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1925년 창단된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이다.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6번, 몬테네그로 컵에서 5번 우승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컵 결승에도 두 번 진출했다.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유럽 대회에도 여러 차례 참가했다. 홈 구장은 포드고리차 시립 경기장이며, 라이벌은 FK 수테스카 닉시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포드고리차 시립경기장
 포드고리차 시립경기장은 1945년에 건설되어 1952년에 재건축되었으며,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몬테네그로 국가대표팀 경기가 열리는 11,000명을 수용하는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차의 축구 경기장이다.
- 몬테네그로 축구에 관한 - OFK 티토그라드
 OFK 티토그라드는 1951년 창단되어 FK 믈라도스트에서 OFK 티토그라드로 팀명을 변경한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주로 2, 3부 리그에 속했지만 몬테네그로 독립 후 1부 리그에서 우승 및 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스테반 요베티치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 몬테네그로 축구에 관한 - 몬테네그로 1부 리그
 몬테네그로 1부 리그는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후 출범한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0개 팀이 우승을 놓고 경쟁하며 유럽 클럽 대항전에도 참가한다.
- 몬테네그로 1부 리그 구단 - OFK 티토그라드
 OFK 티토그라드는 1951년 창단되어 FK 믈라도스트에서 OFK 티토그라드로 팀명을 변경한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주로 2, 3부 리그에 속했지만 몬테네그로 독립 후 1부 리그에서 우승 및 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스테반 요베티치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 몬테네그로 1부 리그 구단 - FK 데치치
 FK 데치치는 1926년에 창단된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으로, 2023-24 시즌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에도 참가했다.
|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풀 네임 | 푸드발스키 클럽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 짧은 이름 | BUD | 
| 별칭 | Plavo-bijeli (푸른-흰색) Varvari (야만인) | 
| 창단 | 1925년 6월 12일 | 
| 구장 | 포드고리차 시립경기장 | 
| 수용 인원 | 11,500명 | 
| 회장 | 베셀린 미야치 | 
| 감독 | 이반 브르노비치 | 
| 리그 | 몬테네그로 1부 리그 | 
| 웹사이트 |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공식 웹사이트 | 
| 유니폼 정보 |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pattern_b1: _adidasstriped21bbw pattern_ra1: pattern_sh1: _adidaswhite pattern_so1: _color_3_stripes_white leftarm1: 0000FF body1: FFFFFF rightarm1: 0000FF shorts1: 0000FF socks1: 0000FF |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pattern_b2: _buducnost2425a pattern_ra2: pattern_sh2: pattern_so2: _color_3_stripes_blue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 활성 스포츠 클럽 (SD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소속) | |
2. 역사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1925년에 창단된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이다. 1946년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 참가한 유일한 몬테네그로 클럽이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절인 1965년과 1977년 유고슬라비아 컵 결승에 진출했다. 1981년과 1985년 인터토토컵에 참가했고, 1990-91 시즌 발칸컵 결승에서 준우승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리그를 거쳐,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후에는 몬테네그로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등 유명 선수들이 이 클럽을 거쳐 갔다.
2. 1. 1925-1941: 창단 초기와 몬테네그로 선수권 대회
1925년 6월, '노동자 스포츠 클럽 조라'(RSK Zora)가 창단되었다. 2년 후, 클럽은 RSK 부두치노스트로 이름을 변경했다.[2] 1925년부터 1928년까지 RSK Zora / RSK 부두치노스트의 첫 번째 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 명단 | 
|---|
[2]
초대 감독은 슬로베니아 출신으로 포드고리차에서 전기 기술자로 일했던 Karlo Vugrinec였다.[2]
FK 부두치노스트의 첫 경기는 1925년 지역 라이벌 GSK 발시치와의 친선 경기였으며, 2-1로 승리했다.[3]
1920년대 후반, RSK 부두치노스트는 몬테네그로 축구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했다. 1927 시즌 '조라'라는 이름으로 데뷔했으나, GSK 발시치와의 첫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했다.[4] 다음 시즌, 부두치노스트는 GSK 발시치를 2-1로 꺾고 공식 대회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 로브첸과의 준결승에서 2-3으로 패배했다.[5]
이후 2년 동안 부두치노스트는 몬테네그로 선수권 초반에 탈락했다. 1931년 봄, 역사상 두 번째로 준결승에 진출하여 GSK 발시치(4-1)와 베라네(3-0)를 꺾었으나, 오빌리치 닉시치에 3-5로 패배했다.
