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V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REVA는 일본의 래퍼, 음악 프로듀서, 배우이다. 1995년 BY PHAR THE DOPEST로 데뷔하여, 1997년 KICK THE CAN CREW를 결성하여 활동하며 MC와 트랙 메이킹을 담당했다. 2004년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2006년 앨범 『사랑·자신 박람회』로 오리콘 위클리 차트 1위를 기록했다. 2012년부터는 음악 페스티벌 '908 FESTIVAL'을 개최하고 있으며, 영화, 드라마, 뮤지컬, CM 출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스가 시카오
스가 시카오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음악 프로듀서, DJ, 라디오 진행자이며, 펑크, 소울,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 스타일로 활동하며, SMAP, KAT-TUN, 아라시 등 다른 아티스트에게 곡을 제공하는 작사,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 일본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도모토 츠요시
도모토 츠요시는 1979년 일본에서 태어나 킨키 키즈로 데뷔하여 가수, 배우 활동을 하며, 다양한 프로젝트명으로 솔로 활동을 통해 독창적인 음악과 예술적 재능을 선보인 아티스트이다. - 일본어 가수 - 센 마사오
센 마사오는 1965년 데뷔하여 '북국의 봄' 등 히트곡으로 일본 대표 엔카 가수로 성장했으며, 부동산 사업으로 성공했으나 버블 붕괴 후 가수 활동에 복귀, NHK 홍백가합전에 16회 출연했다. - 일본어 가수 - 하시모토 사토시
하시모토 사토시는 1989년 극단 ☆신감선에서 데뷔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치다 1997년 퇴단 후 드라마, 영화, 뮤지컬 배우 및 성우로 활동하며, 특히 뮤지컬 "미스 사이공", "레 미제라블" 등에서 주역을 맡아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았고 2023년 9월 소속사를 퇴사 후 개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게이오기주쿠 대학 동문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 게이오기주쿠 대학 동문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KREVA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본명 | 하타케야마 다카시 |
| 별칭 | 닥터 K |
| 출생일 | 1976년 6월 18일 |
| 출생지 | 에도가와구, 일본 |
| 혈액형 | O형 |
| 학력 | 게이오기주쿠대학 환경정보학부 |
| 음악 경력 | |
| 직업 | 래퍼, 싱어송라이터, 음악 프로듀서, DJ |
| 장르 | 힙합, 팝 랩 |
| 활동 기간 | 1995년 - 현재 |
| 레이블 | 버거 인 레코드 (2004년), 나이프 엣지 (2004년 - 2016년), 쿠 레이블 (2005년 - ), 스피드스타 레코드 (2016년 - ) |
| 프로덕션 | 엘리먼츠, 프리 (2024년 4월 - ) |
| 관련 활동 | 킥 더 캔 크루, By Phar the Dopest, Funky Grammar Unit, 구보타 도시노부, 미우라 다이치, DJ SHUHO, 구마이 고로 |
| 웹사이트 | |
| 공식 웹사이트 | KREVA 공식 웹사이트 |
2. 내력
아오모리현히로사키시에서 태어나 도쿄도에도가와구에서 자랐다. 본명은 하타케야마 타카시畠山 貴志|하타케야마 다카시일본어[10]이다.
중학교 2학년 때 바비 브라운의 영상을 보고 영향을 받아 처음에는 댄스를 시작했고, 친구가 DJ 장비를 갖춘 것을 계기로 랩을 시작했다[11]。
1995년 게이오기주쿠 대학 환경정보학부(SFC) 재학 중 동급생 CUE(현 CUEZERO)와 함께 BY PHAR THE DOPEST를 결성하고, 언더그라운드 활동을 시작했다. 1997년부터는 LITTLE, DJ SHUHO, MCU와 함께 킥 더 캔 크루(KICK THE CAN CREW)로 활동하였다. KREVA는 MC와 거의 모든 곡의 트랙 메이킹을 담당했다.[12]
2004년 6월, 킥 더 캔 크루 활동 중단 후, "신인 KREVA"라는 이름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24] 전국 도도부현의 라디오 방송국을 방문하여 KICK THE CAN CREW 이야기는 최대한 피하면서 신인 아티스트로서 프로모션 활동을 했다.[24] 인디즈 싱글 〈희망의 불꽃〉을 발매하고, 이후 포니캐년의 레이블 "Knife Edge"에서 싱글 〈음색〉으로 메이저 데뷔했다.
