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TC 드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TC 드림은 2008년 10월 T-Mobile을 통해 출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최초의 스마트폰이다. 구글이 안드로이드 Inc.를 인수하고 애플의 아이폰 출시 이후, HTC와 협력하여 개발되었다. 슬라이드 방식의 QWERTY 키보드, 터치스크린, 3.2인치 디스플레이, 퀄컴 프로세서, 3.15 메가픽셀 카메라 등을 갖추고 있으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구글 서비스와의 통합을 특징으로 한다. 출시 당시 디자인과 안드로이드의 유연성, 구글 서비스 통합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멀티 터치 부재 등의 단점도 지적되었다. 2009년 4월 T-Mobile은 미국에서 100만 대 이상의 G1 판매를 기록했다.

2. 역사

HTC 드림은 구글이 개발한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를 탑재하여 세계 최초로 상업적으로 판매된 스마트폰이다.[30] 타이완의 HTC가 제조하였으며, 2008년 10월 북미 시장을 시작으로 출시되었다.[30][31][32]

다만, 대표적인 기업용 메일 서버인 Microsoft Exchange Server를 지원하지 않아 비즈니스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있었다.

2. 1. 개발

"소너" 프로토타입은 드림으로 대체되었다.


2005년 7월, 구글앤디 루빈이 이끌던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개발사 안드로이드 Inc.를 인수했다. 구글의 지휘 아래, 안드로이드 팀은 당시 시장을 주도하던 심비안이나 윈도우 모바일과 경쟁할 수 있는 표준화된 리눅스 기반 모바일 운영 체제 개발에 착수했다. 이 운영 체제는 여러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업체가 자사 휴대 전화에 탑재할 수 있도록 제공될 예정이었다.

초기 개발은 "소너"(Sooner)라는 코드명의 프로토타입 기기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 기기는 블랙베리와 유사한 형태로, 터치스크린이 아닌 작은 화면과 탐색 키, 그리고 물리적인 QWERTY 키보드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2007년 1월 애플이 첫 스마트폰인 아이폰을 공개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아이폰의 혁신적인 디자인은 앤디 루빈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는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방향 전환으로 이어졌다. 운영 체제 디자인은 빠르게 수정되었고, 개발의 초점은 슬라이딩 방식의 물리 키보드를 갖춘 터치스크린 기기, 즉 "드림"(Dream)이라는 새로운 코드명의 프로토타입으로 옮겨갔다. 물리적 키보드를 포함시킨 것은 의도적인 결정이었는데, 당시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은 사용자들이 가상 키보드가 제공하지 못하는 물리적 피드백을 선호할 것이며, 하드웨어 키보드를 유용하게 여길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1][2][3]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는 2007년 11월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의 설립과 함께 공식적으로 세상에 공개되었다. OHA는 모바일 기기를 위한 오픈 표준 개발을 목표로 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 회사들의 컨소시엄이었다. 여기에는 구글뿐만 아니라 당시 세계 최대 휴대폰 제조업체 중 하나였던 HTC도 참여했다.[4][5] 구글은 2008년 안드로이드의 공식 출시를 위해 여러 리눅스 기반 기기를 테스트 중이라고 밝혔지만, 그 해 미국 시장에는 HTC 드림 단 한 모델만 출시될 예정이었다. 계획에 따르면 HTC 드림은 2008년 말(일부 보도에서는 10월 언급)까지 T-모바일 USA를 통해 출시되어 연말 쇼핑 시즌을 공략할 예정이었다. 당시 스프린트 코퍼레이션은 OHA와 협력하고 있었지만 자체 안드로이드 폰 출시 계획은 발표하지 않았고, 버라이즌 와이어리스와 AT&T 모빌리티는 안드로이드 기기 출시 계획이 전무한 상태였다.[5]

HTC 드림은 타이완의 HTC가 제조했으며, 구글이 개발한 모바일 플랫폼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세계 최초의 상용 스마트폰이다. 북미에서는 이동통신사 T-모바일 USA를 통해 2008년 10월 22일부터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2년 약정 시 가격은 179.99USD였다.[30] 영국에서는 2008년 11월, 그 외 유럽 국가에서는 2009년 1분기에 출시될 예정이었다.[31][32]

다만, 대표적인 기업용 이메일 서버인 Microsoft Exchange Server를 지원하지 않아 비즈니스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있었다.

