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보티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보티차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는 곳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여러 문화가 번성했고, 1391년 '자바드카'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에는 '마리아-테레지오폴리스'로 불렸다. 수보티차는 역사적으로 헝가리,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918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헝가리에 병합되었다가 유고슬라비아로 다시 편입되었다. 현재는 세르비아의 중요한 산업, 교통, 문화 중심지이며, 다양한 축제와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헝가리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등 여러 언어가 사용되며, 로마 가톨릭 신자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이보디나 - 초카
초카는 세르비아 북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의 중심지로, 다양한 민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헝가리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보이보디나 - 보이보디나의 문장
보이보디나의 문장은 1848년에 처음 채택되어 세르비아 십자, 바치카, 바나트, 스렘, 바야 지역 문장, 성 스테판 왕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역사, 문화,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 세르비아의 옛 수도 - 니시
니시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나이수스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도시로 발전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태어났고,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 세르비아의 옛 수도 - 크라구예바츠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의 슈마디야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세르비아 공국의 수도였으며 산업 도시로 성장, 현재는 교육, 문화, 스포츠의 중심지이다. - 세르비아의 도시 - 베오그라드
베오그라드는 다뉴브강과 사바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로마 시대 싱기두눔으로 번성한 역사적 도시이며, 여러 제국을 거쳐 세르비아의 중심지로 발전해왔다. - 세르비아의 도시 - 니시
니시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나이수스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도시로 발전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태어났고,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수보티차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시 수보티차 |
현지어 명칭 |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Суботица 헝가리어: Szabadka (서버드커) 루신어: Суботица 루마니아어: Subotița |
위치 |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
행정 | |
국가 | 세르비아 |
주 | 보이보디나 |
구 | 북바치카구 |
행정 구역 수 | 19개 정착지 |
시장 | 스테반 바키치 |
시장 소속 정당 | SNS |
면적 | |
도시 | 164.33km² |
행정 구역 | 1,007.47km² |
면적 순위 | 세르비아 내 13위 |
인구 | |
2022년 인구 | 94,228명 |
인구 순위 | 세르비아 내 5위 |
행정 구역 인구 | 123,952명 |
시간대 | |
시간대 | CET (UTC+1) |
하계 시간 (DST) | CEST (UTC+2) |
기타 정보 | |
고도 | 109m |
우편 번호 | 24000 |
지역 번호 | (+381) 24 |
차량 등록 번호 | SU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이름
도시의 이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주 변경되었다.[2] 가장 초기에 알려진 기록된 이름은 1391년의 '자보트카'[3] 또는 '자바트카'[4]였다. 이것은 현재 도시의 헝가리어 이름인 '서바드카'의 기원이다.[4] 스코크에 따르면, 서바드카는 "토요일에 시장이 열리는 장소"(솜바테이 또는 너지솜바트)를 의미하는 '소보타'의 슬라브어 지소사인 '소보트카'에서 유래되었지만, 그 어미 '-카'는 나중에 분예바츠족에 의해 또 다른 슬라브어 지소사인 '-이차'로 대체되었다.[5] 다른 자료에서는 "서바드카"라는 이름이 합스부르크가가 젠타 전투 이후 이 지역에 정착한 식민지 개척자들의 지위를 나타내는 "자유로운"의 슬라브어 단어인 svobod에서 파생된 형용사 szabád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6]
수보티차는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지배를 거치며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도시는 1740년대에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리아 테레지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743년에는 공식적으로 '센트-마리아'라고 불렸지만, 1779년에는 '마리아-테레지아폴리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 두 개의 공식 이름은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표기되었으며(가장 흔하게는 독일어로 '마리아-테레지오펠' 또는 '테레지오펠'), 다양한 언어로 사용되었다.[2]
스보티차의 명칭은 역사상 약 200가지 형태가 존재했는데, 이는 중세 시대 이래로 다양한 사람들이 이 도시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들은 각자의 언어로 명칭을 표기했기 때문에 현대에 이르러 정해진 철자가 존재하지 않았다.
초기에 기록된 도시 이름으로는 'Zabadka' 또는 'Zabatka'가 알려져 있으며[48], 이는 1391년부터 사용되었다. 이들은 현대 헝가리어로 도시 이름인 'Szabadka'의 변형이다. 헝가리어 명칭은 자유를 의미하는 'szabad'의 형용사와 접미사 '-ka'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애정을 담은 지소사이다. 따라서 스보티차의 초기 명칭은 "작은" 또는 "친애하는", "자유로운 땅"을 의미했을 것이다. 다른 설로는 중세 시대 명칭인 'Zabatka'가 남슬라브어군의 단어로, 판노니아 슬라브인의 집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어 "zabat"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49] 스보티차 'Subotica'의 명칭은 세르비아어와 부네바츠어에서 토요일을 의미하는 "Subota"에서 유래되었으며, 처음 등장한 것은 1653년이었다. 세르비아어 및 부네바츠어의 'subota' (субота)는 토요일을 의미하며, 따라서 스보티차의 의미는 "작은 토요일"이 된다. 그 외에 스보타 브르리치(Subota Vrlić)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는데, 이 인물은 권력자이자 헝가리 왕국의 세르비아인 용병 사령관이었던 요반 네나드의 출납을 담당했던 인물로, 16세기에 스보티차를 지배했다. 16세기에 사용되던 도시의 옛 세르비아어 이름은 'Sabatka'였으며, 오스만 제국 지배기에는 'Sobotka'였다.
