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 하이두크 쿨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K 하이두크 쿨라는 세르비아 쿨라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912년 쿨라 육상 축구 클럽(KAFK)으로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체와 재창단을 거쳐 1949년 하이두크라는 이름을 되찾았으며, 유고슬라비아 리그에서 활동했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로 승격되었고, 1990년대에는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도 UEFA 인터토토컵에 진출하기도 했다. 2005년 이후 재정난을 겪다 2013년 수페르리가에서 사퇴하고 1군을 해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없어진 축구단 - FK 바나트 즈레냐닌
FK 바나트 즈레냐닌은 2006년 두 축구 클럽의 합병으로 창단된 세르비아 클럽으로, 수페르리가에 참가했으나 강등과 재정난을 겪으며 2016년 해체되었다. - 세르비아의 없어진 축구단 - FK 야고디나
FK 야고디나는 1906년 세르비아에서 시작된 축구 클럽으로, 여러 이름 변경과 합병을 거쳐 1962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2013년 세르비아 컵에서 우승했다. - 2013년 해체된 축구단 - 아산 무궁화 축구단
아산 무궁화 축구단은 경찰 FC로 시작하여 K리그 챌린지에 데뷔, 안산 무궁화 FC를 거쳐 아산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아산 무궁화 FC로 명칭을 변경한 후 K리그2에서 우승했으나, 의무 경찰 제도 폐지로 인해 충남 아산 FC로 재창단되었다. - 2013년 해체된 축구단 - FK 리에파야스 메탈루르크스
FK 리에파야스 메탈루르크스는 라트비아 리예파야를 연고로 한 축구 클럽으로, 비르스리가 우승, 라트비아 컵 우승, 발트 리그 우승을 했지만 2013년 파산 후 해체되었고, 이후 FK 리에파야가 창설되어 명맥을 잇고 있다. - 1925년 설립된 축구단 - 클루브 볼리바르
클루브 볼리바르는 1925년 창단된 볼리비아의 축구 클럽으로, 시몬 볼리바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볼리비아 프로 축구 리그에서 30번 우승하고 더 스트롱기스트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2021년 시티 풋볼 그룹의 파트너 클럽이 되었다. - 1925년 설립된 축구단 - 바르셀로나 SC
바르셀로나 SC는 1925년 에콰도르 과야킬에서 창단되어 16회의 에콰도르 세리에 A 우승을 포함한 괄목할 만한 성적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우승 2회를 기록하며 에콰도르를 대표하는 명문 클럽으로, CS 에멜렉과의 라이벌리 및 2010년대 이후의 쇄신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FK 하이두크 쿨라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FK 하이두크 쿨라 |
전체 이름 | FK 하이두크 쿨라 |
별칭 | 하이두치 (도망자) |
창단 | 1925년 |
해산 | 2013년 |
홈 구장 | 스타디온 밀란 스레다노비치 |
수용 인원 | 5,973명 |
유니폼 | |
홈 유니폼 색상 | 흰색 |
어웨이 유니폼 색상 | 파란색 |
추가 정보 | |
관련 링크 | http://mondo.rs/a602285/Sport/Fudbal/Ugasen-Hajduk-iz-Kule.html http://www.novosti.rs/vesti/sport.294.html:449968-Kula-Osnovan-novi-OFK-Hajduk http://www.sportske.net/vest/domaci-fudbal/kuljani-se-ne-predaju-osnovan-ofk-hajduk-141785.html http://mondo.rs/a607705/Sport/Fudbal/Hajduk-nastavlja-kao-OFK-Hajduk-Kula.html http://www.sportske.net/vest/domaci-fudbal/u-kuli-oformljen-jos-jedan-hajduk-141936.html http://pretraga2.apr.gov.rs/PretrageSportskihUdruzenja/Home/BusinessData/6884273/ http://www.fss.rs/documents/fudbal_32.pdf http://www.ico.rs/pocinje-prolecni-deo-fudbalske-sezone |