2. 2. 출시

드림의 T-Mobile G1 통신사 브랜드 버전(청동색)


타이완의 HTC는 2008년 9월 23일 드림을 공식 발표했다. HTC 드림은 구글이 개발한 휴대 전화용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를 탑재하여 세계 최초로 판매된 스마트폰이다.[30]

드림은 T-Mobile을 통해 '''T-Mobile G1'''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출시되었다. 미국에서는 2008년 10월 20일 3G 지원 시장을 시작으로 출시되었으며, 2년 약정 시 가격은 179.99USD였다.[6][7][30] 2009년 1월 24일에는 미국 내 모든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6][7] 이후 영국에서는 2008년 11월에 출시되었고, 다른 유럽 지역에서는 2009년 초에 출시되었다.[8][31][32] 폴란드에서는 2009년 3월 10일, Era를 통해 '''Era G1'''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9] 캐나다에서는 2009년 6월 2일, Rogers Wireless를 통해 드림과 후속 기종인 HTC Magic이 함께 출시되었다.[10]

캐나다의 Rogers는 긴급 통화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버그를 이유로 2010년 1월 15일에 드림의 판매를 중단했다.[13] 미국 T-Mobile에서는 2010년 7월 27일에 드림을 단종시켰다.[11] 이후 2010년 10월, T-Mobile은 순정 안드로이드와 슬라이드 키보드를 갖춘 새로운 HTC 기기인 T-Mobile G2를 출시하며 G1의 계보를 이었다. T-Mobile G2는 T-Mobile US의 첫 번째 4G 스마트폰이기도 했다.[12]

3. 특징

타이완의 HTC가 제조한 HTC 드림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세계 최초로 상업적으로 판매된 스마트폰이다.[30] 북미에서는 이동통신사 T-Mobile을 통해 2008년 10월 22일 처음 출시되었다.[30]

외관은 부드러운 무광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했으며, 흰색, 검은색, 브론즈 색상으로 출시되었다. 기기 하단에는 5개의 물리 버튼(전화, 홈, 메뉴, 뒤로, 통화 종료)과 함께 스크롤 및 선택에 사용되는 트랙볼이 특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6] 화면 부분을 옆으로 밀면 숫자 행을 포함한 5열 QWERTY 키보드가 나타나는 슬라이딩 방식을 채택했다.[6][33] 약 8.13cm 크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 LCD를 탑재했으나,[6] 출시 초기 안드로이드 버전에는 가상 키보드가 없었기 때문에 물리 키보드가 주요 텍스트 입력 수단이었다.[6] 또한, 일반적인 3.5mm 헤드폰 잭 대신 독자적인 ExtUSB 포트를 사용했다.[6]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Gmail, 구글 지도, 유튜브 등 다양한 구글 서비스와 긴밀하게 연동되는 환경을 제공했다.[18]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마켓(현 구글 플레이)을 통해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었다.[18] 다만, 출시 초기에는 기업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던 Microsoft Exchange Server를 지원하지 않아 비즈니스 용도로는 제약이 있었다.

