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M-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AM-2는 1970년, 일본 항공자위대가 미국 휴즈사의 AIM-4 미사일의 수출을 허가받지 못해 AIM-4D 팰컨을 능가하는 성능을 목표로 개발을 시작한 공대공 미사일이다. AIM-4와 유사한 외형에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했으며, 기술연구본부와 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을 담당했다. 제한적인 전방위 공격 능력, 사거리 증가, 탄두 위력 향상, 근접 신관 장착 등 AIM-4D의 단점을 개선했으며, 실용화 단계까지 진행되었으나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이 AIM-4D 수출을 허가하면서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1975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공대공 미사일 - 04식 공대공유도탄
04식 공대공 유도탄(AAM-5)은 일본에서 개발되어 높은 기동성, 향상된 적외선 방해 대처 및 탐지 능력을 갖춘 공대공 미사일로, 일본 항공자위대의 전투기에 장착되어 운용되며 F-2는 대함 공격에도 활용 가능하다. - 일본의 공대공 미사일 - 69식 공대공유도탄
1960년대 일본에서 개발되어 F-104J 전투기 등에 장착되었던 69식 공대공유도탄은 AIM-9B 사이드와인더와 유사한 성능을 목표로 한 적외선 추적 방식의 공대공 미사일이었으나, 낮은 성능과 신뢰성 문제로 조달이 중단되고 퇴역했다. - 일본의 군사에 관한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은 1875년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 강화도를 침략하여 발생한 무력 충돌로, 조선 개항을 강요하려는 일본의 도발 의혹이 있으며, 강화도 조약 체결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침략 발판을 마련하고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군사에 관한 - 통합막료장
통합막료장은 일본 자위대의 최고 작전 지휘관이자 통합막료감부의 장으로서, 평시에는 방위 정책 수립 및 조정을, 전시에는 자위대 전체를 지휘하며, 향후 통합작전사령부 설립 이후에는 방위상 및 총리 보좌에 집중할 예정이다.
AAM-2 | |
---|---|
AAM-2 | |
![]() | |
유형 | 단거리, 적외선 유도 공대공 미사일 |
제조사 | 미쓰비시 중공업 |
사용 국가 | 일본 |
유도 방식 | 적외선 유도 |
발사 플랫폼 | 항공기: F-4EJ 팬텀 II |
2. 개발 경위
항공자위대는 미국 휴즈 사의 AIM-4 수출 허가를 받지 못해, AIM-4D를 능가하는 AAM을 목표로 1970년에 개발을 시작하였다.[1]
AAM-2는 외형상 AIM-4와 매우 유사하며,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했다. 완성 단계에 도달했으나, 미국이 AIM-4D 수출을 허가하면서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항공자위대는 AIM-4D를 도입했고, 1975년 개발이 중단되었다.[1]
2. 1. 개발 배경
1968년, 일본 항공자위대는 F-4E의 개량형을 차세대 주력 전투기로 선정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 휴즈 사의 AIM-4D 팰컨 미사일 탑재가 선정 이유 중 하나로 꼽혔다.[2] 그러나 AIM-4의 수출 허가가 나지 않자, 1970년부터 AIM-4D를 능가하는 성능을 목표로 XAAM-2 개발이 긴급히 시작되었다.[1]XAAM-2는 방위청 기술연구본부와 미쓰비시 중공업이 F-4EJ용 공대공 미사일로 개발했다.[3][4] 유도 방식은 AIM-4D와 같은 적외선 호밍 방식이었으나, 전자 장치 신뢰성이 개선되어 제한적인 전방위 적외선 호밍이 가능했다. 또한, 고성능 로켓 모터를 사용하여 사거리를 늘리고, AIM-4D보다 탄두 위력을 높였다. 더불어 근접 신관을 장착하여 AIM-4D의 문제점(작은 탄두, 근접 신관 부재)을 해결했다. 외형은 AIM-4와 유사하지만, 모터, 탄두, 유도 시스템은 달랐다.[5]
XAAM-2는 시험에 성공했지만,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산 AIM-4D 재고가 많아 가격 경쟁에서 밀렸다. 결국 일본은 AIM-4D를 수입해 F-4EJ에 장착했고, XAAM-2 개발은 1975년 중단되었다.[1][6]
2. 2. 개발 과정
항공자위대는 미국 휴즈 사의 AIM-4 수출 허가를 받지 못해, AIM-4D를 능가하는 성능을 목표로 1970년 AAM-2 개발을 시작했다.[1]AAM-2는 외형상 AIM-4와 유사하며, AIM-4D처럼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미국이 AIM-4D 수출을 허가하면서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항공자위대는 AIM-4D를 도입하고 1975년 AAM-2 개발을 중단했다.[1]
1968년, 항공자위대는 차기 주력 전투기로 F-4E 개량형을 선정했으며, AIM-4D 팰컨 미사일 탑재 가능성이 중요한 결정 요인 중 하나였다.[2]
1969년 69식 공대공유도탄이 제식화된 후, 1970년부터 F-4 탑재용 공대공 미사일로 XAAM-2 개발이 시작되었다.[1] 기술연구본부와 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을 담당했으며[3][4], AIM-4D를 능가하는 성능을 목표로 했다.[1]
XAAM-2는 AIM-4D와 같은 적외선 호밍 유도 방식을 사용했지만, 제한적인 전방위 공격형 적외선 호밍을 채택하고, 고성능 로켓 모터를 사용하여 운동성과 사거리를 향상시켰다. 또한 AIM-4D보다 탄두 위력을 높이고 근접 신관을 장착하여 AIM-4D의 문제점(작은 탄두, 근접 신관 부재)을 해결했다. 전자 장비 신뢰성도 개선되었다.[5] 외형은 AIM-4와 유사하지만, 성능은 완전히 달랐다.