2. 1. BY PHAR THE DOPEST 시절
1995년 게이오기주쿠 대학 환경정보학부(SFC) 재학 중 동급생 CUE(현 CUEZERO)와 함께 BY PHAR THE DOPEST를 결성하고, 언더그라운드 활동을 시작했다. 1998년경까지 활동하며 앨범 《BY PHAR THE DOPEST》를 발매했다.2. 2. 킥 더 캔 크루 시절
1997년부터 LITTLE, DJ SHUHO, MCU와 함께 킥 더 캔 크루(KICK THE CAN CREW)로 활동하였다. KREVA는 MC와 거의 모든 곡의 트랙 메이킹을 담당했다.[12] 2002년에는 〈마르셰〉가 히트하여 《제53회 NHK 홍백가합전》에 처음으로 출장했다.[12]2. 3. 솔로 활동
2004년 6월, 킥 더 캔 크루 활동 중단 후, "신인 KREVA"라는 이름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24] 솔로 활동을 시작한 이유는 떠오른 멜로디나 단어를 들려오는 대로, 형태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며, 그룹이라서 음악을 듣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것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23] 솔로 활동 개시 초에는 전국 도도부현의 라디오 방송국을 방문하여 KICK THE CAN CREW 이야기는 최대한 피하면서 신인 아티스트로서 프로모션 활동을 했다.[24]인디즈 싱글 〈희망의 불꽃〉을 발매하고, 이후 포니캐년의 레이블 "Knife Edge"에서 싱글 〈음색〉으로 메이저 데뷔했다. 2006년에는 앨범 『사랑·자신 박람회』로 오리콘 위클리 차트 1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일본 힙합 솔로 아티스트 최초의 기록이었다.
2011년 9월, KREVA는 다섯 번째 앨범 ''Go''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오리콘 주간 차트 2위에 올랐다.[2][3] 2012년 6월에는 싱글 "Oh Yeah!"를 발매하여 오리콘 주간 차트 8위에 올랐다.[2][5]
2014년에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인 더 하이츠의 일본 프로덕션 가사를 각색했다.[6]
3. 인물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서 태어나 도쿄도 에도가와구에서 자랐다. 본명은 하타케야마 타카시이다.[10]
중학교 2학년 때 바비 브라운의 영상을 보고 영향을 받았다. 처음에는 댄스를 시작했고, 친구가 DJ 장비를 갖춘 것을 계기로 랩을 시작했다.[11]
4. 참여 그룹
KREVA는 아래 그룹들에 참여했다.
| 그룹명 | 활동 기간 |
|---|---|
| BY PHAR THE DOPEST | 1995년 - 1998년, 2006년 |
| FUNKY GRAMMAR UNIT | 1996년경 - 현재 |
| KICK THE CAN CREW | 1996년 - 2004년, 2017년 - 현재 |
| 얼굴PASS 브라더스 | 2003년 - 2004년 |
| 미코시 로커즈 | 2004년 - 현재 |
| The THREE | 2008년 |
5. 음반 목록
KREVA의 음반 목록은 정규 앨범, 미니 앨범, 컴필레이션 앨범, 리믹스 앨범, 싱글, 참여곡으로 나뉜다.
- 정규 앨범: 2004년 신인 KREVA를 시작으로, 거짓과 번뇌(2017), AFTERMIXTAPE(2019), LOOP END / LOOP START(2021/2022) 등을 발매했다.
- 미니 앨범: OASYS(2010), 존재감(2018)이 있다.
- 컴필레이션 앨범: クレバのベスト盤|KREVA의 베스트반일본어(2008), 베스트 앨범 「KX」(2014) 등이 있다.
