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고리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여러 강과 교차로에 위치해 있다. 기원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도시 '도클레아'가 존재했다. 중세 시대에는 '리브니차'로 불렸고, 1326년부터 '포드고리차'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1946년부터 1992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를 기려 '티토그라드'로 불리다가,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몬테네그로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며, 다양한 종교와 민족이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드고리차 - 몬테네그로 증권거래소
몬테네그로 증권거래소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몬테네그로 경제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설립되어 단기 증권 거래에서 장기 부채 및 주식 증권 거래로 발전했으며, 2011년 신증권거래소와의 합병을 통해 단일 거래소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포드고리차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리브니차, 티토그라드 |
표어 | 없음 |
위치 | 몬테네그로 중앙 지역 |
지리 좌표 | 42°26′23″N 19°15′58″E |
행정 구역 | |
국가 | 몬테네그로 |
지역 | 중앙 |
지방 자치체 | 포드고리차 수도시 |
정부 | |
정부 형태 | 시장-의회 |
시장 | 올리베라 인야츠 |
시 의회 | 시 의회 |
시장 소속 정당 | PES! |
면적 | |
도시 | 108km² |
수도권 | 1441km² |
고도 | |
해발 고도 | 40m |
인구 | |
2023년 | 180,086명(도시) |
2023년 (외곽 지역) | 13,803명 |
2023년 (수도권) | 186,827명 |
인구 순위 | 몬테네그로 내 1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거주민 명칭 | 포드고리차인 |
역사 | |
설립 | 기원후 426년 (로마 제국에 의해 비르지미니움으로 설립)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ET (UTC+01:00) |
우편 번호 | 81 000 – 81 124 |
지역 번호 | +382 20 |
차량 번호판 | PG |
기후 | Csa, Cfa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포드고리차는 1326년부터 사용된 이름으로, '언덕 아래'라는 뜻이다. 이는 도시 중심부를 내려다보는 고리차(Gorica) 언덕에서 유래했으며, 고리차는 '작은 언덕'을 의미한다.[3] 11세기 이전에는 비르지미니움(Birziminium), 중세 시대에는 리브니차(Ribnica)로 알려졌다.[3] 1946년부터 1992년까지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를 기리기 위해 '''티토그라드'''(Titograd)로 불렸다가, 1992년에 다시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3]
2. 1. 고대


포드고리차는 제타강, 모라차강, 치예브나강, 리브니차강, 시트니차, 마레자강 등 여러 강 근처와 스카다르호 계곡, 아드리아해 인근의 비옥한 저지대에 위치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여러 경로의 교차로 역할을 했다. 가장 초기의 인간 정착은 선사 시대에 이루어졌으며, 가장 오래된 유물은 후기 석기 시대의 것이다.
철기 시대에는 제타 평원과 벨로파블리치 평원 사이에 라베아테스족과 도클레아테스족 등 두 일리리아 부족이 거주했다. 도클레아 마을의 인구는 8,000~10,000명으로 추정되며, 도시의 모든 핵심적인 문제는 자체적으로 해결되었다. 높은 인구 밀도(반경 약 10km 지역)는 지리적 위치, 유리한 기후와 경제적 조건, 그리고 당시 중요했던 방어적 위치 덕분에 가능했다.
2. 2. 중세
네마니치 왕조 시기에 리브니차(Рибница)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 리브니차는 서방과의 통상 교차점으로서 중요했다. 이 지역은 슬라브족이 점령했으며,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여 자체적인 문화 예술을 발전시키고 중세 기독교와 봉건 계급을 받아들였다. 포드고리차라는 이름은 1326년 코토르 문서 보관소의 궁정 문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두브로브니크와 네마니치 왕국 간의 교역로로서 경제가 강했고, 당시 잘 닦인 가도는 포드고리차를 거쳐 트레비네와 니크시치로 이어졌다. 포드고리차는 번화한 교차로로서 지역 통상과 교통의 중심지이자 경제적, 군사적으로 전략적인 장소로 발전했다.2. 3. 오스만 제국 통치
오스만 제국은 1474년에 포드고리차를 점령했다. 포드고리차는 스쿠타리 산자크의 카다가 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알바니아 파샤가 이끌었다).[7] 1479년, 오스만 제국은 포드고리차에 대규모 요새를 건설했으며, 발달된 상업적 연결을 가진 기존 정착지는 이 지역의 주요 오스만 방어 및 공격 거점이 되었다.[7] 1474년 초, 오스만 술탄은 포드고리차와 발레치를 재건하고 5,000명의 무슬림 가족 (대부분 알바니아 또는 슬라브 출신)을 정착시켜[7], 제타 공국과 베네토 알바니아 사이의 협력을 막으려 했다.[8]
포드고리차는 1484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다시 함락되었고, 도시의 특징이 광범위하게 바뀌었다. 오스만 제국은 탑, 문, 방어 둑을 건설하여 도시를 요새화했으며, 이는 포드고리차에게 오스만 군사 도시의 모습을 부여했다.
오늘날 몬테네그로와 포드고리차의 대부분은 1760년에서 1831년 사이에 알바니아 부샤티 가문의 통치를 받았으며, 이들은 오스만 술탄의 제국 권위로부터 독립적으로 통치했다.
1864년, 포드고리차는 스쿠타리 빌라예트의 "카자"가 되었으며, 뵈으르트렌 ("블랙베리", 부르구리체라고도 알려짐)으로 불렸다.

1874년 10월 7일, 유소 무친 크르니치라는 지역 주민의 살해에 대한 격렬한 반발로[9], 오스만 군대는 포드고리차에서 최소 15명을 살해했다.[10] 이 학살은 몬테네그로 외부에도 널리 보도되었으며 궁극적으로 몬테네그로-오스만 전쟁으로 이어지는 데 기여했다.
