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코더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코더르는 알바니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일리리아 왕국의 수도로 언급된 유서 깊은 곳이다. 슈코더르는 슈코더르 호와 알바니아 알프스 산맥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키르 강, 드리니 강, 부나 강에 둘러싸여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지역은 중석기 시대부터 인간의 활동이 있었으며, 일리리아 부족의 중심지이자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향 아래 있었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슈코더르 산자크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근대에 들어서는 알바니아 민족 운동의 거점이 되었으며, 20세기에는 공산 정권 붕괴를 이끄는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현재 슈코더르는 알바니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가공 산업, 교육, 문화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도시 - 티라나
    티라나는 알바니아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오스만 제국 지배와 공산주의 시대를 거쳐 현재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지만, 인구 과밀에 따른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알바니아의 도시 - 라치
    라치는 알바니아어로 습지대를 의미하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 기록되었고 성 안토니오 교회가 위치하며, 축구 선수 카짐 라치와 알바니 가문 등이 이 지역과 관련되어 있다.
슈코더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슈코더르
유형지방 자치체 및 도시
슈코더르 전경
슈코더르 전경
슈코더르 시의 깃발
슈코더르 깃발
슈코더르 시의 문장
슈코더르 문장
별칭북부의 수도
국가알바니아
지역알바니아 북부
슈코더르 주
설립기원전 4세기
면적 (지방 자치 단체)872.71 km²
면적 (행정 구역)16.46 km²
해발 고도13 m
인구 (2023년)102,434명 (지방 자치 단체)
인구 밀도 (지방 자치 단체)117명/km²
인구 (행정 구역)61,633명
인구 밀도 (행정 구역)3,744명/km²
시간대CET (+1)
일광 절약 시간CEST (+2)
우편 번호4000-4017
지역 번호+355 (0) 22
차량 등록 번호SH
웹사이트슈코더르 시 공식 웹사이트
정치
정부 형태시장-시의회
통치 기구슈코더르 시의회
시장베네트 베치
소속 정당PS
추가 정보
에부 베케르 모스크
에부 베케르 모스크
콜레 이드로메노 거리
콜레 이드로메노 거리
로자파 성
로자파 성
슈코더르의 콜레 이드로메노 거리 (2021년)
프란치스코 교회 (콜레 이드로메노 거리에서)
슈코더르를 흐르는 드리니 강
드린 삼각주
슈코더르 호와 알바니아 알프스 산맥
슈코더르 호와 알바니아 알프스

2. 명칭

슈코더르는 고전 문헌에서 일리리아 왕국의 수도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그 이름은 ''Skodra''(고대 그리스어: Σκόδρα, 기원전 2세기 동전에 나타남)와 ''Scodra''(라틴어) 형태였다.[15] Σκόδρα ''Scodra''라는 지명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15] 이 이름은 로마 이전 시대의 것이다. 고대 발칸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kodër|코더르sq(정의된 형태: kodra|코드라sq) '언덕' 및 codru|코드루ro '(숲이 우거진) 산, 숲'과 관련이 있으며, 고대 지명 ''Codrio/Kodrion''과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다.[16]

이 이름의 발전은 알바니아 역사 언어학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일리리아어 ''Σκόδρα'' ''Skodra''에서 알바니아어 ''Shkodra/Shkodër''로의 발전이 알바니아어 내에서 일어난 규칙적인 발전의 증거라고 본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알바니아어 ''Shkodra/Shkodër''가 원시 알바니아어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면 일어났어야 할 특정 음운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5][17][18] 그러나 ''sk'' > ''h'' 및 ''o'' > ''a''의 음운 변화는 원시 알바니아어의 초기 단계에 발생했는데, 이는 초기 그리스어 및 라틴어 차용어를 일반적으로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알바니아와 그리스의 접촉은 기원전 7세기 초부터 시작되었으므로, 원시 알바니아어의 이러한 음운 변화는 슈코더르의 건설(기원전 4세기) 및 그 이름의 사용보다 앞선다. 반면에, ''Shkodër''의 ''o''는 라틴어와의 최초 접촉 이후에 나타났을 것이다.[19][18][20]

현대에는 이 용어가 이탈리아어에서 ''Scodra'' 및 ''Scutari''로 채택되었으며, 이 형태로 20세기까지 영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21]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서는 Shkodër를 ''Skadar'' ()라고 하며, 튀르키예어에서는 ''İşkodra''라고 한다.

겐티우스가 지배했던 헬레니즘화된 슈코더르에서 주조된 동전 이름에 스콘드리논(''SKONDRINON'') ΣΚΟΝΔΡΙΝΩΝ|스콘드리논grc의 전설이 있다.[79] 20세기 초, 슈코더르는 영어로는 이탈리아어 이름 스쿠타리가 사용되었다. 그리스어로는 스쿠타리온(Σκουτάριον)이나 스코드라 (Σκόδρα), 터키어로는 이슈코드라(İşkodra), 세르비아어 및 몬테네그로어로는 슈카다르(Skadar/Скадар) 등이다. 민간 어원에서는 슈코-드린 "Shko-drin"에서 유래되었으며, 알바니아어로는 "드린은 어디로 가는가"를 의미한다. 드린은 실존하는 드린강을 가리키며, 로자파 성을 지난 부근에서 부나강과 합류한다. 다른 설에서는 슈코-코데르"Shko-kodër (Shko në Kodër)"로, 알바니아어로는 "언덕으로 간다"를 의미하며, 도시의 상징이자 도시의 입구이기도 한 로자파 성의 언덕을 나타낸다.

3. 역사

슈코더르는 기원전 3세기 중반까지 일리리아인 부족 아우타리아테스의 수도였다.[82] 고대에는 일리리아인 부족 라베아테스 시대에 언급되었으며, 겐티우스 왕국의 수도이기도 했다.[83] 이후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중요한 무역 및 군사로가 되었고, 로마는 이 도시에 식민지를 건설했다.[84] 일리리쿰 속주, 달마티아 속주를 거쳐 395년에는 프레발리타나 내 다키아 디오케제의 일부가 되었다.