1740년대, 오스트리아 대공비 마리아 테레지아를 위해 개명되어 1743년에는 센트 마리아''Sent-Maria''가 되었으며, 1779년에는 마리아 테레지아폴리스''Maria-Theresiapolis''로 다시 개명되었다. 두 가지 공식 명칭은 다른 언어와 여러 가지 다른 철자가 사용되었지만, 독일어에서 널리 사용된 것은 ''Maria-Theresiopel'' 또는 ''Theresiopel''이었다. 보이보디나의 다른 3개의 공식 언어에서는 동일한 공식 명칭으로 슬로바키아어에서는 ''Subotica'', 판노니아 루신어에서는 Суботица, 루마니아어에서는 ''Subotica'' 또는 ''Subotiţa''가 사용된다.
3. 역사
시대 주요 사건 및 내용 신석기 시대 ~ 철기 시대 스타르체보 문화, 빈차 문화, 티사폴가르 문화 등 여러 고고학적 문화 번성. 일리리아인, 켈트족, 다키아인 등 인도유럽인 거주. 로마 제국 시대 사르마티아의 야지게스 지배 (기원전 1세기 ~ 서기 4세기). 중세 초기 훈족, 게피드족, 아바르족, 슬라브족, 불가리아인 등 다양한 민족과 국가 지배. 중세 9세기 오보트리테스 정착, 하판노니아 공국, 대모라비아, 제1차 불가리아 제국 등 슬라브족 국가 지배. 1391년 자바드카/자바트카로 첫 기록. 훈야디 가문 통치. 15세기 말 ~ 16세기 초 야노시 퐁그라츠 덴젤레기가 오스만 제국 침략 대비 요새 건설.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 지배. 요반 네나드의 독립적 통치 (1526~1527). 오스만 제국 통치 (1542~1686) 소보트카로 불림. 정교회 세르비아인 정착. 합스부르크 군주국 통치 (1686~1918) 1687년 분예브치 정착. 센타 전투 이후 군사 국경 지대 편입. 1743년 시장 도시, 1779년 자유 왕립 도시로 승격. 마리아-테레지오폴리스로 개명. 1848-1849년 혁명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에 포함되었으나 헝가리군 승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1867~1918) "황금기" 도시 개발. 철도, 발전소 건설. 아르누보 양식 회당 건설. 유고슬라비아 시대 (1918~현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의 왕국 편입. 제2차 세계 대전 중 헝가리 점령. 홀로코스트 발생. 전후 유고슬라비아 재편입.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으로 난민 유입 및 인구 변화.
각 시대별 주요 사건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3. 1. 선사 시대와 고대
신석기 시대와 금석병용 시대에 이 지역에서는 스타르체보 문화[11], 빈차 문화[12], 티사폴가르 문화[13] 등 여러 중요한 고고학적 문화가 번성했다. 초기 인도유럽어족은 기원전 3200년에 현재 수보티차 지역에 정착했다.[14] 금석병용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동안 바덴 문화, 부체돌 문화[15], 고분 문화[16] 등 여러 인도유럽 고고학 문화가 수보티차 주변 지역을 포함했다. 기원전 1세기에 야지게스의 정복 이전에는 일리리아인, 켈트족, 다키아인 계통의 인도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 기원전 3세기에 이 지역은 켈트족의 보이족과 에라비스키족의 지배를 받았으며, 기원전 1세기에는 다키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기원전 1세기부터 이 지역은 때로는 로마 제국의 동맹국이자 때로는 적이었던 사르마티아의 야지게스의 지배를 받았다. 야지게스의 지배는 서기 4세기까지 지속되었고, 그 후 이 지역은 다양한 다른 민족과 국가의 소유가 되었다. 수보티차에서는 신석기 시대 티싸폴가르 문화의 묘지가 발견되었다.[51]
3. 2. 중세 시대
초기 중세 시대에 훈족, 게피드족, 아바르족, 슬라브족, 불가리아인 등 다양한 인도유럽어족과 튀르크 민족과 국가가 수보티차 지역을 지배했다. 슬라브족은 6세기와 7세기에 오늘날의 수보티차에 정착했으며, 그중 일부는 사바강과 다뉴브강을 건너 발칸 반도에 정착했다.
오늘날 수보티차 영토에 살았던 슬라브족은 오보트리테스로, 세르비아인의 하위 그룹이었다. 9세기에 아바르족 국가가 멸망한 후, 이 지역에는 하판노니아 공국(846-875), 대모라비아 (833~ 907), 불가리아 제국 등 슬라브족 국가의 초기 형태가 나타났다.[17]
수보티차는 1241~42년의 타타르족 침략으로 파괴된 인근 마을에서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주목할 만한 정착지가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1391년에 ''자바드카''/''자바트카''로 처음 기록된 이곳은 중세 헝가리 왕국의 작은 마을이었다. 이후 이 도시는 중앙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귀족 가문 중 하나였던 훈야디 가문에 속했다.