FK 하이드ゥク1912 정보 (FKハイドゥク1912 문서 기반) | |
원어 명칭 | |
리그 | (세르비아 존 리그) |
디비전 | 4부 |
홈타운 | (쿨라, 세르비아) |
일본어 명칭 | FKハイドゥク1912 |
경기장 이미지 | [[File:Stadion Hajduk Kula.jpg|200px]] |
FK 하이두크 쿨라 (FK 하이두크 쿨라 문서 기반) |
2. 역사
FK 하이두크 쿨라는 1912년 'KAFK'(쿨스키 아틀레츠키 푸드발스키 클루브)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12] 1925년 'SK 하이두크'로 이름을 바꾸었고,[13] 1992년부터 2005년까지는 지역 기업 로디치 M&B(Rodić M&B)의 투자를 받아 'FK 하이두크 로디치 MB - 쿨라'로 불렸다.[15]
1990년대 초, 하이두크 쿨라는 경기장 건설 등 인프라에 투자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대한 제재로 발전이 어려웠지만,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1부 리그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다.[15] 1997년 1997년 UEFA 인터토토컵에 진출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15]
2005년 로디치 M&B가 스폰서십을 중단하면서 재정난을 겪었다.[15] 2006-07 시즌 2006-07 UEFA 컵 2차 예선에 진출했고,[15] 2007년 2007년 UEFA 인터토토컵 결승에 올랐으나 UEFA 컵 진출에는 실패했다.[15]
2013년, 재정 문제로 수페르리가에서 탈퇴하고 1군 팀을 해산했다.[4]
2. 1. 초기 (1912-1945)
세르비아 쿨라에서 최초로 등록된 축구 클럽은 1912년 KAFK (Kulski atletski fudbalski klub, 쿨라 육상 축구 클럽)였다. 1920년,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및 슬로베인 왕국 내에서 클럽은 수보티차의 하위 협회의 리그에 편입되었다. 페렌츠 플라트코는 당시의 코치이자 가장 주목할 만한 선수 중 한 명이었다. 1925년, 클럽의 일부는 SK 하이두크 (Sportski klub Hajduk, 스포츠 클럽 하이두크)로 명명되었고, 1926년 KAFK의 나머지 부분은 라드니치키가 되었으며, 1938년에는 JSK (Jugoslovenski sportski klub, 유고슬라비아 스포츠 클럽)로 개명되었다. 1930년대 동안 클럽은 이전 10년간의 수준을 달성하지 못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해산되었다.[12]SK 하이두크는 1925년 루스키 크르스투르의 SK 루신과의 첫 경기를 치렀다. 하이두크는 주로 현지 독일 커뮤니티에 의해 형성되고 지원받던 KAFK와는 달리, 다문화적 요소를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구단은 수보티차 하위 리그 3부 리그에서 경쟁을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승격, 1929년에는 2부 리그로, 1933년에는 수보티차 하위 리그 1부 리그로 승격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고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점령되면서, 1941년 독일 당국에 의해 클럽이 해산되었다. 전쟁 중에도 클럽은 이름을 변경하는 조건으로 활동을 재개할 수 있었고, 이피유사그(Ifjúság|청년hu)로 존재했지만 인근 지역 팀과의 친선 경기만 치렀다. 클럽 관계자, 선수 및 지지자들은 세르비아의 추축국 점령에 저항하여 전쟁 중 사망했다.[13]
2. 2. 전후 재건 (1945-1991)