1878년 몬테네그로-오스만 전쟁의 종결로 베를린 회의에서 포드고리차를 포함한 광대한 영토가 새롭게 인정된 몬테네그로 공국의 일부로 인정되었다. 당시 포드고리차에는 약 1,500채의 집이 있었고, 정교회, 로마 가톨릭, 이슬람교 신자들이 함께 번성하며 8,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2. 4. 몬테네그로 공국과 왕국

1878년 베를린 회의 이후, 포드고리차는 4세기 동안의 오스만 제국 통치가 끝나고 몬테네그로 공국에 합병되면서 포드고리차와 몬테네그로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 1902년 인접한 모든 마을로 도로가 건설되면서 자본 집중의 초기 형태가 나타났으며, 담배는 포드고리차의 첫 번째 주요 상업 제품이 되었다. 1904년, 제츠카라는 이름의 저축 은행이 최초의 중요한 금융 기관으로 설립되었으며, 이는 곧 포드고리츠카 은행으로 성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당시 새롭게 선포된 몬테네그로 왕국에서 가장 큰 도시였던 포드고리차의 역동적인 발전을 멈추게 했다. 1914년 8월 10일, 오스트리아-헝가리 공군의 공중 폭격으로 포드고리차에서 9명의 군인과 13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11] 1915년에는 세 차례 더 도시가 폭격당했다.[11]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 왕국과 함께 1916년부터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었다.
연합국에 의해 1918년에 해방된 후, 논란이 많았던 포드고리차 회의를 통해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 왕국과 합병되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편입되면서 몬테네그로의 국가적 지위는 종말을 맞았다. 이 시기 포드고리차의 인구는 약 14,000명이었다.[12]
전간기(1918–1941) 동안, 포드고리차에는 대부분의 주민이 자체 욕실을 갖지 못했기 때문에 공중 화장실이 있었다.[12] 그러나 1925년에 건설된 "임페리얼" 호텔에는 당시로서는 전례가 없었던 두 개의 욕실이 있었다.[12] 이 호텔은 전간기에 도시에 건설된 최소 6개의 호텔 중 하나였다.[12]
2. 5. 유고슬라비아 시대
1941년 3월 27일 유고슬라비아 쿠데타 이후, 쿠데타를 지지하는 시위가 포드고리차에서 일어났다.[13] 유고슬라비아는 쿠데타의 결과로 이전의 추축국 동맹에 반대하게 되었고, 이후 침공을 받았다. 포드고리차는 전쟁 기간 동안 80번 이상 폭격을 받았다. 1941년 4월 6일 루프트바페에 의해 처음 폭격당했고, 1944년 5월 5일에는 미 육군 항공대(USAAF)에 의해 폭격당해 약 40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14] 1944년 12월 19일 해방되었으며, ''제노사이드 희생자 박물관''에 따르면 전쟁 기간 동안 포드고리차에서 총 1,691명이 사망했다.[15]
1946년 7월 12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라돕체' 호텔에서 군중에게 연설하며 포드고리차를 처음 방문했다.[16]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티토가 이 도시를 방문한 15번 중 첫 번째였다.[16]
1948년 7월 25일, 몬테네그로 인민 의회의 부의장 안드리야 무고사와 서기 가브론 체모비치는 포드고리차의 이름을 "티토그라드"로 변경하는 법안에 서명했다.[13] 이 법은 1946년 7월 13일부터 몬테네그로의 수도가 된 이후의 모든 기록에 소급 적용되었다. 당시 몬테네그로는 새로 형성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속해 있었다.[13] 그러나 유고슬라비아 법전인 "슬루즈베니 리스트"에는 "v" 자 없이 "티토그라드"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티토그라드"가 더 널리 사용되었다.[13]
티토그라드에는 새로운 공장이 설립되었다. 1946년 건설된 중장비 생산 공장 라도예 다키치는 티토그라드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가 되었으며, 1964년 고용된 노동자들에게 시내 아파트를 보장했다.[17] 1960년대 후반, 티토그라드, 자다르, 모스타르는 유고슬라비아 알루미늄 산업 확장을 위한 부지로 경쟁했고, 티토그라드가 최종 선택되어 1969년 콤비나트가 건설되었다.[18] 1974년, 공립 벨코 블라호비치 대학교가 티토그라드에 설립되었다. 1979년 4월 15일, 이 도시는 규모 6.9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다.
티토그라드는 유고슬라비아의 반관료 혁명 동안 대규모 시위가 벌어진 곳이었다. 1989년 1월 10일, 10,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 도시에서 시위를 벌였다.[19] 1990년대 초, 티토그라드는 바냐 루카와 함께 유고슬라비아에서 녹지가 가장 많은 도시로 인정받았다.[20]
2. 6. 현대
유고슬라비아의 해체가 시작되면서, 티토그라드는 1992년 4월 2일 국민투표 이후 포드고리차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1] 1992년 5월 25일, 포드고리차는 약 10,000명의 지지자들이 모인 세르비아 급진당 집회 장소였으며, 이 집회에서 몬테네그로 보스니아인 아뎀 샤보티치(Adem Šabotić)는 지지자들이 무슬림 학살을 외친 후 수류탄으로 보이슬라프 셰셰리를 암살하려 했다.[22] 폭탄이 터진 후 셰셰리, 그의 보디가드, 그리고 몇몇 구경꾼들이 부상을 입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22]유고슬라비아 전쟁은 포드고리차를 크게 비켜갔지만, 1990년대 내내 유고슬라비아 제재로 인해 심각한 경제 침체와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국가 전체가 큰 영향을 받았다. 1999년, 포드고리차는 1999년 유고슬라비아 나토 폭격 동안 공습을 받았다.[23][24]
2005년 7월 13일, 새로 건설된 밀레니엄 다리가 개통되었다.[25] 2006년 5월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포드고리차는 독립 국가의 수도로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전의 이반 밀루티노비치 광장을 독립 광장으로 재건하고 이름을 변경하였다.
2008년 10월 13일, 최소 10,000명이 시위를 벌여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에 항의했다.[26] 2008년 12월 19일, 모스크바 다리가 보행자용으로 개통되었다.
