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D 18875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188753은 백조자리에 위치한 삼중성계이다. 주성 A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으로, 1895년 이중성으로 처음 발견되었다. 1977년 시선 속도 분석을 통해 삼중성계임이 밝혀졌으며, A 주위를 156일 주기로 공전하는 B와 C, 그리고 이 B,C 쌍을 25.7년 주기로 공전하는 A로 구성된다. 2005년에는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후보 HD 188753 Ab가 보고되었으나, 후속 연구에서 탐지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상의 행성계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가설상의 행성계 - 아르크투루스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1등성 중 하나이며 태양계에 접근하고, 52개의 별들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삼중성계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삼중성계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백조자리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백조자리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HD 188753
기본 정보
명칭
명칭HD 188753
관측 정보
기원J2000.0
별자리고니자리
겉보기 등급+7.43
특징
분광형A: G8V
B-V 색지수+0.79
U-B 색지수+0.42
측정
시선 속도-23.5 km/s
고유 운동 (적경)-51.32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286.57 밀리초/년
시차21.63
시차 오차0.65
절대 등급4.17
궤도 요소
기준HD 188753 A
동반성HD 188753 BC
공전 주기25.63 년
긴반지름0.2587 각초 (11.8 천문단위)
이심률0.502
궤도 경사31.1 도
승교점 경도45.7 도
근성점 통과 시기1988.1 년
근일점 인수233.3 도
속도 진폭 (A)4.8 km/s
속도 진폭 (BC)3.4 km/s
물리적 특징
질량 (A)1.06 ± 0.07 태양 질량
질량 (B)0.96 ± 0.05 태양 질량
질량 (C)0.67 ± 0.05 태양 질량
표면 온도 (A)5,750 K
식별 정보
기타 명칭ADS 13125
BD+41 3535
HIP 98001
SAO 48968
WDS J19550+4152
HD 188753 A - B계
공전 주기25.7 년
평균 거리12.3 천문단위
궤도 이심률0.5
궤도 경사각34°
HD 188753 Ba - Bb계
동반성HD 188753 Bb
공전 주기154.448 일
궤도 이심률0.175
궤도 경사각39.6 - 43.6°

2. 항성계 구성원

HD 188753 항성계는 세 개의 별로 구성된 삼중성계이다. 주성인 HD 188753 A는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이고, 반성인 B와 C는 서로 질량 중심을 공전하면서 A 주위를 돈다. A와 B, C 사이의 거리는 대략 12.3AU로, 태양-토성 거리와 태양-천왕성 거리의 중간 정도이다. 세 별의 질량을 모두 합하면 태양 질량의 1.63배이며, 궤도 이심률은 0.5이다.

1895년에 HD 188753은 이중성으로 발견되었다. 주성과 반성의 각거리는 약 0.3였으며, 밝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상대적인 위치의 시간 변화를 조사하여 HD 188753이 연성임을 알게 되었고, 궤도 요소도 추정되었다. 1977년에는 시선 속도 분석을 통해 HD 188753이 삼중 연성계임이 밝혀졌다.

항성계 구성원
천체질량 (M)공전 주기 (일)궤도 장반경 (AU)이심률
HD 188753 A1.06---
HD 188753 Ba0.96154 | rowspan="2" |0.67 | rowspan="2" |0.175
HD 188753 Bb0.67
HD 188753 B1.639380.5(25.7년)12.30.50



2005년 폴란드 천문학자 마체이 코나키(Maciej Konacki)는 HD 188753의 가장 밝은 주성 A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HD 188753 A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지만, 이후 다른 천문학자들에 의해 이 발견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다.

2. 1. 주성 (HD 188753 A)

주성 HD 188753 A는 태양과 비슷한 항성으로, 태양 질량의 1.06배인 G형 주계열성이다. 분광형은 G0V 또는 G8V로 추측된다. A와 반성 B, C의 거리는 대략 태양-토성태양-천왕성 중간 거리인 12.3AU이다.

2. 2. 동반성 (HD 188753 B, C)

주성 HD 188753 A의 반성(동반성) B와 C는 분광형이 각각 K0와 M2이다. 이들은 질량 중심을 주기로 공전하며, 궤도 긴반지름은 0.67AU, 이심률은 이다. 이 쌍의 추정 질량은 각각 0.96 태양 질량과 0.67 태양 질량이다.

B와 C는 A를 약 25.7년 주기로 공전하며, 궤도 이심률은 약 0.50이다. A와 B, C의 거리는 대략 태양-토성태양-천왕성 중간 거리인 12.3AU이다. 이 궤도의 근성점 거리는 6.2 AU이다.