XAAM-2는 발사 시험을 통해 실용화 단계까지 도달했으나,[1][6] 베트남 전쟁 이후 남은 미국제 AIM-4D보다 가격이 비싸, 일본은 AIM-4D를 수입하여 F-4EJ에 장착했다.[1] 결국 XAAM-2 개발은 1975년 중단되었다.[1]
2. 3. 개발 중단
항공자위대는 미국 휴즈 사의 AIM-4 수출 허가를 받지 못해, 1970년부터 AIM-4D를 능가하는 성능을 목표로 AAM-2 개발을 긴급히 시작했다.AAM-2는 외형상 AIM-4와 매우 유사하며, AIM-4D처럼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했다. 완성 단계에 도달했으나, 미국이 AIM-4D 수출을 허가하면서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항공자위대는 AIM-4D를 도입했고, 1975년 AAM-2 개발은 중단되었다.[1]
3. 기술적 특징
AAM-2는 1970년 방위청 기술연구본부와 미쓰비시 중공업이 F-4EJ용 공대공 미사일로 개발을 시작했으며, AIM-4D의 성능을 능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AIM-4D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호밍 방식을 사용했지만, 전자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하여 제한적인 전방위 적외선 호밍으로 개선되었다. 더 높은 성능의 로켓 모터를 사용하여 사거리를 늘렸고, 탄두 위력은 AIM-4D에 비해 증가했으며, 근접 신관을 장착하여 AIM-4D의 주요 문제점(작은 탄두, 근접 신관 부재)을 해결했다. AAM-2는 외형적으로 AIM-4 모델과 매우 유사하지만, 다른 모터, 탄두 및 유도 시스템을 사용했다.[1]
AAM-2는 시험에는 성공했지만,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산 AIM-4D의 재고가 많아 가격이 더 높았기 때문에 생산되지는 않았다. 일본은 대신 AIM-4D를 수입하여 F-4EJ 항공기에 장착했고, XAAM-2의 개발은 1975년에 중단되었다.
3. 1. 유도 방식
항공자위대는 미국 휴즈 사의 AIM-4 수출 허가를 받지 못해, 1970년에 AIM-4D를 능가하는 AAM을 목표로 개발을 시작했다.[1]AIM-4D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했고, 완성 단계에 도달했다. 그러나 미국이 AIM-4D의 수출을 허가하면서 가격 경쟁에서 밀려 항공자위대는 AIM-4D를 도입했고, 1975년에 개발이 중지되었다.[1]
3. 2. 탄두 및 신관
XAAM-2는 1970년 미쓰비시 중공업과 방위청 기술연구본부가 F-4EJ에 사용될 공대공 미사일로 개발을 시작했으며, AIM-4D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을 목표로 했다.[1]유도 방식은 AIM-4D와 같이 적외선 호밍 방식을 사용했지만, 전자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하여 제한적이나마 전방위 공격이 가능하도록 했다.[1] 또한, 고성능 로켓 모터를 사용해 사거리를 늘리고, AIM-4D의 문제점(작은 탄두, 근접 신관 부재)을 해결하기 위해 근접 신관을 장착하고 탄두 위력을 강화했다.[1] AAM-2는 외형은 AIM-4와 유사하지만, 모터, 탄두, 유도 시스템은 달랐다.[1]
3. 3. 추진 시스템
XAAM-2의 개발은 1970년에 새로 도입된 F-4EJ용 공대공 미사일로 시작되었다. 이는 방위청 기술연구본부와 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했으며, 기존의 AIM-4D의 성능을 능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유도 방식은 AIM-4D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호밍 방식을 사용했지만, 전자 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되어 적기 전면과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는 제한적인 전방위 적외선 호밍으로 개선되었다.[1] 미사일은 더 높은 성능의 로켓 모터를 사용하여 사거리를 늘렸다.[1] 또한 탄두 위력은 AIM-4D에 비해 증가했으며, 근접 신관을 장착하여 작은 탄두와 근접 신관 부재와 같은 AIM-4D의 주요 문제점을 해결했다.[1] 따라서 AAM-2는 외형적으로 AIM-4 모델과 매우 유사하지만, 다른 모터, 탄두 및 유도 시스템을 사용했다.[1]
4. 한국에 대한 시사점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게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간행물
新空対艦誘導弾“ASM-3”
株式会社ジャパン・ミリタリー・レビュー
2013-06
[2]
국회자료
第059回国会 内閣委員会 第8号 昭和四十三年十一月十二日(衆議院)
https://kokkai.ndl.g[...]
[3]
웹사이트
Flight international,9 October 1976,P1150
https://web.archive.[...]
1976-10-09
[4]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wentieth Century Weapons and Warfare
https://web.archive.[...]
Purnell & Sons
1967-1969
[5]
서적
防衛庁技術研究本部二十五年史
防衛庁技術研究本部創立25周年記念行事企画委員会
[6]
서적
三菱重工名古屋航空機製作所二十五年史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