2013년 8월 7일, 60년 된 호텔 ''크르나 고라''가 철거되어 그 자리에 새로운 힐튼이 들어섰으며, 2016년에 개장했다.[27] 포드고리차 그리스도 부활 대성당 건설은 20년 만인 2013년 10월 7일에 완료되었다.
2015년 10월, 시위가 몬테네그로-NATO 관계를 앞두고 포드고리차에서 일어났다. 최소 5,000명에서 8,000명의 시위대가 모인 시위 이후,[28] 경찰은 최루 가스를 사용하여 몬테네그로 의회에서 시위대를 해산시켰다.[29] 이 도시의 시위는 2016년 몬테네그로 총선까지 이어졌다. 2018년 2월 22일, 유고슬라비아 군대 참전 용사가 포드고리차 미국 대사관에서 자살했다.
3. 지리
포드고리차라는 이름은 1326년 코토르 문서고의 법원 문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이 도시는 당시 라구사 공화국과 세르비아 간의 무역로가 트레비네와 닉시치를 거쳐 포드고리차로 이어졌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강했다. 포드고리차는 분주한 교차로이자 활기찬 지역 무역 및 통신의 중심지였다.
3. 1. 위치 및 지형
포드고리차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여러 경로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으며, 제타강, 모라차강, 치예브나강, 리브니차강, 시트니차, 마레자강과 같은 강들 근처, 스카다르호 계곡과 아드리아해 근처, 기후가 좋은 비옥한 저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가장 초기의 인간 정착지는 선사 시대에 이루어졌으며, 가장 오래된 유물은 후기 석기 시대의 것이다.철기 시대에 제타 평원과 벨로파블리치 평원 사이 지역에는 두 개의 일리리아 부족인 라베아테스족과 도클레아테스족이 거주했다. 도클레아 마을의 인구는 8,000~10,000명이었으며, 모든 핵심적인 도시 문제가 해결되었다. 높은 인구 밀도(반경 약 10km 지역)는 지리적 위치, 유리한 기후, 경제적 조건, 당시 매우 중요했던 방어 위치 덕분에 가능했다.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 중부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강으로 교차하며, 도시 자체는 스카다르 호에서 북쪽으로 단 15km 떨어져 있다. 모라차 강과 리브니차 강이 도시를 관통하며, 제타, 체예브나, 시트니차 및 마레자강이 근처를 흐른다. 모라차 강은 도시에서 가장 큰 강으로, 시내 근처에서 폭이 70m이며, 도시를 통과하는 동안 20m 깊이의 협곡을 형성했다. 모라차 강과 제타 강을 제외한 다른 강들은 작은 개울의 모습을 하고 있다. 풍부한 수자원은 도시의 주요 특징이다.
몬테네그로 대부분의 지역과는 대조적으로, 포드고리차는 제타 평원의 북쪽 끝, 40m의 고도에 위치한 주로 평평한 지역에 있다. 유일한 예외는 도시를 내려다보는 언덕이다. 가장 중요한 언덕은 도시 중심부 위로 솟아 있는 130.3m 높이의 고리차 언덕(도시의 지명)이다. 다른 언덕으로는 말로 브르도("작은 언덕", 205.4m), 벨예 브르도("큰 언덕", 283m), 류보비치 (101m) 및 다이밥스카 고라 (172m)가 있다. 포드고리차 시의 면적은 108km2이며, 실제 도시화된 지역은 훨씬 작다.
3. 2.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포드고리차는 습윤 아열대 기후(''Cfa'')와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Csa'') 사이의 과도기적 기후를 보인다. 가장 건조한 여름 달의 강수량이 40mm 미만이고,[31] 여름 최고 기온은 약 34°C, 겨울 최고 기온은 약 11°C이다. 도시는 지중해의 일부인 아드리아 해에서 북쪽으로 35km 떨어져 있지만, 루미야 산은 자연 장벽 역할을 하여 스카다르 호수 분지와 포드고리차 지역을 바다와 분리하여 온대 해양성 기후가 지역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1659mm로, 포드고리차는 유럽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수도이며, 류블랴나가 1362mm로 그 뒤를 잇는다. 연중 약 135일 동안 기온이 25°C를 초과한다. 강우일수는 약 120일이며, 강풍이 부는 날은 약 60일이다. 때때로 강한 북풍이 겨울철 기후에 영향을 미쳐 체감 온도 효과로 체감 온도가 몇 도 낮아진다.
역대 최대 강설량 기록은 2012년 2월 11일에 58cm의 적설량이 측정되면서 깨졌다. 그전에는 포드고리차에서 가장 많은 적설량은 1954년으로, 52cm의 적설량이 기록되었다. 최고 기온은 2007년 8월 24일에 44.8°C로 기록되었으며, 역대 최저 기온은 1956년 2월 4일에 -9.7°C였다.[54][55]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최고 기온 기록 (°C) | 21°C | 27.1°C | 27.4°C | 33.8°C | 35.4°C | 40.5°C | 43.3°C | 44.8°C | 39.6°C | 33.6°C | 27.2°C | 20.8°C |
평균 최고 기온 (°C) | 11°C | 12.6°C | 16.3°C | 20.7°C | 25.8°C | 30.7°C | 33.9°C | 34.5°C | 28.4°C | 22.8°C | 16.5°C | 11.8°C |
평균 최저 기온 (°C) | 2.2°C | 3.4°C | 6.4°C | 9.9°C | 14.5°C | 18.9°C | 21.6°C | 21.8°C | 17°C | 12.3°C | 7.4°C | 3.5°C |
최저 기온 기록 (°C) | -9.6°C | -9.7°C | -5.6°C | -0.2°C | 1.2°C | 8°C | 12.2°C | 8.8°C | 6°C | 0°C | -5.4°C | -8°C |
강수량 (mm) | 165mm | 164mm | 164mm | 136mm | 98mm | 60mm | 36mm | 54mm | 147mm | 176mm | 261mm | 232mm |
강수 일수 (≥ 0.1 mm) | 12 | 12 | 12 | 13 | 10 | 9 | 5 | 6 | 7 | 9 | 14 | 13 |
평균 일조 시간 | 122.7 | 126.0 | 170.0 | 193.5 | 250.8 | 276.3 | 339.7 | 314.1 | 251.5 | 201.4 | 126.4 | 108.8 |
평균 상대 습도 (%) | 72 | 68 | 65 | 65 | 63 | 60 | 52 | 52 | 62 | 68 | 75 | 74 |
4. 행정
포드고리차의 행정은 시장, 시 의회, 여러 부서 및 행정 기구로 구성된다. 시 의회는 4년마다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57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시장은 과거 5년마다 직접 선거로 선출되었으나, 새로운 법률에 따라 현재는 시 의회에서 선출되어 의회의 신임을 받는 동안 임기를 수행한다.