전쟁 후 구단은 '우다르니크', '브라트스트보-예딘스트보', '예딘스트보'라는 여러 이름으로 지역 대회에 참가했으며, 1949년에 원래 이름을 되찾았다. 같은 해에 하이두크는 보즈보디나 리그로 승격되었다. 이 시기에 구단 내에 핸드볼, 배구, 복싱, 볼링, 테니스 등 여러 부서가 창설되었다.[14] 1955–56 시즌에는 1위를 차지하여 유고슬라비아 세컨드 리그의 5개 하위 리그 중 하나인 III 존으로 승격되었다. 이 리그에서의 첫 시즌에 구단은 5위를 기록했다.[13] 리그 재편 후 하이두크는 1970년에 세 번의 시도 끝에 유고슬라비아 세컨드 리그 북부로 승격하게 된다. 구단은 이 수준에서 3 시즌을 보낸 후 지역 보즈보디나 리그로 강등되어 1983–85년 바츠카 존 리그에서 활동한 기간을 제외하고는 이후 15년 동안 이 리그에서 뛰었다.[13] 구단의 상승세는 1988–89 시즌에 시작되어 마지막 라운드에서 유고슬라비아 서드 리그 승격에 실패했다. 하지만 1년 뒤 리그에서 1위를 차지하여 승격에 성공했다. 다음 시즌에는 3위를 기록하며 유고슬라비아 세컨드 리그로 승격했다. 이 시기는 1991–92 유고슬라비아 퍼스트 리그 승격으로 정점을 찍었다.[13]2. 3. 유고슬라비아 리그와 그 이후 (1991-2013)
1991년에 전국 최고 리그로 승격된 후, 하이두크는 지금까지 강등되지 않았으며, 이는 츠르베나 즈베즈다, 파르티잔, 보이보디나와 같은 빅 클럽들만이 달성한 기록이다.[15]1990년대 초, 클럽은 필요한 스포츠 시설과 현대적인 경기장 건설을 통해 인프라에 투자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가해진 제재로 인해 이러한 발전은 더욱 어려워졌지만, 클럽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1부 리그의 확고한 일원이 되기 위한 스포츠 성과를 거두었다.[15] 이 기간 동안 주요 지원은 1992년부터 일반 스폰서가 된 현지 회사 Rodić M&B로부터 나왔으며, 클럽은 이름을 ''FK 하이두크 로디치 M&B – 쿨라''로 변경했다.[15]
클럽은 지역의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며, 어려운 시기에 수많은 지역 클럽을 돕고 수많은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을 펼쳤다. 전쟁 중에는 클럽 관계자 다수가 참여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계 주민들을 도왔다.[15] 스포츠 측면에서, 클럽은 5번째 최고 리그 시즌인 1996-97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1부 리그에서 강등될 것이라는 예측에도 불구하고, 시즌을 4위로 마감하며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로써 1997년 UEFA 인터토토컵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15]
이후 시즌 동안 클럽은 리그 중위권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인프라 개선에 더 많은 투자를 했다. 하이두크는 또한 위성 클럽인 ''리파르 MB''를 창설하여 파르티잔 외에 위성 클럽을 가진 유일한 클럽이 되었다.[15] 다수의 클럽 선수들이 주목할 만한 인물이 되었다. 클럽 역사상 최고 득점자는 91골을 기록한 데얀 오스마노비치이다. 그는 또한 1998-99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시즌에서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득점왕이기도 했다. 미르코 라둘로비치는 1995-96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시즌에서 35경기를 출전하여 클럽 역사상 단일 시즌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클럽에서 뛰는 동안 골키퍼 니콜라 밀로예비치는 2004년 UEFA U-21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U-21 팀의 일원이었으며, 2004년 올림픽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팀의 일원이기도 했다.[15] 클럽이 한 시즌에 기록한 최다 골은 2000-01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1부 리그에서 45골이었다. 최고 리그에서의 최대 승리는 2000년 하이두크가 수테스카 닉시치를 6–2로 이겼을 때였다.
