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w 4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ewehr 43(G43)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개발된 반자동 소총이다. 19세기 말부터 반자동 소총 개발이 진행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으로 중단되었다가 1930년대 중반에 재개되었다. G41(W)의 가스 시스템 문제를 개선하여 개발되었으며, 1943년 4월에 정식 채택되어 10월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 G43은 10발들이 탄창을 사용하며 조준경 장착 레일이 표준으로 장착되어 저격총으로도 활용되었다. 전쟁 말기에는 7.92×33mm Kurz 탄약을 사용하도록 개조되기도 했다. G43은 분해 청소가 용이하고 사격 정확도는 충분했지만, 과도한 작동 불량 및 파손, 먼지 환경에서의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의 반자동 소총 - M1 카빈
M1 카빈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 후방 부대용으로 개발된 반자동 소총으로, 가볍고 다루기 쉬운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고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반자동 소총 - SVT-40
SVT-40은 소련의 반자동 소총으로, 1930년대에 모신-나강 소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가스 작동 방식과 10발 탄창을 사용하고 저격 모델도 존재했으나, 생산 및 유지 보수의 어려움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보병 무기 - 게베어 98
게베어 98은 1898년 독일군이 채택한 볼트 액션 소총으로, 파울 마우저의 설계를 기반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주력 소총으로 사용되었으며, 7.92×57mm 마우저 탄을 사용하는 다양한 파생형과 개조 모델이 20세기 초반 여러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보병 무기 - 판처파우스트
판처파우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에서 개발된 일회용 대전차 무기로, 자원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간이 구조와 자원 절약을 통해 대량 생산 및 배치를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종전 후 소련의 RPG-2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독일의 소총 - 게베어 98
게베어 98은 1898년 독일군이 채택한 볼트 액션 소총으로, 파울 마우저의 설계를 기반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주력 소총으로 사용되었으며, 7.92×57mm 마우저 탄을 사용하는 다양한 파생형과 개조 모델이 20세기 초반 여러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독일의 소총 - 드라이제 췬트나델게베어
드라이제 췬트나델게베어는 요한 니콜라우스 폰 드라이제가 개발하고 프로이센군에 채택되어 실전에 배치된 최초의 후장식 볼트액션 소총으로, 빠른 연사 속도와 재장전 용이성으로 군사 전술에 영향을 미쳤지만 기술적 한계로 금속 탄피 소총으로 대체되었다.
| Gew 43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반자동소총 |
| 개발 국가 | 나치 독일 |
| 사용 국가 | 사용자 참고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 설계자 | 발터 |
| 설계 시기 | 1943년 |
| 생산 기간 | 1943년–1945년 |
| 생산량 | 402,713정 |
| 제원 | |
| 무게 | 4.4 kg |
| 전체 길이 | 1115 mm |
| 총열 길이 | 550 mm |
| 탄약 | 7.92×57mm 마우저 |
|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쇼트 스트로크 피스톤, 플래퍼 로킹 |
| 총구 속도 | 746–776 m/s |
| 유효 사거리 | 500 m, 스코프 장착 시 800 m |
| 급탄 방식 | 10발 분리형 상자형 탄창 또는 5발 클립 |