2010년 5월 23일 선거에서는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DPS)이 28석을 얻어 승리했지만, 과반수인 29석에는 미치지 못하여 보슈냐크인 정당 및 자유주의 정당과 연합했다. 반대 진영인 "더 나은 몬테네그로를 위해"는 변혁을 위한 운동(PZP), 사회주의 인민당(SNP), 새로운 세르비아 민주주의(NOVA)와 연합하여 24석을 얻었다. 2000년부터 시장직을 유지해 온 미오미르 무고사는 다른 세력의 지지를 얻어 다수파를 구성했다.
4. 1. 지방 정부

포드고리차 시의 행정은 시장, 시 의회, 여러 비서실 및 행정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함께 지방 정부 역할을 한다.[30] 시 의회는 6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4년 임기로 직접 선출된다. 과거 시장은 5년 임기로 직접 선출되었으나, 몬테네그로 지방 자치 단체에 새로운 법이 도입된 이후 시장은 시 의회에서 선출되며 임기 동안 시 의회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30]
골루보브치는 포드고리차 시내의 행정 자치구의 일부이기 때문에 별도의 선거가 치러진다. 골루보브치의 별도 자치구 지위 획득에 대해 다양한 정치인들이 끊임없이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2018년, 투지는 몬테네그로 의회 투표를 거쳐 자체 자치구가 되었다.[30]
2014년 지방 선거에서 사회주의자 민주당은 과반수 구성에 필요한 30석에 1석 부족한 29석을 얻었다. 민주 전선은 17석,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인민당은 8석, 긍정적인 몬테네그로와 SDP의 연합은 5석을 얻었다. SDP는 Pozitivna와의 연합을 해체하고 DPS와 과반수를 구성하였다. SDP는 국가 차원에서 DPS의 오랜 파트너이지만, 2010-2014년 기간 동안 포드고리차 시 의회에서는 야당이었다.
2014년 10월부터 시장직은 DPS 소속인 슬라볼류브 스티예포비치가 맡았으며, 14년 동안 포드고리차 시장을 역임한 미오미르 무고사를 교체했다. 2018년 10월부터 시장직은 DPS 부회장인 이반 부코비치 박사가 맡고 있으며, 슬라볼류브 스티예포비치를 교체했다. 2023년 4월 13일, PES 출신인 올리베라 인야츠가 시장으로 취임하면서 1998년 이후 처음으로 DPS가 아닌 시장이 되었다.
정당/연합 | 의석 | |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 | 24 | |
유럽 지금 | 13 | |
민주 몬테네그로 | 6 | |
새 세르비아 민주주의 | 5 | |
몬테네그로 민주국민당 | 4 | |
포드고리차 운동 | 4 | |
연합 개혁 행동 | 2 | |
사회 민주당 | 2 | |
유럽 진보당 | 2 | |
전환 운동 | 2 | |
사회 민주당 | 1 |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인민당 | 1 | |
연합 몬테네그로 | 1 | |
진실한 몬테네그로 | 1 | |
자유 몬테네그로 | 1 |
포드고리차 자치체는 과거 포드고리차 시와 하위 도시 자치체로 구성되었으나, 도시 자치체인 투지와 골루보브치가 독립하면서 2022년 이후 단일 자치체로 운영되고 있다. 포드고리차 자치체 전체는 57개의 지역 커뮤니티로 나뉘어 시민들이 지역 사회 관련 사항에 대한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있다.
4. 2. 하위 행정 구역
포드고리차 시는 66개의 지방 자치 단체 (мјесне заједнице, "mjesne zajednice")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시민들은 지역 사회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결정에 참여한다. 포드고리차 자치체는 과거 포드고리차 시와 하위 도시 자치체 (Градске општине / Gradske opštine)로 구성되었으나, 투지와 골루보브치가 독립하면서 2022년 이후 단일 자치체로 운영되고 있다. 포드고리차 자치체는 57개의 지역 커뮤니티 (мјесне заједнице / mjesne zajednice)로 나뉘어 시민들이 지역 사회 관련 사항에 대한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있다.[30]5. 인구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로, 2023년 기준 179,505명이 거주하고 있다.[35] 이는 몬테네그로 전체 인구의 약 3분의 1에 해당한다. 유럽 기준으로 중규모 도시이지만, 몬테네그로 내에서는 최대 도시이다.
포드고리차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연도별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 '''포드고리차 시가지 인구'''
조사 연도 | 인구 |
---|---|
1948 | 14,369명 |
1953 | 19,868명 |
1961 | 35,054명 |
1971 | 61,727명 |
1981 | 96,074명 |
1991 | 117,875명 |
2003 | 136,473명 |
2011 | 150,977명 |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포드고리차에는 64,140가구와 88,431채의 주택이 있으며, 90,799대의 차량이 등록되어 있다. 전체 인구 중 남성은 47.81%, 여성은 52.19%이며, 평균 연령은 37.65세이다. 2024년 10월 기준, 112,482명이 공식적으로 고용되었으며, 평균 수입은 981유로였다. 11,626명의 외국인이 거주하며, 이는 도시 인구의 6.5%를 차지한다.
