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티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티네는 몬테네그로의 옛 수도이자 문화 중심지로, 1482년 건설되었다. 몬테네그로어, 이탈리아어 등 다양한 언어와 이름으로 불리며, 체티나 강에서 도시 이름이 유래되었다. 15세기부터 페트로비치 왕조 시기까지 종교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동남유럽 최초의 인쇄소가 이곳에서 운영되었다. 1878년 몬테네그로의 독립 이후 유럽 국가의 수도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몬테네그로 대통령 관저, 국립 박물관 등 주요 국가 기관이 위치해 있다.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2023년 기준 약 1만 2천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체티네는 축구, 핸드볼 등 스포츠와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곳이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티네 - 네구시 햄
    네구시 햄은 몬테네그로 니예구시 지역의 특별한 기후 조건에서 해풍과 산풍을 맞으며 1년 동안 건조되어 독특하고 풍부한 풍미를 내는 전통 햄이다.
  • 체티네 - FK 로브첸
    FK 로브첸은 1913년 창단된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를 거쳐 몬테네그로 퍼스트 리그에서 경쟁했으며 몬테네그로 컵 우승과 UEFA 유로파 리그 진출 이력이 있지만 현재는 재정난으로 세컨드 리그에서 활동 중이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플루지네
    플루지네는 몬테네그로 북서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경 근처의 산악 지역에 위치한 도시이자 플루지네 시의 행정 중심지이며, 므라티니예 댐 건설로 이전되었고, 피바 지역의 중심지로서 최근 인구 감소와 민족 구성 비율 변화를 겪고 있으며 크랄레보, 류블랴나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체티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체티네 문장
문장
체티네 깃발
깃발
공식 명칭구 왕립 수도 체티네 / Prijestonica Cetinje
별칭신들의 계곡
설립이반 크르노예비치에 의해 설립 (1482년)
시간대CET (UTC+1)
하계 시간대CEST (UTC+2)
ISO 3166-2 코드ME-06
자동차 번호판CT
기후Cfb
공식 웹사이트체티네 공식 웹사이트
행정 구역
국가몬테네그로
지역중부
지방 자치체체티네
하위 구역 종류정착지
하위 구역94개
인구 통계
인구 (2023년)12,460명 (도시) / 2,005명 (농촌)
지방 자치체 인구 (2023년)14,465명
인구 밀도20명/km²
인구 순위몬테네그로에서 15위
인구 통계 명칭체틴얀
지리
면적910 km²
해발 고도650 m
좌표42.38° N, 18.92° E
정치 및 행정
정치 체제시장-의회
시장니콜라 쥬라슈코비치
소속 정당SDP
기타 정보
지역 번호+382 41
우편 번호81250

2. 이름

몬테네그로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에서는 체티녜(고어체로 Цетинѣ / Cetině)로 알려져 있으며, 이탈리아어로는 체티녜(Cettigne), 그리스어로는 케티그네(Κετίγνη, Ketígni), 터키어로는 체티네(Çetine), 알바니아어로는 체티나(Cetina)로 불린다.

17세기 말까지 체티나 강이 평야를 따라 흘렀기 때문에 마을의 일부는 체티냐 평야(Cetinjsko polje)라고 불렸다. 당시 체티냐 평야에는 작은 마을이 있었는데, 후에 새롭게 건설된 도시가 이 마을의 이름을 따서 체티녜라고 불리게 되었다. 역사 기록에 체티녜가 처음 언급된 것은 1440년이다.[5]

3. 역사

체티녜는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팽창에 맞서 싸우던 이반 체르노예비치(Ivan Crnojević)가 1475년 카르스트 지대에 새로운 수도를 정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그는 이 곳에 수도원과 관청을 건설하고 체티나 강(Cetina)의 이름을 따서 체티녜라고 명명했다. 이로써 체티녜는 단순한 행정 중심지를 넘어 몬테네그로 국가의 정신적 기반이 되었다.

19세기에는 오스만 제국과의 조공 관계를 청산하고 완전한 독립을 이루기 위한 전쟁이 시작되었고, 1878년 베를린 회의(Berliner Konferenz)에서 몬테네그로의 독립이 승인되면서 프랑스, 러시아,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많은 국가들이 체티녜에 대사관을 설치했다.

니콜라 1세 통치 하에 체티녜는 궁전, 여자 고등학교, 병원 등이 건설되며 크게 발전했다. 1910년 왕정으로 전환되면서 개발은 더욱 가속화되어 정부 청사 등이 건설되었다. 같은 해 통계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5,895명이었으며, 대부분 세르비아인이었다.

