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1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V15는 이집트 왕들의 계곡에 위치한 무덤으로,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뻗은 긴 복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부 벽과 천장은 석고로 덮여 있으며, 아누비스, 라, 오시리스 등 신들을 묘사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세티 2세가 묻힌 곳으로 추정되지만, 원래는 토스레트의 무덤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그리스어와 라틴어 낙서가 발견되었으며, 1738년 리처드 포코크, 1903-1904년 하워드 카터에 의해 조사되었다. 투탕카멘 무덤 발굴 당시에는 임시 작업실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관광객에게 개방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2세기 완공된 건축물 - KV11
KV11은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위치한 188m 길이의 무덤으로, 다양한 종교적 내용을 담은 벽화와 석관을 특징으로 하며, 1730년대에 존재가 언급되었고, 현재 독일, 이집트 공동 조사단이 내부 조사 및 보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 기원전 12세기 완공된 건축물 - KV14
KV14는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위치한 무덤으로, 세티 2세와 토스레트, 세트나크트가 사용하려 했으나 미완성으로 남겨졌다. - 왕가의 계곡 - KV2
람세스 4세를 위해 건설된 KV2 무덤은 왕가의 계곡에 위치하며 직선 축 구조를 가지고 있고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방문객들의 낙서가 많으며 초기 유럽인들과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학자들에 의해 탐사 및 조사되었다. - 왕가의 계곡 - KV11
KV11은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위치한 188m 길이의 무덤으로, 다양한 종교적 내용을 담은 벽화와 석관을 특징으로 하며, 1730년대에 존재가 언급되었고, 현재 독일, 이집트 공동 조사단이 내부 조사 및 보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KV15 | |
---|---|
기본 정보 | |
이름 | KV15 |
주인 | 세티 2세 |
![]() | |
설명 | KV15 내부의 모습 (2002년 6월 촬영) |
위치 | 왕가의 계곡 이스트 밸리 |
발견 날짜 | 고대에 개방됨 |
발굴자 | 하워드 카터 (1903년~1904년) |
이전 | KV14 |
다음 | KV16 |
장식 | |
내용 | 자칼신 아누비스와 라와 오시리스의 신자들, 누트 여신, 레 암두아트의 기도문, 대문의 서 |
구조 |
2. 구조
KV15는 왕들의 계곡 본류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는 와디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며, 거의 수직에 가까운 구덩이 아래에 파여졌다.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향하는 축을 따라 긴 복도가 이어진다. 입구쪽의 짧은 복도 너머로 복도 구간 세 개가 이어지며 끝에는 우물실이 있으나 실제로 파여지지는 않았다. 그 이후로는 기둥 4개가 서 있는 중앙실과 또다른 복도구간이 이어지는데 끝쪽을 매장실로 개조하였다.[1]
2. 1. 내부 구조
왕들의 계곡 본류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는 와디의 시작 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거의 수직에 가까운 구덩이 아래에 파여졌다.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향하는 축을 따라 긴 복도가 이어지는 구조로, 입구쪽의 짧은 복도 너머로 복도 구간 세 개가 이어지며 끝에는 우물실이 있으나 실제로 파여지지는 않았다. 그 이후로는 기둥 4개가 서 있는 중앙실과 또다른 복도구간이 이어지는데 끝쪽을 매장실로 개조하였다.[1]내부의 벽과 천장은 석고로 덮여 있었으며 자칼신 아누비스와 라, 오시리스의 추종자들을 나타내는 일련의 신이 두 줄로 서 있는 벽화가 그려져 있었다. 그 아래로는 아래쪽 줄의 미라처럼 생긴 인물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이다. 천장을 길게 따라 날개 달린 여신 누트가 그려져 있으며, 누트의 머리 위에는 태양신 라의 영혼 (바)를 묘사하고 있다.[2] 이상의 벽화는 전통에 따라 라의 기도문, 암두아트의 서, 관문의 서에서 따온 그림이다.[3] 우물실의 벽화는 신전을 찾은 국왕을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예컨대 표범의 등을 타거나 파피루스로 만든 소형선 위에 올라탄 국왕을 묘사해 놓았다. 그림 속에 나타난 유물들은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실물로 발견된 유물을 찾아볼 수 있다.[3]