헝가리의 마차시 코르비누스 왕은 이 도시를 그의 친척 중 한 명인 야노시 퐁그라츠 덴젤레기에게 넘겨주었다. 야노시 퐁그라츠 덴젤레기는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두려워하여 1470년에 수보티차 성을 요새화하고 요새를 세웠다. 몇십 년 후,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수보티차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헝가리인 대다수는 북쪽의 왕국 헝가리로 도망쳤으며,[17] 수보티차를 지배했던 지역 귀족 벌린트 퇴뢰크 또한 도시에서 탈출했다. 모하치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군사적, 정치적 혼란 속에서 수보티차는 바나트에서 모집된 세르비아 용병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병사들은 나중에 헝가리 왕이 된 트란실바니아 장군 야노슈 자폴야의 휘하에 있었다.[18]
이 용병들의 지도자였던 요반 네나드는 1526~27년에 바치카, 북부 바나트, 그리고 스레미아의 작은 부분에 자신의 통치를 확립하고, 수보티차를 행정 중심지로 하여 독립적인 실체를 만들었다. 요반 네나드는 권력의 절정에 이르러 수보티차에서 자신을 세르비아 차르로 선포했다. 그는 라도슬라브 첼니크를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했고, 그의 재무관이자 팔라틴은 야고디나 출신의 세르비아 귀족인 수보타 블리치였다. 벌린트 퇴뢰크가 돌아와 세르비아인으로부터 수보티차를 탈환하자 요반 네나드는 행정 중심지를 세게드로 옮겼다.[19]
몇 달 후인 1527년 여름, 요반 네나드는 암살당했고 그의 실체는 붕괴되었다. 그러나 요반 네나드의 죽음 이후, 라도슬라브 첼니크는 군대의 일부를 오스만 스레미아로 이끌고 가서 잠시 오스만 제국의 봉신으로 통치했다.
3. 3. 오스만 제국 통치
오스만 제국은 1542년부터 1686년까지 수보티차를 지배했다. 150년 가까이 지속된 이 기간이 끝날 무렵, 옛 도시인 ''자바드카''/''자바트카''는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20] 많은 인구가 도망가자,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의 다양한 식민주의자들의 정착을 장려했다. 정착민들은 대부분 정교회 세르비아인이었으며, 이들은 수보티차 주변의 매우 비옥한 땅을 경작했다.[20] 1570년, 수보티차의 인구는 49가구였고, 1590년에는 63가구였다. 1687년, 이 지역에는 가톨릭 달마티아인(오늘날 분예바치)이 정착했다.[20]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수보티차는 ''소보트카''라고 불렸으며, 1596년까지 부딘 에얄레티의 세게딘 산자크의 카자 중심지였고, 이후 1596년부터 1686년까지는 에기르 에얄레티에 속했다.[20]
3. 4. 합스부르크 왕가 통치
1687년, 약 5,000명의 분예브치가 바치카(수보티차 포함)에 정착했다. 1697년 9월 11일 사보이 공자 외젠이 이끈 센타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과의 결정적인 전투 이후, 수보티차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설립한 티서-머레슈 군사 국경 지대의 일부가 되었다. 그 동안 러코치 페렌츠 2세의 반란, 즉 쿠루츠 전쟁이 발발했다.
수보티차 지역에서 러코치는 ''라츠 민병대''와 전투를 벌였다. ''라츠''는 남슬라브 민족(주로 세르비아인과 분예브치)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며, 헝가리 왕국에서는 종종 ''라초크''라고 불렸다. 후기에는 ''라초크''가 무엇보다 정교회 신앙을 가진 세르비아인을 의미하게 되었다.[21]
세르비아 군인 가족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대한 봉사 덕분에 여러 특권을 누렸다. 그러나 수보티차는 점차 단순히 주둔 도시에서 1743년 자체 시민 헌장을 가진 시장 도시로 발전했다. 이 일이 발생하자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특권 상실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 다수는 항의의 표시로 도시를 떠났고, 일부는 18세기 수보티차 외곽의 알렉산드로보에 새로운 정착지를 건설했으며, 다른 이들은 러시아로 이주했다. 뉴 세르비아에서 이 세르비아인들은 새로운 정착지를 건설하고 ''수보티차''라고 이름 붙였다. 1775년, 수보티차에 유대인 공동체가 설립되었다.
아마도 수보티차의 새로운 시민 평화를 강조하기 위해 이 시기에 경건한 이름 ''성 마리아''가 사용되기 시작했을 것이다. 몇십 년 후, 1779년,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는 수보티차를 자유 왕립 도시로 선포하여 도시의 지위를 더욱 높였다. 열광적인 도시 주민들은 수보티차의 이름을 다시 ''마리아-테레지오폴리스''로 개명했다.[21]
이 자유 왕립 도시 지위는 도시 발전에 큰 탄력을 주었다. 19세기 동안 인구가 두 배로 증가하여 합스부르크 군주국 전역에서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였다. 이는 결국 상당한 인구 통계적 변화로 이어졌다. 19세기 전반에는 분예브치가 여전히 다수였지만, 헝가리인과 유대인의 수보티차 정착이 증가했다. 이 과정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혁명(1848–49) 발발에도 멈추지 않았다.