이후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에 병합되어 유고슬라비아 왕국(Kraljevina Jugoslavija)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 연방 인민 공화국의 구성국으로 재건된 몬테네그로에서는 의회가 수도를 티토그라드(현재의 포드고리차)로 결정하면서 체티녜는 수도의 지위를 상실했다.[27]

3. 1. 건국과 초기 발전 (15세기-17세기)

이반 크르노예비치 동상


체티녜는 1482년 이반 크르노예비치(Ivan Crnojević)가 크르노예비치 강 위의 오보드에서 로브첸 산(Mount Lovćen) 기슭의 더 안쪽 산간 지대로 수도를 옮기면서 건설되었다. 그는 그 해 새 위치에 궁정을 짓고 1484년에는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된 수도원을 개인 기부로 설립했다. 그의 궁정과 수도원은 몬테네그로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르네상스 건물이다.[6] 크르노예비치는 1485년 오스만 제국의 침략으로 제타 주교구의 자리를 브라니나(Vranjina)에서 체티녜로 옮겨야 했다.[7] 이 도시는 체티나 강(Cetina river)에서 이름을 따왔다.

제타의 주교구는 체티녜에서 대주교구로 승격되었다.[7] 이후 체티녜는 종교적, 민족적 삶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7] 동남유럽 최초의 인쇄소인 크르노예비치 인쇄소(Crnojević printing house)는 1493년부터 1496년까지 체티녜에서 활동했다.[8] 제타는 1499년 처음으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1514년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어 몬테네그로 산자크(Sanjak of Montenegro)로 편성되었다.[9]

3. 2. 근대 (18세기-1918년)

다음 두 세기 동안 체티네의 발전은 정체되었다.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매우 자주 받았기 때문에 이 도시는 16세기와 17세기에 걸쳐 많은 고난을 겪었다.

이 기간 동안 크르노예비치 왕조의 궁정과 수도원이 파괴되었다. 체티네는 17세기 말인 1697년에야 페트로비치 왕조의 통치하에 다니로 페트로비치에 의해 재건되면서 다시 번영하기 시작했다. 해방 전쟁을 이끌고 점령된 국가의 통합을 강화한 다닐로와 그의 후계자들은 체티네의 발전에 충분한 노력을 기울일 수 없었다.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 녜고시의 통치 기간에야 비로소 훨씬 더 큰 발전이 이루어졌다. 1838년에는 빌랴르다(Biljarda)(빌리아드 하우스)라고 불리는 새로운 왕궁이 건설되었다. 새로운 주택 건설로 체티네가 확장되면서 점차 진정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체티네


프랑스, 러시아, 영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영사관을 포함한 여러 유럽 국가와의 새롭게 수립된 관계로 인해 외국 영사관을 위한 많은 현대식 건물이 건설되었다.

니콜라 1세 페트로비치 친왕의 통치하에 체티네는 많은 공공 건물이 건설되면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여기에는 '로칸다(Lokanda)'라는 최초의 호텔, 새로운 친왕궁, 여자 기숙학교, 병원이 포함된다. 이 기간에는 최초의 임대 주택도 등장했다. 186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체티네에는 34가구가 있었다. 1852년과 1853년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초기에는 막아냈지만, 1861년-1862년 몬테네그로-오스만 전쟁 중에 오스만 제국의 오마르 파샤의 군대에 체티네가 함락되었다. 그러나 몬테네그로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10년 이상 지속되지 않았다. 14년 후 두 국가 간의 세 번째 경쟁인 “대전쟁”이 몬테네그로의 승리로 끝나면서 이전 몬테네그로 영토의 대부분이 몬테네그로의 통제하에 돌아왔다.

체티네 수도원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몬테네그로의 독립이 인정됨에 따라 체티네는 유럽 국가의 수도가 되었다. 1878년부터 1914년까지 체티네는 모든 면에서 번영했다. 다른 남슬라브 지역의 저명한 지식인들이 체티네에 머물면서 문화, 교육, 삶의 다른 모든 측면에 기여했다. 1910년 몬테네그로는 왕국으로 선포되었다. 이는 체티네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때 국가 권력의 상징인 정부 청사가 건설되었다. 같은 해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작은 수도의 인구가 5,895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3. 3. 유고슬라비아 시대 (1918년-1992년)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 녜고시(Petar II Petrović Njegoš)의 통치 기간에 빌랴르다(Biljarda)(빌리아드 하우스)라고 불리는 새로운 왕궁이 건설되면서 체티네는 진정한 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니콜라 1세 페트로비치 친왕 통치 시기에는 '로칸다(Lokanda)'라는 최초의 호텔, 새로운 친왕궁, 여자 기숙학교, 병원 등 많은 공공 건물이 건설되었다. 186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체티네에는 34가구가 있었다. 1861년-1862년 몬테네그로-오스만 전쟁 중에 오스만 제국의 오마르 파샤(Omar Pasha) 군대에 함락되기도 했지만, 1876년-1878년 몬테네그로-오스만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몬테네그로 영토 대부분을 회복했다.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몬테네그로의 독립이 인정되면서 체티네는 유럽 국가의 수도가 되었다. 1910년 몬테네그로는 왕국으로 선포되었고, 국가 권력의 상징인 정부 청사가 건설되었다. 같은 해 인구 조사에서 체티네의 인구는 5,895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전간기(Interwar period) 체티네는 제타 지역의 중심지였으나, 몬테네그로 의회가 행정 기관을 티토그라드(이전과 현재의 포드고리차(Podgorica))로 옮기면서 위기를 겪었다.