| 조준 장치 | 가늠쇠, 가늠자, ZF 43 광학 조준경 |
2. 개발 경위
19세기 말부터 각국에서 반자동 소총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강력한 탄약을 사용하는 보병총의 자동화는 쉽지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은 항공기 탑승병용으로 스위스 SIG사의 몬드라곤 M1908 반자동 소총을 Flieger-Selbstlader-Karabiner 15(15형 항공병용자동장전기병총)로 채용, 수입하였고, 마우저사에서도 Selbstlader Mod.1916(1916형 자동장전총)을 개발하여 항공기나 비행선 탑승병용으로 사용하였다.[16][20] 이 총들은 지상전이 아닌 항공병용이었기 때문에 채용이 가능했지만, 지상 보병총으로는 부적합했다.[21]
1943년 4월 30일에 G43이 정식 채택되었지만[31], 생산은 10월부터 시작되었다[32]. 1943년에는 발터사만 생산을 담당했으나[32], 1944년에는 베를린 뤼베커사와 구스트로프사도 생산에 참여했다[33]. 당시 기록이 불완전하게 남아있지만, 총에 새겨진 일련 번호를 집계하여 조사한 결과, 총 생산량은 462,000정으로 추정된다. 이 중 발터사가 225,500정, 베를린 뤼베커사가 194,000정, 구스트로프사가 40,500정을 생산했다[34]. 구스토프사의 병기 공장은 1944년 8월 영국 공군의 집중 폭격을 받아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35], 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반자동 소총 개발이 중단되었다가 1930년대 중반에 재개되었다.[23] 마우저사와 발터사는 G35, A115 등 여러 시험작을 제작했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했다.[23][24] 하인리히 폴머의 폴머 M35A는 성능이 우수했지만, 1938년 개발 중지 명령이 내려졌다.[25]
1940년, 독일 육군은 마우저사와 발터사에 반자동 소총 시험 제작을 명령하여, 각각 G41(M)과 G41(W)가 개발되었다.[27] 1942년, G41(W)가 제식 채용되었으나,[28] 가스 시스템 문제로 인해 발터사는 추가적인 개량을 요구받았다.[29] 1941년 6월 발발한 독소전에서 독일군은 소련군의 SVT-40, AVS-36 등 반자동 소총을 노획하여 연구했고,[30] 발터사는 이를 참고하여 G41을 개선, G43을 완성했다.[30]
3. 생산
초기 생산품은 기관부 왼쪽면에 G.43으로 각인되었으나, 1944년 4월 25일부로 제식 명칭이 Karabiner 43으로 변경되어[36] 이후 생산품에는 K.43으로 새겨졌다. K.43은 G.43의 단축형으로 5cm 짧다거나 생산 공정 생략형이라는 정보가 널리 퍼져 있는데, 이는 오해다. 대전 말기 생산품에 어느 정도 공정 생략이 발견되지만, 이는 명칭과 관계없이 실행된 것으로, 현존하는 두 모델은 각인 외에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37].코드 년도 제조사명 bcd 1943 구스토프사(Gustloff-Werke) duv 1944 베를린-뤼베크 기계 공장/베를린-뤼베크 기계 공장영어(Berlin-Lübecker Maschinenfabrik) qve 1945 베를린-뤼베크 기계 공장(Berlin-Lübecker Maschinenfabrik) ac 1943-45 발터사 (Carl Walther)
대부분의 G43/K43에는 망원 조준경 장착 레일이 장착되었지만, 대부분은 스코프 없이 표준 보병 형태로 지급되었다. 약 50,000개의 G43/K43sG.43 스코프 변종이 생산되었다.[4] 스코프가 장착된 경우, 4배율의 ZF 4 망원 조준경이 사용되었다. ZF4는 드럼을 사용하여 고도와 풍향을 조절할 수 있었다.
3. 1. 제조사 코드
wikitable
| 코드 | 년도 | 제조사명 |
|---|---|---|
| bcd | 1943 | 구스토프사(Gustloff-Werke) |
| duv | 1944 | 베를린-뤼베크 기계 공장/베를린-뤼베크 기계 공장영어(Berlin-Lübecker Maschinenfabrik) |
| qve | 1945 | 베를린-뤼베크 기계 공장(Berlin-Lübecker Maschinenfabrik) |
| ac | 1943-45 | 발터사 (Carl Walther) |
4. 특징
G43의 매커니즘은 G41에 채용된 플랩 록 방식 로킹 메커니즘[38]에 토카레프 등 소련제 반자동소총과 유사한 가스 피스톤 방식에 의한 자동장전 시스템을 더한 것이다.[30] 탄약의 장전방식은 고정탄창식인 G41에서 탈착탄창식으로 개량되었고 10발들이탄창을 아래에서 장전할 수 있었다. 총검 장착장치는 모두 폐지되고 기관부후단 오른쪽면에 조준경용 레일이 표준장비가 되었다.