3. 5. 1848-1849년 혁명
1848-49년 혁명 동안 자치 세르비아 보이보디나가 선포한 국경은 수보티차를 포함했지만, 세르비아군은 이 지역을 통제할 수 없었다. 1849년 3월 5일, 카포냐(Tavankut와 Bajmok 사이)라는 지역에서 세르비아군과 헝가리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고, 헝가리군이 승리했다.[22]
1848/49년 혁명 동안 이 도시에서 최초의 신문이 발행되었는데, 그 신문은 Honunk állapota|우리 조국의 상태hu라고 불렸고, Károly Bitterman의 지역 인쇄 회사에서 헝가리어로 발행되었다. 헝가리에 대항했던 대부분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과 달리, 지역 부니예비치 인구의 일부는 헝가리 혁명을 지지했다.[22]
1849년, 1848년 헝가리 혁명이 러시아군과 합스부르크군에 의해 진압된 후, 이 도시는 대부분의 바치카 지역과 함께 헝가리 왕국에서 분리되어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및 테메슈바르 바나트라는 별도의 합스부르크 지방의 일부가 되었다. 이 새로운 지방의 행정 중심지는 티미쇼아라였다. 이 지방은 1860년까지 존재했다. 보이보디나가 존재하던 동안, 1853년에 수보티차는 인상적인 극장을 얻었다.[22]
3. 6.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1867년 이중 군주국 수립 후, 수보티차는 "황금기"라 불리는 도시 개발 시기를 맞이했다. 1867년 이후 많은 학교가 문을 열었고, 1869년에는 철도가 도시를 외부 세계와 연결했다. 1896년에는 발전소가 건설되어 도시와 지역 전체의 발전을 더욱 촉진했다. 수보티차는 주목할 만한 중앙 유럽, 세기말 건축물로 장식되었다. 1902년에는 아르누보 양식의 유대교 회당이 건설되었다.[23]
3. 7. 유고슬라비아 시대
수보티차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일부였다. 1918년, 이 도시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의 왕국에 편입되었다. 그 결과 수보티차는 유고슬라비아의 국경 도시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과 같은 역동적인 번영을 한동안 다시 경험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 당시 수보티차는 베오그라드와 자그레브에 이어 유고슬라비아에서 인구 기준으로 세 번째로 큰 도시였다.
1941년, 유고슬라비아는 추축국에 의해 침공 및 분할되었고, 수보티차를 포함한 북부 지역은 헝가리에 병합되었다. 국제 사회는 이 합병을 정당한 것으로 여기지 않았고, 이 도시는 법적으로 여전히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다. 망명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국가의 대표로서 합법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1941년 4월 11일, 헝가리군은 도시 인구의 다수가 600년 이상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던 헝가리인이었다는 이유로 수보티차에 도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약 7,000명의 시민, 주로 세르비아인, 헝가리인, 유대인을 잃었다. 전쟁 전 약 6,000명의 유대인이 수보티차에 살았으며, 이들 중 다수는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도시에서 추방되어 대부분 아우슈비츠로 보내졌다. 1944년 4월, 독일 행정 하에 게토가 설치되었다.[24] 또한 추축국 통치 기간 동안 많은 공산주의자들이 처형되었다. 1944년, 추축군이 도시를 떠났고, 수보티차는 새로운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1944-45년 기간 동안 약 8,000명의 시민 (주로 헝가리인)이 추축 헝가리를 지원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도시를 재탈환하는 과정에서 파르티잔에 의해 살해되었다.[25][26]
전후 시대에 수보티차는 점차 현대화되었다. 1990년대의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 동안 상당수의 세르비아인 난민이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에서 이 도시로 왔고, 많은 헝가리인과 크로아티아인, 그리고 일부 현지 세르비아인이 이 지역을 떠났다.
4. 지리
수보티차는 판노니아 평원에 위치하며 북위 46.07°, 동경 19.68°, 해발 109m에 자리한다. 헝가리 국경에서 약 10km 떨어져 있으며, 세르비아 최북단 도시이다. 도시 근처에는 팔리치 호가 있고, 북쪽으로는 헝가리 국경을 따라 모래 언덕 지역인 수보티츠카 페슈차라가 있다.[7][8][9]
남쪽으로 약 95km 지점에 노비사드가, 북동쪽으로 40km 지점에 헝가리의 세게드가 있다. 헝가리계 주민이 많고, 헝가리와의 교역에 종사하는 주민이 많았으나, 헝가리의 솅겐 조약 실시로 비자 발급이 엄격해져 상황 변화가 예상된다.[50]
4. 1. 기후
수보티차는 세르비아에서 높은 고도를 제외하고는 흔하지 않은 온난한 여름의 습윤 대륙성 기후 (''Dfb'')를 가지고 있다.[61][10]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C) | 1.7°C | 5.1°C | 11.2°C | 17.1°C | 22.3°C | 25.3°C | 27.4°C | 27°C | 23.4°C | 17.6°C | 9.5°C | 3.8°C |
평균 최저 기온 (°C) | -4.8°C | -2.5°C | 0.9°C | 5.5°C | 10.3°C | 13.4°C | 14.4°C | 13.9°C | 10.4°C | 5.6°C | 1.7°C | -2.1°C |
강수량 (mm) | 27.9mm | 25.4mm | 27.9mm | 40.6mm | 50.8mm | 71.1mm | 50.8mm | 55.9mm | 33mm | 25.4mm | 40.6mm | 40.6mm |
5. 인구