1944년 11월, 공산당이 체티네를 점령한 후 재판 없이 체티네 시민 28명을 총살했다.[10] 이들은 훔치(Humci)에 있는 체티네의 "새 묘지"에서 집단 처형되었다.[11]

2022년 8월 12일, 대규모 총격 사건이 발생하여 가해자를 포함해 11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을 입었다.[12] 이는 몬테네그로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대규모 총격 사건이다.[13]

3. 4. 최근 (1992년-현재)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 녜고시(Petar II Petrović Njegoš) 통치 기간에 빌랴르다(Biljarda) 건설을 시작으로 체티네는 크게 발전했다. 이후 니콜라 1세 페트로비치 친왕 통치 시기에는 최초의 호텔인 '로칸다(Lokanda)', 새 친왕궁, 여자 기숙학교, 병원 등이 건설되었고 최초의 임대 주택도 등장했다. 186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체티네에는 34가구가 있었다.

1876년-1878년 몬테네그로-오스만 전쟁에서 몬테네그로가 승리하고 베를린 회의에서 몬테네그로의 독립이 인정되면서 체티네는 유럽 국가의 수도가 되었다. 1878년부터 1914년까지 체티네는 크게 번영했다. 1910년 몬테네그로가 왕국으로 선포되면서 국가 권력의 상징인 정부 청사가 건설되었다. 같은 해 인구 조사에 따르면 체티네의 인구는 5,895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전간기(Interwar period) 체티네는 제타 지역의 중심지로서 영토가 확장되었다. 그러나 몬테네그로 의회가 행정 기관을 티토그라드(현재의 포드고리차(Podgorica))로 이전하면서 체티네는 위기를 겪었다.

1944년 11월, 공산당이 체티네를 점령한 후 재판 없이 체티네 시민 28명을 총살했다.[10] 이들은 훔치(Humci)에 있는 체티네의 "새 묘지"에서 집단 처형되었다.[11]

2022년 8월 12일, 대규모 총격 사건이 발생하여 가해자를 포함해 11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을 입었다.[12] 이는 몬테네그로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대규모 총격 사건이다.[13]

4. 행정

체티네는 시장과 구왕궁 도시 정부에 의해 통치된다. 2021년 12월부터 구왕궁 도시 체티네의 시장은 SDP의 니콜라 쥬라슈코비치이다.

체티네 지방 행정의 행정 및 운영 기구는 사무국, 행정부, 국, 관리부 및 서비스 부서이다. 옛 왕궁 도시 체티네에는 지방 자치 사무국, 재정 및 기업 개발 사무국, 국토 계획 및 환경 보호 사무국, 공공 서비스교통 사무국, 문화스포츠 사무국, 사회 복지 및 청소년 사무국 등 여섯 개의 사무국이 있다. 다른 행정 기구로는 공공 수입 관리부, 재산 국, 투자 및 경제 개발 국, 정보 시스템 센터가 있다. 운영 기구로는 시장실, 행정 책임자실, 시장실, 홍보국, 공통 업무 서비스, 보호 서비스 및 지방 경찰이 있다.