로자파 성의 일리리아인 요새


중세에는 슬라브족이 이주해왔다. 비잔틴 황제 헤라클리우스는 6세기 초 세르비아인에게 슈코더르와 주변 지역을 하사했다. 세르비아인들은 두클랴 공국을 성립시켰고, 슈코더르는 중세 몬테네그로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 10세기 초 이 지역 통치자들은 불가리아 황제를 최고 지배자로 여겼고, 이후 차슬라브 대공이 비잔틴과 불가리아의 지배를 받던 영토를 획득했다. 요반 블라디미르 통치 시대에 두클랴의 수도가 되었으나, 이후 불가리아 군주 사무일에게 함락되었다. 비잔틴은 세르비아 테마를 설치하여 이 지역을 직접 통치했고, 스테판 보이슬라브가 독립을 쟁취한 후 두클랴의 도시로 부활했다. 콘스탄틴 보딘은 슈코더르에서 1101년 십자군을 맞이했다. 12세기 슈코더르는 제타 공국의 영역이 되었고,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건설 중인 슈코더르 대성당 (1867년)


베네치아 지배 후, 1474년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받았고 1478년에는 도시 전체가 포위되었다. 메흐메트 2세가 직접 포위를 지휘했고, 380kg의 포탄이 요새에 포격되었다. 그러나 도시는 저항을 계속했고, 결국 1479년 1월 25일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 양측의 합의에 따라 포위는 종결되었다. 시민들은 무사히 떠났고, 오스만은 파괴된 도시를 점령했다.

1773년에 건축된 납 모스크


오스만 지배 후, 많은 인구가 유출되었으나 17세기에 스쿠타리 산자크의 중심지로 번영하기 시작했다. 알바니아 북부의 경제적 중심이 되어 직물, 비단, 무기, 은세공 등이 생산되었다. 18세기에는 파샤르크의 중심이 되어 부샤티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 후반에는 중요한 교역 중심지이자 스쿠타리 주의 중심이 되었다. 3,500개가 넘는 상점이 있었고, 가죽, 담배, 총기 등이 주요 상품이었다. 1718년부터 외국 영사관이 개설되었고, 오보트, 울치니, 슈웅진이 상업 항구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예수회 신학교와 프란체스코회 공동체가 열렸고, 프리즈렌 동맹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840년대에 건축된 부샤티 도서관은 프리즈렌 동맹의 슈코더르 지부의 중심이 되었다. 최초의 알바니아어 신문과 서적이 슈코더르에서 출판되었고, 1867년 스코페 산자크와 병합되어 스쿠타리 주가 되었다.

발칸 전쟁 당시 오스만 제국령 슈코더르는 몬테네그로 왕국에 점령되었다. 하산 리자 파샤와 에사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군은 7개월 동안 저항했지만,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후 1913년 4월 몬테네그로에 항복했다. 1913년 5월 런던 조약에 의해 알바니아 공국이 발족했다.

콜 이드로메노 거리


새로 놓인 회전교


제1차 세계 대전 때 몬테네그로에 의해 1915년 6월 27일에 점령되었고, 1916년 1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0년 3월 슈코더르는 티라나 정부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1921~1924년에 걸쳐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1924년부터 1939년에 걸쳐 완만한 산업화가 진행되었다. 1990년대 초 엔베르 호자가 수립한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이 종말을 맞이하면서 다시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2000년대, 슈코더르시는 재건이 진행되었고, 2010년 12월에는 최악의 홍수 피해를 경험했다.[86] 2011년에는 부나 강에 인접한 오래된 다리 대신 새로운 회전교가 가설되었다. 2022년 11월 20일, 집중 호우로 인해 다수의 강이 범람하여 주택과 사회 기반 시설에 피해가 발생했다.[87]

3. 1. 고대

로자파 성 요새의 모습


슈코더르 지역에서 인간 활동의 가장 초기 흔적은 중기 구석기 시대(120,000–30,000년 전)로 거슬러 올라간다.[22] 발굴된 유물과 동물 유해는 슈코더르 지역의 최초 거주민이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수렵 채집인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23] 신석기 시대 농부들이 존재했다는 증거도 유물을 통해 확인된다. 동기와 초기 청동기 시대는 슈코더르를 포함한 동부 아드리아해 연안 지역의 사회적 진화에 중요한 분수령이었으며, 이 시기에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복잡한 역사적, 민족 발생적, 문화적 과정이 시작되었다. 이는 슈코더르의 점령과 발전의 첫 단계를 나타낸다. 집약적으로 정착한 슈코더르 분지의 주민들은 도자기를 생산하고 농업을 실천했으며 금속 도구를 제조했다.[24] 슈코더르의 초기 청동기 시대 문화는 체티나 문화처럼 동부 아드리아해 연안과 그 배후 지역의 문화와 많은 유사점을 보이며, 알바니아 남동부 말리크의 초기 청동기 시대 문화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발달된 초기 청동기 시대에는 고분 매장이라는 새로운 관습이 나타났는데, 이는 인도유럽어족의 이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중기 및 후기 청동기 시대에는 이 지역의 정착지와 지역 간 상호 작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후기 청동기 시대에 슈코더르 분지의 주민들은 이탈리아 또는 그리스 북서부와 접촉했다. 청동기 시대 말과 철기 시대 초(기원전 1100–800년)에 슈코더르 지역에는 크고 결속력 있고 상당히 동질적인 문화 집단이 이미 형성되었으며, 이는 후대의 역사적 자료에서 '라베아테 부족'으로 언급되었다.[25]

평야와 호수 주변의 비옥한 환경은 고대 초기에 사람들을 이곳으로 이끌었다. 로자파 성에서 발견된 유물과 비문은 도시에서 인간의 상징적 행동의 가장 초창기 사례로 추정된다. 일리리아 부족인 라베아테스와 아르디아에이가 현대 알바니아에서 크로아티아에 이르는 넓은 영토를 지배했으며, 스코드라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26][27][28] 아그론 왕, 테우타 여왕, 겐티우스 왕은 아르디아에이의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였다.