2022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팔리치를 포함한 수보티차 시의 도심 지역에는 94,228명이, 팔리치를 제외하면 88,752명이 거주하며, 수보티차 행정 구역에는 123,952명이 거주한다.[31]
역대 인구는 다음과 같다.[31]
연도 | 인구 |
---|---|
1948년 | 62,715명 |
1953년 | 65,718명 |
1961년 | 74,604명 |
1971년 | 88,302명 |
1981년 | 99,840명 |
1991년 | 99,515명 |
2002년 | 99,283명 |
2011년 | 97,910명 |
2022년 | 88,752명 |
5. 1. 민족 구성
2022년 인구 조사 기준 수보티차 시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32]민족 | 인구 | 비율 |
---|---|---|
세르비아인 | 32,360 | 34.34% |
헝가리인 | 24,687 | 26.19% |
크로아티아인 | 6,997 | 7.40% |
분예바츠인 | 6,146 | 6.52% |
로마인 | 2,888 | 3.06% |
유고슬라비아인 | 1,850 | 1.96% |
기타 | 3,684 | 3.90% |
미신고 | 10,817 | 11.47% |
불명 | 5,901 | 5.09% |
2022년 인구 조사 기준 수보티차 행정 구역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33]
민족 | 인구 | 비율 |
---|---|---|
세르비아인 | 38,174 | 30.8% |
헝가리인 | 37,200 | 30% |
크로아티아인 | 10,431 | 8.42% |
분예바츠인 | 9,060 | 7.31% |
로마인 | 3,432 | 2.77% |
유고슬라비아인 | 2,187 | 1.77% |
기타 | 4,187 | 3.37% |
미신고 | 13,380 | 10.79% |
불명 | 5,901 | 4.76% |
세르비아인이 절대적 또는 상대적 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은 수보티차, 바즈목, 비슈네바츠, 노비 제드니크, 미시체보이다. 헝가리인이 절대적 또는 상대적 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은 팔리치(헝가리어: Palicsfürdő), 하이두코보(헝가리어: Hajdújárás), 바치키 비노그라디(헝가리어: Bácsszőlős), 슈플략(헝가리어: Alsóludas), 찬타비르(헝가리어: Csantavér), 바치코 두사노보(헝가리어: Zentaörs), 켈레비야(헝가리어: Alsókelebia)이다. 크로아티아인이 상대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은 말라 보스나, 주르진, 돈지 타반쿠트, 고르니 타반쿠트, 비코보, 스타리 제드니크이다. 류토보는 분예바츠인이 상대적 다수를 차지한다.
2002년 인구 조사 기준 수보티차 시가지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 헝가리인 34,983명 (34.99%)
- 세르비아인 27,838명 (27.85%)
- 분예바츠인 10,870명 (10.87%)
- 크로아티아인 10,424명 (10.43%)
- 유고슬라비아인 6,787명 (6.79%)
- 로마인 1,171명 (1.17%)
- 기타
이 도시는 헝가리인, 분예바츠인, 크로아티아인의 보이보디나 문화와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보이보디나에서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수보티차에서 가장 높다.
5. 2. 언어
2022년 인구 조사 기준, 수보티차 행정 구역 인구의 언어 구조는 다음과 같다.[34]언어 | 화자 수 | 비율 |
---|---|---|
세르비아어 | 59,575 | 48.20% |
헝가리어 | 36,149 | 29.24% |
크로아티아어 | 3,937 | 3.18% |
분예바츠어 | 3,005 | 2.43% |
로마니어 | 2,959 | 2.39% |
기타 | 6,305 | 5.10% |
미신고 | 16,572 | 5.31% |
불명 | 5,090 | 4.11% |
세르비아어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헝가리어는 인구의 거의 30%가 매일 대화에서 사용한다. 두 언어 모두 상업 및 공식 표지판에서도 널리 사용된다.[35]
자치단체 내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분예바츠어도 수보티차에서 사용되지만, 2002년 당시의 인구 조사에서는 아직 세르비아의 통계 당국에 의해 목록에 분류되지 않았고, 기타 언어로 분류되었다. 분예바츠인 커뮤니티 사람들 중에는 인구 조사 언어로 세르비아어 또는 크로아티아어를 선언하는 사람도 있다.
5. 3. 종교



2022년 인구 조사 기준 수보티차 행정 구역의 종교 구조는 다음과 같다.[36]
종교 | 신자 수 | 비율 |
---|---|---|
로마 가톨릭 | 59,748 | 48.34% |
세르비아 정교회 | 37,674 | 30.48% |
이슬람교 | 3,238 | 2.62% |
개신교 | 1,609 | 1.30% |
유대교 | 54 | 0.04% |
무신론 | 2,141 | 1.73% |
불가지론 | 139 | 0.11% |
미신고 | 12,473 | 10.09% |
알 수 없음 | 5,090 | 4.88% |
수보티차는 세르비아에서 가톨릭 신자가 가장 많은 도시로, 도시 인구의 거의 절반이 가톨릭 신자이다. 수보티차 로마 가톨릭 교구의 소재지이며, 바치카 지역을 관할한다. 8개의 가톨릭 교구 교회, 프란치스코 수도회 영적 센터 (이 도시에는 프란치스코 수도사 및 프란치스코 수녀 공동체가 있다), 여성 도미니코회 공동체, 아우구스티노회 수녀회 2개가 있다. 수보티차 교구는 세르비아 유일의 가톨릭 중등학교 (파울리눔)를 가지고 있다.
다른 기독교 공동체 중에서는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가 가장 많으며, 도시 인구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도시에는 2개의 동방 정교회 교회가 있다. 수보티차의 정교회 신자들은 세르비아 정교회의 바치카 교구에 속한다. 수보티차에는 또한 루터교와 칼뱅교의 두 개의 개신교 교회가 있다.