4. 1. 시의회

체티네 시의회(Skupština Prijestonice Cetinje)는 옛 왕궁 도시 체티네의 의회이다. 지방 의회는 몬테네그로어로 "오보르니치"(odbornici, 의원)라 불리는 33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보통선거로 선출되며, "프레드세드니크 스쿠프슈티네"(Predsjednik Skupštine, 의장)라 불리는 의장이 의회를 주재한다.[14]

정당/연합의석 수지방 정부
style="background-color: #F6931D"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14야당
style="background-color: #274B75" |통합개혁행동4여당 지지
style="background-color: #ff4000" |민주몬테네그로3여당 지지
style="background-color: #E90007"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8여당
style="background-color: #008000" |구수호파3여당
style="background-color: #90ee90" |SD-LP1야당


4. 2. 국가 기관

체티네에는 몬테네그로의 여러 국가 기관들이 있다. 몬테네그로 대통령의 공식 관저는 체티네에 있으며, 벽 색깔 때문에 블루 팰리스라고 불린다. 체티네에는 몬테네그로 국립 박물관, 국립 도서관, 그리고 몬테네그로 국가 기록 보관소가 있다.[1]

5. 지리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 해안 지역에 위치하며, 약 7km² 면적의 카르스트 지대(체티네 평야)에 자리 잡고 있다. 해발 평균 고도는 671m이다. 아드리아 해로부터는 직선거리로 12km, 스카다르 호수로부터는 15km 떨어져 있다. 현재는 포드고리차-체티네-부드바를 잇는 주요 도로 상에 위치하여, 몬테네그로 내륙과 몬테네그로 해안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도시는 석회암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로브첸 산이다. '로브첸'은 "검은 산"이라는 뜻으로, 몬테네그로라는 국명의 유래가 되었다.

체티네 전경

5. 1. 기후

체티네는 비교적 건조하고 따뜻한 여름과 온화하고 습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Cfb'')를 가지고 있다.

체티네는 풍부한 강수량으로 유명하며, 연간 약 3300mm의 강수량으로 유럽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도시 중 하나이다.[29] 강수량이 풍부하지만, 체티네 평야와 그 주변 지역에는 지표수가 없고 수자원이 부족하다. 이는 카르스트 지형과 지질 구조의 결과이다.

체티네 (1961–1990, 극값 1946–현재) 기후 데이터[2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9.122.823.227.831.435.138.239.036.029.625.118.539.0
평균 최고 기온 (°C)6.47.310.614.720.023.727.227.123.217.912.28.015.7
평균 기온 (°C)0.61.64.68.913.817.219.718.914.89.85.72.19.0
평균 최저 기온 (°C)-4.0-2.9-0.43.27.310.212.011.48.44.01.0-2.32.3
최저 기온 기록 (°C)-22.8-19.9-15.4-9.0-1.50.54.04.5-2.9-9.3-12.3-20.4-22.8
강수량 (mm)429.5351.1368.9277.3157.4100.666.3112.3191.0293.0499.9455.83303.1
평균 강수일수 (≥ 0.1 mm)131314131110777111515136
평균 상대 습도 (%)84848077767570728083868779.5


6. 인구

몬테네그로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체티네에는 12,46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주민 수에 따라 체티네는 몬테네그로의 중간 규모 지방 자치 단위 중 하나이다. 체티네 시의 인구는 14,465명이다. 체티네는 체티네 시의 중심지이며, 시 내에서 유일하게 인구 1,000명을 넘는 도시이다.

체티네 시 인구 변화[28][17][18]
연도인구
19489,038
19539,102
19619,359
197111,876
198114,088
199115,946
200315,137
201113,918
202312,460


6. 1. 민족 구성

2003년 체티네 민족 구성
민족인구비율
몬테네그로인12,70591.3%
세르비아인5393.9%
알바니아인370.3%
크로아티아인370.3%
로마인280.2%
기타 및 미신고5724.1%
합계13,918100%



1991년 조사에서는 몬테네그로인이 93.03%, 세르비아인이 2.62%였다. 2003년 조사에서는 몬테네그로인 16,758명 (90.67%), 세르비아인 853명 (4.62%), 로마인 129명 (0.16%), 크로아티아인 49명, 알바니아인 43명, 유고슬라비아인 27명, 보스니아인 22명, 마케도니아인 17명, 이탈리아인 13명, 슬로베니아인 13명 등으로 나타났다.

6. 2. 언어

언어비율
몬테네그로어11,65683.8%
세르비아어1,42610.2%
세르보크로아트어2261.6%
기타 및 미신고6104.4%
합계13,918100%


6. 3. 종교

종교인구비율
정교회12,84492.28%
무신론2331.67%
가톨릭1330.95%
이슬람교1030.74%
기타1781.27%
미응답3642.61%
합계13,918100%

[19]

체티녜 수도원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리토라리야 주교구의 세르비아 정교회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몬테네그로 리토라리야 주교구의 중심지는 체티녜 수도원에 위치해 있으며,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중심지는 그루다 지역의 예배당에 위치해 있다.

