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제주방송총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제주방송총국은 1950년 9월 10일 제주방송국으로 개국하여, 198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제주 지역의 지상파 방송국으로, 1TV, 2TV, KBS제주 제1라디오, KBS제주 제2라디오(해피FM), KBS제주 음악FM, 지상파 DMB를 운영하고 있다. 2022년에는 UHD 1TV, 2TV 방송을 시작했으며, 제주시 도남동에 위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제주도 지상파 방송국 - 제주방송
제주방송은 2002년 TV 방송을 개국한 제주특별자치도 가청권역의 방송사로, JIBS라는 약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TV, 라디오, DMB 방송과 NOW JEJU TV 채널을 운영하며 지역 소식을 전달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편성한다. - 대한민국의 제주도 지상파 방송국 - 제주문화방송
제주문화방송은 1968년 남양방송으로 설립되어 라디오 방송을 시작, TV 방송을 개시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역 민영방송으로, 디지털, HD, UHD 방송 시대를 거쳐 뉴스, 시사교양, 예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방영하며 제주 지역의 문화와 소식을 전달하고 있다. - 제주시 -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
2009년 2월 택시기사 박 모 씨가 보육교사 이 모 씨를 성폭행하려다 살해하고 시신을 유기한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은 미흡한 초동 수사로 미제 사건이 되었으나, 2016년 재수사로 박 씨가 기소되었지만 최종적으로 무죄가 확정되었다. - 제주시 - 제주오라종합경기장 야구장
제주오라종합경기장 야구장은 1983년 전국체육대회를 위해 대우건설이 제주도에 기부 채납한 야구장으로, 넓은 규모와 잔디 언덕 관람석이 특징이며, 과거 프로 야구 경기와 전지훈련 장소로 활용되었고, 현재는 퓨처스 리그 및 아마추어 야구 경기가 주로 열린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광주방송총국
KBS광주방송총국은 1939년 라디오 출장소 설치를 시작으로 광주 지역 방송 역사를 시작하여, 현재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뉴스, 교양,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KBS제주방송총국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국 명칭 | KBS 제주방송총국 |
영어 표기 | KBS Jeju Broadcasting Station |
한글 표기 | KBS제주방송총국 |
한자 표기 | KBS 濟州放送總局 |
히라가나 표기 | けーびーえすさいしゅうほうそうそうきょく |
가타카나 표기 | ケービーエスチェジュバンソンチョングク |
로마자 표기 | KBS Jeju Bangsong Chongguk |
운영 | KBS 제주방송총국 |
설립일 | 1971년 4월 20일 |
해산일 | 존속 중 |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대로104 (연동 302-3) |
공식 웹사이트 | KBS 제주방송총국 공식 웹사이트 |
방송 정보 | |
구분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창립일 | 1950년 9월 10일 |
본사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복지로1길 8 (이도동) |
총국장 | 김대홍 |
모기업 | 한국방송공사 |
텔레비전 채널 정보 | |
채널명 | 제주 KBS1 |
개국일 | 1975년 5월 21일 |
위성 채널 | 9번 (HD) |
디지털 채널 | KT : 9번 SK : 9번 LG : 9번 |
2. 연혁
KBS제주방송총국은 1950년 9월 10일 제주방송국으로 개국한 이래[1], 제주 지역 방송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 '''태동기 (1950-1971)'''
- 1950년대 초, 제주방송국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제주도민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성장했다.
- '''기반 구축기 (1973-1978)'''
- 1970년대, 한국방송공사 제주방송국으로 발족하며 TV 로컬 방송을 개시하는 등 방송 서비스 영역을 확장했다.[1]
- '''변혁기 (1980-1994)'''
- 1980년대에는 컬러 텔레비전 방송과 FM 방송을 시작하고, 1986년 제주방송총국으로 명칭을 변경하며[1] 기술적, 제도적 변화를 겪었다.
- '''성장 발전기 (2000-2004)'''
- 2000년대에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고,[1] 표준FM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하는 등[1] 디지털 시대에 발맞춘 변화를 이루어냈다.
- '''도약기 (2006-2014)'''
- 2006년 지상파DMB 방송을 개국하고[1], 2011년 지상파 아날로그TV 방송을 종료하는 등[1] 방송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를 거듭했다. 2014년에는 도남동에 신사옥을 준공하여 새로운 도약을 준비했다.[1]
- '''UHD 시대 (2021-)'''
- 2021년 제1 UHDTV 채널 허가를 받고[1], 2022년 UHD 방송을 개국하며[2] 고화질 방송 시대를 열었다.