이 도시는 고대 시대에 일리리아의 라베아테스가 동전을 주조하고 테우타 여왕이 있던 곳으로 처음 언급되었다.[29] 기원전 168년에 이 도시는 로마인에게 점령되었고 중요한 무역 및 군사로가 되었다. 로마인들은 이 도시를 식민지화했다.[30] 스코드라는 일리리쿰 속주에, 이후에는 달마티아에 속해 있었다. 395년 경에는 프라에발리타나 내의 다키아 교구의 일부였다.

3. 2. 중세



중세 시대에 슬라브족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비잔틴 황제 헤라클리우스는 6세기 초 세르비아인에게 슈코더르와 주변 지역을 하사했다. 세르비아인들은 곧 비잔틴의 보호를 받으며 두클랴 공국을 성립시켰다. 슈코더르는 중세 몬테네그로의 주요 도시였다. 두클랴는 북쪽 주변 지역을 지배했으며, 라스키아(Rascia)는 중세 세르비아의 영역이었다. 10세기 초, 이 지역의 통치자들은 불가리아 황제를 최고 지배자로 여겼다. 클로니미로비치 가문의 차슬라브 대공(Časlav Klonimirović)은 비잔틴과 불가리아의 지배하에 있던 영토를 획득했다. 슈코더르는 요반 블라디미르 통치 시대에 곧바로 두클랴의 수도가 되었다. 10세기 후반, 알바니아 부족의 반란으로부터 도시를 방어했다. 이후 도시는 불가리아 군주 사무일에게 함락되었다.

비잔틴은 이후 이 지역을 제국이 직접 통치하게 했고, 테마 제도인 세르비아 테마가 설치되어 콘스탄틴 디오게네스(Constantine Diogenes)에 의해 통치되었다. 트라부니아(Travunia)에서 도망온 스테판 보이슬라브(Stefan Voislav)와 비잔틴은 전투를 벌였지만, 11세기 초 독립을 유지했다. 이후 두클랴의 도시로 부활하여, 두클랴 왕 콘스탄틴 보딘은 슈코더르에서 1101년 십자군을 맞이했다. 이후 많은 왕조가 패권을 다투었고, 12세기 슈코더르는 중세 세르비아의 일부인 제타 공국의 영역이 되었다. 그 후, 주변 지역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고, 오스만 제국과 많은 알바니아 부족에 대한 저항으로 통합되었다.

3. 3. 오스만 제국 시기

메시 다리(Mesi Bridge)는 1770년에 건설되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긴 오스만 제국 시대의 다리 중 하나이다.


두 번의 공성전을 거치면서 슈코더르는 오스만 영토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이곳은 산자크의 중심지가 되었고, 1485년에는 27개의 무슬림 가구와 70개의 기독교 가구가 있었지만, 다음 세기 말에는 각각 200개 이상의 무슬림 가구와 27개의 기독교 가구가 있었다.[35]

1478년 오스만 제국의 군사 기동으로 인해 도시는 다시 오스만 군대에 완전히 포위되었다. 메흐메트 2세는 직접 공성전을 지휘했다. 현장에서 약 10개의 중포가 주조되었다. 380kg에 달하는 포탄이 요새에 발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는 저항했다. 메흐메트는 현장을 떠나 그의 지휘관들에게 공성전을 계속하도록 했다. 겨울이 되자 오스만 군은 레자, 드리슈트, 자블랴크 크르노예비차 등 인접한 모든 성을 하나씩 점령했다. 이는 기근과 끊임없는 포격과 함께 수비군의 사기를 떨어뜨렸다. 반면, 오스만 군은 완강한 저항에 이미 좌절하고 있었다. 성은 자연적으로 보호된 언덕에 위치해 있었고, 모든 공격 시도는 공격자에게 상당한 사상자를 냈다. 휴전이 양측 모두에게 선택지가 되었다. 1월 25일,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협정이 공성전을 종식시켜 시민들이 무사히 떠날 수 있도록 하고 오스만군이 버려진 도시를 점령하도록 했다.

슈코더르의 원경, 로자파 성이 바위산 위에 위치 - 17세기




오스만 지배가 확고해진 후 많은 사람들이 도망쳤다. 17세기경, 이 도시는 슈코더르 산자크(산자크빌라예트보다 작은 오스만 행정 구역)의 중심지로서 번영하기 시작했다. 이곳은 북부 알바니아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고, 장인들은 직물, 비단, 무기, 은 세공품을 생산했다. 건설에는 2층 석조 가옥, 수크, 18세기 후반에 건설된 키르 강 위의 중앙 또는 중간 다리(Ura e Mesit)가 포함되었으며, 길이는 100m가 넘고, 13개의 석조 아치(가장 큰 아치는 너비 22m 및 높이 12m)로 구성되었다.

슈코더르는 오스만 통치 하의 동남 유럽의 주요 도시였다. 이곳은 20세기 초 발칸 반도에서 제국 통치가 끝날 때까지 중요성을 유지했다. 이는 아드리아 해와 이탈리아 항구, 그리고 다른 중요한 오스만 중심지인 프리즈렌으로 이어지는 육로와 직접 연결되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이다. 이 도시는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 온 다양한 문화, 이탈리아 상인에 의한 서방의 영향력의 중요한 만남의 장소였다. 이곳은 지역의 이슬람교 중심지였으며, 특히 부샤티 가문 출신의 많은 울라마, 시인, 행정가를 배출했다.

18세기에는 슈코더르가 부샤티 가문의 통치 하에 있는 슈코더르 파샬리크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1757년부터 1831년까지 통치했다.