2005년, Rodić M&B는 스폰서십을 포기하고 기부자가 되었으며, 이는 클럽의 재정적 침체기를 알리는 신호였다. 이전에 POFK 쿨라로 이름을 바꾼 위성 클럽은 라드니치키 솜보르와 합병되어 솜보르 클럽이 강등되는 것을 막았다. 그러나 클럽의 모든 구성원들의 희생으로 하이두크는 2005-06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수페르리가에서 4위를 차지하여 2006-07 UEFA 컵에 진출했으며, 홈에서 1–1로 비긴 후 원정 골 규칙에 따라 CSKA 소피아에게 2차 예선에서 탈락했다.[15]
2006-07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5위를 차지하여 2007년 UEFA 인터토토컵에 진출했다. 그 시즌에는 자르코 솔도가 클럽의 감독을 맡아 AC 밀란 페리치가 두 골을 넣고, 류보미르 페이샤가 120만유로의 이적료로 하이두크에서 파르티잔으로 이적하면서 수페르리가 클럽 간의 최고 이적 기록을 세우는 등 기억에 남는 성적을 거두었다. 2007년 인터토토컵에서 하이두크는 슬로베니아 NK 마리보르를 합계 5–2(5–0, 0–2)로 이겼지만 결승전에서 포르투갈 유니앙 드 레이리아에게 패하여 UEFA 컵 진출에 실패했다.[15]
2010-11 시즌에 가까스로 강등을 면한 후, 조란 오스마지치 회장 아래 새로운 리더십으로 2011-12 시즌을 4연승으로 시작하여 5라운드에서 예상치 못한 선두를 차지했다. 그 후, 현재 챔피언 파르티잔과 라이벌 츠르베나 즈베즈다와의 두 번의 어려운 경기가 있었고, 하이두크는 각각 0–2와 0–1로 패했다. 2011년 9월 28일, 전 감독 네보이샤 비그네비치는 페타르 쿠르추비치로 교체되었다.[16]
2013년 7월 30일, 새 시즌 시작 11일 전에 클럽은 재정 문제로 인해 수페르리가에서 사퇴하고 1군을 해산했으며, 유소년 팀은 OFK 하이두크에서 계속 경기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4] OFK 하이두크는 2014-15 시즌에 3부 리그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1군이 될 예정이었다.[17]
3. 서포터
하이두크 쿨라의 조직적인 서포터는 ''줄루 이즈 쿨루''로 알려져 있었다. 이 그룹은 1980년대 말에 결성되었지만, 1998년 봄에 해체되었다. 2005년 봄, 하이두크 팬들의 새로운 세대가 이 그룹을 재건하려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2024년 현재 ''줄루 이즈 쿨루''는 다시 활동하며, 상당한 수의 팬들과 함께 FK 하이두크 쿨라를 응원하고 있다.
4. 유럽 대항전 기록
시즌 | 대회 | 라운드 | 클럽 | 결과 |
---|---|---|---|---|
1997–98 | 인터토토컵 | 조별 리그 | 할름스타드 BK | 0–1 |
투룬 팔로세우라 | 2–1 | |||
콩스빙에르 IL | 2–0 | |||
롬멜 | 2–3 | |||
2006–07 | UEFA컵 | 2차 예선 | CSKA 소피아 | 1–1, 0–0 |
2007–08 | 인터토토컵 | 2라운드 | NK 마리보르 | 5–0, 0–2 |
3라운드 | 우니앙 드 레이리아 | 1–0, 1–4 |
5. 역대 선수
FK 하이두크 쿨라에서 뛰었던 선수들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등재될 수 있다.
- 클럽에서 최소 80경기 이상 출전.
- 클럽에서 클럽 기록을 세우거나 개인 상을 수상.
- 국가대표팀에서 국제 경기에 1경기 이상 출전.