2. 1. 태동기 (1950-1971)
- 1950년 9월 10일: 제주방송국 개국 (1라디오 주파수 1080㎑, 출력 50W, 호출부호 HLKS)
- 1951년 3월 10일: 출력 증강 (1라디오 50W → 1㎾, 주파수 1080㎑, 호출부호 HLKS)
- 1962년 1월 5일: 서귀포중계소 개설 (1라디오 주파수 1320㎑, 출력 1㎾, 호출부호 HLCF)
- 1971년 4월 20일: 아라 송신소 개설 (1라디오 주파수 960㎑, 출력 10㎾), 견월악 TV 송신소 개국 (CH 12), 청사 신축 이전 (제주시 이도2동 1632)
2. 2. 기반 구축기 (1973-1978)
- 1973년 3월 3일 : 한국방송공사 제주방송국 발족[1]
- 1975년 5월 21일 : 삼매봉중계소 개국 (1TV CH 9)[1]
- 1975년 11월 12일 : 고산중계소 개소(1라디오 주파수 1500㎑, 출력 1㎾, 호출부호 HLQC)[1]
- 1978년 3월 1일 : 견월악송신소 표준FM 방송 개시 (99.1㎒)[1]
- 1978년 7월 1일 : TV 로컬 방송 개시[1]
- 1978년 11월 28일 : 1라디오 주파수 변경 (아라 963㎑, 서귀포 621㎑, 고산 1539㎑)[1]
2. 3. 변혁기 (1980-1994)
- 1980년 10월 20일: 신제주청사(제주시 연동 302-3) 준공 및 이전.[1]
- 1980년 12월 1일: 컬러TV 방송 개시.[1]
- 1981년 2월 1일: 견월악송신소에서 교육FM 방송(주파수 107.3㎒) 및 교육TV(CH 26) 방송 개시.[1]
- 1981년 5월 18일: 견월악송신소 2TV(CH 10), 삼매봉 중계소 2TV(CH 13) 방송 개시.[1]
- 1982년 3월 4일: KBS제주 제1라디오를 FM으로 수신 가능하며, 잡음이 없는 표준FM(모노)으로 동시 방송.[1]
- 1983년 9월 10일: 견월악 송신소에서 음악FM(호출부호 HLKS-FM, 96.3㎒) 방송 개시 및 교육TV 채널 변경(CH 20).[1]
- 1986년 12월 8일: 한국방송공사 직제 개편으로 제주방송총국으로 명칭 변경.[1]
- 1994년 3월 1일: 송신운용부 발족, 5개 송·중계소 원격제어 운용 개시.[1]
2. 4. 성장 발전기 (2000-2004)
- 2000년 8월 1일 : 견월악 송신소 제2라디오 FM 개국 (견월악 91.9㎒)
- 2000년 12월 28일 : 금악TVR, 삼매봉중계소 제2라디오 FM 개국 (삼매봉 94.3㎒)
- 2001년 11월 5일 : 표준FM 스테레오 방송 개시
- 2002년 10월 25일 : 삼매봉 중계소 2라디오 FM 주파수 변경 (94.3㎒ → 89.7㎒)
- 2004년 9월 10일 : 견월악 송신소 표준FM 출력 증강 (1㎾ → 3㎾)
- 2004년 12월 30일 : 제주 지역 최초 디지털TV 방송 개시
2. 5. 도약기 (2006-2014)
- 2006년 6월 20일 : 삼매봉 중계소에서 지상파DMB 방송을 개국했다.
- 2009년 1월 19일 : 광해악 디지털TV중계소를 개국했다.
- 2009년 7월 1일 : 제주(송) 원격제어 통합운용을 실시했다.
- 2009년 12월 31일 : 금악TV중계소에 디지털TV 시설을 준공하고 시험 송출을 했다.
- 2011년 6월 29일 : 지상파 아날로그TV 방송을 종료하고 제주방송총국 신청사 기공식을 가졌다.
- 2014년 2월 10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남동 668번지로 신사옥을 이전했다.
- 2014년 3월 20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남동 668번지에 신사옥을 준공했다.
2. 6. UHD 시대 (2021-)
2021년 10월 27일 제1 UHDTV 채널 허가를 받았다.[1]2022년 2월 11일 UHD 1TV, 2TV를 개국하였다.[2]
3. 방송 송출 시설
KBS제주방송총국은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 송출 시설을 갖추고 있다.
