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V4는 고대 이집트 왕가의 무덤으로, 원래는 람세스 11세의 무덤으로 조성되었으나, 람세스 11세는 다른 곳에 묻히고 무덤은 버려졌다. 이후 피누젬 1세가 무덤을 사용하려 했으나, 역시 다른 곳에 안장되었으며, KV4는 다른 왕들의 부장품을 처리하는 작업장으로 사용되었다. 동로마 제국 시대에는 콥트인들이 거주했으며, 1920년대에는 투탕카멘 무덤 발굴 후 창고로 활용되기도 했다. KV4는 복도실, 매장실, 수직갱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람세스 11세 시대의 정초 매장물, 콥트인 관련 유물, 신왕국 시대 유물 파편 등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V4 | |
|---|---|
| 기본 정보 | |
![]() | |
| 소유자 | 람세스 11세 |
| 위치 | 이스트 밸리 |
| 발견 시기 | 고대부터 개방 |
| 발굴 | 존 로머 (1978년–1980년) |
| 이전 무덤 | KV3 |
| 다음 무덤 | KV5 |
2. 역사
KV4는 고대부터 개방되어 있었고 여러 시대의 낙서가 남아 있어 초기 관광 명소로서의 인기를 보여주지만,[1] 1978년부터 1980년까지 존 로머가 정리하기 전까지는 학문적인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다. 이후 동로마 제국 시대에는 콥트인들이 거주 및 마구간으로 사용하였고,[22] 1920년대 하워드 카터는 KV62 (투탕카멘의 무덤) 발굴 작업을 진행하면서 KV4를 식당과 창고로 사용했다.[22]
2. 1. 람세스 11세의 무덤 조성
KV4는 원래 람세스 11세의 무덤으로 쓰이기 위해 조성되었다. 복도실의 장식과 수직갱도의 정초매장물로 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람세스 11세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곳에 묻히지 않고 하이집트 일대 무덤에 안장되었으며, KV4는 버려졌다.[17] 이후 피누젬이 무덤을 복구하여 자신의 명칭을 새겨 넣었는데, 이는 피누젬이 자기 무덤으로 쓰려 했다는 설명이 가장 유력하다. 그러나 피누젬 역시 이곳이 아닌 다른 곳에 안장되었는데, 정황상 인하피의 무덤 (WNA / DB320 중 한 곳)에 묻힌 것으로 보이며, 이곳은 이후 제17왕조기와 신왕국기에 왕가의 미라를 재안장하는 곳으로도 쓰였다.[18][19] 두 파라오의 매장이 무산된 것은 이 계곡 일대가 왕가의 공동묘지로서 기능을 다하고 전반적으로 방치되던 상태였고, 웨헴메수트 치세에 이르러 선대 파라오 무덤의 복구와 재안장 작업에 나선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0]2. 2. 피누젬 1세의 무덤 사용 시도
람세스 11세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하이집트 일대의 무덤에 묻히고 KV4는 버려졌다. 이후 피누젬이 이 무덤을 복구하고 자신의 명칭을 새겨 넣었는데,[17] 이는 피누젬이 자기 무덤으로 쓰려 했다는 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피누젬 역시 이곳이 아닌 인하피의 무덤 (WNA 또는 DB320)에 안장된 것으로 보인다.[18][19]이처럼 두 파라오의 매장이 무산된 것은 왕가의 계곡이 왕실 묘지로서 기능을 다하고 방치되던 상황과 웨헴메수트 치세에 선대 파라오 무덤의 복구 및 재안장 작업이 시작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0]
2. 3. 다른 왕들의 부장품 처리
KV4는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3세, 하트셉수트 등 다른 왕들의 무덤에서 나온 부장품을 처리하는 작업장으로 쓰였다.[21] KV4에서 발견된 금박을 입힌 젯소 조각과 DB320의 은닉처에서 발견된 투트모세 3세의 관은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투트모세 3세의 관은 고대에 금박 표면의 주요 부분을 조심스럽게 벗겨낸 상태였는데, 이 과정을 KV4에서 진행했다는 설이 있다.[21]파라오의 미라를 담는 관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표면을 긁어내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었기에, 일반적인 도굴꾼의 소행은 아니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KV4에서 발견된 흔적은 왕가의 계곡에 더 이상 매장하지 않는다는 정책 변화의 증거로 해석되며, 값비싼 유물 중 금박처럼 귀중한 부분만 회수하여 무덤 도굴꾼의 침입을 막는 효과도 노렸을 것이다. 회수된 귀중품은 당시 고갈되었던 국고에 보태졌을 것으로 추정된다.[21]
2. 4. 콥트인들의 거주
동로마 제국 시대에 콥트인들은 KV4를 주거 및 마구간으로 활용하였다.[22]2. 5. 근대 이후
동로마 제국 시대에 콥트인들은 KV4를 거처와 마구간으로 활용하였다.[22] 1920년대 하워드 카터는 KV62 (투탕카멘의 무덤) 발굴 작업을 진행하면서 KV4를 식당과 창고로 사용했다. 특히 발굴 초기에는 KV15가 정리되어 창고로 쓰이기 전까지 KV4가 주로 창고로 활용되었다.[22]3. 내부 구조와 유물