- 리믹스 앨범: ''Best of MixCD No. 1''(2007) 등이 있다.
- 싱글: 희망의 불꽃(2004), 음색(2004), 잇사이갓사이(2005), 국민적 행사(2006) 등 다수의 싱글을 발매했다.
- 참여곡: 미우라 다이치, 히라이 켄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곡에 참여, 리믹스, 프로듀싱을 했다.
| 연도 | 제목 | 아티스트 | 앨범 | 비고 |
|---|---|---|---|---|
| 1998 | Maestro-T's Innocent Remix (Featuring Rap KREVA) | Maestro-T | MINAMI의 Analog 12inch Single 『MINAMI feat:KREVA』 Remix Side:B | |
| 2000 | FEEL DE VIBES ~마음・기술・몸~ feat. BOOGIE MAN&KREVA | SISTER KAYA | 『DRAGON LADY〜용적 숙녀〜』 | |
| 2000 | After Hours / ORITO&Neo feat. KREVA | ORITO&Neo | 옴니버스 앨범 「WIRED2」 | |
| 2001 | Tiny Honey-Tiny Voice Ultimate Connection feat. KREVA | Neo | 싱글 「Tiny Honey」 | |
| 2001 | Sinu-City / KREVA, UZI, Mummy-D | KREVA, UZI, Mummy-D | 옴니버스 앨범 『사고회로』 | |
| 2001 | wonderful world (KREVA remix feat. KREVA from KICK THE CAN CREW) | 히라이 켄 | 『Kh re-mixed up 1』 | |
| 2002 | Zubi Zubi 24//7:feat. KREVA & NG HEAD | Home Grown | 『Home Grown』 | |
| 2004 | 태고반 feat. KREVA | CUEZERO | 『3분 쿠킹』 | |
| 사와게나이 사타데나이 feat. KREVA | ||||
| 밤 축제 인더 CLUB feat. KREVA | ||||
| 2004 | Private Collection feat. KREVA (KICK THE CAN CREW) | Home Grown | 『Time is Reggae』 | |
| 2005 | 펑키 글래머러스 Part.2 featuring KREVA | 마보로시 | 싱글 「펑키 글래머러스 Part.2 featuring KREVA」, 앨범 『와루다쿠미』 | |
| 2005 | 아이노카치 feat. KREVA | 도지-T | 『도무』 | |
| 2005 | 요!맛테마시타!!feat. KREVA | DJ TATSUTA | 『DYNAMITE』 | |
| 2005 | Baila Baila feat. KREVA | MOOMIN | 『LINK UP』 | |
| 2005 | 맑은 날씨 feat. CUEZERO, KREVA | SONOMI | 싱글 「맑은 날씨 feat. CUEZERO, KREVA」 | |
| 2005 | 간장 베이비/ KREVA introducing 츠보이 | KREVA | DANCEHALL PREMIER 시리즈, 앨범 『Dancehall Premier Presents. Reggae Million II』 | |
| 2005 | 희망의 다리~Remix feat. KREVA~(Bonus Tracks) | Vo Vo Tau | 『VVT 03』 | |
| 2005 | 랩 할아버지 feat. AMIDA, KREVA | 가키 렌저 | 『GO 4 BROKE』 | |
| 2006 | 위크엔드 셔플 feat. MCU, RYO-Z, KREVA, CUEZERO, CHANNEL, KOHEI JAPAN, SU, LITTLE, ILMARI, GAKU-MC, SONOMI, PES, K.I.N, 도지-T | RHYMESTER | 『HEAT ISLAND』 | |
| 2006 | 라이츠, 카메라, 액션 Remix feat. KREVA | 레미 마 | 『THERE'S SOMETHING ABOUT REMY : BASED ON A TRUE STORY』 | |
| 2007 | TA-KA-YO-U-JI(사무라이 바운스) feat. KREVA | DABO | 『DABO Presents B.M.W. -BABY MARIO WORLD- Vol.1』 | |