1931년 가을, 부두치노스트는 처음으로 몬테네그로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에 진출했지만, SK 크르노고라츠 체티네에 1-2로 패배했다. 그 전에는 GSK 발시치(6-2)와 고르스타크 콜라신(3-1)을 꺾었다.
1932년, 부두치노스트는 첫 국제 경기를 치렀다. 슈코더르에서 열린 KS 블라즈니아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1932년 가을, 부두치노스트는 처음으로 몬테네그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결승전에서 FK 로브첸을 6-3으로 꺾었다.[6] 같은 시즌, FK 수체스카와의 첫 공식 경기(2-1 승리)를 치렀으며,[6] 이는 몬테네그로 더비의 시작이었다. 1933년 봄, 부두치노스트는 다시 한번 결승전에서 FK 로브첸을 꺾고(2-0, 2-2) 타이틀을 방어했다.[7] 1934년에도 FK 로브첸을 꺾고(2-0, 1-1) 세 번째 몬테네그로 선수권을 획득했다.[8] 1935년 결승전에서는 FK 로브첸에 1-2로 패배했다.
1937년 초, 노동자 사상을 지지하던 FK 부두치노스트는 FK 로브첸과 함께 당시 정권에 의해 해체되었다. 이후 몇 년 동안 'RSK 크르나 고라'라는 임시 이름으로 FK 로브첸, FK 벨레즈 등과 불법 친선 경기를 가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클럽의 모든 스포츠 활동은 중단되었다. 모든 선수들은 '파르티잔 운동'에 참여했고, 19명이 전투 중 사망했다. 포드고리차 시립 경기장(서쪽 스탠드) 외부에 이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
2. 2. 1945-1975: 유고슬라비아 리그 참가와 컵 대회 준우승
1946년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 참가한 유일한 몬테네그로 클럽팀인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절인 1965년 유고슬라비아 컵 결승전에 진출하는 성과를 올렸다.1945년 5월 1일, 체티네에서 FK 로브첸과의 경기(4-2 승)를 통해 ''FK 부두치노스트''라는 이름으로 재창단되었다.[9] 1946년 1월에는 KF 티라나와의 경기에서 6-1로 승리하며 전쟁 후 첫 국제 친선 경기를 성공적으로 치렀다. 얼마 지나지 않아 1946 시즌 몬테네그린 공화국 리그에서 우승하며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1946-47)에 진출했다. 이 리그에서 부두치노스트는 아스널을 8-0으로 꺾는 등 6경기 무패를 기록하며 팀 역사상 가장 큰 공식 승리 중 하나를 기록했다.
1946–47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첫 경기에서 FK 부두치노스트는 1946년 8월 25일 디나모 자그레브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9] 1947년 3월 16일에는 NK 나프타를 9-0으로 대파하며 1부 리그에서 가장 큰 홈 승리를 기록했다.
1953 시즌에는 이스크라를 상대로 원정 경기에서 13-1로 승리하며 공식 경기 역사상 가장 큰 승리를 거두었다. 1955년부터 1960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활약하며 1956-57과 1958-59 시즌에 9위를 차지했다.[10]
1964–65 유고슬라비아 컵에서는 결승전에 진출하여 디나모 자그레브에 1-2로 패배했지만, 컵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결승전에서 부두치노스트의 유일한 골은 35분에 프라노비치가 기록했다.
1969년부터 1974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에서 3번의 우승과 2번의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번번이 패하며 1부 리그 승격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1974-75 시즌에 2부 리그에서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하며 12년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했다.
2. 3. 1975-1992: "황금기"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잔류
FK 부두치노스트는 1975-76 시즌에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로 복귀하여 강등을 면하고, 여러 관중 기록을 세웠다. 특히 하이두크 스플리트와의 경기에는 20,000명의 관중이 모여 포드고리차 시립 경기장 역사상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1975-76 시즌 포드고리차 평균 관중 수는 12,765명으로 또 다른 역대 기록이다.[11]1976-77 시즌에는 유고슬라비아 컵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하이두크 스플리트에 연장전 끝에 0-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당시 부두치노스트의 감독은 마르코 발로크였다. 유고슬라비아 컵 결승전에 두 번(1965, 1977) 진출한 것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절 FK 부두치노스트의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받는다.[11]
1977년 봄에는 발칸 컵에 참가하여 파나티나이코스(그리스)와 블라즈니아(알바니아)와 같은 조에서 2위를 기록했다.