전쟁 말기에 알려지지 않은 수의 K43 소총이 7.92×33mm Kurz 탄약에 사용되도록 챔버가 변경되었고 StG44 탄창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3]
4. 1. 성능 평가
미국의 애버딘 시험장 보고서(1946년)에 따르면, Gew43은 분해 청소가 용이하고 사격 정확도는 충분하지만, 과도한 작동 불량 및 파손이 발생하며 먼지 환경에서 자동 사격 신뢰성이 낮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전쟁 말기 조악한 재료 및 조잡한 제조 기술 때문이며, 일반적인 보병총으로서의 성능은 충분했다는 의견도 있다.5. 저격총으로 활용
폴란드 전역 이후, 전선에서 조준경 장착 소총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42] 독일군은 Kar98k와 ZF41 조준경을 조합해 제식화했으나,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44][45] 이 때문에 Kar98k에 민간용 조준경을 장착한 저격소총에 의존해야 했는데, 조준경 자체가 부족하고 Kar98k 개조 및 조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42년경 4배율의 군용 제식 라이플 스코프인 GwZF4 (Gewehr Zielfernrohr 4-fach)가 개발되었다.[43][46] G43은 표준 사양으로 이 GwZF4용 레일을 장착하여 저격총으로 활용될 수 있었으며, 이는 저격총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만성적인 저격총 부족 문제를 해결할 이상적인 해결책으로 여겨졌다.[47]
1943년 8월, 아돌프 히틀러는 GwZF4를 Kar98k, FG42, Gew43에 탑재할 의향을 표명했고, 곧 스코프 장착 Gew43의 증산을 명령했다.[48] 1944년 4월에는 스코프 장착 G43을 "저격총(Scharfschützengewehr)"으로 선언했다. 그러나 무리한 증산으로 인해 총과 조준경 모두 품질이 떨어져 저격총에 요구되는 정밀도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49]
대부분의 G43/K43에는 망원 조준경 장착 레일이 장착되었지만, 대부분은 조준경 없이 일반 보병용으로 지급되었다.[4] 약 50,000정의 G43/K43sG.43 조준경 변종이 생산되었다.[4] 조준경이 장착된 경우, 4배율 ZF 4 망원 조준경이 사용되었다. ZF4는 드럼을 사용하여 고도와 풍향을 조절할 수 있었고, 상단에 있는 사정 거리 드럼은 100~800m 범위에서 50m 단위로 탄도 보정 기능이 있었다.[5] 당시 자료에 따르면 저격총으로 완성된 조준경 장착 Gew/Kar43은 1944년 7월부터 1945년 2월까지 46,042정으로, 전체 생산량의 약 10% 정도였다.[41]
6. 전후 사용
IMBEL에서 "M954 Mosquetão"이라는 이름으로 현지에서 복제된 버전이 브라질군에서 사용되었으나, 극소수만 생산되었고 정식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7]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과 동독 국경군 및 인민경찰도 종전 후 G43을 사용했다.[8] 프랑스군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G43을 사용했다.[8][9] 1954년 쿠데타 이전에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G43을 구매한 과테말라,[11] 아일랜드 공화국 임시군[12], 아일랜드 민족해방군[13]도 G43을 사용한 기록이 있다.
7. 등장하는 미디어 작품
맨 오브 워에서 팔쉬름예거가 조준경 장착형을 장비하고 있다.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 확장팩 스피어헤드에서 스코프 장착형을 입수 가능하다. 콜 오브 듀티: 유나이티드 오펜시브, 콜오브듀티 월드 앳 워에서는 일반형이 등장한다.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에서는 전차 군단 진영의 유닛 기갑척탄병이 업그레이드로 사용 가능하다.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서는 국방군 진영의 척탄병, 기갑척탄병이 업그레이드로 사용 가능하며, 저격수는 기본 무장으로 장비하고 있다. 월드워 히어로즈에서는 크레딧으로 구매해 사용가능하며, 가성비가 좋아 무과금 유저들이 선호하는 총이다.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 CoD:UO는 독일군의 반자동 소총으로 등장한다. CoD:FH에서는 독일군의 반자동 소총으로, 저격용 스코프를 장착한 것이 등장한다. CoD2, CoD2:BRO, CoD3에서는 독일군의 반자동 소총으로 등장한다. CoD:WaW에서는 독일군의 소총으로 등장하며, 소총 유탄을 장착할 수 있다. CoD:BO에서는 좀비 모드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스나이퍼 엘리트 V2에서는 ZF4 스코프가 장착된 것을 이야기 후반에 입수할 수 있으며, DLC를 제외하면 유일한 반자동 저격총이며, 더 높은 제압 효과를 발휘한다. 전장의 발큐리아에서는 "갈리아"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토탈 탱크 시뮬레이터에서는 독일의 소총병이 장비하고 있다. 배틀필드 시리즈에서 배틀필드 1942: 시크릿 웨폰은 독일군 정예 부대의 추가 저격총으로 GwZF4 스코프를 탑재한 것이 등장한다. BFV에서는 돌격병이 사용할 수 있는 반자동 소총으로 등장한다. Enlisted에서는 베를린 전투와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일반 Gew43과 ZF4 스코프를 장착한 것이 등장한다.