3. 1. 하드웨어

하단 5개 버튼 (전화, 홈, 메뉴, 뒤로, 통화 종료)
중앙 클릭 가능 트랙볼[6]크기 및 무게11.68cm x 5.49cm, 158.76g[33]디스플레이약 8.05cm 정전식 터치스크린 LCD (320×480 해상도)[6][33]입력 방식슬라이딩 방식 5열 QWERTY 키보드[6][33]
트랙볼[6][33]
터치스크린 (하드웨어는 멀티 터치 지원하나 리눅스 커널에서 비활성화[14])프로세서퀄컴 MSM7201A SoC (528 MHz)[15][33]메모리(RAM)192MB[15]저장 공간내부 256 MB[15], Micro SD 카드 슬롯 (최대 16 GB 확장 가능)[15][33]카메라후면 315만 화소 자동 초점 지원[15][16][33] (소프트웨어 얼굴 인식 기능 지원[33])네트워크GSM/GPRS/EDGE: 쿼드 밴드 (850/900/1800/1900 MHz)[17][33]
UMTS/HSDPA/HSUPA: 듀얼 밴드 Band I 및 IV (1700/2100 MHz), 7.2/2 Mbit/s[17][33]연결무선랜[33], 블루투스[33], ExtUSB 포트 (Mini-USB 호환, 헤드폰 잭 기능)[6]센서GPS (독립형 및 A-GPS)[17][33], 나침반[33], 가속도 센서[33]



뒷면 덮개가 제거된 흰색 HTC 드림


드림의 외관은 부드럽고 매끄러운 무광 플라스틱 쉘을 사용하며 흰색, 검은색, 브론즈 색상으로 출시되었다.[6] 기기 하단에는 "전화", "홈", "메뉴", "뒤로", "통화 종료"의 5개 탐색 버튼과 스크롤 및 선택에 사용되는 중앙의 클릭 가능한 트랙볼이 배치되어 있다.[6] 크기는 11.68cm x 5.49cm이며 무게는 158.76g이다.[33]

디스플레이는 약 8.05cm 크기의 320×480 해상도를 가진 정전식 터치스크린 LCD이다.[6][33] 화면 부분을 곡선 힌지를 따라 옆으로 밀면 숫자 행을 포함한 5열 QWERTY 키보드가 나타난다.[6][33] 초기 안드로이드 버전에는 가상 키보드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이 물리 키보드가 텍스트 입력의 유일한 수단이었다.[6] 하드웨어 자체는 멀티 터치를 지원하지만, 기기에 탑재된 리눅스 커널의 터치스크린 장치 드라이버에서 멀티 터치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었다.[14]

기기 하단에는 HTC 고유의 ExtUSB 포트가 있는데, 이는 Mini-USB와 호환되며 헤드폰 잭 역할을 겸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헤드폰을 연결하려면 별도의 어댑터가 필요하다.[6] 후면에는 자동 초점 기능을 지원하는 315만 화소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얼굴 인식 기능을 지원한다.[15][16][33]

성능 면에서는 528 MHz로 작동하는 퀄컴 MSM7201A SoC와 192MB의 RAM을 갖추었다.[15][33] 내부 저장 공간은 256 MB이며, Micro SD 카드 슬롯을 통해 최대 16 GB까지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15][33]

네트워크는 쿼드 밴드 GSM (850/900/1800/1900 MHz)과 GPRS/EDGE, 그리고 듀얼 밴드 UMTS Band I 및 IV (1700/2100 MHz)를 지원하며, HSDPA 7.2 Mbit/s, HSUPA 2 Mbit/s 속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17][33] 또한 무선랜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하며, 위치 확인을 위한 독립형 GPSA-GPS 기능, 나침반, 가속도 센서 등을 내장하고 있다.[17][33]

3. 2. 소프트웨어

HTC 드림은 구글이 개발한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이다.[30] 이 운영체제는 Gmail(푸시 이메일 지원), 구글 지도, 구글 검색, 구글 토크, 유튜브와 같은 다양한 구글 서비스와 깊이 통합되어 있으며, 해당 서비스 앱을 기본으로 제공한다.[18] 연락처 앱과 캘린더 앱은 온라인 구글 연락처 및 구글 캘린더 서비스와 각각 동기화될 수 있다.[18] 또한, 스페이스바 왼쪽에 구글 서비스 접근을 위한 전용 키가 있으며, 유튜브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고 구글 지도는 기기에 내장된 나침반 기능과 연동된다.