수보티차의 유대교 공동체는 베오그라드와 노비사드 다음으로 세르비아에서 세 번째로 크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수보티차의 유대인 6,000명 중 약 1,000명이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았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수보티차에는 54명의 유대교 신자만 남아 있었다.
6. 정치
2024년 수보티차 지방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37]
정당 | 득표율 |
---|---|
미래의 세르비아 | 49.3% |
보이보디나 헝가리인 연합 | 26.2% |
폭력 반대 세르비아 | 14.7% |
보이보디나 크로아티아인 민주 연합 | 4.1% |
; 문장
원래의 문장과 현재의 중간 문장은 "Civitatis Maria Theresiopolis, Sigillum Liberæque Et Regiæ"라는 라틴어 비문으로 외곽선이 그려져 있으며, 이는 "마리아 테레지오폴리스 자유 왕립 도시의 인장"으로 번역된다.
7. 경제
수보티차 주변 지역은 주로 농지이지만, 도시 자체는 세르비아의 중요한 산업 및 교통 중심지이다. 주변 농지 덕분에 수보티차에는 제과 공장 "Pionir", 시리얼 제조업체 "Fidelinka", 우유 생산자 "Mlekara Subotica" 및 독한 알코올 음료 생산자 "Simex" 등 유명한 식품 생산 산업이 있다.
세르비아의 전환기를 거쳐 살아남은 여러 사회주의 시대의 산업이 있다. 가장 큰 곳은 화학 비료 공장 "Azotara"와 철도 차량 공장 "Bratstvo"이다. 현재 이 도시에서 가장 큰 수출 산업은 "지멘스(Siemens) 수보티차" 풍력 발전기 공장이며, 지금까지 가장 큰 유휴 부지 투자이다. 수보티차의 다른 대기업으로는 Fornetti, ATB Sever 및 Masterplast가 있다. 수보티차에 최근 진출한 회사로는 Dunkermotoren과 NORMA Group이 있다. 관광 산업도 중요하다. 지난 몇 년 동안 팔리치는 팔리치 영화제로 유명해졌다. 수보티차는 일 년에 17개 이상의 축제를 개최하는 축제 도시이다.[38]
2017년 9월 현재 수보티차는 세르비아에 설립된 14개의 자유 경제 구역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38]
2020년에는 팔리치에 10개의 수영장과 웰빙 및 스파 구역을 갖춘 새로운 아쿠아 파크 건설이 진행 중이었다.[39]
다음 표는 2022년 현재 법인에 고용된 총 등록 인원수를 핵심 활동별로 보여준다.[40]
활동 | 총계 |
---|---|
농업, 임업 및 어업 | 445 |
광업 및 채석 | 12 |
제조업 | 14,684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 | 291 |
수도 공급; 하수 처리, 폐기물 관리 및 복원 활동 | 613 |
건설 | 2,252 |
도매 및 소매업,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 | 7,322 |
운송 및 보관 | 3,568 |
숙박 및 식품 서비스 | 2,022 |
정보 및 통신 | 1,460 |
금융 및 보험 활동 | 544 |
부동산 활동 | 140 |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 | 1,739 |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 | 945 |
공공 행정 및 국방; 의무 사회 보장 | 1,876 |
교육 | 2,637 |
인간 건강 및 사회 사업 활동 | 3,382 |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 | 763 |
기타 서비스 활동 | 979 |
개별 농업 종사자 | 1,124 |
총계 | 46,799 |
8. 문화
수보티차는 헝가리 분리파 양식으로 지어진 뛰어난 건물들을 자랑하며, 이는 아르누보의 독특한 변형이다.[27] 헝가리 분리파 양식은 아르누보 식물 장식과 상징적인 인물들을 전통적인 헝가리 모티프와 결합했다. 이 양식은 수보티차에서 마르첼 코모르, 데죄 야콥, 페렌츠 라이흘레의 작품에서 건축적 표현을 찾을 수 있다. 수보티차 시나고그와 라이흘레 궁전과 같은 상징적인 건물들은 유럽에서 이 건축 양식의 가장 훌륭한 예로 인정받고 있다.[28]
시청(1908년~1910년 건축)과 시나고그(1902년)는 특히 뛰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이 건물들은 마르첼 코모르와 데죄 야콥이라는 동일한 건축가에 의해 지어졌다. 또 다른 특별한 아르누보 건축의 예로는 1904년 페렌츠 라이흘레가 지은 라이흘레 궁전이 있다.
교회 건물로는 1797년의 성 테레사 아빌라 대성당, 1723년의 프란체스코 수도원, 18세기의 동방 정교회, 그리고 2018년 대대적인 개조 후 재개장한 20세기 초의 헝가리 아르누보 수보티차 시나고그 등이 있다.[29]
1854년에 건설된 수보티차 최초의 기념비적인 공공 건물인 역사적인 수보티차 국립 극장은 1983년에 국가 보호를 받는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1991년에는 특별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 기념물로 국립 등록부에 추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7년에 철거되었다. 현재 재건축 중이다.[30]
헝가리 분리파 건물 |
---|
![]() |
![]() |
![]() |
![]() |
![]() |
9. 교육
수보티차에서 교원 양성은 18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수립된 후, 헝가리에서 부다에 이어 두 번째로 국립 교원 양성 학부가 수보티차에 설립되었다. 수보티차의 교원 양성의 현대 역사는 2006년에 시작되었는데, 솜보르 교원 양성 학부의 헝가리어 과정이 분리되어 노비사드 대학교의 14번째 학부로 독립했다.[41] 2022년 현재, 이 학부는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 학문별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학사 학위와 유치원 교사 및 초등학교 교사 분야의 석사 학위를 제공한다.
