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1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F-15는 1980년대에 개발된 중국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1987년 최종 설계안이 승인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DF-15는 고체 연료를 사용하고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되며, GPS 유도 기능을 갖춘 버전도 있다. DF-15A, DF-15B, DF-15C와 같은 파생형이 있으며, 벙커 버스터 변형인 DF-15C는 주요 군사 시설 파괴를 목표로 설계되었다. 이 미사일은 대만을 비롯한 주변 지역을 사정권에 두고 있으며,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DF-15 | |
---|---|
개요 | |
![]() | |
종류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제원 | |
사거리 | DF-15: DF-15A: DF-15B: DF-15C: |
탄두 | 핵무기 50-350 Kt, 또는 재래식 기동 가능형 재돌입체 |
탄두 위력 | 90kt |
엔진 | 1단 고체 연료 로켓 |
유도 방식 | 항성 관성 유도 (링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포함) + 베이더우 |
길이 | 9.1m |
직경 | 1.0m |
무게 | 6,200kg |
탑재 용량 | 600kg |
정확도 | 100-300m |
발사 플랫폼 | 도로 이동식 TEL |
생산 및 사용 정보 | |
제조사 | Academy of Rocket Motors Technology |
사용 국가 | 중국 |
배치 | 1990년–현재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Dong-Feng-15 |
2. 역사
1970년대 후반, 1단 고체연료 단거리 탄도 미사일인 DF-11이 개발되었다. 1990년대에는 DF-15가 개발되었고, 2014년에는 그 후속형인 DF-16이 실전배치되었다.
DF-15와 DF-16은 GPS 정밀유도 기능이 있어 재래식 탄두만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국방부는 2008년 현재 중국이 DF-15 미사일 315-355발과 발사대 차량 90-110대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한다.[10]
DF-15B는 GPS 유도, 능동 레이다 유도,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장착해 명중률을 더욱 높였다. 사거리는 50–800 km이며, CEP는 5m이다.
1985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87년에 설계가 승인되었으며, 1980-1990년대 경에 고비 사막에서 발사 실험이 이루어졌다. 2009년 미국 국방부의 추측에 따르면, 연간 100발 이상 증가하여 배치 수는 350-400발, 발사 기지 수는 90-110기라고 한다. 그 대부분이 대만을 목표로 하며, 푸젠성 등에 배치되어 있다.[11]
미사일 운반 겸 발사 차량은 TA5450 또는 WS2400의 8륜 구동 차량이다. 유사시에는 기지에서 철도를 이용하여 이동·사격한다. 해당 장비 부대 예하 지원 부대가 연막을 전개하여 정찰 위성 및 정찰기에 의한 피발견을 방지한다.
이 미사일의 전개로부터 발사 가능 시간은 대략 15-30분이라고 한다.
1990년대에 시리아로 수출된 것으로 알려졌다.[12] 1989년 리비아는 시리아의 M-9 미사일 구매 자금을 지원하기로 중국과 합의했으나, 1991년 미국의 압력으로 시리아에 대한 미사일 판매는 취소되었다.[4][5]
한국과 미국은 북한이 최근 무력시위로 발사하는 스커드 미사일의 정확한 모델을 모른다. 그러나 스커드 미사일은 액체연료라서 기습발사능력이 없는데, 최근 북한이 발사하는 SRBM(단거리 탄도 미사일)은 기습발사를 과시하고 있어서 고체연료 스커드일 가능성이 높다. 1990년에 실전배치한 중국의 DF-15가 대표적인 고체연료 스커드 미사일이다. 2014년에 DF-16을 실전배치했는데, 이런 최신형을 북한에 수출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면 DF-15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1970년대 후반에 개발된 DF-11은 매우 구식이라서, 김정은이 크게 과시하기에는 부적합한 모델이다.