1978-79 시즌과 1980-81 시즌에는 리그 6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78-79 시즌에는 유고슬라비아 축구 "빅 4" (하이두크,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GNK 디나모, FK 파르티잔) 중 어느 팀도 포드고리차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1981년에는 인터토토컵에 진출하여 4조에서 오덴세(덴마크), 외스터스(스웨덴), 바커 인스브루크(오스트리아)를 상대로 좋은 성적을 거두며 9개의 조 우승팀 중 하나가 되었다.[12]
1980년대에는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다. 특히 사비체비치는 1983년부터 1988년까지 부두치노스트에서 뛰며 130경기 36골을 기록했고, 이후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두 번 우승했다.[13] 미야토비치 역시 부두치노스트에서 데뷔하여 73경기 10골을 기록하고, 나중에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득점을 기록했다.[15]
이 외에도 브랑코 브르노비치, 젤리코 페트로비치, 니사 사벨리치, 드라골류브 브르노비치, 드라고예 레코비치 등 많은 선수들이 부두치노스트를 거쳐 SFR 유고슬라비아와 FR 유고슬라비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1986-87 시즌에는 리그 7위를 기록하며, 4위인 리예카와 단 1점 차이로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권을 아쉽게 놓치기도 했다.
1987년에는 ''바르바리''(야만인)라는 조직화된 울트라스 그룹이 창설되어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강력한 서포터 그룹으로 성장했다.
1989년 5월 28일에는 포드고리차 시립 경기장에서 라드를 상대로 (3-0) 첫 야간 경기를 치렀다.
1991년에는 발칸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인터 시비우(루마니아)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16]
FK 부두치노스트는 1946년부터 1992년까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26시즌''을 뛰었으며, 789경기에서 261승 188무를 기록하며 유고슬라비아 축구 선수권 대회 역대 순위에서 상위 14위 안에 들었다.
2. 4. 1992-2006: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리그와 인터토토컵
1925년에 설립된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붕괴된 후, 세르비아와 함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잔류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1부 리그에 소속되었다. 90년대 말까지 1부 리그는 두 개의 그룹('A'와 'B')으로 나뉘었고, FK 부두치노스트는 대부분 상위 그룹에서 활약했다.1994-95 시즌, FK 부두치노스트는 1부 'B' 리그에서 우승하며 국제 대회 진출 자격을 얻었다. UEFA 대회 플레이오프에서 보이보디나에 패배한 후, 1995 UEFA 인터토토컵에 참가하여 7조에서 4위를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테르비스 패르누를 상대로 원정 승리(3-1)를 거두었지만, 바이어 레버쿠젠에게 패했다. 또한, 홈 경기장 문제로 네아 살라미스(1-1), OFI 크레테(3-4)와의 홈 경기를 베오그라드에서 치렀다.[1]
2000년대 초, FK 부두치노스트는 부진한 성적으로 2000-01 시즌 이후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26시즌 연속 최상위 리그에 머물렀던 기록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이후 두 시즌 동안 1부 리그 승격에 실패했지만, 2003-04 시즌에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을 재정비하여 2부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했다.[1]
2004-05 시즌, FK 부두치노스트는 18년 만에 크르베나 즈베즈다를 원정에서 2-1로 꺾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며 리그 6위를 기록, UEFA 인터토토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2005 UEFA 인터토토컵에서 발레타를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으나, 데포르티보 라코루냐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특히,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10,000명의 팬들 앞에서 2-0으로 앞서나가는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다.[1]
2. 5. 2006-현재: 몬테네그로 리그 최강자로 군림
개막 시즌에서 FK 제타와 우승 경쟁을 벌였으나, 치열한 경쟁 끝에 아쉽게도 상대팀에게 우승을 내주었다. 부두치노스트와 제타의 포드고리차 스프링 경기는 10,000명의 관중이 운집했는데, 이는 Prva CFL 역사상 최다 관중 기록이었다.[17]2007–08 시즌에는 UEFA 컵에서 하이두크 스플리트와 경기를 치렀다. 포드고리차에서 10,000명의 관중 앞에서 열린 첫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지만, 크로아티아 팀이 두 번째 경기에서 승리(1-0)하며 탈락했다.[17]