- 노비사드 대학교 헝가리어 교원 양성 학부
- 폴리텍 학교 (측량 및 건설, 인쇄, 임업 및 목재 가공)
- 교사 양성 대학 (1689년 설립,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 스베토자르 마르코비치 김나지움
- 데죄 코스톨라니 인문 김나지움
- MEŠC 전기 기계 학교 (최근 "Tehnička Škola - Subotica" (영문: "기술 학교")로 이름 변경)
- 보사 밀리체비치 상업 학교
- 라자르 네시치 화학 학교
- 의과 학교 (간호 학교)
- 수보티차 법학대학
2020/21학년도에 수보티차시의 중등 교육 기관에서 4,953명의 학생이 공부했다. 1,626명의 학생이 헝가리어 수업을 선택했고(32.8%), 209명의 학생이 크로아티아어 수업을 선택했으며, 3,118명의 학생이 세르비아어로 공부했다.[42]
10. 스포츠
수보티차에는 주요 축구 경기장인 수보티차 시립 경기장, 실내 경기장, 실내 수영장이 있다. 지역 축구팀은 스파르타크이며, 이 팀은 세르비아의 주요 축구 리그인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활동한다.
수보티차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 FK 스파르타크 수보티차에는 과거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현재의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에서 활약했던 네나드 마슬로바르가 소속되어 있었다.
11. 교통
A1 고속도로는 수보티차를 남쪽의 노비 사드 및 베오그라드와 연결하며, 헝가리 국경을 넘어 북쪽의 세게드와 연결한다. 이 도로는 주요 유럽 도시와 연결되는 부다페스트-베오그라드 철도와 나란히 달린다. 2022년 11월 현재, 이 노선은 세르비아와 헝가리 구간 모두 재건 중으로, 대체 노선 없이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수보티차는 솜보르, 센타 (여객 운송), 호르고시를 통한 세게드 (화물 운송은 제한적으로 재건 중이며, 2023년 말 여객 운송 시작 예정)로 연결되는 지선 철도 연결망을 갖추고 있다. 1960년대에 치케리아를 경유하여 바야로 가는 이전 지선은 해체되었지만, 버려진 철로의 일부는 도시 북서부 외곽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수보티차는 수보티차 트램 시스템이라는 트램 시스템을 운영했지만, 1974년에 중단되었다. 1897년에 가동된 수보티차 트램은 처음부터 전기를 사용했다. 당시 인근 도시의 트램은 종종 말에 의해 끌렸지만, 이는 베오그라드, 노비 사드, 자그레브, 세게드를 포함한 다른 지방 자치 단체에 비해 수보티차 시스템에 이점을 제공했다. 이 시스템은 수보티차 시민뿐만 아니라 방문하는 관광객에게도 중요했다.
이후 수보티차는 JP Subotica Trans에서 운영하는 버스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회사는 11개의 시내 노선, 8개의 교외 노선, 13개의 도시 간 노선과 세게드로 가는 1개의 국제 노선을 운영한다. 매년 버스는 약 4700000km를 운행하며 약 1천만 명의 승객을 수송한다.
수보티차는 수보티차 공항의 서비스를 받는다. 활주로가 여객기 운행에 너무 짧아 레크리에이션 항공 위주로 사용이 제한된다. 도시 남서쪽에는 218.5m 높이의 케이블 지지 마스트가 있다. 이 마스트는 세르비아에서 가장 높고,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마스트 중 하나이다.
12. 국제 관계
수보티차는 유럽 평의회와 EU 상호 문화 도시 프로그램의 시범 도시이다.[44][59]
12. 1. 자매 도시
도시 | 국가 |
---|---|
브레스트 | Брэст|브레스트be |
두나이스카 스트레다 | Dunajská Streda|두나이스카스트레다sk |
키슈쿤할라스 | Kiskunhalas|키슈쿤헐러시hu |
워므자 | Łomża|웸자pl |
오도르헤이우 세쿠이에스크 | Odorheiu Secuiesc|오도르헤이우세쿠이에스크ro |
올로모우츠 | Olomouc|올로모우츠cs |
오시예크 | Osijek|오시예크hr |
세게드 | Szeged|세게드hu |
바여 | Baja|버여hu |
부다페스트 | Budapest|부더페슈트hu |
이졸라 | Izola|이졸라sl |
케치케메트 | Kecskemét|케치케메트hu |
프리즈렌 | Prizren|프리즈렌sq |
뮌헨 | München|뮌헨de |
나뮈르 | Namur|나뮈르프랑스어 |
틸뷔르흐 | Tilburg|틸뷔르흐nl |
투르쿠 | Turku|투르쿠fi |
울름 | Ulm|울름de |
울버햄프턴 | Wolverhampton|울버햄프턴영어 |
자그레브 | Zagreb|자그레브hr |
지르츠 | Zirc|지르츠hu |
참조
[1]
간행물
Serbian census 2011
[2]
웹사이트
History of Subotica
http://www.subotica.[...]
2022-09-08
[3]
웹사이트
Borovszky - Magyarország vármegyéi és városai
http://mek.oszk.hu/0[...]
[4]
웹사이트
Serbian Cities: Subotica
http://www.discovers[...]