구글 서비스 앱 외에도 다른 POP3 및 IMAP 기반 메일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메일 앱, 여러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앱, WebKit 기반 웹 브라우저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18] T-Mobile을 통해 판매된 G1 모델에는 아마존 MP3 앱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는 DRM 없는 음악을 온라인으로 구매하여 Wi-Fi를 통해 기기로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18]

알림 시스템은 화면 상단의 상태 표시줄 왼쪽에 이메일, 문자 메시지 등 새로운 이벤트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한다. 상태 표시줄을 아래로 끌어내리면 각 알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담긴 트레이가 나타난다.[18]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마켓(현 구글 플레이)을 통해 기기에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18]

HTC 드림은 출시 이후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기능과 개선 사항을 제공받았다. 공식적으로 제공된 마지막 안드로이드 버전은 1.6 "도넛(Donut)"으로, 2009년 10월 T-모바일 USA의 G1 모델을 대상으로 배포되었다.[19][20] 하지만 캐나다의 이동통신사 Rogers를 통해 출시된 HTC 드림은 1.6 업데이트를 받지 못하고 1.5 "컵케이크(Cupcake)" 버전에 머물렀다. Rogers 측은 해당 업데이트가 '구글 브랜드' 기기에만 제공된다고 밝혔다.[21]

출시 초기에는 기업용 메일 서버로 널리 사용되던 Microsoft Exchange Server를 지원하지 않아 비즈니스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있었다.

4. 개발 및 모딩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오픈 소스 특성으로 인해, HTC 드림은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기능을 수정하고 개선하는 모딩의 인기 있는 대상이 되었다. 드림이 출시된 직후, 개발자들은 소프트웨어 익스플로잇을 이용하여 휴대전화의 시스템 전체에 접근할 수 있는 슈퍼유저 권한을 얻는 방법을 발견했다. 이 과정을 '루팅'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iOS 기기에서의 '탈옥'과 비슷한 개념이다. 루팅을 통해 사용자들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했던 시스템 수준의 변경, 예를 들어 자동 회전 기능을 추가하거나 비활성화되었던 멀티 터치 지원을 복원하는 맞춤형 커널을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14][22]

드림의 부트로더가 분석된 후에는, 이를 수정하여 공식 펌웨어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만든 펌웨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또한 공식 안드로이드 업데이트 파일을 수정된 부트로더 환경에서도 설치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23] 비슷한 시기에 구글은 등록된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을 위해 안드로이드 개발자 폰 1 (ADP1)을 출시했다. 이 기기는 기본적으로 HTC 드림과 동일한 하드웨어였지만, 특정 통신사나 하드웨어 기능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어 있었고, 처음부터 슈퍼유저 접근 권한이 활성화되어 있어 개발자들이 부트로더와 운영체제를 완전히 교체하며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24][25]

이러한 개발 환경은 XDA 개발자와 같은 인터넷 포럼을 중심으로 활발한 사용자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커뮤니티들은 안드로이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직접 만든 맞춤형 펌웨어, 이른바 'ROM'을 제작하고 공유하는 데 집중했다. 특히 CyanogenMod와 같은 프로젝트는 드림을 포함한 여러 안드로이드 기기들을 대상으로 최신 버전의 안드로이드를 이식(포팅)하고, 여기에 자체적인 기능과 개선 사항을 추가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26]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안드로이드 생태계는 단편화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는 이동통신사의 정책이나, HTC Sense나 삼성 터치위즈처럼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위에 추가하는 자체 소프트웨어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특정 기기들이 최신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제때 받지 못하거나 아예 받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들이 직접 개발한 커스텀 롬은 구형 기기에서도 최신 안드로이드 기능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대안으로 자리 잡았지만, 동시에 기기 안정성이나 보안 관련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을 낳기도 했다.[27] 2012년 8월에는 한 사용자 그룹이 당시 최신 버전이었던 안드로이드 4.1 '젤리 빈'을 드림용으로 비공식 이식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기술적 가능성을 보여주는 개념 증명 수준에 그쳤으며, 드림의 상대적으로 낮은 하드웨어 성능 때문에 주요 기능이 누락되고 심각한 성능 저하 문제를 보였다.[28]

5. 평가

HTC 드림은 세계 최초의 상업용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서 출시 초기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IT 전문 매체와 전문가들의 평가는 엇갈렸는데, 혁신적인 운영체제와 구글 서비스 연동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지만, 초기 모델로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완성도 측면에서는 일부 한계를 지적받기도 했다. 특히 물리 QWERTY 키보드 탑재, 여러 탐색 버튼 등 디자인 요소는 아이폰과 차별화되는 지점으로 언급되었으며,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개방성과 유연성은 미래 스마트폰 시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평가 속에서 HTC 드림은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초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의미 있는 상업적 성과를 거두며 안드로이드 생태계 확장의 기반을 마련했다.