19세기 후반에 슈코더르가 무역 중심지로서 중요성을 갖게 된 것은 슈코더르 빌라예트의 중심지였고, 발칸 반도 전체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3,500개 이상의 상점이 있었으며, 의류, 가죽, 담배, 화약이 슈코더르의 주요 제품이었다. 무역, 무역 법원, 다른 국가와의 우편 서비스 관리국을 처리하기 위해 특별 행정부가 설립되었다. 다른 국가들은 1718년부터 슈코더르에 영사관을 개설했다. 오보트와 울치니는 슈코더르의 항구 역할을 했고, 나중에는 셰인지(San Giovanni di Medua)가 그 역할을 했다. 예수회 신학교와 프란체스코회 위원회가 19세기에 개설되었다.

무스타파 파샤 부샤틀리우의 반란 이후 슈코더르는 오스만군에 의해 6개월 이상 포위되었고, 마침내 1831년 11월 10일 알바니아 저항을 뚫을 수 있었다. 1833년경, 약 4,000명의 알바니아 반군이 다시 도시를 점령하여 4월에서 12월까지 오스만군을 저지했으며, 오스만 정부가 마침내 반란에 종지부를 찍고 그들의 요구에 굴복할 때까지 이스탄불에 대표단을 보내기도 했다.

1867년 이전에 슈코더르(İşkodra)는 오스만 제국의 루멜리아 에야레트의 산자크였다. 1867년에 슈코더르 산자크는 스코페(Üsküp) 산자크와 합병되어 슈코더르 빌라예트가 되었다. 슈코더르 빌라예트는 슈코더르, 프리즈렌, 디브라 산자크로 분할되었다. 1877년에 프리즈렌은 코소보 빌라예트로, 데바르는 모나스티르 빌라예트로 이동했고, 두러스 읍은 산자크가 되었다. 1878년 바르와 포드고리차 읍은 몬테네그로에 속했다. 오스만-알바니아 지식인 사미 프라셰리는 1880년대에 슈코더르의 인구가 37,000명으로 추산했으며, 그 중 4분의 3이 무슬림이고 나머지는 주로 카톨릭과 수백 명의 정교회 신자로 구성되었다.[37] 1900년에 슈코더르 빌라예트는 슈코더르와 두러스 산자크로 분할되었다.

제1차 발칸 전쟁 당시의 슈코더르


슈코더르는 프리즈렌 동맹으로 알려진 알바니아 해방 운동 기간 동안 중요한 역할을 했다. 슈코더르 사람들은 알바니아 땅을 지키기 위한 전투에 참여했다. 자체 무장 부대를 갖춘 슈코더르의 프리즈렌 동맹 지부는 플라브구시네, 호티, 그루다를 보호하기 위해 싸웠으며, 울친을 보호하기 위한 전쟁도 벌였다. 1840년대에 건설된 부샤티 도서관은 슈코더르의 프리즈렌 동맹 지부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슈코더르에서 활동하는 가톨릭 선교사들의 도서관에는 많은 책들이 수집되었다. ''바쉬키미''(연합)와 ''아기미''(새벽)와 같은 문학, 문화, 스포츠 협회가 결성되었다. 알바니아에서 인쇄된 최초의 알바니아 신문과 간행물은 슈코더르의 인쇄기에서 나왔다. 마루비 사진 작가 가문은 슈코더르에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알바니아 해방 운동, 블로러에서 알바니아 국기의 등장,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알바니아 마을의 삶을 담은 15만 장 이상의 사진 원판을 남겼다.

발칸 전쟁 동안 슈코더르는 몬테네그로 왕국에 의해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면서 한 점령에서 다른 점령으로 넘어갔다. 하산 리자 파샤와 에사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군은 몬테네그로군과 세르비아 동맹군의 포위 공격에 7개월 동안 저항했다. 에사드 (하산은 이전에 에사드 토프타니에 의해 도시 내 매복에서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는 1913년 4월 몬테네그로가 10,0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내며 막대한 피해를 입은 후 마침내 몬테네그로에 항복했다. 에디스 더럼은 또한 1913년 10월 이후 몬테네그린에게 당한 잔혹 행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자코보와 그 주변에서 수천 명의 난민들이 도착했다. 몬테네그로의 희생자들이다. 나의 입장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고통스러웠다. 왜냐하면 나는 남은 자금이 없었고, 여자들이 내게 와서 울며 말했다. '내 아이에게 먹을 것을 주지 않으면 강에 던져주세요. 저는 아이가 굶어 죽는 것을 볼 수 없습니다.'"[38] 몬테네그로는 1913년 런던 회담에 따라 1913년 5월 새로운 국가인 알바니아에 도시를 넘겨주어야 했다.

3. 4. 근현대



두 번의 공성전을 거치면서 슈코더르는 오스만 제국 영토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1478년 오스만 제국의 군사 기동으로 도시는 다시 오스만 군대에 완전히 포위되었다. 메흐메트 2세는 직접 공성전을 지휘했다. 현장에서 약 10개의 중포가 주조되었고, 380kg에 달하는 포탄이 요새에 발사되었다.[35]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는 저항했다. 겨울이 되자 오스만군은 레자, 드리슈트, 자블랴크 크르노예비차 등 인접한 모든 성을 하나씩 점령했다. 이는 기근과 끊임없는 포격과 함께 수비군의 사기를 떨어뜨렸다. 1월 25일,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협정으로 공성전이 종식되어 시민들이 무사히 떠날 수 있도록 하고 오스만군이 버려진 도시를 점령하도록 했다.

오스만 지배가 확고해진 후 많은 사람들이 도망쳤다. 17세기경, 이 도시는 슈코더르 산자크(산자크빌라예트보다 작은 오스만 행정 구역)의 중심지로서 번영하기 시작했다. 이곳은 북부 알바니아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고, 장인들은 직물, 비단, 무기, 은 세공품을 생산했다. 건설에는 2층 석조 가옥, 수크, 18세기 후반에 건설된 키르 강 위의 중앙 또는 중간 다리(Ura e Mesit)가 포함되었으며, 길이는 100m가 넘고, 13개의 석조 아치(가장 큰 아치는 너비 22m 및 높이 12m)로 구성되었다.