7. 1. 게임
맨 오브 워에서 팔쉬름예거가 조준경 장착형을 장비하고 있다.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 확장팩 스피어헤드에서 스코프 장착형을 입수 가능하다. 콜 오브 듀티: 유나이티드 오펜시브, 콜오브듀티 월드 앳 워에서는 일반형이 등장한다.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에서는 전차 군단 진영의 유닛 기갑척탄병이 업그레이드로 사용 가능하다.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서는 국방군 진영의 척탄병, 기갑척탄병이 업그레이드로 사용 가능하며, 저격수는 기본 무장으로 장비하고 있다. 월드워 히어로즈에서는 크레딧으로 구매해 사용가능하며, 가성비가 좋아 무과금 유저들이 선호하는 총이다.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 CoD:UO는 독일군의 반자동 소총으로 등장한다. CoD:FH에서는 독일군의 반자동 소총으로, 저격용 스코프를 장착한 것이 등장한다. CoD2, CoD2:BRO, CoD3에서는 독일군의 반자동 소총으로 등장한다. CoD:WaW에서는 독일군의 소총으로 등장하며, 소총 유탄을 장착할 수 있다. CoD:BO에서는 좀비 모드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스나이퍼 엘리트 V2에서는 ZF4 스코프가 장착된 것을 이야기 후반에 입수할 수 있으며, DLC를 제외하면 유일한 반자동 저격총이며, 더 높은 제압 효과를 발휘한다. 전장의 발큐리아에서는 "갈리아"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토탈 탱크 시뮬레이터에서는 독일의 소총병이 장비하고 있다. 배틀필드 시리즈에서 배틀필드 1942: 시크릿 웨폰은 독일군 정예 부대의 추가 저격총으로 GwZF4 스코프를 탑재한 것이 등장한다. BFV에서는 돌격병이 사용할 수 있는 반자동 소총으로 등장한다. Enlisted에서는 베를린 전투와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일반 Gew43과 ZF4 스코프를 장착한 것이 등장한다.