5. 1. 비판적 평가

HTC 드림은 출시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견고하고 튼튼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엔가젯의 조슈아 토폴스키는 아이폰이 홈 버튼 하나만 가진 것과 달리 여러 개의 탐색 버튼을 갖춘 점과 "매력적이고 레트로-미래적인 모습"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5][16][17] 안드로이드 1.5 버전에서 가상 키보드가 도입되기 전까지 유일한 텍스트 입력 수단이었던 물리 QWERTY 키보드는 사용하기에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키가 너무 작다고 지적하기도 했다.[15][16][17]

하드웨어에서는 디스플레이가 당시 비슷한 수준의 휴대폰들과 비교했을 때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테크레이더의 존 브랜든은 아이폰에 비해 명암비가 낮고 화면 크기가 작아 동영상 감상에는 부족하다고 평가했다.[16][17] 또한, 하드웨어 자체는 멀티 터치를 지원했지만 정작 운영체제에서는 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었고[14], 일반적인 헤드폰 잭이 없어 독자 규격인 ExtUSB 포트용 어댑터가 필요하다는 점도 단점으로 지적되었다.[15][16]

소프트웨어인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초기 버전으로서 몇 가지 한계를 지적받았다. 일부 기능의 부족, 제한적인 애플리케이션 수, 멀티 터치 제스처 미지원, 일부 기업용 플랫폼과의 동기화 문제 등이 단점으로 꼽혔다.[16][18] 하지만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유연성, iOS보다 개방적인 구조, 효율적인 알림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 필요한 권한을 미리 알려주는 보안 기능, 그리고 구글 서비스와의 강력한 연동성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받았다.[16][18]

종합적으로, 테크레이더는 부족한 애플리케이션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적하면서도 5점 만점에 4.5점을 부여하며, 드림이 "마치 데스크톱 PC처럼 유연하고 유용한 휴대폰의 미래를 보여준다"고 호평했다.[16] 엔가젯은 하드웨어 사양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안드로이드 플랫폼 자체가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G1(드림의 T-Mobile 출시 모델명)을 구매하는 것은 "최근 가장 흥미로운 모바일 혁신 중 하나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18] ''GSMArena''는 안드로이드가 없었다면 드림은 "그저 그런 스마트 QWERTY 메신저 폰"에 불과했을 것이라면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기능들을 제대로 수행한다"고 결론지었다.[17]

5. 2. 상업적 성과

HTC 드림은 구글이 개발한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를 탑재하여 세계 최초로 상업적으로 판매된 스마트폰이다. 타이완의 HTC가 제조했으며, 미국에서는 이동통신사 T-모바일 USA를 통해 2008년 10월 22일부터 판매되기 시작했다. 출시 당시 2년 약정 가격은 179.99USD였다.[30]

출시 초기 미국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9년 3월, 시장 조사 업체 AdMob은 HTC 드림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6%의 점유율을 확보했다고 추정했다.[29] 이어 2009년 4월, T-모바일 USA는 미국 내 HTC 드림(G1) 판매량이 100만 대를 돌파했으며, 이는 당시 자사 3G 네트워크 이용 기기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수치라고 발표했다.[29] 이는 초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시장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

영국에서는 2008년 11월에 출시되었고,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는 2009년 1분기 출시가 예정되어 있었다.[31][32]