7. 경제

새로운 시 정부는 수십 년간의 침체기를 거친 후, 체티네의 인프라와 사업을 활성화하고 문화, 관광 등 여러 분야에서 체티네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많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러한 프로젝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체티네 역사지구(주요 도로 – 네고셰바 거리, 중앙 광장, 학생 광장) 재건축
  • "아름다운 체티네"(몬테네그로 최초의 에너지 효율 프로젝트)
  • 시장 재건축
  • 리파 동굴의 가치 제고
  • 몬테네그로 최초의 병원 건물 개보수
  • 완전히 새로운 유틸리티 시스템 구축
  • 마을 입구에 새로운 주요 도로 건설
  • 지역 최대 규모의 미술 대학교 단지 건설


지난 기간 동안 체티네는 무료 와이파이가 제공되는 몬테네그로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

2012년과 2013년에 시 정부는 체티네를 몬테네그로뿐 아니라 이 지역 전체의 문화 및 예술 수도로 홍보하기 위해 피어스 브로스넌,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제라르 드파르디외, 니콜라스 린드허스트, 렘 콜하스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술가들이 참여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향후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는 코토르에서 체티네까지의 케이블카 건설이며, 2016년 8월 입찰이 시작되었다.

8. 교통

부드바포드고리차는 체티네에서 약 30km 떨어져 있으며, 이들 도시와 2차선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코토르로 가는 오래된 도로도 있는데, 도로 상태가 좋지는 않지만 코토르 만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50km 떨어진 티바트 공항에서는 베오그라드취리히로 가는 정기 항공편이 운항되며, 여름철에는 수십 대의 전세기가 착륙한다. 2007년에는 한국 한국국제협력단의 장비 지원으로 공항 시설이 현대화되었다.[1] 55km 떨어진 포드고리차 공항에서는 연중 내내 유럽 주요 도시로 가는 정기 항공편이 운항된다.

이전에는 스카다르 호 연안을 따라 체티네에서 바르까지 철도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운행되지 않고 흔적만 남아 있다.

9. 문화

체티네는 5세기 동안 몬테네그로의 문화 및 교육 중심지였다. 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문화 기관은 체티네 수도원이다.

"제츠키 돔" 극장


체티네에는 듀르제 크르노예비치 중앙 도서관, 몬테네그로 국립 박물관, 몬테네그로 기록 보관소, 문화유산 보존 공화국 연구소, 제츠키 돔 몬테네그로 왕립 국립극장 등의 공화국 산하 기관들이 있다. 이 기관들은 방대한 문헌 자료를 보관, 처리하고 대중에게 제공하며, 몬테네그로 전역의 이동식 및 부동산 문화재를 보호한다.

체티네는 2년마다 니콜라 1세의 증손자인 니콜라 왕자가 창립한 "체티네 비엔날레(Cetinje Biennial)"라는 국제 미술 전시회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옛 왕궁의 여름(Summer at the Old Royal Capital)"이라는 예술 축제가 6월부터 9월까지 매년 열리며, 약 100개의 행사와 지역 예술가들의 공연이 펼쳐진다. 이 외에도 "로열 페스트", "체티네 재즈 페스트", "에스프레시보"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9. 1. 건축 및 도시 유산

체티네는 비교적 젊은 도시이지만, 그 발흥과 발전은 오래된 역사적 중심지와 함께 도시 및 건축 유산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건설과 발전에는 몬테네그로의 격동적인 역사적, 사회적, 경제적 사건들이 영향을 미쳤습니다.[1]

체티네는 정착지로서 500년 동안 존재해 왔는데, 이는 주변의 고대 시대 연안 집적지의 발전에 비하면 그리 오랜 시간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 5세기는 도시의 발전을 통해 기원, 상승, 침체, 쇠퇴의 순간을 기록한 한 민족의 전체 역사입니다.[1]

도시 집적지로서 체티네는 갑자기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매우 특징적입니다. 1870년대부터 거의 50년 동안 도시 맥락에서 설계되고 형태학적으로 특징적인 지역이 형성되었는데, 도시 유형의 주거용 1층 및 2층 주택과 다락방이 발달한 주택이 폐쇄된 도시 블록 내에서 만들어지고 발전되었으며, 그 안의 생활선은 거리-주택-정원이었습니다.[1]

체티네의 러시아 대사관(옛)


빌리야르다 –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녜고시 박물관


몬테네그로 대통령이 거주하는 블루 팰리스


이러한 유형의 도시 블록과 주거 건물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건축 양식을 적용한 외국 건축업자들의 큰 영향 아래 건설된 도시의 상당한 공공 건축물이 발전했으며, 이는 당시에도 지금도 도시의 대표적인 건축적 중추입니다.[1]