8. Gewehr-43 기반 Gerät 03 시제품
1943년 6월, 마우저 베르케(Mauser Werke)의 무기 연구소와 무기 개발 그룹은 롤러 잠금 방식을 사용하여 게베어 43(Gewehr 43) 설계를 기반으로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소총 개발을 진행했다.[6] 생산형 게베어 43은 생산 비용이 더 비싸고 튼튼하지 않은 켈만(Kjellman)식 플래퍼 잠금 시스템을 사용했다.[6] 1943년 12월까지 롤러 잠금 방식의 시제 소총인 Gerät 03을 완성했다.[6]
몇 개의 시제품만 제작되었고, ''Gerät 03''은 생산에 들어가지 않았지만, 5,000발의 내구성 시험을 거쳤다.[6] 시험 사격 중 ''Gerät 03'' 액션에서 볼트 바운스(bolt-bounce) 현상이 나타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향이 발견되었다.[6] 이러한 문제의 관찰은 의도적으로 완전히 잠기지 않는 롤러 지연 블로우백 액션 설계의 아이디어와 개발로 이어졌으며, 이는 가스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6]
9. 슈터 키트 (Shooters kits)
Gewehr 43의 초기 가스 시스템은 가스량이 많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식 탄약을 심한 오염이나 결빙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가스 시스템은 탄약에 특화되어 있어 다양한 추진제와 탄자의 압력 특성에 맞게 조절할 수 없었다. 따라서 현대식 탄약(C.I.P. 규격의 더 높은 압력인 7.92×57mm 마우저 탄약)을 사용하면 가스 피스톤이 볼트 캐리어를 너무 빠르고 강하게 밀어내어 리시버에 더 큰 충격을 가할 수 있다. 특히 2차 대전 말기에 생산된 Gewehr 43의 경우, 리시버 후면의 얇은 강판 품질이 좋지 않거나, 볼트 캐리어의 열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수 있다. 이는 총기의 마모 및 손상을 증가시키고, 최악의 경우 사수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역사적인 Gewehr 43을 사격하기 위해, 가스 컵과 가스 플러그를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고, 가스 플러그에 다양한 크기의 가스 구멍을 설치하여 사용 탄약의 압력 특성에 맞춰 가스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상업용 "슈터 키트"가 개발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1]
서적
Rifle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ir Impact
ABC-CLIO
[1]
서적
German Automatic Rifles 1941–45: Gew 41, Gew 43, FG 42 and StG 44
Osprey Publishing
[2]
웹사이트
Gewehr 43
http://www.iwm.org.u[...]
Imperial War Museum
2015-04-22
[3]
서적
The German Assault Rifle, 1935–1945
Paladin Press
[4]
웹사이트
World War II German Sniper Systems: Rifles, Optics & Ammo
https://www.american[...]
2021-01-07
[5]
웹사이트
Historic Sniper Scopes - A comparative Study - The ZF4
http://www.snipercou[...]
2008-08-20
[6]
웹사이트
Do You Know Your HK's Parents?
https://www.thefirea[...]
[7]
웹사이트
Fuzís Mauser no Brasil e as Espingardas da Fábrica de Itajubá (Rev. 2)
https://armasonline.[...]
2021-06-28
[8]
간행물
Les fusils semi-automatiques allemand G.43 et K.43
http://fr.1001mags.c[...]
2013-09
[9]
서적
MP 38 and MP 40 Submachine Guns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0]
웹사이트
PART I: ROMANIAN WORLD WAR II: SMALL ARMS: PUSTI SI PISTOLUL MITRALIERA.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2022-12-19
[11]
웹사이트
The military rifle cartridges of Guatemala.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2022-12-15
[12]
뉴스
Five Days In An IRA Training Camp
https://www.leftarch[...]
Iris
2021-03-06
[13]
간행물
GHQ Interview
The Starry Plough
1982-06
[14]
문서
Götz (1990) p.171
[15]
문서
Weaver (2001) p.1
[16]
문서
Götz (1990) p.172
[17]
문서
Weaver (2001) p.3
[18]
문서
Götz (1990) p.175
[19]
문서
Weaver (2001) p.4
[20]
문서
Weaver (2001) p.5
[21]
문서
Weaver (2001) p.6
[22]
문서
Götz (1990) pp.179-180
[23]
문서
Götz (1990) p.181
[24]
문서
Weaver (2001) pp.7-8
[25]
문서
Götz (1990) p.204
[26]
문서
Senich (1987) p.49
[27]
문서
Weaver (2001) p.12
[28]
문서
Weaver (2001) p.41
[29]
문서
Weaver (2001) p.69
[30]
문서
Weaver (2001) p.71
[31]
문서
Weaver (2001) pp.77-78
[32]
문서
Weaver (2001) p.81
[33]
문서
Weaver (2001) pp.100-106
[34]
문서
Weaver (2001) p.325
[35]
문서
Weaver (2001) pp.108-110
[36]
서적
2001
[37]
서적
2001
[38]
서적
2001
[39]
서적
1996
[40]
서적
2001
[41]
서적
2001
[42]
서적
1996
[43]
서적
1990
[44]
서적
1996
[45]
서적
1996, 1982, 2001
[46]
서적
2001
[47]
서적
1982
[48]
서적
2001
[49]
서적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