슈코더르는 오스만 통치 하의 동남 유럽의 주요 도시였다. 이곳은 20세기 초 발칸 반도에서 제국 통치가 끝날 때까지 중요성을 유지했다. 이 도시는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 온 다양한 문화, 이탈리아 상인에 의한 서방의 영향력의 중요한 만남의 장소였다. 이곳은 지역의 이슬람교 중심지였으며, 특히 부샤티 가문 출신의 많은 울라마, 시인, 행정가를 배출했다. 18세기에는 슈코더르가 부샤티 가문의 통치 하에 있는 슈코더르 파샬리크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1757년부터 1831년까지 통치했다.

19세기 후반에 슈코더르가 무역 중심지로서 중요성을 갖게 된 것은 슈코더르 빌라예트의 중심지였고, 발칸 반도 전체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3,500개 이상의 상점이 있었으며, 의류, 가죽, 담배, 화약이 슈코더르의 주요 제품이었다. 무역, 무역 법원, 다른 국가와의 우편 서비스 관리국을 처리하기 위해 특별 행정부가 설립되었다. 다른 국가들은 1718년부터 슈코더르에 영사관을 개설했다. 오보트와 울치니는 슈코더르의 항구 역할을 했고, 나중에는 셰인지(San Giovanni di Medua)가 그 역할을 했다. 예수회 신학교와 프란체스코회 위원회가 19세기에 개설되었다.

무스타파 파샤 부샤틀리우의 반란 이후 슈코더르는 오스만군에 의해 6개월 이상 포위되었고, 마침내 1831년 11월 10일 알바니아 저항을 뚫을 수 있었다. 1833년경, 약 4,000명의 알바니아 반군이 다시 도시를 점령하여 4월에서 12월까지 오스만군을 저지했으며, 오스만 정부가 마침내 반란에 종지부를 찍고 그들의 요구에 굴복할 때까지 이스탄불에 대표단을 보내기도 했다.

1867년 이전에 슈코더르는 오스만 제국의 루멜리아 에야레트의 산자크였다. 1867년에 슈코더르 산자크는 스코페(Üsküp) 산자크와 합병되어 슈코더르 빌라예트가 되었다. 1877년에 프리즈렌은 코소보 빌라예트로, 데바르는 모나스티르 빌라예트로 이동했고, 두러스 읍은 산자크가 되었다. 1878년 바르포드고리차 읍은 몬테네그로에 속했다. 오스만-알바니아 지식인 사미 프라셰리는 1880년대에 슈코더르의 인구가 37,000명으로 추산했으며, 그 중 4분의 3이 무슬림이고 나머지는 주로 가톨릭과 수백 명의 정교회 신자로 구성되었다.[37] 1900년에 슈코더르 빌라예트는 슈코더르와 두러스 산자크로 분할되었다.

발칸 전쟁 당시 오스만 제국령 슈코더르는 몬테네그로 왕국에 점령되었고, 오스만 제국은 패배했다. 하산 리자 파샤와 에사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군은 슈코더르 주변에서 7개월 동안 몬테네그로군과 세르비아의 포격에 저항했다. 하산과 에사드는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으며, 하산이 어떻게 사망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후 1913년 4월 몬테네그로에 항복했다. 1913년 5월 런던 조약에 의해 새로운 알바니아 공국이 발족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다시 몬테네그로 세력에 의해 슈코더르는 1915년 6월 27일에 점령되었다. 1916년 1월 슈코더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0년 3월 슈코더르는 티라나 정부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1920년대 후반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군사적 위협에 노출되었다. 1921-1924년에 걸쳐 슈코더르는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민주주의는 헌법 의회에서 반대표가 다수를 차지하면서 민주화 세력은 마을을 점령하고 티라나로 향했다. 1924년부터 1939년에 걸쳐 슈코더르에서는 완만한 산업화가 진행되어 소규모 식품, 섬유, 시멘트 공장이 설립되었다. 1924년에는 43개였지만 1938년에는 70개가 되었다. 1924년 당시 슈코더르에는 20,000명이 거주했으며, 1938년에는 29,000명이었다. 슈코더르에는 가톨릭 교회의 슈코더르 대주교가 있으며, 많은 종교 학교가 있다. 첫 번째 학교는 1913년에 개교했고, 1922년에 국립 김나지움이 개교했다. 1990년대 초 슈코더르는 다시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엔베르 호자가 수립한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은 종말을 맞이했다.

2000년대, 슈코더르시는 재건이 진행되어 시의 주요 도로가 재포장되고 건물도 재도색되었으며 도로의 명칭도 개명되었다. 2010년 12월에는 지난 100년 동안 최악의 홍수 피해를 경험했다.[86] 2011년에는 부나 강에 인접한 오래된 다리 대신 새로운 회전교가 가설되었다.