2007-08 시즌, 부두치노스트는 클럽 역사상 첫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FK 제타, FK 모그렌과 승점이 같았지만, 상대 전적에서 앞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 시즌 동안 21경기 무패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같은 시즌 2007–08 몬테네그로 컵 결승전에도 진출했지만, FK 모그렌과의 승부차기 끝에 패배(1–1, 5–6)하며 아쉽게 '더블' 달성에는 실패했다.[17] 몬테네그로 챔피언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처음 참가했지만, 탐페레 유나이티드에게 패배(1–1; 1–2)하며 탈락했다.[17]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매 시즌 리그 준우승에 머물렀고, 2009–10 시즌 컵 결승전에서도 FK 루다르에게 패배(1–2)하며 우승컵을 놓쳤다.[17] 이 기간 동안 UEFA 유로파 리그에 세 시즌 더 참가했고, 2010–11 시즌에는 3차 예선까지 진출했지만 브뢴비에게 패배(1–2; 0–1)했다.[17]
2011–12 시즌에는 두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FK 루다르와 치열한 경쟁 끝에 승점 3점 차로 우승했다. 33경기에서 80점, 82골, 25승을 기록하며 리그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17] 2012–13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에 근접했지만, Śląsk Wrocław 원정 경기에서 승리(0–2; 1–0)했음에도 불구하고 탈락했다.[17]
1년 후, 2012–13 몬테네그로 컵 결승전에서 FK 체리크를 1-0으로 꺾고 역사상 첫 번째 컵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다섯 번의 결승 진출 끝에 얻은 첫 우승이었다.[17] 컵 우승팀 자격으로 2014–15 UEFA 유로파 리그에 참가하여 1차 예선에서 폴고레를 꺾었지만(3–0; 2–1), 오모니아에게 패배(0–2; 0–0)하며 탈락했다.[17]
다음 세 시즌 동안은 우승 경쟁에서 멀어졌지만, 2016–17 UEFA 유로파 리그에서 라보트니키를 꺾고(1–0; 1–1) 다음 라운드에서 헹크를 상대로 선전하며(2-0 승리 후 승부차기 패)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7] 2016–17 시즌에는 FK 제타, OFK 티토그라드와의 치열한 경쟁 끝에 세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세 팀 모두 승점 57점을 기록했지만, 상대 전적에서 앞서 우승을 차지했다.[17]
2017–18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파르티잔에게 패배(0–0; 0–2)하며 탈락했다.[17] 2018–19 몬테네그로 컵 결승전에서 FK 로브첸을 4-0으로 꺾고 두 번째 컵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에서 미하일로 페로비치는 컵 결승전 최초로 세 골을 기록했다.[17]
2019-20 유로파 리그에서는 나르바 트랜스를 꺾었지만(4–1; 2–0), 조리야 루한스크에게 패배(1–3; 0–1)하며 탈락했다.[17] 2019–20 시즌에는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네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시즌 종료 6주 전에 우승을 확정지었지만, 선수단 내 COVID-19 감염으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기도 했다.[17]
믈라덴 밀린코비치 감독과 함께한 2020-21 시즌은 여러 면에서 역사적인 해였다. 2020–21 UEFA 유로파 리그에서 FC 아스타나를 상대로 원정 승리(1–0)를 거두었지만 FK 사라예보에게 패배(1–2)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2020–21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85점, 27승, 23경기 무패 행진 등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고, 2020–21 몬테네그로 컵에서도 데치치를 3-1로 꺾고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최초로 '더블'을 달성했다.[17] 또한, 2011-12 시즌에 기록했던 10경기 연속 우승 기록도 경신했다.
3. 경기장
FK 부두치노스트는 포드고리차에 있는 포드고리차 시립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포드고리차 시립 경기장은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큰 축구 경기장이자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기도 하다. 경기장의 원래 수용 인원은 약 12,000명이었으나, 북쪽과 남쪽 스탠드를 추가하여 15,230명으로 확장되었다. 동쪽 스탠드가 곧 건설될 예정이며, 이로 인해 경기장 수용 인원은 20,000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경기장의 크기는 105m x 70m이다. 경기장은 경기장과 관람석 사이의 좁은 거리로 잘 알려져 있다. 경기장은 2014년에 완전히 개조되었으며, 오늘날 발칸 반도에서 가장 훌륭한 축구 경기장 중 하나이다.