선수 | 국적 |
---|---|
알렉산다르 브라티치 | |
미로슬라브 초빌로 | |
파루크 후이두로비치 | |
알렉산다르 요바노비치 | |
니노슬라브 밀렌코비치 | |
시니샤 페울리치 | |
조란 라요비치 | |
페렌츠 플라트코 | |
요제프 샬러 | |
네나드 브르노비치 | |
필리프 카살리카 | |
사보 파비체비치 | |
니샤 사벨리치 | |
조란 북사노비치 | |
조란 안티치 | |
니콜라 보기치 | |
라도시 불라토비치 | |
이반 치르카 | |
알렉산다르 다비도프 | |
밀란 다비도프 | |
란코 델리치 | |
안젤코 듀리치치 | |
다르코 페이사 | |
류보미르 페이사 | |
젤코 카라노비치 | |
데얀 케케조비치 | |
니콜라 코마제츠 | |
이고르 코조스 | |
니콜라 말바샤 | |
니콜라 밀로예비치 | |
드라간 모이치 | |
데얀 오스마노비치 | |
시니샤 라다노비치 | |
데얀 라제노비치 | |
요반 라디보예비치 | |
미르코 라둘로비치 | |
우로스 스타마토비치 | |
드라간 스토이사블예비치 | |
조르제 토미치 |
선수 | 국적 | 기간 |
---|---|---|
졸탄 사보 | 1990-1991 | |
네나드 브루노비치 | 1999 | |
밀란 페첼리 | 2000-2001 | |
안젤코 주리치치 | 2002-2009 | |
류보밀 페이사 | 2006-2008 | |
필리프 카사리차 | 2008-2011 | |
오그넨 무드린스키 | 2010 | |
알렉산다르 요바노비치 | 2011 | |
네마냐 밀리치 | 2013 |
6.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Небојша Вучићевић|네보이샤 부치체비치sr | 2006 |
Зоран Кунтић|조란 쿤티치sr | 2009 |
밀란 밀라노비치 | 2012년 9월~2013년 |
Величко Каплановић|벨리츠코 카플라노비치sr | 2012년 6월~2012년 9월 |
Томислав Сивић|토미슬라브 시비치sr | 2012년 3월~2012년 |
Золтан Сабо|졸탄 사보sr | 2011년 12월~2012년 3월 |
Петар Курџубић|페타르 쿠르추비치sr | 2011년 9월~2011년 12월 |
Небојша Вигњевић|네보이샤 비그네비치sr | 2011년 7월~2011년 9월 |
Драгољуб Беквалац|드라골류브 베크발라츠sr | 2010년 9월~2011년 6월 |
Зденко Глумац|즈덴코 글루마츠hr | 2010년~2010년 9월 |
Жарко Солдо|자르코 솔도sr | 2010년 1월~2010년 |
Богдан Корак|보그단 코락sr | 2009년 6월~2009년 11월 |
Радмило Јовановић|라드밀로 요바노비치sr | 2008년~2009년 6월 |
Мирослав Вукашиновић|미로슬라브 부카시노비치sr | 2007년 11월~2008년 6월 |
Жарко Солдо|자르코 솔도sr | 2007년~2007년 10월 |
Небојша Вучићевић|네보이샤 부치체비치sr | 2006년 3월~2006년 12월 |
Драгољуб Беквалац|드라골류브 베크발라츠sr | 2005년 6월~2006년 3월 |
Борис Буњак|보리스 분작sr | 2005년 1월~2005년 6월 |
Милољуб Остојић|밀로류브 오스토이치sr | 2004년 6월~2004년 12월 |
Момчило Раичевић|몸칠로 라이체비치sr | 2003년 6월~2004년 6월 |
Милољуб Остојић|밀로류브 오스토이치sr | 2002년 6월~2003년 6월 |
Славенко Кузељевић|슬라벤코 쿠젤레비치sr | 2000년 4월~2002년 6월 |
Мирослав Вукашиновић|미로슬라브 부카시노비치sr | 1998년 3월~2000년 4월 |
Никола Ракојевић|니콜라 라코예비치sr | 1997년 6월~1998년 3월 |
Мирослав Вукашиновић|미로슬라브 부카시노비치sr | 1996년 6월~1997년 6월 |
Драгољуб Беквалац|드라골류브 베크발라츠sr | 1993년 10월~1996년 6월 |
Ненад Ставролах|네나드 스타브로라흐bs | 1992년 6월~1993년 10월 |
Милорад Секуловић|밀로라드 세쿨로비치sr | 1989년 6월~1992년 6월 |
Милан Средановић|밀란 스레다노비치sr | |
Милош Цетина|밀로스 체티나sr | |
Жарко Булатовић|자르코 불라토비치sr | |
Јоаким Виславски|요아킴 비슬라브스키sr | |
Илија Тојагић|일리야 토야기치sr | |
Велиша Поповић|벨리샤 포포비치sr | |