2022년 11월 20일, 집중 호우로 인해 다수의 강이 범람했다. 수백 헥타르가 침수되었고 주택과 사회 기반 시설에 피해가 발생했다.[87]

4. 지리

슈코더르는 지중해성 기후(Csa)와 온난 습윤 기후(Cfa)의 경계에 위치한다. 연평균 기온은 14.5°C에서 16.8°C 사이이며, 1월 평균 기온은 1.7°C에서 9°C 사이, 7월 평균 기온은 20°C에서 32°C 사이이다. 연간 평균 강수량은 2000mm로 유럽에서 가장 습한 도시 중 하나이며, 노르웨이베르겐과 비교할 만하다.[88]

4. 1. 기후

슈코더르는 고온 여름 지중해성 (쾨펜: ''Csa'')과 습윤 아열대 (쾨펜: ''Cfa'') 기후의 경계에 있다.[48] 월평균 기온은 1월 1.8°C에서 10.3°C 사이, 8월 20.2°C에서 33.6°C 사이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471.5mm로, 이 지역은 유럽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0.3°C12.4°C15.8°C19.5°C24.4°C29.3°C32.9°C33.6°C27.7°C22.1°C16.1°C11.3°C21.4°C
평균 최저 기온 (°C)1.8°C3.3°C6.1°C9.4°C13.4°C17.2°C19.1°C20.2°C16°C11.7°C7.6°C3.7°C10.9°C
평균 강수량 (mm)130.3mm138.3mm140.1mm127.2mm82.9mm35.8mm42.7mm37.5mm161.8mm167.7mm212.5mm188mm1471.5mm
평균 강수일수 (≥ 1.0 mm)9.319.6310.6510.049.024.203.413.907.369.2311.9010.7699.40
출처 1: 미국 해양대기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51년~현재)[93] 출처 2: meteo-climat-bzh[94][95]


5. 인구

슈코더르의 인구 변화[91][92]
연도인구변화율(%)
1918년[91]22,631-
1923년[92]23,784+5.1%
1930년[92]29,209+22.8%
2011년[90]77,075+163.9%


6. 문화

슈코더르는 북알바니아의 수도이자 문화적 요람으로, 게게리아라고도 불린다. 이곳은 알바니아 르네상스에 기여한 저명한 인물들의 출생지이자 고향이었다.[3][69] 슈코더르 주민 대부분은 다른 알바니아 방언과는 다른 북서부 게그 알바니아어의 독특한 방언을 사용한다.[70] 알바니아 도시 음악의 발전에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특징적인 악기 사용과 작곡 스타일로 특징지어진다.[71]

슈코더르시는 알바니아에서 이슬람 학자, 문화, 문학 활동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아랍어, 터키어, 이슬람학에 대한 고등 교육을 제공하는 알바니아 유일의 기관이 있다.[68] 알바니아의 로마 가톨릭교의 중심지로, 로마 가톨릭 교회는 슈코더르 대성당에 주교좌가 있는 메트로폴리탄 슈코더르-풀트 로마 가톨릭 대교구의 주교좌로 대표된다.

블라즈니아 클럽은 슈코더르를 연고지로 하는 알바니아의 프로 축구팀이며, 알바니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팀 중 하나이다. 슈코더르는 교육과 산업의 중요한 중심지이며, 다양한 기계 제품, 섬유, 식품 등을 생산한다. 루이지 그라쿠치 대학교는 알바니아에서도 저명한 학문의 중심 중 하나이다. 슈코더르 공공 도서관에는 25만 권 이상의 장서가 있으며, 문화 센터, 말비 포토 아카이브, 예술가 작가 협회, 알바니아 시인 ''밀로시 제르지 니콜라''(Millosh Gjergj Nikolla)를 기리는 미제니 극장, 미술관 등 다양한 협회와 시설이 있다.

카니발, 어린이 페스타, 호수의 날, 슈코더르 재즈 페스트 등 많은 행사도 열린다.

6. 1. 주요 문화 유적

일리리아 군주의 거주지이자 군사 요새로서 슈코더르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로자파 성은 슈코더르 남쪽에 있다. 이 성의 기원은 성을 건설하기 위해 희생한 여성에 대한 전설과 관련이 있다.[72][73] 19세기의 기념비적인 저택인 오소 쿠카의 집에 자리 잡고 있는 슈코더르 역사 박물관은 슈코더르 지역 전체의 유물을 보호하고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전시하기 위해 설립된 슈코더르에서 가장 중요한 박물관이다.[3][74] 콜레 이드로메노 거리에 있는 마루비 국립 사진 박물관은 1850년부터 알바니아의 사회, 문화 및 정치 생활을 보여주는 방대한 시각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3][75][76]

마루비 국립 사진 박물관(Marubi National Museum of Photography) 콜레 이드로메노 거리


부나강 유역의 로자파 성


슈코더르의 건축과 도시 개발은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북알바니아에서 중요하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가진 많은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그들 중 다수는 문화 유산을 남겼다. 에부 베케르 모스크, 파티흐 술탄 메흐메트 모스크, 프란체스코 교회, 납 모스크, 탄생 성당, 성 스테판 성당은 슈코더르의 가장 유명한 종교 건물이다. 다른 주요 기념물로는 드리슈트 성, 메시 다리, 슈르다흐 섬의 유적이 있다.

로자파 성은 제1차 발칸 전쟁 당시 오스만 제국 장군 하산 파샤와 에사드 파샤가 방어했을 때 유명해졌다. 로자파 성은 일리리아인이 통치하던 시대에 지어졌으며, 약속을 지키기 위한 전설이 생겨났다. 로자파는 세 형제 중 막내의 신부였으며, 매일 밤 성을 파괴하러 오는 악마를 쫓아내기 위해 벽에 갇혀 살았다. 주 출입구의 돌에 흐르는 석회질 물은 전설에 따르면 로자파의 가슴에서 나온 젖과 연결되어 있으며, 로자파의 소원에 따라 갓 태어난 아이를 왼쪽에서 돌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아이를 위해 바위를 요람으로 사용하여 팔로 안아 재울 수 있기를 바랐다. 고대 벽 안쪽에는 역사와 성의 전설을 전문으로 하는 박물관이 있다.

그 외에 흥미로운 역사적 장소는 슈코더라에서 동쪽으로 약 15킬로미터 떨어진 드린강 댐 호수에 떠 있는 슈르다흐 섬이다. 섬으로는 바우 이 데요스 댐에서 약 16킬로미터 거리를 모터보트로 이동한다. 섬에는 5헥타르의 언덕이 있으며, 한때 유력한 두카지니 가문의 여름 별장이었다. 또한, 슈코더라의 동쪽 5킬로미터에는 중세 시대의 드리슈트 성(Drisht Castle)이 있다.