| 2007 | E.G.O feat. KREVA | SONOMI | 미니 앨범 『Everyday☆에비데☆』 | |
| 2007 | TECHNIC feat. KREVA | SEEDA | 『거리의 바람』 | |
| 2007 | It's too late feat. KREVA | SONOMI | 미니 앨범 『midnight』 | |
| You can see? Pt.2 feat. KREVA, 치하루 | ||||
| 2007 | 무례 KING feat. KREVA | 치하루 | 싱글 「GO」 | |
| 2007 | 수프 파스타 feat. KREVA | Romancrew | 『DUCK's MARKET』 | |
| 2008 | FAKEASS feat. KREVA / TR-908 | TR-908 | 옴니버스 앨범 『shibuya NUTS presents this is...』 | |
| 2008 | 팔백만 feat. 908 | AMIDA | 『AMIDA』 | |
| 2008 | STEP UP feat. KREVA | L-VOKAL | 싱글 『STEP UP feat.KREVA』 | |
| 2009 | Your Love feat. KREVA | 미우라 다이치 | 싱글 『Your Love feat.KREVA』 | |
| 2009 | 1 on 1 feat. KREVA | COMA-CHI | 『LOVE ME PLEASE!』 | |
| 2009 | 미안해 feat. KREVA | SONOMI | 싱글 『SUMMER』 | |
| 2009 | Private Dancers feat. Mummy-D & KREVA | 크리스탈 케이 | 『BEST of CRYSTAL KAY』(초회 한정반만 Disc-3) | |
| 2009 | Magic Remix / KREVA×미우라 다이치 (마음대로 리믹스 시리즈 Vol.2) | KREVA, 미우라 다이치 | 미우라 다이치의 앨범 『Who's The Man』 | |
| 2010 | JUST LOVE IT feat. VERBAL, KREVA | L-VOKAL | 『Lovin'』 | |
| 2010 | I REP / DABO, Anarchy, KREVA | DABO, Anarchy, KREVA | ||
| 2010 | WONDERFUL X'MAS - L-VOKAL, EGO, Dr.K | L-VOKAL, EGO, Dr.K | L-VOKAL의 『BLING BLING CANDY』, Dr.K 명의로 참가 | |
| 2011 | Vienna feat. Miu Sakamoto & KREVA | 코무로 테츠야 | 『Digitalian is eating breakfast 2』 | |
| 2011 | STRONG / MIYAVI vs KREVA | MIYAVI | 싱글 「STRONG」 | |
| 2011 | H♡PE | MAJOR MUSIC | 싱글 「H♡PE」 | |
| 2012 | I'm yours / Miu x KREVA | Miu Sakamoto | 『I'm yours!』 | |
| 2013 | 우리들의 기적 ~Open Sesame~ | 스즈키 마사유키 | 『Open Sesame』 | |
| 2013 | 「멀리까지 feat. KREVA」 | SONOMI | 『S.O.N.O.M.I』 | |
| 2014 | 남자 FACE feat. KREVA | 사카이 유 | 『Coming Up Roses』 | |
| 2014 | Shock feat. SKY-HI, KREVA, Mummy-D | KEN THE 390 | 『#7』 | |
| 2014 | Catch Me If You Can feat. KREVA | AKLO | 싱글 「Catch Me If You Can feat. KREVA」 | |
| 2014 | TOKYO HARBOR feat. KREVA | 아카이 공원 | 『맹렬 리토믹』 | |
| 2015 | Too Many Girls feat. KREVA | tofubeats | 『POSITIVE』 | |
| 2016 | 무지개 / KREVA MCU LITTLE SONOMI 코니시 마나미 와타나베 사야카 Micchiy JUMPEI 치하루 | KREVA, MCU, LITTLE, SONOMI, 코니시 마나미, 와타나베 사야카, Micchiy, JUMPEI, 치하루 | 옴니버스 앨범 「monday night studio session」 | |