2011-03-30
[5]
서적
Etimologijski 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JAZU, Zagreb
[6]
웹사이트
Colonists settling the military buffer zone between the Habsburg and Ottoman Empires
https://archivum.arh[...]
2022-09-08
[7]
웹사이트
Geographical position of Subotica
https://www.research[...]
2022-09-08
[8]
웹사이트
O Subotici
https://suboticke.rs[...]
2024-07-05
[9]
웹사이트
PREDEO IZUZETNIH ODLIKA
https://vojvodina.tr[...]
2024-07-06
[10]
웹사이트
Subotica, North Bačka, Serbia Monthly Weather Forecast - weather.com
https://weather.com/[...]
Weather Channel
2020-10-03
[11]
웹사이트
Starčevo culture
https://archive.toda[...]
[12]
웹사이트
Map
http://www.catyline.[...]
[13]
웹사이트
'[Projekat Rastko] Nikola Tasic: Eneolitske kulture centralnog i zapadnog Balkana'
http://www.rastko.rs[...]
[14]
웹사이트
The first Indo-Europeans in the Balkans
https://www.thearcha[...]
2022-09-08
[15]
웹사이트
Area Culture Map 1
http://files.myopera[...]
2011-02-12
[16]
웹사이트
South East Europe history - 1,800 BC map
http://www.eliznik.o[...]
2013-01-14
[17]
웹사이트
Subotica after the Battle of Mohács
http://suboticadiver[...]
2022-09-08
[18]
서적
Eger Stars
[19]
서적
Magyarország vármegyéi és városai, Bács-Bodrog vármegye I-II. kötet
Apolló Irodalmi és Nyomdai Részvénytársaság
[20]
문서
Sanjak of Segedin
[21]
웹사이트
History of Subotica
https://www.heritage[...]
2022-09-08
[22]
논문
The Serbian Vojvodina and Montenegro 1848-1849
University of Novi Sad, Faculty of Philosophy
[23]
웹사이트
Subotica {{!}} Hrvatska enciklopedija
http://www.enciklope[...]
2019-05-04
[24]
웹사이트
Subotica in WWII
http://holocaust.rs/[...]
2022-09-08
[25]
서적
Holttá nyilvánítva - Délvidéki magyar fátum 1944–45, I-II
Hatodik Síp Alapítvány, Budapest
[26]
서적
Vérbosszú Bácskában
Magvető kiadó
[27]
웹사이트
Buildings of Subotica
https://sailingstone[...]
2022-09-08
[28]
웹사이트
The Synagogue in Subotica
https://artsandcultu[...]
2024-01-10
[29]
웹사이트
Serbia: magnificent Subotica synagogue officially reopened
https://jewish-herit[...]
2024-07-05
[30]
웹사이트
Radovi na rekonstrukciji Narodnog pozorišta u Subotici
https://www.gradjevi[...]
2016-03-16
[31]
웹사이트
Comparative overview of the number of population in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2, 2011. and 2022
https://popis2022.st[...]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32]
웹사이트
Попис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22.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9-04-10
[33]
웹사이트
Попис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22.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9-04-10
[34]
웹사이트
Dissemination database search
https://data.stat.go[...]
[35]
뉴스
'The Use of Hungarian and Serbian in the City of Szabadka/Subotica: An Empirical Study'
https://www.academia[...]
2017-09-08
[36]
웹사이트
Dissemination database search
https://data.stat.go[...]
[37]
PDF
https://subotica.ls.[...]
[38]
뉴스
Slobodne zone mamac za investitore
http://www.politika.[...]
politika.rs
2019-03-17
[39]
웹사이트
Do kraja godine biće završen akva-park na Paliću
https://www.energets[...]
2020-11-21
[40]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3.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4-09-20
[41]
웹사이트
A Kar története MTTK
https://magister.uns[...]
[42]
웹사이트
Отворени подаци
http://opendata.mpn.[...]
[43]
웹사이트
Ajs Nigrutin o životu u Subotici
https://www.youtube.[...]
2021-07-19
[44]
웹사이트
Intercultural Cities - Home
http://www.coe.int/t[...]
[45]
웹사이트
http://www.subotica.[...]
[46]
서적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02. Knjiga 1: Nacionalna ili etnička pripadnost po naseljima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47]
PDF
http://pod2.stat.gov[...]
[48]
웹사이트
http://www.discovers[...]
[4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50]
뉴스
朝日新聞
2008-01-31
[51]
웹사이트
http://www.rastko.rs[...]
[52]
서적
Magyarország vármegyéi és városai, Bács-Bodrog vármegye I.-II. kötet
Apolló Irodalmi és Nyomdai Részvénytársaság
[53]
문서
Sanjak of Segedin
[54]
서적
Holttá nyilvánítva - Délvidéki magyar fátum 1944-45., I.-II.
Hatodik Síp Alapítvány
[55]
서적
Vérbosszú Bácskában
Magvető kiadó
[56]
웹사이트
web-site
http://www.suboticai[...]
[57]
웹사이트
http://www.naled-ser[...]
[58]
웹사이트
http://www.gradfesti[...]
[59]
웹사이트
Intercultural city: Subotica, Serbia
http://www.coe.int/t[...]
2011-05-22
[60]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3-19
[61]
웹인용
Subotica, North Bačka, Serbia Monthly Weather Forecast - weather.com
https://weather.com/[...]
Weather Channel
2020-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