2. 2. 벽화
KV15 무덤 내부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었다.[2]2. 2. 1. 주요 벽화
내부 벽과 천장은 석고로 덮여 있었으며 자칼신 아누비스와 라, 오시리스의 추종자들을 나타내는 일련의 신이 두 줄로 서 있는 벽화가 그려져 있었다. 그 아래로는 아래쪽 줄의 미라처럼 생긴 인물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이다. 천장을 길게 따라 날개 달린 여신 누트가 그려져 있으며, 누트의 머리 위에는 태양신 라의 영혼(바)를 묘사하고 있다.[2] 벽화는 전통에 따라 라의 기도문, 암두아트의 서, 관문의 서에서 따온 그림이다.[3] 우물실 벽화는 신전을 찾은 국왕을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예컨대 표범의 등을 타거나 파피루스로 만든 소형선 위에 올라탄 국왕을 묘사해 놓았다. 그림 속에 나타난 유물들은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실물로 발견된 유물을 찾아볼 수 있다.[3]2. 2. 2. 특징
왕들의 계곡 본류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는 와디의 시작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거의 수직에 가까운 구덩이 아래에 파여졌다.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향하는 축을 따라 긴 복도가 이어지는 구조로, 입구쪽의 짧은 복도 너머로 복도 구간 세 개가 이어지며 끝에는 우물실이 있으나 실제로 파여지지는 않았다. 그 이후로는 기둥 4개가 서 있는 중앙실과 또다른 복도구간이 이어지는데 끝쪽을 매장실로 개조하였다.[1]내부의 벽과 천장은 석고로 덮여 있었으며 자칼신 아누비스와 라, 오시리스의 추종자들을 나타내는 일련의 신이 두 줄로 서 있는 벽화가 그려져 있었다. 그 아래로는 아래쪽 줄의 미라처럼 생긴 인물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이다. 천장을 길게 따라 날개 달린 여신 누트가 그려져 있으며, 누트의 머리 위에는 태양신 라의 영혼 (바)를 묘사하고 있다.[2] 이상의 벽화는 전통에 따라 라의 기도문, 암두아트의 서, 관문의 서에서 따온 그림이다.[3] 우물실의 벽화는 신전을 찾은 국왕을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예컨대 표범의 등을 타거나 파피루스로 만든 소형선 위에 올라탄 국왕을 묘사해 놓았다. 그림 속에 나타난 유물들은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실물로 발견된 유물을 찾아볼 수 있다.[3]
3. 역사
KV15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었으며, 내부 벽에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된 낙서 59개가 남아 있다. 1738년 영국의 리처드 포코크가 무덤 내부를 조사했으나, 1903년~1904년 하워드 카터가 발굴조사를 실시하면서 제대로 정리되었다.[6]
1922년 하워드 카터는 인근에서 투탕카멘의 무덤(KV62)을 발견했는데, 이때 그의 조수였던 알프레드 루카스와 아서 메이스는 KV62의 부장품을 카이로 박물관으로 옮기기 전 정리 및 복원하는 임시 작업실로 KV15를 활용했다.[7]
현재 무덤 내부는 바닥과 난간을 설치하고 조명을 설치하여 관광객에게 개방하고 있다.[8]
3. 1. 매장
무덤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비교적 적다. 세티 2세가 이곳에 묻혔던 것은 확실하지만, 원래는 아내 토스레트의 무덤인 KV14에 함께 묻혔다가 나중에 국왕 셋나크테가 KV14를 자신의 무덤으로 삼으면서 이곳으로 급히 옮겨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 실제로 세티 2세의 이름이 한차례 새겨졌다 지워진 후에 다시 새겨진 흔적이 확인된다. 이름을 지운 사람은 아멘메세나 시프타라는 설이 존재하며 토스레트가 세티의 이름을 복원했을 가능성도 있다.[5] 훗날 세티 2세의 미라는 도굴을 피해 KV35의 미라 은닉처로 옮겨졌으며 KV15에는 석관의 뚜껑만이 남았다.[3]KV15는 일찍이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었으며 그 증거로 내부 벽에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적힌 낙서 59개가 확인된다. 1738년 영국의 리처드 포코크가 무덤 내부를 조사한 적은 있으나, 제대로 정리된 것은 1903년~1904년 하워드 카터의 발굴조사에 의해서였다.[6] 1922년 하워드 카터가 인근에 있던 투탕카멘의 무덤(KV62)를 발견하게 되자, 그의 조수였던 알프레드 루카스와 아서 메이스가 KV62의 부장품을 카이로 박물관으로 이전하기에 앞서 정리하고 복원하기 위한 임시작업실로서 활용한 바 있다.[7]