조명 시설은 1989년에 설치되었으며, 최초의 야간 경기는 부두치노스트 – 라드 (1부 리그, 1989년 5월 28일)였다. 20년 후, 새로운 1900럭스 조명 시설이 설치되었다.[29]
4. 서포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의 서포터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는 없다. 다만, 최대 홈 관중 기록을 통해 서포터 규모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최대 홈 관중:''' 20,000명, 부두치노스트 – 하이두크 스플리트 (1975년 8월 27일,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18]
1975년 8월 27일,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하이두크 스플리트와의 홈 경기에 2만 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이는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서포터의 규모와 열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이다.
5. 라이벌
FK 부두치노스트는 유럽 축구 대회에서 가장 많은 시즌과 경기를 치른 몬테네그로 클럽이다. UEFA 대회 참가 외에도 발칸스컵에 두 번 참가했다.
6. 역대 성적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 독립 이전 유고슬라비아 시절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선수권 대회 (1922-1940)'''
- '''몬테네그로 선수권 대회 (1922-1940)'''
- '''우승 (4):''' 1932, 1933년 봄, 1933년 가을, 1934
- '''준우승 (2):''' 1931, 1935
'''국제 대회'''
- '''발칸 컵:'''
- '''준우승 (1):''' 1990-91
'''몬테네그로 독립 이후'''
|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컵 대회 | 
|---|---|---|---|---|---|---|---|---|---|---|
| 2006-07 | 1부 리그 | 2위 | 33 | 22 | 10 | 1 | 58 | 12 | 76 | 2회전 탈락 | 
| 2007-08 | 1부 리그 | 1위 | 33 | 18 | 12 | 3 | 43 | 13 | 66 | 준우승 | 
| 2008-09 | 1부 리그 | 2위 | 33 | 21 | 7 | 5 | 72 | 34 | 70 | 준결승 탈락 | 
| 2009-10 | 1부 리그 | 2위 | 33 | 21 | 6 | 6 | 67 | 35 | 69 | 준우승 | 
| 2010-11 | 1부 리그 | 2위 | 33 | 22 | 7 | 4 | 58 | 29 | 73 | 8강 탈락 | 
| 2011-12 | 1부 리그 | 1위 | 33 | 25 | 5 | 3 | 82 | 27 | 80 | 2회전 탈락 | 
| 2012-13 | 1부 리그 | 2위 | 33 | 17 | 9 | 7 | 57 | 38 | 60 | 우승 | 
| 2013-14 | 1부 리그 | 4위 | 33 | 16 | 6 | 11 | 36 | 26 | 54 | 2회전 탈락 | 
| 2014-15 | 1부 리그 | 3위 | 33 | 18 | 9 | 6 | 46 | 20 | 63 | 준결승 탈락 | 
| 2015-16 | 1부 리그 | 2위 | 33 | 19 | 6 | 8 | 48 | 21 | 63 | 준우승 | 
| 2016-17 | 1부 리그 | 1위 | 33 | 17 | 6 | 10 | 52 | 28 | 57 | 8강 탈락 | 
| 2017-18 | 1부 리그 | 2위 | 36 | 14 | 15 | 7 | 44 | 30 | 57 | 준결승 탈락 | 
| 2018-19 | 1부 리그 | 2위 | 36 | 17 | 14 | 5 | 56 | 25 | 65 | 우승 | 
| 2019-20 | 1부 리그 | 1위 | 31 | 23 | 4 | 4 | 63 | 26 | 73 | 중단 | 
| 2020-21 | 1부 리그 | 1위 | 36 | 27 | 4 | 5 | 65 | 29 | 85 | 우승 | 
| 2021-22 | 1부 리그 | 2위 | 36 | 20 | 7 | 9 | 78 | 45 | 67 | 우승 | 
| 2022-23 | 1부 리그 | 1위 | 36 | 20 | 10 | 6 | 61 | 37 | 70 | 1회전 탈락 | 
6. 1. 국내 대회
|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 몬테네그로 1부 리그 | 6 | 2007-08, 2011-12, 2016-17, 2019-20, 2020-21, 2022-23 | 
| 몬테네그로컵 | 4 | 2012-13, 2018-19, 2020-21, 2021-22 | 
| 유고슬라비아 컵 | 2 | 1965, 1977 (준우승) | 
|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 | 1 | 1994-95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부 리그 | 1 | 2002-03 | 
6. 2. 국제 대회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1981년 인테르토토컵에 참가하여 유럽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고, 조 1위로 대회를 마쳤다. 이후 수십 년 동안 부두치노스트는 같은 대회에 두 번 더 참가했으며, 2006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었다.몬테네그로 독립 이후, 부두치노스트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3시즌 출전하는 등 UEFA 클럽 대항전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2016-17 UEFA 유로파 리그에서는 라보트니치키를 꺾은 후, KRC 겡크를 상대로 1차전 원정에서 0:2로 패배, 홈에서 2:0으로 승리하여 승부차기까지 갔으나 아쉽게 패배하며 탈락했다.