| 2016 | climax | 스즈키 마사유키 | 『dolce』 | |
| 2018 | Glory / 아야카 & KREVA | 아야카 & KREVA | 배신 싱글 「Glory」, 앨범 『30 y/o』 | |
| 2018 | Answer feat. KREVA | 무카이 타이치 | 『PURE』 | |
| 2018 | Rain Dance / MIYAVI vs KREVA vs 미우라 다이치 | MIYAVI, KREVA, 미우라 다이치 | MIYAVI의 앨범 『SAMURAI SESSIONS vol.3 - Worlds Collide -』 | |
| 2019 | 마지막 뉴스 | KREVA | 옴니버스 앨범 「이노우에 요스이 트리뷰트」 | |
| 2020 | 질릴 정도로 사랑해 (feat. KREVA) | 카토리 싱고 | 『20200101』 | |
| 2020 | 「싸움은 불꽃과 같다」feat. KREVA | 이시카와 사유리 | 『멋~Iki~』 | |
| 2020 | 꿈을 쫓는 사람 feat. KREVA | PUNPEE | 배신 앨범 『The Sofakingdom』 | |
| 2020 | One Mic feat. KREVA | ZORN | 배신 싱글 『One Mic feat. KREVA』 | |
| 2020 | RUN REMIX feat. KREVA & VaVa | tofubeats | 배신 앨범 「RUN REMIXES」 | |
| 2023 | 사랑받기 위해 너는 태어났다 ※with KREVA, SEIJI KAMEDA | 이시카와 사유리 | 배신 싱글 「사랑받기 위해 너는 태어났다 ※with KREVA, SEIJI KAMEDA」 | |
| 2023 | Players' Player feat. KREVA | OZROSAURUS | 배신 싱글 「Players' Player feat. KREVA」 | |
| 2024 | 전개 feat. KREVA | 미우라 다이치 | 『OVER』 |
- 프로듀싱: 자신의 레이블 "くレーベル"을 통해 SONOMI 등을 프로듀싱했다.
| 연도 | 제목 | 아티스트 | 앨범 | 비고 |
|---|---|---|---|---|
| 2004 | My Routine | MELLOW YELLOW | 『Funky, Freaky & Fresh』 | |
| 2007 | Don't Stop | 도지-T | 싱글 「Don't Stop」, 앨범 『ONE MIC』 | |
| 2007 | 스로우 | KOHEI JAPAN | 『Family』 | |
| 2007 | Everyday☆에비데이☆, 불안한 키모치, 우키우키 메이플 거리 | SONOMI | 미니 앨범 『Everyday☆에비데이☆』 | |
| 2011 | Still In My Mind | 쿠보타 토시노부 | 『Gold Skool』 | |
| 2012 | FANTASISTA | 미야노 마모루 | 『FANTASISTA』 | |
| 2012 | It's My Turn | KLOOZ | 『DECORATION』 | |
| 2013 | YO! YOU! | L-VOKAL | 배포 싱글 | |
| 2013 | 별인 L 보컬 | L-VOKAL | 앨범, 전편 프로듀스 | |
| 2014 | ULTRAP | UL | 앨범, 전편 프로듀스 | |
| 2015 | 페인 킬러 | RHYMESTER | 『Bitter, Sweet & Beautiful』 | |
| 2016 | As A Sugar | SKY-HI | 『카타르시스』 | |
| 2016 | 된장국 엄마 밥 아빠 | JMC | 싱글 | |
| 2018 | Kimi wo Shiritai | 치하루 | 『시작』 | |
| 2020 | 상상의 저편 | 오자키 히로야 | 『Golden Hour』 | |
| 2021 | 클리어 | V6 | 『Very6 BEST』 | |
| 2022 | 상처가 인연이 된다 | Fling Posse | 싱글 『상처가 인연이 된다』 | |
| 2022 | ichiban | King & Prince | 『Made in』 | |
| 2024 | September 2nd | ANARCHY | 『LAST』 |
5. 1. 정규 앨범
CD+DVDCD+DVD
CD+DVD
CD+BD
2CD+DV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