몬테네그로의 국가성 상실과 도시 건축 발전의 현저한 침체를 특징으로 하는 두 차례의 세계대전 사이에 체티네는 이미 전통적인 유형의 도시 주택과 폐쇄된 도시 블록의 전통을 이어가지만, 집단 주택을 위한 최초의 현대식 다층 주거 건물과 당시 사회 생활에 필요한 현대식 공공 기관을 건설했습니다.[1]

1870년대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체티네의 발전에서 가장 빠르고 중요한 시기인 당시 유럽에서 가장 작은 옛 수도였던 이 도시는 당시 유럽 대도시의 원칙에 따라 건설되었고 발전했으며, 도시의 건축 활동에는 많은 외국 건축가, 엔지니어, 건설업자, 장인들이 참여했습니다.[1]

이 기간 체티네의 발전에는 많은 중요한 역사적, 사회적 사건들이 뒤따랐습니다. 19세기 후반 체티네의 발전은 국가 권력과 유럽 문화 및 국제적 인정 추구의 시기를 특징으로 합니다.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몬테네그로가 독립국으로 인정받으면서 크게 확장되었고, 국가, 경제, 사회, 문화, 사회적 및 공간적 상부 구조의 빠른 창조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이는 경제력 증가와 국가 기구 및 당국의 재편성 및 개선을 초래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체티네는 옛 왕궁 수도로서 더욱 큰 국가적 및 국제적 중요성을 얻었고 빠른 사회경제적, 제도적 및 도시 발전을 경험했습니다.[1]

공간적으로 작고 젊은 도시로서 체티네가 실현한 가능성과 노력을 고려하지 않고도, 특히 19세기 후반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몬테네그로의 다른 도시들의 개념적, 사회적, 도시적 변혁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1]

체티네가 중요한 건축 유산을 가진 도시들 중 하나로 분류되는 사실은 오래된 도시 유산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는 점으로 정당화됩니다.[1]

9. 2. 인쇄소

크르노예비치 인쇄소(Printing House of Crnojevići)(1492~1496)와 그곳에서 출판된 책들은 몬테네그로와 발칸 지역 다른 정교회 사람들의 문화와 역사에 매우 중요하다. 키릴 문자(Cyrillic) 활자 보급에 크게 기여하여 세계 문화의 연쇄 고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위대한 인쇄 전통을 이어온 여러 인쇄소가 있었는데, 1833년부터 1839년까지 운영된 네고시 인쇄소(Njegoš Printing House)와 1858년에 설립된 국립 인쇄소(State Printing House)가 대표적이다. 국립 인쇄소는 1952년에 '오보드(Obod)'로 이름이 바뀌었다.

체티네 인쇄소는 설립 이래 현재까지 3,000권이 넘는 책을 출판하여 몬테네그로 문화유산에 크게 기여했다. 1835년 몬테네그로 최초의 문학 및 과학 연보인 '그를리차(Grlica)'(멧비둘기)가 출판되었고, 1871년 몬테네그로 최초의 신문인 '몬테네그린(The Montenegrin)'이 창간되었다. 그 이후로 60여 종의 신문과 30여 종의 잡지가 출판되었다. 1914년 당시 인구가 6,000명이 채 되지 않았던 체티네는 6종의 일간 신문을 발행했다.

9. 3. 박물관

미술관 및 역사 박물관


체티녜에는 다음과 같은 박물관들이 있다.[21]

박물관 이름
체티녜 수도원 박물관
국가 박물관
페타르 페트로비치 녜고시 박물관
민속 박물관
전기 산업 박물관
역사 박물관
미술관
화폐 박물관



체티녜 수도원 박물관, 화폐 박물관, 전기 산업 박물관을 제외한 모든 박물관은 몬테네그로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Montenegro)이라는 하나의 기관으로 통합되어 있다. 수많은 박물관과 그곳에 보관된 방대한 박물관 소장품들은 체티녜를 박물관 도시로서의 명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체티녜는 역사적으로 문화 중심지였다. 2년마다 "체티녜 비엔날레(Cetinje Biennial)"라는 국제 미술 전시회가 열리는데, 이 전시회의 창립자는 니콜라 1세의 증손자인 니콜라 왕자이다.

몬테네그로의 역사적 중심지였던 체티네에는 많은 박물관이 있으며, 체티네 수도원 박물관과 전기 산업 박물관을 제외한 모든 박물관은 몬테네그로 국립박물관에서 관리한다.

9. 4. 축제

오늘날 체티네는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인기 있는 문화 행사 중 하나인 "옛 왕궁의 여름(Summer at the Old Royal Capital)"을 개최하는 곳이다. 6월부터 9월까지 매년 열리는 이 예술 축제는 약 100개의 행사로 구성된다. 이 기간 동안 방문객들은 도시의 주요 장소뿐 아니라 마을에서도 지역 유명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옛 왕궁의 여름" 기간 동안에는 다음과 같은 축제들이 열린다.