| 대회 | 시즌 | 첫 출전 | 최근 출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 UEFA 챔피언스 리그 | 4 | 2008-09 | 2020-21 | 7 | 1 | 2 | 4 | 4 | 10 | –6 | 
| UEFA 유로파 리그 | 10 | 2007-08 | 2020-21 | 28 | 10 | 5 | 13 | 30 | 32 | –2 | 
| 인테르토토컵 | 3 | 1981-82 | 2005-06 | 14 | 6 | 4 | 4 | 28 | 22 | 4 |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 | 2021-22 | 2021-22 | 2 | 0 | 0 | 2 | 0 | 6 | –6 | 
| 합계 | 17 시즌 | 51 | 17 | 11 | 23 | 62 | 66 | –4 | ||
7. 선수 명단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역사적으로 많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특히 포드고리차 출신의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브란코 브르노비치, 젤코 페트로비치, 니샤 사벨리치, 드라골류브 브르노비치 등이 이 팀을 거쳐갔다.
클럽 역사상 최다 출전 기록은 이브라힘 메타조비치와 슬라브코 블라호비치가 가지고 있으며, 1부 리그 최다 득점자는 모야시 라도니치이다.
FK 부두치노스트 출신으로 각국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국기 | 선수 | 
|---|---|
| 조란 바트로비치 | |
| 보진 보조비치 | |
| 니콜라 요바노비치 | |
| 지반 류코프찬 | |
| 안테 미로체비치 | |
| 밀루틴 파예비치 | |
| 사샤 페트로비치 | |
| 라자르 라도비치 | |
| 니콜라 라도비치 | |
| 브란코 라쇼비치 | |
| 드라간 시메우노비치 | |
| 류비샤 스파이치 | |
| 밀얀 제코비치 | |
| 브란코 브르노비치 | |
| 드라골류브 브르노비치 | |
| 드라고예 레코비치 | |
| 젤코 페트로비치 | |
| 데얀 사비체비치 | |
| 조란 바노비치 | |
| 네나드 브르노비치 | |
| 다미르 차카르 | |
| 안토 드로브냑 | |
|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 |
| 니샤 사벨리치 | |
| 고란 트로복 | |
| 이고르 부르자노비치 | |
| 데얀 오그냐노비치 | |
| 파토스 베치라이 | |
| 스르잔 블라지치 | |
| 드라슈코 보조비치 | |
| 믈라덴 보조비치 | |
| 드리톤 차마이 | |
| 조르지에 체트코비치 | |
| 마르코 체트코비치 | |
| 이반 델리치 | |
| 라도미르 쟈로비치 | |
| 블라조 이구마노비치 | |
| 바스코 칼레지치 | |
| 다미르 코야셰비치 | |
| 밀로시 크르코티치 | |
| 리스토 라키치 | |
| 밀란 미야토비치 | |
| 스테판 밀로셰비치 | |
| 스테판 무고샤 | |
| 네마냐 미유슈코비치 | |
| 다르코 니카치 | |
| 니콜라 니케지치 | |
| 밀란 푸로비치 | |
| 스르잔 라도니치 | |
| 리스토 라두노비치 | |
| 모치로 라스포포비치 | |
| 미르코 라이체비치 | |
| 마르코 시미치 | |
| 얀코 시모비치 | |
| 고란 부요비치 | |
| 안드리야 부크체비치 | |
| 마르코 부크체비치 | |
| 도데 타히리 | |
| 자미르 슈푸자 | |
| 미하일 마르켈 | |
| 미스동가르데 베톨냐르 | |
| 빅토르 트레네브스키 | 
7. 1. 현역 선수 (2024년 9월 8일 기준)
| 포지션 | 선수 | 
|---|---|
| GK | Милан Мијатовић|밀란 미야토비치sr | 
| DF | Драган Гривић|드라간 그리비치sr | 
| DF | Илья Сериков|일리야 세리코프ru | 
| MF | Игор Ивановић|이고르 이바노비치sr | 
| MF | Лука Мирковић|루카 미르코비치sr | 