포드고리차는 투지와 제타를 포함하는 포드고리차 수도(Podgorica Capital City)에 속해 있으며, 이 지역의 인구는 208,555명이다.
5. 1. 인구 구성
'''민족 구성 (2003년)'''민족 | 인구 | 비율 |
---|---|---|
몬테네그로인 | 96,343명 | 56.96% |
세르비아인 | 44,423명 | 26.26% |
알바니아인 | 9,296명 | 5.49% |
무슬림 | 4,399명 | 2.60% |
보스니아인 | 2,307명 | 1.36% |
집시 | 1,389명 | 0.82% |
크로아티아인 | 709명 | 0.42% |
선언되지 않음 | 6,978명 | 4.12% |
기타 | 1,834명 | 1.08% |
정보 없음 | 1,233명 | 0.73% |
합계 | 169,132명 | 100% |
2023년 인구 조사에서 이 도시의 인구는 몬테네그로인 54.54%, 세르비아인 30.84%, 보스니아인 2.62%였으며, 12%는 기타 소수 민족이었다.[36] 거의 92%의 주민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상호 이해 가능한 분파 중 하나를 사용하며, 여기에는 몬테네그로어와 세르비아어가 포함된다.
5. 2. 종교
포드고리차 주민 대다수는 정교회 신자이며, 무슬림과 가톨릭 공동체도 상당한 규모를 가지고 있다.[37]주요 정교회 예배 장소로는 성 조지 교회와 그리스도 부활 대성당이 있다.
예수 성심 교회는 포드고리차 가톨릭 공동체의 주요 예배 장소이며, 1966년 코니크 지역에 건설되었고 브루탈리스트 건축으로 유명하다.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포드고리차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37]
종교 | 인구 | 비율 |
---|---|---|
동방 정교회 | 145,575명 | 78.29% |
이슬람교 | 16,275명 | 8.75% |
무슬림 | 4,608명 | 2.48% |
가톨릭교회 | 7,947명 | 4.27% |
기타 기독교 | 568명 | 0.31% |
불가지론 | 225명 | 0.12% |
무신론 | 3,698명 | 1.99% |
기타 | 1,961명 | 1.05% |
무응답 | 4,583명 | 2.46% |
6. 경제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의 행정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주요 경제 동력이기도 하다. 몬테네그로의 산업, 금융 및 상업 기반 대부분은 포드고리차에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포드고리차 경제의 대부분은 무역과 소규모 제조업에 있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의 오랜 통치 기간 동안 확립된 경제 모델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의 수도가 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Y) 시대의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알루미늄 및 담배 가공, 섬유 산업, 엔지니어링, 차량 생산 및 와인 생산과 같은 산업이 도시 안팎에 설립되었다. 1981년, 포드고리차의 1인당 GDP는 유고슬라비아 평균의 87%였다.[38]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해체, 유고슬라비아 전쟁, 유엔 제재로 인해 포드고리차의 산업은 전통적인 시장, 공급업체 및 자금을 잃게 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전환 경제의 압력과 결합되어 산업 기반이 쇠퇴하여 많은 산업이 붕괴되고 수천 명의 시민이 실업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플란타제를 포함한 일부 산업은 1990년대의 혼란 속에서도 살아남아 오늘날까지 몬테네그로 수출과 산업 생산에 주요 기여를 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추진하면서 포드고리차는 정부 및 서비스 부문의 집중으로 큰 혜택을 받았다. 거의 모든 국가 정부 외에도, 포드고리차에는 몬테네그로 증권 거래소 및 기타 주요 몬테네그로 금융 기관, 통신 사업자, 언론 매체, 몬테네그로 국적 항공사 및 기타 주요 기관 및 회사가 있다.
정부 및 서비스 부문의 대규모 존재는 포드고리차 경제가 몬테네그로에 큰 타격을 준 2000년대 후반의 경기 침체에서 장기간 침체를 면하게 해주었다. 2014년 중반, 몬테네그로 시민의 약 30%가 포드고리차에 거주했지만, 이 시는 국가 고용의 44%를 차지했다. 그 해 몬테네그로 전체 순 급여 중에서 약 47%가 포드고리차에서 지급되었다. 2021년 12월 포드고리차 시의 평균 월 순 급여는 537EUR였다.[39]
7. 문화
포드고리차는 다양한 건축 양식이 혼재하는 도시로, 이는 격동적인 역사를 반영한다. 오스만 제국 지배 시기(1878년까지)에는 터키 양식의 건축물이 주를 이루었다. 도시의 오래된 지역인 스타라바로시와 드라치에는 두 개의 모스크와 터키식 시계탑, 좁은 거리가 남아있다.
몬테네그로로 편입된 후, 도시 중심부는 리브니차 강 건너편으로 옮겨져 유럽풍으로 개발되었다. 넓은 거리와 직교하는 도로망을 갖춘 이 지역은 '노바바로시'라고 불리며, 현대 포드고리차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포드고리차는 70회 이상의 폭격으로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전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재건이 이루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동구권의 전형적인 대규모 고층 주택들이 건설되었다. 모라차 강 우안 지역과 시 중심부의 빈 공간에는 브루탈리즘 양식의 건축물이 들어서면서,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이 부적절하게 혼재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현재의 주요 도로 등은 이 시기에 계획되었으며, 시 중심부의 직교하는 도로망은 남쪽과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의 주택 및 인프라 개발은 오늘날 포드고리차의 모습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주변 주택 지구에서는 도시 확장에 따라 스프롤 현상이 발생하여, 도로와 보도를 위한 공간이 부족한 밀집된 저층 주거지가 나타나기도 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 포드고리차에는 현대적인 건축물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도시의 모습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주택 및 비즈니스 건축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현대적인 유리와 철강 건축 트렌드가 도입되고 있다. 또한, 시 당국은 공공 공간에 대한 투자를 통해 새로운 광장, 공원, 기념물을 조성하고 있다. 그리스도 부활 대성당과 밀레니엄 브리지는 포드고리차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포드고리차는 특징 없는 현대적인 유럽 수도의 도시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7. 1. 문화 시설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 국립 극장을 비롯한 많은 몬테네그로 문화 기관과 행사의 본거지이다. 몬테네그로 국립 극장은 포드고리차뿐만 아니라 몬테네그로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극장이다. 포드고리차에는 어린이 극장과 인형극을 포함하는 시립 극장(''Gradsko pozorište'')도 있다. 체티네만큼 박물관과 미술관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주목할 만한 박물관들이 있다.