북한의 스커드 계열 미사일 발사 (2014년 이후)
날짜 | 내용 |
---|---|
2014년 3월 3일 | 동해상에 스커드 계열 추정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 사거리 500여km 내외 |
2014년 6월 29일 | 원산 부근에서 스커드 계열 추정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 동북동쪽으로 500여 km 비행 후 공해상 낙하. 시진핑 중국 주석 방한 전 무력시위 가능성.[13] |
2014년 7월 13일 | 개성 북쪽 지역에서 스커드 계열 추정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 사거리 500여km 내외 |
2014년 7월 26일 | 장산곶에서 김정은 참석 하에 스커드 계열 추정 단거리 탄도미사일 1발 발사, 500여km 비행 |
2016년 3월 10일 |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기습 발사 |
2016년 7월 19일 | 스커드 계열 탄도미사일 3발 발사 |
2016년 8월 3일 | 황해남도 은율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 발사. 한국의 사드 무력화 과시 및 남남갈등 유발 목적 분석 |
2016년 9월 5일 | 스커드 계열 추정 단거리 탄도미사일 3발 발사. 합참은 노동, 미국 전문가는 스커드-ER로 분석. 한미 정보당국은 정확한 미사일 모델 미확인.[14] (스커드나 노동은 액체연료) |
2016년 9월 9일 | 북한 5차 핵실험 |
3. 파생형
구분 사거리 탄두중량 CEP DF-15 600km 750kg 300 m[2] DF-15A 900km 600kg 30-45 m[2] DF-15B 50km~800km 5-10 m[2] DF-15C 700km 15-20 m[7][8]
DF-15A는 미사일 후미와 재진입체에 제어 핀을 사용하고, GPS 업데이트, 종말 레이더 유도를 사용하는 변형이다.[2] DF-15B는 능동 레이더 탐색기, 레이저 거리 측정기, 기동형 재진입체를 갖춘 추가 업그레이드된 변형이다.[2]
DF-15C는 관통형 탄두를 장착한 벙커 버스터 변형으로, 타이베이의 헝산 군사 지휘 센터나 자이산 공군 기지와 같은 주요 지휘 센터를 파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7][8] 이 미사일의 사거리는 일본의 규슈, 오키나와의 미군 기지 및 인도의 수도인 뉴델리까지 도달한다.[7][8]
4. 제원 (DF-15)
구분 내용 사거리 600km 탄두 1개 탄두 위력 350-500kT 엔진 단단식 고체 연료 로켓 유도 시스템 관성 유도 + GPS CEP 150-500m 전체 길이 9.1m 직경 1.0m 무게 6200kg 탑재량 500kg 제조 로켓 모터 기술 연구원
모든 모델의 최소 사거리는 50km이다.[6]
5. 운용
1985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87년에 설계가 승인되었으며, 1980-1990년대 경 고비 사막에서 발사 실험이 이루어졌다. 2009년 미국 국방부의 추측에 따르면, 연간 100발 이상 증가하여 배치 수는 350-400발, 발사 기지 수는 90-110기라고 한다[10]。 그 대부분이 대만을 목표로 하며, 푸젠성 등에 배치되어 있다[11]。
미사일 운반 겸 발사 차량은 TA5450 또는 WS2400의 8륜 구동 차량이다. 유사시에는 기지에서 철도를 이용하여 이동·사격한다. 해당 장비 부대 예하 지원 부대가 연막을 전개하여 정찰 위성 및 정찰기에 의한 피발견을 방지한다.
이 미사일의 전개로부터 발사 가능 시간은 대략 15-30분이라고 한다.