| FW | Андрија Павловић|안드리야 파블로비치sr | 
| MF | Милан Вукотић|밀란 부코티치sr | 
| FW | 이반 불라토비치 | 
| MF | Oliver Šarkić|올리버 사르키치영어 | 
| MF | Милош Брновић|밀로시 브르노비치sr | 
| DF | 오그넨 가셰비치 | 
| FW | Петар Грбић|페타르 그르비치sr | 
| DF | Драган Трнинић|드라간 트르니니치sr | 
| GK | 필리프 도마제토비치 | 
| MF | 라자르 사보비치 | 
| FW | 안드레이 코스티치 | 
| MF | 안드레이 카마이 | 
| DF | 보딘 토마셰비치 | 
| MF | 안드리야 불라토비치 | 
| GK | 류보미르 듀로비치 | 
| DF | Владан Аџић|블라단 아지치sr | 
| MF | 스테판 듀카노비치 | 
| DF | 페타르 부코비치 | 
| DF | Аднан Ораховац|아드난 오라호바치sr | 
| FW | 이반 보요비치 | 
| FW | 라자르 미요비치 | 
| MF | 루카 브라요비치 | 
7. 2. 역대 주요 선수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에는 역사상 많은 유명 선수들이 선수 경력을 시작하거나 이 팀에서 뛰었다. 특히 포드고리차 출신의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브란코 브르노비치, 젤코 페트로비치, 니샤 사벨리치, 드라골류브 브르노비치가 유명하다.FK 부두치노스트에서 가장 많은 경기를 뛴 선수는 이브라힘 메타조비치와 슬라브코 블라호비치이다. 1부 리그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는 모야시 라도니치이다.
다음은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FK 부두치노스트 출신 선수 목록이다.
| 국기 | 선수 | 
|---|---|
| 조란 바트로비치 | |
| 보진 보조비치 | |
| 니콜라 요바노비치 | |
| 지반 류코프찬 | |
| 안테 미로체비치 | |
| 밀루틴 파예비치 | |
| 사샤 페트로비치 | |
| 라자르 라도비치 | |
| 니콜라 라도비치 | |
| 브란코 라쇼비치 | |
| 드라간 시메우노비치 | |
| 류비샤 스파이치 | |
| 밀얀 제코비치 | |
| 브란코 브르노비치 | |
| 드라골류브 브르노비치 | |
| 드라고예 레코비치 | |
| 젤코 페트로비치 | |
| 데얀 사비체비치 | |
| 조란 바노비치 | |
| 네나드 브르노비치 | |
| 다미르 차카르 | |
| 안토 드로브냑 | |
|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 |
| 니샤 사벨리치 | |
| 고란 트로복 | |
| 이고르 부르자노비치 | |
| 데얀 오그냐노비치 | |
| 파토스 베치라이 | |
| 스르잔 블라지치 | |
| 드라슈코 보조비치 | |
| 믈라덴 보조비치 | |
| 드리톤 차마이 | |
| 조르지에 체트코비치 | |
| 마르코 체트코비치 | |
| 이반 델리치 | |
| 라도미르 쟈로비치 | |
| 블라조 이구마노비치 | |
| 바스코 칼레지치 | |
| 다미르 코야셰비치 | |
| 밀로시 크르코티치 | |
| 리스토 라키치 | |
| 밀란 미야토비치 | |
| 스테판 밀로셰비치 | |
| 스테판 무고샤 | |
| 네마냐 미유슈코비치 | |
| 다르코 니카치 | |
| 니콜라 니케지치 | |
| 밀란 푸로비치 | |
| 스르잔 라도니치 | |
| 리스토 라두노비치 | |
| 모치로 라스포포비치 | |
| 미르코 라이체비치 | |
| 마르코 시미치 | |
| 얀코 시모비치 | |
| 고란 부요비치 | |
| 안드리야 부크체비치 | |
| 마르코 부크체비치 | |
| 도데 타히리 | |
| 자미르 슈푸자 | |
| 미하일 마르켈 | |
| 미스동가르데 베톨냐르 | |
| 빅토르 트레네브스키 | 
8. 역대 감독
| 감독 | 임기 | 
|---|---|
| {{lang|sr|카를로 부그리넥|}} || 1925–1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