- 포드고리차 시립 박물관(''Muzej grada Podgorice'')은 1950년에 설립되었으며, 포드고리차의 풍부한 유산을 보존하고 있다. 고고학, 민족학, 역사, 문화사 등 4가지 범주로 나뉜다. 로마 시대와 일리리아 시대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고고학 연구 센터(''Centar za arheološka istraživanja'')는 1961년에 설립되었으며, 고고학 유적지를 수집, 분류, 복원 및 전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메둔에 있는 마르코 밀랴노프 박물관(''Muzej Marka Miljanova'')은 19세기 몬테네그로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 자연사 박물관(''Prirodnjački muzej'')은 몬테네그로의 동식물 표본을 전시한다. 이 박물관은 자체 전시 공간이 없으며, 건립에 대한 많은 제안과 계획에도 불구하고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포드고리차의 가장 큰 공원 단지인 ''드보라크''(Dvorac) ''페트로비차'' (페트로비치 성) 단지에는 주목할 만한 미술관이 있다. 이 궁전은 1984년부터 1995년까지 비동맹 국가 갤러리 "요시프 브로즈 티토"를 주최했다. 니콜라 1세의 성, ''페르야니치키 돔''(Perjanički Dom, 명예 근위병의 집), 성당 채플 및 주변 건물은 1984년에 미술관으로 개조되었다. 1995년부터 현대 미술 센터(''Centar savremenih umjetnosti'')의 일부가 되었으며 약 1,500점의 예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1949년에 설립된 역사적인 문화 영화관(''Kino Kultura'')은 지속적인 재정적 손실로 인해 2008년 11월에 폐쇄되었다. 이 영화관은 60년 동안 도시의 유일한 영화관이었다. 이 영화관 건물은 포드고리차 시립 극장을 수용하도록 개조될 예정이다. 폐쇄된 직후, Ster-Kinekor(이후 Cineplexx에 인수됨) 6개 스크린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BIG 포드고리차 쇼핑몰에 문을 열었다.
50년 이상 된 중요한 문화 기관으로는 부도 토모비치 문화 정보 센터(''KIC Budo Tomović'')가 있다. 이곳은 포드고리차 문화 여름(''Podgoričko Kulturno Ljeto''), FIAT – 국제 대체 극장 페스티벌(''Festival Internacionalnog Alternativnog Teatra''), DEUS – 12월 예술 장면(''Decembarska Umjetnička Scena'')을 포함한 다양한 예술 행사를 조직하는 공공 기관이다.
7. 2. 미디어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 미디어의 중심지이다. 국영 공영 텔레비전 방송사인 RTCG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또한 지역 TV 및 라디오 방송국인 그라드스카도 있다. 포드고리차의 상업 방송사로는 TV 비예스티, 프르바 TV, 노바 M 및 아드리아 TV가 있다.몬테네그로의 모든 일간 신문(''포비예다'', ''비예스티'', ''드브네 노비네'' 및 ''단'')이 포드고리차에서 발행된다.[50]
8. 교육
몬테네그로의 대부분의 고등 교육 기관은 포드고리차에 있다. 몬테네그로 대학교는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중요한 대학교이며 다음과 같은 단과 대학을 가지고 있다.
학부 |
---|
정치학부 |
법학부 |
경제학부 |
전기 공학부 |
금속 공학 및 기술학부 |
정보 기술 학부 |
토목 공학 학부 |
기계 공학 학부 |
자연 과학 및 수학 학부 |
의학부 |
약학부 |
건축학부 |
생명 공학부 |
이 대학교의 과학 연구소는 외국어 연구소, 생명 공학 연구소, 역사 연구소를 포함하여 포드고리차에도 있다.
몬테네그린 과학 예술 아카데미(CANU)는 포드고리차에 있으며, 병렬 학술 아카데미인 도클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DANU)도 있다.
몬테네그로 최초의 사립 대학교로 2006년에 설립된 지중해 대학교와 도냐 고리차 대학교를 포함하여 여러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포드고리차 시에는 34개의 초등학교와 10개의 중등학교가 있으며, 여기에는 김나지움이 하나 포함되어 있다. 포드고리차에 설립된 최초의 중등학교는 1907년에 처음 문을 연 김나지움 "스보보다 Škerović"이다. 재건된 경제 고등학교는 새로운 특징과 더 높은 품질의 교육을 제공한다. "라도사브 류모비치 국립 도서관"은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포괄적인 도서관으로 여겨진다.
9. 스포츠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단연 축구와 농구이다. 농구는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KK 부두치노스트가 지역 및 유럽 대회에서 성공을 거두면서 특히 인기를 얻었다.