KV4는 KV46 옆 계곡의 와디에 자리잡고 있으며, 100m가 넘는 산비탈로 이어진다. 고대부터 KV4는 개방되어 있었고 여러 시대의 낙서가 남아 있어 초기 관광 명소였음을 알 수 있지만, 1978년부터 1980년까지 존 로머가 정리하기 전까지는 학문적인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다. 1978년 존 로머의 발굴 조사 당시 발견된 유물들은 총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다.
3. 1. 내부 구조
KV4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복도 3개와 미완성된 기둥이 있는 방 2개짜리 매장실로 구성되어 있다.[11] 매장실 바닥 중앙에는 깊은 수직 갱도가 깎여 있는데,[10] 여기서 발견된 람세스 11세 시대의 정초 매장물은 이 수직 갱도가 처음 건설될 때 파였음을 알려준다.[12]내부 장식은 외부 출입구의 상인방과 문설주, 그리고 첫 번째 복도에만 붉은색 잉크로 밑그림이 그려져 있다. 복도 장식의 일부는 고대에 손상되었으며, 피네젬 1세가 람세스 9세의 이름을 자신의 것으로 바꿔 새기는 과정에서 복원된 흔적이 있었다.[13]
3. 2. 장식
외부 출입구의 상인방과 문설주, 그리고 첫 번째 복도에만 붉은색 잉크로 밑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복도 장식의 일부는 고대에 손상되었으며, 피누젬 1세가 람세스 9세의 이름을 자신의 것으로 바꿔 새기는 과정에서 복원된 흔적이 있었다.[13]3. 3. 유물
1978년 존 로머가 발굴 조사했을 때 발견된 유물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분류 | 내용 |
|---|---|
| KV62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유래한 유물 | 하워드 카터가 KV62를 정리하면서 KV4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14] |
| 콥트 활동의 증거 | 복도와 매장실에 남겨진 흙 바닥, 거친 돌담, 장식된 도자기 조각, 비잔틴 구리 주화 등이 있다.[15] |
| 22왕조 매장의 잔해 | 매장실 통로에서 발견되었으며 뼈, 카르토나주 조각, 관 조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에 탄 흔적이 있으며 콥트인들이 머물던 시기에 훼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2] |
| 여러 신왕국 왕족 매장의 파편 | 매장실을 중심으로 발견되었으며, 특히 신왕국 후기 이후 훼손되지 않은 수직갱도 하층부에서 발견되었다. |
| 람세스 11세의 기초 제물 | 무덤의 조성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증거가 되었다.[12] |
참조
[1]
웹사이트
KV 4 (Rameses XI) - Theban Mapping Project
http://www.thebanmap[...]
2018-02-26
[2]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3]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4]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5]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6]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7]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8]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9]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10]
웹인용
KV 4 (Rameses XI) - Theban Mapping Project
http://www.thebanmap[...]
2018-02-26
[11]
웹인용
KV 4 (Rameses XI) - Theban Mapping Project
http://www.thebanmap[...]
2018-02-26
[12]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13]
웹인용
KV 4 (Rameses XI) - Theban Mapping Project
http://www.thebanmap[...]
2018-02-26
[14]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15]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16]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17]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18]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19]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20]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21]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22]
서적
Valley of the Kings: Decline of a Royal Necropolis
Kegan Paul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