참조

[1] 뉴스 The Day Google Had to 'Start Over' on Android https://www.theatlan[...] 2013-12-20
[2] 웹사이트 Google Buys Android for Its Mobile Arsenal https://web.archive.[...] Bloomberg 2012-02-20
[3] 웹사이트 Google is working on a mobile OS, and it's due out shortly https://www.engadget[...] 2012-02-17
[4] 간행물 Industry Leaders Announce Open Platform for Mobile Devices http://www.openhands[...] Open Handset Alliance 2012-02-17
[5] 뉴스 Smartphone Is Expected via Google https://www.nytimes.[...] 2008-08-15
[6] 웹사이트 All T-Mobile retail stores to carry G1 https://web.archive.[...] CBS Interactive 2013-06-17
[7] 웹사이트 T-Mobile G1: Full Details of the HTC Dream Android Phone https://gizmodo.com/[...] gizmodo.com 2013-12-27
[8] 뉴스 T-Mobile Unveils the T-Mobile G1 – the Second Phone Powered by Android http://www.htc.com/w[...] HTC 2009-05-19
[9] 웹사이트 Era G1 https://web.archive.[...] Era GSM 2009-02-15
[10] 웹사이트 Rogers announces HTC Dream (G1) and Magic coming in June http://bgr.com/2009/[...] Penske Media Corporation 2013-06-17
[11] 웹사이트 T-Mobile G1 (HTC Dream) Discontinued http://news.softpedi[...] 2013-06-18
[12] 웹사이트 The T-Mobile G2 fades away https://web.archive.[...] Ziff Davis Media 2013-06-18
[13] 웹사이트 Rogers halts all sales of the HTC Dream due to 911-GPS issue http://bgr.com/2010/[...] Penske Media Corporation 2013-08-06
[14] 웹사이트 Blogger says G1 multitouch capable https://arstechnica.[...] Condé Nast Publications 2013-06-17
[15] 웹사이트 T-Mobile G1 review, part 1 https://www.engadget[...] AOL 2013-10-18
[16] 웹사이트 T-Mobile G1 review http://www.techradar[...] Future Publishing 2013-06-17
[17] 웹사이트 T-Mobile G1 review: The whole cagoogle http://www.gsmarena.[...] 2013-06-17
[18] 웹사이트 T-Mobile G1 review, part 2: software and wrap-up https://www.engadget[...] AOL 2017-08-29
[19] 웹사이트 T-Mobile Rolls Out 'Donut' Android Update https://www.pcmag.co[...] Ziff Davis Media 2013-06-17
[20] 웹사이트 G1 might run the Android 1.6 Donut update after all, says Google https://web.archive.[...] 2013-06-17
[21] 웹사이트 Rogers' HTC Dream and Magic to be deprived of Donut http://bgr.com/2009/[...] Penske Media Corporation 2013-06-18
[22] 웹사이트 A Jailbreak for Google's Android http://www.pcworld.c[...] International Data Group 2013-06-17
[23] 웹사이트 G1 bootloader dumped: big step forward for G1 jailbreakers https://arstechnica.[...] Condé Nast Publications 2013-06-17
[24] 웹사이트 Google introduces developer G1 phones https://arstechnica.[...] Condé Nast Publications 2013-10-18
[25] 웹사이트 Google unleashes unlocked G1 on developers https://web.archive.[...] CBS Interactive 2009-01-09
[26] 웹사이트 Add amazing new features to your phone and camera http://www.pcworld.i[...] International Data Group 2013-06-17
[27] 웹사이트 Access Denied: why Android's broken promise of unlocked bootloaders needs to be fixed https://www.theverge[...] Vox Media 2012-11-24
[28] 웹사이트 Android 4.1 ported to the venerable HTC G1 https://www.theverge[...] Vox Media 2013-06-17
[29] 웹사이트 T-Mobile has sold 1 million G1 Android phones https://web.archive.[...] CBS Interactive 2013-09-03
[30] 논문
[31] 뉴스 速報:T-Mobile・Google Androidイベント http://japanese.enga[...] engadget日本版 2008-09-23
[32] 뉴스 Android携帯 T-Mobile G1 正式発表、マルチタスク&プッシュ同期サポート http://japanese.enga[...] engadget日本版 2008-09-24
[33] 서적 Androidケータイが初お目見え ソース・コード公開もまもな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