3. 행성 후보 (HD 188753 Ab)

(항성에서 가까운 순서)질량
(MJ)공전주기
(일)공전궤도 반지름
(천문 단위)이심률b>1.14 ± 0.13.3481 ± 0.00090.0446 ± 0.0010.00



발견을 확인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2007년 제네바 천문대의 한 연구팀은 행성을 탐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밀도로 관측했지만, 탐지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코나키는 후속 측정의 정밀도가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부인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반박하며 2007년에 추가 발표를 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2012년 8월 기준으로, 추가 발표는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3. 1. 발견과 의문 제기

2005년 폴란드 천문학자 매치 코나츠키는 HD 188753의 가장 밝은 주성 A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HD 188753 A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2] 그러나 다른 천문학자 에겐베르거는 이 발견에 이의를 제기했다.[2]

이 행성은 목성보다 최소 14퍼센트 질량이 크며, 주성을 3.3일(80시간) 주기로 공전한다.[2] 주성과의 거리는 800만 킬로미터로, 이는 지구와 태양 거리의 20분의 1에 불과하다.[2]

천체질량공전 주기공전 궤도 반지름이심률
b>1.14 ± 0.1 MJ3.3481 ± 0.0009 일0.0446 ± 0.001 천문 단위0.00



HD 188753 Ab (상단 왼쪽)의 (가상) 위성에서 바라본 모습. 가장 밝은 동반성은 지평선 바로 아래에 있다.


코나츠키는 이 행성의 발견을 발표하면서, 다중성계에서 발견된 이 행성을 루크 스카이워커의 고향 행성인 타투인에 빗대어 "타투인 행성"이라고 불렀다.[2]

HD 188753 Ab의 존재는 현재의 행성 형성 모델에 의문을 제기한다.[2] 원시 행성 원반이 주성으로부터 약 1 천문 단위 거리에서 끝났을 것이고, 목성형 행성은 그보다 가까이에서는 형성될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2]

2007년, 제네바 천문대의 한 연구팀은 행성을 탐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밀도와 샘플링 속도를 갖추고 있었지만, 탐지하지 못했다고 밝혔다.[2]

3. 2. 후속 관측 및 현재 상황

마체이 코나키가 행성 존재를 확인하거나 부인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정밀도의 후속 측정에 대해 2007년에 업데이트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2012년 8월 기준으로 업데이트는 발표되지 않았다. 2007년 제네바 천문대의 한 연구팀은 행성을 탐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밀도와 샘플링 속도를 갖추고 있었지만, 탐지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4. 백조자리

백조자리는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별자리 중 하나로, 은하수 속에 위치하고 있어 다양한 천체들을 포함하고 있다.

백조자리에는 데네브(α), 알비레오(β), 사드르(γ), 파와리스(δ), 알자나(ε)바이어 문자로 표기된 항성들이 있다.[1] 또한, 1, 6, 16, 34, 50, 61플램스티드 번호로 표기된 항성들도 있다.[1]

헨리 드레이퍼 목록(HD)에는 HD 185269, HD 187123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HD 188753도 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

4. 1. 백조자리의 주요 항성

항성 이름
HD 188753


4. 2. 백조자리의 다른 천체

이름설명
백조자리 A전파 은하
불꽃놀이 은하나선 은하
코쿤 성운반사 성운
콜드웰 15행성상 성운
달걀 성운원시 행성상 성운
망상 성운초신성 잔해
북아메리카 성운발광 성운
초승달 성운발광 성운
펠리컨 성운발광 성운
메시에 29산개 성단
메시에 39산개 성단
백조자리 OB2OB 성협


참조

[1] 논문 Asteroseismic and orbital analysis of the triple star system HD 188753 observed by Kepler
[2] 논문 Astronomy: giant planet seeks nursery place 2005
[3] 웹사이트 HD 188753 -- Double or multiple star https://simbad.u-str[...] CDS 2018-01-16
[4] 논문 An extrasolar giant planet in a close triple-star system 2007-07-14
[5] 논문 No evidence of a hot Jupiter around HD 188753 A 2007-05
[6] 논문 Planets in Triple Star Systems: The Case of HD 188753 2005-11
[7] 논문 Cluster Origin of the Triple Star HD 188753 and Its Planet 2005-12
[8] 뉴스 First Planet Under Three Suns Is Discovered http://www.caltech.e[...] Caltech Media Relations 2005-07-13
[9] 논문 The triple sunset that should not exist http://www.nature.co[...] 2005-07-13
[10] 논문 UBV photometry of 300 G and K type stars 1963
[11] 논문 Visual binary orbits and masses POST HIPPARCOS 1999-01
[12] 논문 Catalogue of 132 New Double Stars and Measures of 255 Double Stars 1899-04
[13] 논문 The orbital motion of the double star Hough 581 1918-09
[14] 논문 TRIMOR - three-dimensional correlation technique to analyse multi-order spectra of triple stellar systems: application to HD188753 2009-10
[15] 논문 The multiple star HD 188753 (ADS 13125) 1977-02
[16] 논문 The Washington Visual Double Star Catalog 2017-11
[17] 논문 A PCA approach to stellar effective temperatures 2013-05
[18] 논문 Constraints on the Formation of the Planet in HD 188753 20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