  • "로열 페스트(Royal Fest)" (하드록, 얼터너티브)
  • "체티네 재즈 페스트(Cetinje Jazz Fest)"
  • "에스프레시보(Espressivo)" (클래식 음악)
  • "쿠츠카 예카(Cucka jeka)" (코빌리 도(Kobilji Do))
  • "리예츠카 노치(Riječka noć)" (리예카 크르노예비차)
  • "녜구슈코 례토(Njeguško ljeto)" (로브첸과 네구시)
  • "민속 축제(Folklor)"


"옛 왕궁의 여름" 행사에는 약 5만 명의 방문객이 참여한다.

일 년 내내 "크리스마스 콘서트" (1월 7일/8일), 독립기념일 행사 (5월 21일), "MIT 페스트" (얼터너티브 극장 축제) 등 더 많은 축제와 행사가 있다.

10. 스포츠

체티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 핸드볼, 농구이다.

체티네의 축구는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인 (FK Lovćen Cetinje)와 깊은 역사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1913년 6월 20일에 창단된 FK 로브첸은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구 클럽 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몬테네그로 챔피언십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고, 1956년에는 1부 리그 진출 자격을 얻었다. 1947년에는 유소년 클럽 챔피언에 올랐으며, 현재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4년 5월 21일에는 몬테네그로컵에서 우승하여 구단 역사상 첫 번째 전국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체티네의 또 다른 클럽으로는 1975년에 창단된 (FK Cetinje)가 있다. 이 클럽은 몬테네그로 3부 리그에서 활동하며, 로브첸과 (Stadion Sveti Petar Cetinjski)를 공유한다.

1949년에 창단된 핸드볼 클럽 "로브첸"은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오래된 핸드볼 클럽 중 하나이다. 특히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성공적인 남자 핸드볼 클럽이자 체티네에서 가장 많은 트로피를 획득한 팀이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연방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몬테네그로의 1부 핸드볼 리그에서 23시즌을 활동했으며, 1999/00, 2000/01, 2006/07, 2011/12, 2012/13 시즌에 5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컵에서 2회, 몬테네그로 컵에서 5회 우승했다.

로브첸은 창설 이후 지역 SEHA 리그의 회원이며, 현재 몬테네그로에서 유일한 SEHA 리그 회원이다. EHF 챔피언스 리그 2000/01에서 THW 킬과의 8강전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체티네의 농구 클럽 로브첸(Lovćen)은 1947년에 창단되었으며, 1997/98 시즌 전국 농구 리그 6위를 기록하여 라디보예 코라치 컵(Radivoje Korac Cup)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현재는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두 번째 클럽은 1997년에 창단된 BC 체티네(BC Cetinje)이다.

과거 체티녜에는 "로브첸(Lovćen)" 배구 클럽이 있었으나 현재는 활동하지 않는다.

오늘날에는 탁구 클럽 "로브첸(Lovćen)", "로브첸(Lovćen)" 육상 팀, "크르노고라츠(Crnogorac)" 유도 클럽, "로브첸(Lovćen)" 가라테 클럽, "로브첸(Lovćen)" 복싱 클럽, "로브첸(Lovćen)" 여자 농구 클럽 등 수십 개의 클럽이 활동하고 있다.

체티녜에는 여러 개의 스포츠 경기장이 있다. 주요 스포츠 시설은 다음과 같다.

경기장 이름수용 인원비고
스베티 페타르 체티냐스키 경기장(Stadion Sveti Petar Cetinjski)5,192석
체티녜 스포츠 센터(Sports Center Cetinje)2,020석다목적 실내 스포츠 시설
FK 로브첸의 새로운 소규모 축구장1,000석야간 경기를 위한 조명 시설 완비


11. 주요 명소

체티녜 수도원, 1450년에 건축된 적군의 소총으로 만든 울타리를 가진 블라슈카 교회(Vlaška church), 빌랴르다(Biljarda), 여러 박물관, 제츠키 돔 왕립극장(Zetski dom royal theatre)과 역사적인 외국 대사관 등 여러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많은 옛 대사관과 행정 건물들은 현재 다양한 종류의 학교로 사용되고 있으며, 도시에는 많은 젊은이들이 거주하고 있다.