현재 무덤 내부는 바닥과 난간을 깔고 조명을 설치해 관광객들에게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8]
3. 2. 이름 새김
세티 2세의 이름은 한차례 새겨졌다가 지워진 후 다시 새겨진 흔적이 확인된다. 이름을 지운 사람은 아멘메세나 시프타라는 설이 있으며, 토스레트가 세티 2세의 이름을 복원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5]3. 3. 미라 이전
무덤의 역사에 대해서는 비교적 알려진 바가 적다. 세티 2세가 이곳에 묻혔던 것은 확실하지만, 원래는 아내 토스레트의 무덤인 KV14에 함께 묻혔다가 나중에 국왕 셋나크테가 KV14를 자신의 무덤으로 삼으면서 이곳으로 급히 옮겨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 실제로 세티 2세의 이름이 한차례 새겨졌다 지워진 후에 다시 새겨진 흔적이 확인된다. 이름을 지운 사람은 아멘메세나 시프타라는 설이 존재하며 토스레트가 세티의 이름을 복원했을 가능성도 있다.[5] 세티 2세의 미라는 훗날 도굴을 피해 KV35의 미라 은닉처로 옮겨졌으며 KV15에는 석관의 뚜껑만이 남았다.[3]3. 4. 고대 낙서
KV15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었으며, 그 증거로 내부 벽에서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쓰인 낙서 59개가 확인된다.[4]3. 5. 근대 조사
세티 2세가 이곳에 묻혔던 것은 확실하지만, 원래는 아내 토스레트의 무덤인 KV14에 함께 묻혔다가 나중에 국왕 셋나크테가 KV14를 자신의 무덤으로 삼으면서 이곳으로 급히 옮겨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 실제로 세티 2세의 이름이 한차례 새겨졌다 지워진 후에 다시 새겨진 흔적이 확인된다. 이름을 지운 사람은 아멘메세나 시프타라는 설이 존재하며 토스레트가 세티의 이름을 복원했을 가능성도 있다.[5] 세티 2세의 미라는 훗날 도굴을 피해 KV35의 미라 은닉처로 옮겨졌으며 KV15에는 석관의 뚜껑만이 남았다.[3]KV15는 일찍이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었으며 그 증거로 내부 벽에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적힌 낙서 59개가 확인된다. 1738년 영국의 리처드 포코크가 무덤 내부를 조사한 적은 있으나, 제대로 정리된 것은 1903년~1904년 발굴조사를 실시한 하워드 카터에 의해서였다.[6] 1922년 하워드 카터가 인근에 있던 투탕카멘의 무덤(KV62)를 발견하게 되자, 그의 조수였던 알프레드 루카스와 아서 메이스가 KV62의 부장품을 카이로 박물관으로 이전하기에 앞서 정리하고 복원하기 위한 임시작업실로서 활용한 바 있다.[7]
현재 무덤 내부는 바닥과 난간을 깔고 조명을 설치해 관광객들에게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8]
3. 6. 투탕카멘 무덤 발굴과의 연관성
KV15는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었으며, 내부 벽에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된 낙서 59개가 남아 있다. 1738년 영국의 리처드 포코크가 무덤 내부를 조사했으나, 1903년~1904년 하워드 카터가 발굴조사를 실시하면서 제대로 정리되었다.[6] 1922년 하워드 카터는 인근에서 투탕카멘의 무덤(KV62)을 발견했는데, 이때 그의 조수였던 알프레드 루카스와 아서 메이스는 KV62의 부장품을 카이로 박물관으로 옮기기 전 정리 및 복원하는 임시 작업실로 KV15를 활용했다.[7]3. 7. 현재
현재 무덤 내부는 바닥과 난간을 설치하고 조명을 설치하여 관광객에게 개방하고 있다.[8]참조
[1]
서적
Air Distribution in Buildings
CRC Press
[2]
서적
Air Distribution in Buildings
CRC Press
[3]
서적
Thebes in Egypt: A Guide to the Tombs and Temples of Ancient Luxor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bes in Egypt: A Guide to the Tombs and Temples of Ancient Luxor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5]
서적
Air Distribution in Buildings
CRC Press
[6]
서적
Air Distribution in Buildings
CRC Press
[7]
서적
Howard Carter and the discovery of the tomb of Tutankhamun
https://www.worldcat[...]
Barzan, Manchester.
[8]
서적
Air Distribution in Buildings
CR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