포드고리차의 축구는 부두치노스트와 관련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선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와 데얀 사비체비치는 포드고리차에서 태어나 이 팀에서 데뷔했다.[1] 포드고리차 교외의 Golubovci에 위치한 FK 제타 클럽도 과거 세르비아-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 진출했다.[1] 이 클럽들은 니크시치의 수트예스카와 함께 일반적으로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선두 자리를 놓고 경쟁한다.[1]
포드고리차와 그 주변의 다른 클럽들은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OFK 티토그라드 & FK 콤이 있다.[1] 교외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클럽 중 하나는 코니크의 FK 리브니차, Zabjelo의 FK 자브젤로, 그리고 ''Donja Gorica''의 FK 포드고리차이다.[1]
배구팀 OK 부두치노스트와 여자 핸드볼팀 ŽRK 부두치노스트 T-모바일은 유럽 대회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1]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포드고리차에서 가장 중요한 스포츠 클럽이다.[1] 그 이름은 "미래"를 의미한다.[1]
체스는 또 다른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슬라브코 데디치와 같은 유명한 세계 체스 선수들이 포드고리차에서 태어났다.[1]
연례 포드고리차 마라톤, Coinis no limits 트라이애슬론 및 ''Morača River'' 점프와 같은 스포츠 행사는 국제적인 경쟁자를 유치한다.[1]
포드고리차는 2009 FINA 남자 수구 월드 리그를 개최했다.[1]
포드고리차에는 여러 개의 스포츠 경기장이 있으며, 일부는 재건축 및 확장을 진행 중이다.[1] 주요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1]
- 포드고리차 시립 경기장. 11,264석 규모이며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와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다. 몬테네그로에서 FIFA 국제 축구 경기에 대한 기준을 충족하는 유일한 경기장이다.[1]
- 모라차 스포츠 센터, 다기능 실내 스포츠 시설. 6,000석 규모이다. 유로바스켓 2005의 한 그룹 경기를 개최했으며, 다른 경기는 베오그라드, 브르샤츠, 노비사드에서 열렸다.[1]
- Bemax Arena, 실내 및 야외 스포츠 시설. 2,400석 규모이다.[1]
포드고리차의 거의 모든 축구 클럽은 자체 경기장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 작은 관람석이나 관람석이 없는 경기장이다.[1]
다른 주목할 만한 경기장으로는 고리차 언덕 아래의 스타디온 말리 스포르토바와 류보비치 언덕 아래의 사격장이 있다.[1] 도시 주변에는 많은 다른 스포츠 시설, 특히 실내 축구장이 있다.[1]

10. 교통
포드고리차는 다른 중심 도시들과 교통 연결이 잘 되어 있다. 시내에서 9km 떨어진 곳에는 국제 공항이 있으며, 기차역과 버스 터미널이 서로 가까이 있다.[40]
포드고리차의 대중교통은 11개의 시내 버스 노선과 16개의 교외 버스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41] 1990년대까지는 시 소유의 'AD Gradski saobraćaj'가 유일한 버스 운영 업체였으나, 이후 민간 운송업체가 도입되었다. 이 회사는 2001년에 파산했고, 이후 버스는 전적으로 민간 운송업체에서 운영하고 있다. 2023년 현재 포드고리차의 대중교통은 버스만으로 운영되며, 시내 노선 12개와 교외 노선 16개가 있다.
대중교통은 택시 서비스와 경쟁하고 있는데, 택시 회사는 비교적 새롭고 균일한 차량과 GPS 추적 차량을 갖춘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10. 1. 도로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 중앙에 위치하여 철도 및 도로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몬테네그로의 도로(특히 포드고리차와 몬테네그로 북부 및 세르비아를 연결하는 도로)는 일반적으로 현대 유럽 도로보다 열악하다. 몬테네그로의 주요 고속도로 프로젝트인 바르-볼랴레 고속도로와 누도-보자이 고속도로 모두 포드고리차 근처를 통과할 예정이다. A-1 고속도로(바르-볼랴레)의 1단계는 2022년 7월 13일에 개통되었다. 소지나 터널 (4.2km)은 포드고리차에서 바르 (몬테네그로의 주요 항구)까지의 이동 시간을 30분 미만으로 단축시켰다. 2011년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운송 노선을 도시 중심부 밖으로 우회시키기 위해 새로운 우회도로가 건설되었다. 또한, 대형 운송 수단을 도시 핵심 지역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동일한 목표로 남서부 우회도로도 건설되었다. 포드고리차는 또한 시내 교통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광범위한 다차선 대로 네트워크를 특징으로 한다. 모라차 강을 건너는 교통량도 원활하게 흐르는데, 이는 강둑이 6개의 차량용 다리와 3개의 보행자 다리로 매우 잘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포드고리차의 주요 환승 연결 도로는 다음과 같다.
10. 2. 철도

포드고리차는 X자 형태의 몬테네그로 철도의 허브이다. 베오그라드-바 철도 노선은 니크시치-포드고리차 철도 노선 및 포드고리차-슈코더 철도 노선과 포드고리차 기차역에서 합류한다.[40] 기차역 자체는 도시 중심 광장에서 남동쪽으로 1.5km 떨어져 있다. 포드고리차의 주요 철도 연결(여객 및 화물 수송 모두)은 베오그라드-바 노선이다. 니크시치로 가는 노선은 최근 철도 전철화 공사 중이었으며,[42] 이후 2012년 10월에 여객 운송이 시작되었다. 슈코더로 가는 철도 노선은 화물 전용으로 사용된다.
10. 3. 항공
포드고리차 공항은 제타 평원에 위치해 있으며, 포드고리차 시내 중심에서 남쪽으로 11km 떨어져 있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국제 공항이다.[40] 이 공항은 Golubovci 마을의 행정 구역 내에 위치해 있어 현지에서는 Golubovci 공항(Аеродром Голубовци / Aerodrom Golubovci)으로 알려져 있다. 포드고리차가 공항 개항 당시 티토그라드(Titograd)로 불렸기 때문에, 공항의 IATA 코드는 여전히 TGD이다. 이곳은 에어 몬테네그로와 디 에어의 주요 허브이다.
2006년 7월 13일에 개장한 1개의 터미널과 최근 시 중심부와 연결된 대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0년 연간 여객 수는 65만 명이었다. 포드고리차에서는 베오그라드, 부다페스트, 프랑크푸르트, 이스탄불, 류블랴나, 니시, 파리, 로마, 모스크바, 빈, 자그레브, 취리히 등 유럽 각 도시와 연결된다.
11. 국제 관계
포드고리차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43]
몬테네그로의 자매 도시 목록도 참고하라.