7. 경제

슈코더르의 가공 산업은 주로 담배 가공 및 제조, 통조림 식품, 설탕 기반 식품, 청량 음료 및 알코올 음료, 파스타, 빵, 쌀, 식물성 기름 생산이었다. 섬유 산업은 의류 및 실크 제품에 집중되었다. 또한 목재 가공 및 제지 공장도 있었다. 가장 중요한 기계 공학 산업은 철사 제조, 엘리베이터 제조, 버스 조립, 드리니 공장과 관련이 있었다.[59]

세계 은행에 따르면 슈코더르는 최근 몇 년 동안 경제가 크게 개선되었다. 2016년 슈코더르는 동남 유럽 22개 도시 중 8위를 기록했다.[60]

북부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도시인 슈코더르는 알바니아 수도 티라나와 몬테네그로 수도 포드고리차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 연결 지점이다. SH1은 한 이 호티 국경 검문소에서 알바니아-몬테네그로 국경으로 이어진다. 티라나에서 캄자 우회로를 지나 북쪽으로 가면 푸셰-크루야, 밀로트, 레자, 슈코더르, 코플리크를 통과한다. 몬테네그로 국경의 하니 이 호티와 슈코더르 사이의 도로는 2013년에 편도 표준으로 완공되었다. 슈코더르 우회로는 2010년 알바니아 홍수 이후 시작되었으나, 슈코더르 호수에 대한 방어 댐 건설 계획이 몇 년 후 중단되면서 공사도 중단되었다. 이 도로는 밀로트까지 편도로 계속 이어지며 통제되지 않고 위험한 진출입 지점이 있다. SH5는 슈코더르에서 모린으로 시작된다.

슈코더르는 교육과 산업의 중요한 중심지이며, 다양한 기계 제품, 섬유, 식품 등을 생산한다. 루이지 그라쿠치 대학교는 알바니아에서도 저명한 학문의 중심 중 하나이다.

8. 국제 관계

슈코더르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54][55][56][57][58]

국가도시
Цетиње|체티네cnr체티네
Knin|크닌hr크닌
Pécs|페치hu페치
Üsküdar|위스퀴다르tr위스퀴다르
Zeytinburnu|제이틴부르누tr제이틴부르누
Prizreni|프리즈렌sq프리즈렌
Ulcinj|울친cnr울친
Gjakova|자코바sq자코바


