines and macrophages
2001-11
[90]
논문
Cardiac macrophages and their role in ischaemic heart disease
2014-05
[91]
논문
Neutrophils incite and macrophages avert electrical storm after myocardial infarction
2022-07
[92]
논문
Macrophage
2011-02
[93]
논문
Macrophages and their relevance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I infection
2012-10
[94]
논문
Macrophage diversity enhances tumor progression and metastasis
2010-04
[95]
논문
The role of myeloid cells in cancer therapies
2016-07
[96]
논문
A malignant flame. Understanding chronic inflammation, which contributes to heart disease, Alzheimer's and a variety of other ailments, may be a key to unlocking the mysteries of cancer
2007-07
[97]
논문
Macrophages regulate the angiogenic switch in a mouse model of breast cancer
2006-12
[98]
논문
The role of tumour-associated macrophages in tumour progression: implications for new anticancer therapies
2002
[99]
논문
In vitro human tumor-associated macrophage model implicates macrophage proliferation as a mechanism for maintaining tumor-associated macrophage populations
http://cancerres.aac[...]
2018-07
[100]
논문
Colony-stimulating factor 1 promotes progression of mammary tumors to malignancy
2001-03
[101]
논문
CCL2 recruits inflammatory monocytes to facilitate breast-tumour metastasis
2011-06
[102]
논문
Angiotensin II drives the production of tumor-promoting macrophages
2013-02
[103]
논문
SCS macrophages suppress melanoma by restricting tumor-derived vesicle-B cell interactions
2016-04
[104]
논문
The interaction of anticancer therapies with tumor-associated macrophages
2015-04
[105]
논문
Macrophage regulation of tumor responses to anticancer therapies
2013-03
[106]
논문
Tumour-associated macrophages act as a slow-release reservoir of nano-therapeutic Pt(IV) pro-drug
2015-10
[107]
논문
Low-dose irradiation programs macrophage differentiation to an iNOS⁺/M1 phenotype that orchestrates effective T cell immunotherapy
2013-11
[108]
논문
Macrophage IL-10 blocks CD8+ T cell-dependent responses to chemotherapy by suppressing IL-12 expression in intratumoral dendritic cells
2014-11
[109]
논문
Leukocyte complexity predicts breast cancer survival and functionally regulates response to chemotherapy
2011-06
[110]
논문
TH2-Polarized CD4(+) T Cells and Macrophages Limit Efficacy of Radiotherapy
2015-05
[111]
논문
Recruitment of myeloid but not endothelial precursor cells facilitates tumor regrowth after local irradiation
2010-07
[112]
논문
In vivo imaging reveals a tumor-associated macrophage-mediated resistance pathway in anti-PD-1 therapy
2017-05
[113]
논문
CSF1/CSF1R blockade reprograms tumor-infiltrating macrophages and improves response to T-cell checkpoint immunotherapy in pancreatic cancer models
2014-09
[114]
논문
Targeting tumor-associated macrophages with anti-CSF-1R antibody reveals a strategy for cancer therapy
2014-06
[115]
논문
Macrophages and therapeutic resistance in cancer
2015-04
[116]
논문
TLR1/2 ligand enhances antitumor efficacy of CTLA-4 blockade by increasing intratumoral Treg depletion
2019-05
[117]
논문
Human chimeric antigen receptor macrophages for cancer immunotherapy
2020-08
[118]
간행물
Obesity is associated with macrophage accumulation in adipose tissu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03; 112:1796–808.
Weisberg SP, McCann D, Desai M, Rosenbaum M, Leibel RL, Ferrante AW
[119]
논문
Molecular pathways linking adipose innervation to insulin action in obesity and diabetes mellitus
2019-04
[120]
논문
Macrophage beta2-adrenergic receptor is dispensable for the adipose tissue inflammation and function
2021-06
[121]
논문
CCR2 deficiency leads to increased eosinophils, alternative macrophage activation, and type 2 cytokine expression in adipose tissue
2015-10
[122]
논문
Adipose tissue macrophages: going off track during obesity
2016-05
[123]
논문
Adipocyte death defines macrophage localization and function in adipose tissue of obese mice and humans
2005-11
[124]
논문
Diversity of Intestinal Macrophage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2015-12-07
[125]
논문
Human intestinal macrophages display profound inflammatory anergy despite avid phagocytic and bacteriocidal activity
2005-01
[126]
논문
Mucosal macrophages in intestinal homeostasis and inflammation
2011
[127]
논문
Macrophages in intestinal homeostasis and inflammation
2014-07
[128]
논문
Macrophage vesicles starve bacteria of iron
2023-01
[129]
논문
Origin and functions of tissue macrophages
2014-07
[130]
논문
From macrophage biology to macrophage-based cellular immunotherapies
2021-09
[131]
논문
Origin and functions of tissue macrophages
2014-07
[132]
논문
New Insights Into Tissue Macrophages: From Their Origin to the Development of Memory
2015-08
[133]
논문
Physiology and diseases of tissue-resident macrophages
2023-06
[134]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2019-07-30
[135]
웹사이트
食細胞
https://kotobank.jp/[...]
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2010-05
[136]
웹사이트
市民公開講座_20180223 からだをまもる免疫の研究
http://www.tmd.ac.jp[...]
東京医科歯科大学
2020-07-23
[137]
웹사이트
Msdマニュアル家庭版「自然免疫」
https://www.msdmanua[...]
2024-12-12
[138]
서적
標準免疫学
医学書院
2016-02-01
[139]
웹인용
Regenerative Medicine Partnership in Education
http://sepa.duq.edu/[...]
2020-04-23
[140]
논문
M1 and M2 Macrophages: Oracles of Health and Disease
https://www.ncbi.nlm[...]
2012
[141]
서적
Ilya Mechnikov : his life and work
https://www.worldcat[...]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2001
[142]
서적
Principles of Renal Physiology, 5th edition
Springer
[143]
논문
Innate and adaptive immune functions of peyer's patch monocyte-derived cells
201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