참조
[1]
서적
Montenegro: A History
C. Hurst & Co.
2003
[2]
웹사이트
Montenegrin 2011 census
http://www.monstat.o[...]
Monstat
2012-01-15
[3]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Longman
2008-05-23
[4]
Dictionary
Podgoric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5]
Dictionary
Podgorica
2019-05-11
[6]
웹사이트
Podgoric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11
[7]
웹사이트
Nemirno pomorje XV veka
https://books.google[...]
Srpska književna zadruga
2020-11-19
[8]
서적
Istorija Srba
https://books.google[...]
Zoograf
2012-01-21
[9]
웹사이트
JUSOVAČA – KAZNENI ZAVOD U PODGORICI (1893–1945)
http://www.montenegr[...]
2019-01-05
[10]
웹사이트
Изблиза о далеком: Подгорички покољ 1874.
https://www.in4s.net[...]
2019-01-05
[11]
뉴스
Podgorica: Pustoš ostaje ispod bombi
http://www.novosti.r[...]
2019-09-22
[12]
웹사이트
"Imperijal" bio najljepši
http://www.privredna[...]
2019-06-09
[13]
웹사이트
Glavni grad je 47 godina nosio pogrešno ime: Kako je Titovgrad postao Titograd?
https://www.vijesti.[...]
[14]
문서
Savezničko bombardovanje Crne Gore 1943. – 1944. godine
Podgorica
2003
[15]
웹사이트
Stradanje stanovništva Crne Gore u Drugom svetskom ratu
http://www.makroekon[...]
2019-09-22
[16]
웹사이트
Dolazi Tito
https://www.vijesti.[...]
[17]
웹사이트
Pogledajte Kako Je Izgledao Ugovor O Radu '60-Ih U Fabrici "Radoje Dakić"
http://senat.me/pogl[...]
2019-03-16
[18]
웹사이트
POČECI KOMBINATA ALUMINIJUMA
http://www.montenegr[...]
2019-03-11
[19]
웹사이트
Serbian President: The Technology of a Showdown
http://www.scc.rutge[...]
Vreme
2019-03-16
[20]
웹사이트
INICIJATIVA 100.000 STABALA ZA PODGORICU: Kome smeta drveće
http://www.monitor.c[...]
2019-01-05
[21]
웹사이트
Živjeti i umrijeti u Titogradu
https://portalanalit[...]
2019-01-31
[22]
웹사이트
Sudbina atentatora na Šešelja: Znate li priču o Ademu Šabotiću?
https://bh-magazin.c[...]
2021-12-19
[23]
뉴스
Montenegro: Nato Bombing Attacks Latest
https://www.youtube.[...]
2019-03-16
[24]
뉴스
NATO Bombs Hit Montenegro Homes
https://www.washingt[...]
2019-03-16
[25]
뉴스
Na Dan državnosti Crne Gore otvoreni novi Most Milenijum i Tunel Sozina
https://www.ekapija.[...]
2022-01-06
[26]
뉴스
Neredi u Podgorici zbog Kosova
https://www.dw.com/b[...]
Deutsche Welle
2019-03-16
[27]
웹사이트
Zvanično otvoren prvi Hotel Hilton u Podgorici
https://kodex.me/cla[...]
2022-01-06
[28]
뉴스
Crna Gora: Protesti i ništa
https://www.dw.com/b[...]
Deutsche Welle
2019-03-16
[29]
뉴스
Situacija u gradu se smirila
https://www.vijesti.[...]
2019-03-16
[30]
웹사이트
Tuzi became its own Municipality.
https://www.cdm.me/e[...]
2019-03-01
[31]
간행물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hydrol-ea[...]
2015-07-19
[32]
웹사이트
Climate: Podgorica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5-12
[33]
웹사이트
Climate: Podgorica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6
[34]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6
[35]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36]
웹사이트
Montenegrin census (2023)
https://www.monstat.[...]
MONSTAT
2023-10-15
[37]
웹사이트
Montenegrin census (2023)
https://www.monstat.[...]
MONSTAT
2023-10-15
[38]
서적
Atlas svijeta: Novi pogled na Zemlju
Sveučilišna naklada Liber
[39]
웹사이트
Monthly Statistical Review, no. 6/2014
http://www.monstat.o[...]
Monstat
2014-05-05
[40]
웹사이트
Podgorica
https://www.visit-mo[...]
Visit Montenegro
2022-06-06
[41]
웹사이트
Saobraćaj
http://www.podgorica[...]
Podgorica.me
2013-03-12
[42]
웹사이트
U Željeznicu ulažu 52 miliona eura
http://www.montenegr[...]
2009-05-16
[43]
웹사이트
Gradovi pobratimi
http://podgorica.me/[...]
Podgorica
2020-06-21
[44]
웹사이트
Partner cities
https://www.yerevan.[...]
Yerevan
2020-06-21
[45]
서적
Nemirno pomorje XV veka
https://books.google[...]
Srpska književna zadruga
[46]
서적
Istorija Srba
https://books.google[...]
Zoograf
2012-01-21
[47]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7〜18 中欧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48]
웹사이트
Tuzi bëhet komunë
https://zeri.info/ak[...]
Zëri
2017-04-27
[49]
뉴스
Zeta becomes municipality from today
https://www.cdm.me/e[...]
CDM
2023-12-10
[50]
뉴스
Mugoša: Podgorica dobija svoju televiziju
http://www.cgvijesti[...]
[51]
서적
Atlas svijeta: Novi pogled na Zemlju
Sveučilišna naklada Liber
[52]
웹사이트
U Željeznicu ulažu 52 miliona eura
http://www.montenegr[...]
[53]
웹인용
Climate: Podgorica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4-05-12
[54]
웹인용
Climate: Podgorica
http://www.meteo.co.[...]
몬테네그로 수문기상국
2021-03-06
[55]
웹인용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몬테네그로 수문기상국
2021-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