참조

[1] 웹사이트 Pasaporta e Bashkisë Shkodër https://portavendore[...] Porta Vendore 2021-09-24
[2] 웹사이트 Bashkia Shkoder https://aam.org.al/e[...] Albanian Association of Municipalities (AAM) 2020-10-12
[3] 웹사이트 Profili i Bashkisë Shkodër http://www.bashkiash[...] Bashkia Shkodër 2021-09-24
[4]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instat.g[...]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5] 웹사이트 Shkodër 2020-09-21
[6] 서적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a Northern Albanian Province: Results of the Projekti Arkeologjik i Shkodrës (PASH): Volume One: Survey and Excavation Resul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7] 웹사이트 Hapësira Periurbane e Shkodrës: Përdorimi i Territorit dhe Veçoritë e Zhvillimit Social-Ekonomik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irana 2021-09-16
[8] 서적 Oppo e 3 ricerche su Pomezia Gangemi 2020-11-15
[9] 서적 L'Illyrie Méridionale et l'Épire dans l'Antiquité – VI Diffusion De Boccard
[10] 웹사이트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S OF TOURISM, A CASE OF SHKODRA, ALBANIA. http://www.dukagjini[...] University of Shkodra 2020-09-21
[11] 서적 Battles of the Greek and Roman Worlds: A Chronological Compendium of 667 Battles to 31Bc, from the Historians of the Ancient World (Greenhill Historic Series)
[12] 서적 Die alten balkanillyrischen geographischen Namen auf Grund von Autoren und Inschriften
[13] 문서 Ptolemy, Geographia II.16.; Polybius, Histories, XXVII.8.
[14] 서적 The Illyrians Wiley
[15] 문서 Matzinger 2009a, pp=22–24; Albanian translation: Matzinger 2009b, pp=23–25.
[16] 서적 Confluențe și etimologii https://books.google[...] Polirom
[17] 간행물 Die Frage nach dem Entstehungsgebiet der albanischen Sprache
[18] 서적 Prejardhja e shqiptarëve nën dritën e dëshmive të gjuhës shqipe
[19] 논문 Slavic-Albanian Language Contact, Convergence, and Coexistence https://web.archive.[...] The Ohio State University 2023-01-29
[20] 문서 Origins: Serbs, Albanians and Vlachs
[21] 문서 Scutari
[22] 문서 Polybius https://www.perseus.[...]
[23] 문서 Titus Livius https://www.perseus.[...]
[24]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25] 서적 The Illyrians
[26] 문서 The Illyrians
[27] 서적 Ditët e mbrame të Turqisë në Shkodër ase Rrethimi i Qytetit 1912-1913 Botime Françeskane
[28] 문서 Koti 2006
[29] 문서 Fine 1991
[30]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31] 서적 Vuk Branković https://books.google[...] Knjiga-komerc 2013-04-20
[32] 서적 Srbija i Rimokatolička crkva u srednjem veku https://books.google[...] Bagdala 2013-12-21
[33] 서적 Svi vladari Srbije https://books.google[...] Narodna biblioteka "Resavska škola" 2013-12-21
[34] 서적 Statutet e Shkodrës : në gjysmën e parë të shekullit XIV me shtesat deri më 1469 = Statuti di Scutari della prima metà del secolo XIV con le addizioni fino al 1469 http://worldcat.org/[...] Shtëpia Botuese Onufri 2010
[35] 문서 Is̲h̲ḳodra http://referencework[...] Brill Online 2012-01-02
[36] 웹사이트 Albania in the Painting of Edward Lear (1848) http://www.albaniana[...]
[37] 서적 The Crescent and the Eagle: Ottoman rule, Islam and the Albanians, 1874–1913 https://books.google[...] IB Tauris
[38] 문서 Twenty Years of Balkan Tangle: M. [[Edith Durham]]
[39] 서적 Kujtime 1885-1925 IDK
[40] 서적 Shkodranët e 7 prillit dhe të 29 nëntorit Reklama
[41] 서적 King Zog of Albania : Europe's Self-Made Muslim Monarch New York University Press
[42] 뉴스 Nato joins Albania rescue effort after Balkan floods https://www.bbc.co.u[...] 2010-12-06
[43] 웹사이트 Pasaporta e Bashkisë Shkodër https://portavendore[...] Porta Vendore 2021-09-24
[44] 웹사이트 Bashkia Shkoder https://aam.org.al/e[...] Albanian Association of Municipalities (AAM) 2020-10-12
[45] 웹사이트 Profili i Bashkisë Shkodër http://www.bashkiash[...] Bashkia Shkodër 2021-09-24
[46] 웹사이트 The list of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http://www.ramsar.or[...] Ramsar 2010-08-04
[47] 논문 'A new freshwater snail genus (Hydrobiidae, Gastropoda) from Montenegro, with a discussion on gastropod diversity and endemism in Skadar Lake'
[48] 웹사이트 Bashkia e Shkodrës http://www.flag-al.o[...]
[49] 웹사이트 Shkodër (13622) - WMO Weather Station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2022-06-26
[50] 웹사이트 moyennes 1991/2020 http://meteo-climat-[...]
[51] 웹사이트 STATION SHKODRA http://meteo-climat-[...]
[52] 웹사이트 A new Urban–Rural Classification of Albanian Population https://www.instat.g[...]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INSTAT) 2014-05
[53] 웹사이트 Law nr. 115/2014 https://www.vendime.[...] 2022-02-25
[54] 웹사이트 Partnerski gradovi http://www.cetinje.m[...] Cetinje 2021-03-09
[55] 웹사이트 Gradovi prijatelji http://www.knin.hr/g[...] Knin 2021-03-09
[56] 웹사이트 Binjakëzim mes Shkodrës dhe qytetit Pec në Hungari https://ata.gov.al/2[...] Agjencia Telegrafike Shqiptare 2018-10-12
[57] 웹사이트 Kardeş Şehirler https://www.uskudar.[...] Üsküdar 2020-02-11
[58] 웹사이트 Zeytinburnu Belediyesi Yurt Dışı Kardeş Belediyeleri http://www.zeytinbur[...] Zeytinburnu 2021-03-09
[59] 웹사이트 Welcome to World Bank Intranet http://siteresources[...]
[60] 웹사이트 Economy http://www.doingbusi[...]
[61] 서적 Albania: Family, Society and Culture in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2
[62] 서적 Shkodra Family and Urban Life (1918 - 1939) https://books.google[...] LIT Verlag 2021-11-30
[63] 웹사이트 Cities of Albania http://pop-stat.mash[...]
[64]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Shkodër (2011)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INSTAT) 2020-10-11
[65] 웹사이트 A new Urban–Rural Classification of Albanian Population https://www.instat.g[...]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INSTAT) 2014-05
[66] 웹사이트 Law nr. 115/2014 https://www.reformat[...] Fletorja Zyrtare e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2020-09-28
[67] 웹사이트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Shkodër (2011)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INSTAT) 2020-10-11
[68] 서적 Islam in the Balkans: Religion and Society Between Europe and the Arab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3
[69] 서적 Die Reise durch Albanien und andere Prosa https://books.google[...] Arche Verlag
[70] 웹사이트 Albanian Dialects: Introduction http://dialects.alba[...]
[71] 웹사이트 Albanian Traditional Music An Introduction, with Sheet Music and Lyrics for 48 Songs https://www.galabri.[...] McFarland & Company 2021-10-16
[72] 웹사이트 Rozafa Fortress https://www.lonelypl[...] Lonely Planet 2021-10-15
[73] 서적 In Her Footsteps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Global Limited 2020-02
[74] 웹사이트 The Museum: History https://muzeuhistori[...] Historical Museum of Shkodër 2021-10-15
[75] 웹사이트 About us https://marubi.gov.a[...] Marubi National Museum of Photography 2021-10-15
[76] 웹사이트 Marubi National Photography Museum https://www.lonelypl[...] Lonely Planet 2021-10-15
[77]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Albania http://census.al/Res[...] Institute of Statistics of Albania 2019-01-03
[78] 서적 "西方に開かれた歴史ある都市」/ 柴宣弘編著『バルカンを知るための65章" 明石書店 2005
[79] 서적 The Illyrians 1992
[80] 웹사이트 Polybius http://www.perseus.t[...]
[81] 웹사이트 Titus Livius http://www.perseus.t[...]
[82]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83] 서적 The Illyrians 1992
[84] 서적 The Illyrians
[85] 문서 Twenty Years of Balkan Tangle
[86] 뉴스 Nato joins Albania rescue effort after Balkan floods http://www.bbc.co.uk[...]
[87] 웹사이트 アルバニア北西部で水害、モスクも浸水 https://www.afpbb.co[...] AFP 2022-11-28
[88] 웹사이트 http://www.shkoder.c[...]
[89] 문서 Scutari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90] 웹인용 Censusi i popullsisë dhe banesav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Shkodër (2011)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2020-10-11
[91] 서적 Albania: Family, Society and Culture in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2
[92] 서적 Shkodra Family and Urban Life (1918 - 1939) https://books.google[...] LIT Verlag 2021-11-30
[93] 웹인용 Shkodër (13622) - WMO Weather Station https://www.ncei.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2-06-26
[94] 웹인용 moyennes 1991/2020 http://meteo-climat-[...]
[95] 웹인용 STATION SHKODRA http://meteo-clim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