블라슈카 교회(Vlaška Church)


체티녜에서 약 5km 떨어진 곳에는 전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큰 동굴 중 하나인 리파 동굴(Lipa cave, Lipska pecina)이 있다. 동굴 입구는 리파(Lipa) 마을에 위치하며, 아드리아해 바로 위 산맥에서 끝난다. 체티녜 시와 '리파 동굴' 회사의 프로젝트를 통해 2015년 7월에 동굴이 복원되어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체티녜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 중 하나는 로브첸 산(Lovćen)에 있는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시(Petar II Petrović-Njegoš)의 능묘이다. 체티녜에서 13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자동차로 갈 수 있다. 너도밤나무, 참나무, 린든나무 숲으로 이루어진 주변 자연 환경 외에도 로브첸 국립공원의 독특한 신선함이 있다. 능묘는 해발 1660m의 예제르스키 브르흐(Jezerski vrh, 예제르스키 봉우리)에 위치하며, 공식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능묘로 알려져 있다.

체티녜는 몬테네그로의 역사적, 정신적 중심지로서 독특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부드바(Budva)나 코토르(Kotor)과 같은 해안 지역의 휴양지에는 없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체티녜 수도원, 블라슈카 교회(1450년 건립), 19세기 청사, 박물관, 옛 왕립극장, 과거 아름다웠던 여러 국가의 대사관 건물들을 볼 수 있다.

몬테네그로의 독립과 함께 다시 많은 관광객들이 찾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Dubrovnik)에서 차브타트(Cavtat), 코토르, 부드바, 그리고 체티녜를 방문하는 투어도 구성되고 있다.

12. 자매 도시

체티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22][23]

국가도시
루마니아알바유리아[24]
이탈리아가에타
터키가지안테프
프랑스디종
크로아티아두브로브니크
우크라이나하르키우
러시아코스트로마
키프로스라르나카
세르비아말리 이조시
슬로베니아마리보르
그리스나플리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사라예보의 노보 사라예보
독일뉘른베르크
크로아티아리예카
이탈리아산타 세베리나
알바니아슈코더
루마니아시나이아
크로아티아스플리트
이탈리아스폴레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벨리카 클라두샤
불가리아벨리코 투르노보
헝가리비셰그라드
세르비아브라녜
그리스서아케아이아
이탈리아시에나


참조

[1] 웹사이트 Legenda o nastanku Cetinja http://www.tiho.me/s[...] 2022-06-22
[2] 웹사이트 ŽURNAL U DOLINI BOGOVA: Ovo đe sada stojim neka se zove Cetinje https://zurnal.info/[...] 2014-09-15
[3] 웹사이트 Plavi dvorac, Cetinje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etinje https://www.visit-mo[...] 2022-06-22
[6] 서적 Likovna enciklopedija Jugoslavije https://books.google[...] Zavod 2013-04-26
[7] 서적 Glasnik Srpskog istorijsko-kulturnog društva "Njegoš" https://books.google[...] Njegoš
[8]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Yugoslav peopl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7-24
[9] 서적 Istorija Jugoslavije http://sr.wikisource[...] Narodno Delo 2011-04-27
[10] 서적 As Partisan units entered Cetinje, Podgorica, Niksic, and the Littoral in November 1944, the only remaining inhabitants were people who assumed that they had nothing to hide or nothing to fear. They were swiftly disabused
[11] 서적 ... and summarily shot them at Humci, Cetinje's "New Cemetery"
[12] 뉴스 Direktor policije Crne Gore: Ubijena deca starosti osam i 11 godina https://rs.n1info.co[...] 2022-08-12
[13] 뉴스 Mass Shooting in Montenegro Leaves 11 Dead https://balkaninsigh[...] 2022-08-12
[14] 뉴스 Izbori na Cetinju, Mojkovcu i Petnjici 26. novembra https://web.archive.[...] Vijesti 2017-09-25
[15] 웹사이트 Climate: Cetinje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6
[16]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6
[17]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Crnoj Gori 2011. godine https://www.monstat.[...] MONSTAT 2011-07-12
[18]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19] 웹사이트 Popis 2011 https://www.monstat.[...] 2011-09-29
[20] 서적 Jugoslovenski književni leksikon Matica srpska 1971
[21] 서적 St John's Co-Cathedral – Valletta Heritage Books 2007
[22] 웹사이트 Partnerski gradovi http://www.cetinje.m[...] Cetinje 2019-12-29
[23]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3-01
[24] 웹사이트 Orașe înfrățite cu Alba Iulia https://www.apulum.r[...] Alba Iulia 2022-10-18
[2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Montenegro https://www.venice.c[...] 2019-03-29
[26] 웹사이트 Montenegro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18-06-27
[27]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7〜18 中欧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8] 웹인용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Crnoj Gori 2011. godine https://www.monstat.[...] MONSTAT 2011-07-12
[29] 웹인용 Climate: Cetinje http://195.66.163.23[...]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