'''TV'''
KBS제주방송총국은 1TV와 2TV, 두 개의 텔레비전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1TV는 가상채널 9-1번, 2TV는 가상채널 7-1번을 사용한다. 2011년 6월 29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종료되었다.[1]
'''라디오'''
KBS제주방송총국은 제1라디오, 제2라디오(해피FM), 음악FM 등 세 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지상파 DMB'''
U-KBS는 KBS제주에서 운영하는 지상파 DMB 채널이며, 호출 부호는 HLKS-TDMB이다.
3. 1. TV
KBS제주방송총국은 1TV와 2TV, 두 개의 텔레비전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1TV는 가상채널 9-1번, 2TV는 가상채널 7-1번을 사용한다.2011년 6월 29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종료되었다.[1] 이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정책에 따른 것이다.
3. 1. 1. 디지털TV
KBS제주방송총국은 디지털TV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1TV는 가상채널 9-1번을 사용하며, 호출부호는 HLKS-DTV(HD), HLKS-UHDTV(UHD)이다. 2TV는 가상채널 7-1번을 사용하며, 호출부호는 HLQC-DTV(HD), HLQC-UHDTV(UHD)이다.송신소 | 1TV 물리채널 | 2TV 물리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견월악 송신소 | 28 | 56 | 1kW | 제주시 명림로 584 |
소길 중계소 | 19 | 22 | 20W | 제주시 애월읍 소길리 산194-15 |
금악 중계소 | 24 | 38 | 20W |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
삼매봉 송신소 | 14 | 16 | 500W | 서귀포시 남성로 115번길 53 |
광해악 중계소 | 41 | 45 | 90W |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937 |
매봉 중계소 | 23 | 25 | 20W |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산4 (매오름) |
성산포 중계소 | 41 | 45 | 10W |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2039-1 |
송당 소출력 | 27 | 29 | 0.05W |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산 100-2 |
추자 중계소 | 20 | 21 | 10W | 제주시 추자면 영흥리 산26-1 |
3. 1. 2. 아날로그TV (2011년 6월 29일 방송 종료)
wiki- 1TV
- * 호출부호: HLKS-TV (제주시, 견월악)
- * 호출부호: HLCF-TV (서귀포, 삼매봉)
송신소 | 1TV | 2TV | 출력 | 송신소 위치 |
---|---|---|---|---|
견월악 송신소 | CH 12 | CH 10 | 5kW | 제주 제주시 명림로 584 |
삼매봉 중계소 | CH 9 | CH 13 | 1kW | 제주 서귀포시 남성로115번길 53 |
금악 중계소 | CH 32 | CH 23 | 100W | 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
3. 2. 라디오
KBS제주 제1라디오 |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아라 송신소 | AM 963kHz | 10kW | HLKS | 제주 제주시 아라1동 3-8 |
견월악 송신소 | FM 99.1MHz | 3kW | HLKS-SFM | 제주 제주시 명림로 584 |
삼매봉 중계소 | FM 95.3MHz | 3kW | HLKS-SFM | 제주 서귀포시 남성로115번길 53 |
금악 중계소 | FM 103.7MHz | 100W | HLKS-SFM | 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
KBS제주 제2라디오 (해피FM)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견월악 송신소 | FM 91.9MHz | 3kW | HLQC-SFM | 제주 제주시 명림로 584 |
금악 중계소 | FM 92.7MHz | 100W | HLQC-SFM | 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
삼매봉 중계소 | FM 89.7MHz | 1kW | HLQC-SFM | 제주 서귀포시 남성로115번길 53 |
KBS제주 음악FM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견월악 송신소 | FM 96.3MHz | 3kW | HLKS-FM | 제주 제주시 명림로 584 |
삼매봉 중계소 | FM 99.9MHz | 3kW | HLKS-FM | 제주 서귀포시 남성로115번길 53 |
3. 3. 지상파 DMB
U-KBS는 KBS제주에서 운영하는 지상파 DMB 채널이며, 호출 부호는 HLKS-TDMB이다.송신소 | 물리 채널 (주파수) | 전파 출력 |
---|---|---|
견월악 | K-13Bch (213.008MHz) | 1kW |
금악 | 90W | |
광게악 | 90W | |
삼매봉 | 1kW |
4. 제작 프로그램
KBS제주방송총국은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뉴스와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편성한다.
4. 1. TV 프로그램
주말 10분주말 밤 9시 20분 ~ 9시 3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