Лука Малешев|루카 말레셰프sr | |
Ђорђе Јованић|조르제 요바니치sr | |
Миодраг Влашки|미오드라그 블라스키sr | |
Божидар Колоковић|보지다르 콜로코비치sr | |
Никола Јошић|니콜라 요시치sr | |
Ђорђе Белогрлић|조르제 벨로그릴리치sr | |
Едо Плац|에도 플라츠sr | |
Градимир Богојевац|그라디미르 보고예바츠sr | |
Иван Савковић|이반 사브코비치sr | |
Вилмош Гемери|빌모시 게메리sr | |
Мирко Јухас|미르코 유하스sr | |
Стеван Пејчић|스테반 페이치치sr | |
József Trem|요제프 트렘hu | |
Слободан Анђелковић|슬로보단 안젤코비치sr | |
Петар Рујер|페타르 루예르sr | |
Урош Чирић|우로시 치리치sr | |
Гојко Обрадов|고이코 오브라도브sr | |
Сава Прекајац|사바 프레카야츠sr | |
Стеван Ћирић|스테반 치리치sr | |
Сима Шваков|시마 슈바코프sr | |
Пера Струкић|페라 스트루클리치sr | |
János Katatich|야노스 카타티치hu | |
Љубомир Ранков|류보미르 란코프sr | |
Géza Kneféry|게자 크네페리hu | |
László Égető|라스로 에게토sr | |
Ferenc Plattkó|페렌츠 플라트코hu | |
Ото Кнези|오토 크네지sr | |
Јожеф Сеф|요제프 세프sr |
참조
[1]
웹사이트
Ugašen Hajduk iz Kule!
http://mondo.rs/a602[...]
2017-08-30
[2]
웹사이트
Стадион | FK Hajduk Kula - Ponos ravnice
http://fkhajduk.rs/?[...]
2012-04-01
[3]
웹사이트
Kula: Osnovan novi OFK Hajduk
http://www.novosti.r[...]
2017-08-30
[4]
웹사이트
http://www.sportal.r[...]
[5]
웹사이트
Kuljani se ne predaju – Osnovan OFK Hajduk!
http://www.sportske.[...]
2017-08-30
[6]
웹사이트
Hajduk nastavlja kao OFK Hajduk Kula
http://mondo.rs/a607[...]
2017-08-30
[7]
웹사이트
Kula: Osnovan novi OFK Hajduk
http://www.novosti.r[...]
2017-08-30
[8]
웹사이트
U Kuli oformljen još jedan Hajduk!
http://www.sportske.[...]
2017-08-30
[9]
웹사이트
Претрага удружења, друштава и савеза у области спорта – Пословни подаци
http://pretraga2.apr[...]
2017-08-30
[10]
웹사이트
"FUDBAL" 32/15, page 3007
http://www.fss.rs/do[...]
2015-08-12
[11]
웹사이트
Počinje prolećni deo fudbalske sezone
http://www.ico.rs/po[...]
2018-03-09
[12]
웹사이트
Period od 1991. – FK Hajduk Kula
http://fkhajduk.rs/?[...]
2012-10-20
[13]
웹사이트
Odnosi sa javnošću – FK Hajduk Kula
http://fkhajduk.rs/?[...]
2012-10-20
[14]
웹사이트
Hronologija sporta u Kuli - Zvanična Web Prezentacija Opštine Kula
http://www.kula.rs/s[...]
2012-03-05
[15]
웹사이트
FK Hajduk Kula – Ponos Ravnice
http://fkhajduk.rs/?[...]
2017-08-30
[16]
웹사이트
СПОРТСКИ ЖУРНАЛ
http://www.zurnal.rs[...]
2017-08-30
[17]
웹사이트
Kula dobila novi Hajduk
http://www.b92.net/s[...]
2017-08-30
[18]
웹사이트
FK Hajduk Kula – Ponos Ravnice
http://fkhajduk.rs/?[...]
2017-08-30
[19]
웹사이트
Stadium - info
http://fkhajduk.rs/?[...]
[20]
웹사이트
Period od 1991
http://fkhajduk.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