1990년대에 시리아로 수출된 것으로 알려졌다[12]。
6.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은 DF-15 미사일 1개 여단으로 대한민국을 조준하고 있다. DF-15는 GPS 정밀유도 기능이 있어 재래식 탄두만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국방부는 2008년 현재 중국이 DF-15 미사일 315~355발과 발사대 차량 90~110대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한다. DF-15B는 GPS 유도, 능동 레이다 유도,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장착해 명중률을 더욱 높였다. 사거리는 50~800 km이며, CEP는 5 m이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과 관련하여, 대한민국과 미국은 북한이 발사하는 스커드 미사일의 정확한 모델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고체연료를 사용한 기습발사 능력을 과시함에 따라, 중국의 DF-15 미사일이 북한에 수출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6. 1. 북한
한국과 미국은 북한이 최근 무력시위로 발사하는 스커드 미사일의 정확한 모델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스커드 미사일은 액체연료를 사용하여 기습발사능력이 없는데, 최근 북한이 발사하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은 기습발사를 과시하고 있어, 고체연료 스커드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990년에 실전배치된 중국의 DF-15가 대표적인 고체연료 스커드 미사일이다. 2014년에 DF-16을 실전배치했지만, 이런 최신형을 북한에 수출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어, DF-15일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점쳐지고 있다. 1970년대 후반에 개발된 DF-11은 매우 구식이라서, 김정은이 대대적으로 과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북한은 2014년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스커드 계열로 추정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날짜 | 내용 |
---|---|
2014년 3월 3일 | 동해상으로 2발 발사, 사거리 500여km 내외.[13] |
2014년 6월 29일 | 원산 부근에서 2발 발사, 동북동쪽으로 500여 km 비행 후 공해상 낙하.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방한을 앞두고 무력시위 가능성 제기.[13] |
2014년 7월 13일 | 개성 북쪽지역에서 2발 발사, 사거리 500여km 내외.[13] |
2014년 7월 26일 | 장산곶에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1발 발사, 500여km 비행.[13] |
2016년 3월 10일 | 동해상으로 2발 기습 발사.[14] |
2016년 7월 19일 | 탄도미사일 3발 발사.[14] |
2016년 8월 3일 | 황해남도 은율 일대에서 1발 발사. 한국의 사드 무력화 및 남남갈등 유발 목적의 무력시위로 분석.[14] |
2016년 9월 5일 | 단거리 탄도미사일 3발 발사. 합참은 노동, 미국 전문가는 스커드-ER로 분석. 한미 정보당국은 정확한 미사일 모델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음.[14] |
2016년 9월 9일 | 북한 5차 핵실험[14] |
6. 2. 대한민국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은 DF-15 미사일로 대한민국을 조준하는 1개 미사일 여단을 보유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NEW DONG FENG 15
https://web.archive.[...]
2010-02-05
[2]
웹사이트
DF-15/-15A/-15B (CSS-6/M-9) - Missile ThreatMissile Threat
https://web.archive.[...]
2015-09-10
[3]
간행물
Military Pow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8
http://www.defenseli[...]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4]
보고서
REPORT TO CONGRESS of the. 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
2004
[5]
보고서
Future of United States-China Policy
1993-05-20
[6]
웹사이트
DF-15 (CSS-6 / M-9) – China Nuclear Forces
http://www.globalsec[...]
2005-05-06
[7]
뉴스
Photos published of China's DF-15C bunker buster
http://www.wantchina[...]
Wantchinatimes.com
2014-06-03
[8]
뉴스
China releases first photos of DF-15C ‘bunker buster’, short-range ballistic missile with deep-penetration warhead
http://www.news.com.[...]
News.com.au
2014-06-04
[9]
웹사이트
http://www.softwar.n[...]
[10]
간행물
中国の軍事力2009
http://www.defenseli[...]
[11]
간행물
中国の軍事力2009
http://www.defenseli[...]
[12]
뉴스
HOW CHINA SOLD SYRIA NUKE-CAPABLE MISSILES
https://www.wnd.com/[...]
1998-10-19
[13]
뉴스
북, 동해상에 단거리 미사일 2발 발사
YTN
2014-06-29
[14]
뉴스
北 5일 쏜 미사일 정체는?...합참 "노동" vs. .美전문가 “스커드-ER”
헤럴드경제
2016-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