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는 2011년에 개최된 스타크래프트 II 개인 리그이다. CODE S는 32강 조별리그, 16강부터 결승까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임재덕이 송준혁을 꺾고 우승했다. CODE A는 32강 풀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에서 최지성이 정종현을 꺾고 우승했다. 승격/강등전도 함께 진행되었다.

2. CODE S

2. 1. 리그 일정

2011년 4월 7일 조지명식을 시작으로, 32강은 4월 19일부터 4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 16강은 4월 28일4월 30일에, 8강은 5월 3일5월 5일에 각각 치러졌다. 준결승전인 4강은 5월 7일에 열렸으며, 대망의 결승전은 5월 14일에 개최되었다.

2. 2. 리그 방식

32강 조별리그는 4인 1개조로 편성되어 조별리그를 치른다. 한 선수당 최고 3경기를 치르지만, 2경기를 치른 후 3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조 순위가 결정될 경우 마지막 경기는 진행하지 않는다. 각 경기는 단판으로 진행된다. 각 조의 1, 2위는 상위 라운드에 진출하며, 3, 4위는 승격/강등전에 출전한다.

16강부터 결승까지는 32강 조별리그 결과에 따라 크로스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결정한다. 16강은 3전 2선승제, 8강과 4강은 5전 3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

2. 3. 사용 맵


  • 금속 도시
  • 젤나가 동굴
  • 크레바스
  • 십자 포화 SE
  • 종착역
  • 탈다림 제단
  • 듀얼 사이트
  • 젤나가 요새

2. 4. 상금

우승 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 상금은 2000만원이다. 4강 진출자에게는 500만원, 8강 진출자에게는 300만원, 16강 진출자에게는 200만원, 32강 진출자에게는 15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2. 5. 중계진

한국어 중계는 2인 캐스터, 1인 해설 체제로 진행되었다. 캐스터는 이현주가 맡았고, 해설은 채정원, 안준영이 담당했다. 영어 중계는 1인 캐스터, 1인 해설 체제로 진행되었으며, 캐스터는 Nicholas Plott가, 해설은 Daniel Stemkoski가 맡았다.

2. 6. 리그 BGM


  • 오프닝:
  • * KMFDM - Strut (Disco Balls Mix)
  • * Amaranthe - 1,000,000 Lightyears
  • * Art Of Dying - Whole World's Crazy
  • 경기 일정 소개: Warrant - Show Must Go On
  • 선수 전적 소개:
  • * Odd Dimension - Rising Through Light
  • * Def Leppard - Undefeated
  • 매 세트 경기 결과:
  • * This Is What Rock N Roll Looks Like (feat. Lil Wayne)
  • * Hollywood Undead - Glory
  • * Chase And Status - Hypest Hype (feat. Tempa T)
  • * Bonafide - Straight Shooters
  • 선수 분할:
  • * Scar Symmetry - Domination Agenda
  • * Uriah Heep - Into the wild
  • * The Poodles - Your Time Is Now
  • * Stargazery - Puppet On A String
  • * Cardiant - Pledge
  • * Vanden Plas - Holes In The Sky
  • * Whitesnake - Tell Me How
  • 중간 경기 결과: Asking Alexandria - Someone, Somewhere
  • 경기 리드: Norther - The Last Time
  • 세트 종료:
  • * Aiden - Horror Queen
  • * Sons Of Seasons - Into The Void
  • * Sum 41 - Back Where I Belong
  • * Skillet - Hero (The Legion of Doom Remix)
  • * Art Of Dying - You Don't Know Me
  • * I Am Abomination - Rock 'n' No Soul
  • 중간 클로징:
  • * Halestorm - Bad Romance
  • * Sophie Ellis-Bextor - Revolution
  • * The Sounds - Something To Die For
  • * Glasvegas - Shine Like Stars
  • 경기 결과: Warcry - La Muerte De Un Sue
  • 내일 경기: Die Warzau - Linoleum
  • 최종 클로징: Yellowcard – Soundtrack

2. 7. 대진표 및 결과

2. 7. 1. 32강

2011년 4월 19일부터 4월 26일까지 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의 32강 경기가 진행되었다.

32강은 A조부터 H조까지 총 8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1위2위
A조2011.4.19김영진 (T)최성훈 (T)
B조2011.4.19김승철 (T)김정훈 (T)
C조2011.4.21정민수 (P)황강호 (Z)
D조2011.4.21양준식 (P)이윤열 (T)
E조2011.4.23한규종 (T)임재덕 (Z)
F조2011.4.23김원기 (Z)신상호 (P)
G조2011.4.26박준용 (T)이정환 (P)
H조2011.4.26박성준 (Z)송준혁 (P)


2. 7. 2. 16강 ~ 결승

16강은 2011년 5월 9일부터 5월 12일까지, 8강은 5월 16일부터 5월 17일까지, 4강은 5월 18일, 결승전은 5월 21일에 진행되었다.

16강

8강

4강

결승

2. 8. 최종 순위

3. CODE A

3. 1. 리그 일정

32강은 2011년 4월 18일부터 4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16강은 2011년 4월 27일4월 29일에 진행되었다. 8강은 2011년 5월 2일에, 4강은 2011년 5월 4일에, 결승전은 2011년 5월 6일에 각각 진행되었다.

3. 2. 리그 방식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32강 풀토너먼트로 진행되나, 4강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32강과 16강 탈락자는 CODE A 최종 예선전으로 강등된다. 8강 진출자까지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승격/강등전에 출전한다.

3. 3. 사용 맵


  • 금속 도시
  • 젤나가 동굴
  • 크레바스
  • 십자 포화 SE
  • 종착역
  • 탈다림 제단
  • 듀얼 사이트
  • 젤나가 요새

3. 4. 상금

순위상금
우승150만원
준우승100만원
4강80만원
8강60만원
16강40만원
32강20만원


3. 5. 중계진

한국어 중계는 2인 해설 체재로 진행되며, 캐스터는 이인환, 서경환이 맡고, 해설은 이주영, 박대만, 황영재가 담당한다. 영어 중계는 1인 해설 체재로 진행되며, 캐스터는 Nicholas Plott가, 해설은 Daniel Stemkoski가 담당한다.

3. 6. 리그 BGM


  • 오프닝:
  • * KMFDM - Strut (Disco Balls Mix)
  • * Hollywood Undead - Apologize
  • * Imperia - Touch Of Your Hand
  • 경기 일정 소개: Hypersonic - My Spirit Free
  • 오늘의 경기: Artento Divini & Jonas Stenberg - 1 Year Later
  • 선수 소개:
  • * All Ends - Area 1
  • * Unwritten Law - Chicken (Ready To Go)
  • * Saliva - Get Out Alive
  • * Terry Brock - No More Mr.Nice Guy
  • 경기 리드: Flesh Field - Conquer Me (Flesh Field Remix)
  • 세트 종료:
  • * TrustCompany - Reverse & Remember
  • * Straight Line Stitch - Never Surrender
  • * Destruction - Misfit
  • * The Haunted - No Ghost
  • * We Are The Fallen - Through Hell
  • * No Turning Back - Found My Way
  • 중간 클로징:
  • * Jessie J - Price Tag
  • * Avril Lavigne - What The Hell
  • * Lenka - Two
  • 경기 결과: Stan Bush - Two Hearts
  • 최종 클로징: Art Of Dying - Breathe Again

3. 7. 대진표 및 결과

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는 32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최지성(T)이 정종현(T)을 4: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2강전에서는 문성원(T)이 정방민(P)를 2:0으로, 김유종(T)이 김수호(Z)를 2:0으로, 최지성(T)이 정혜준(T)를 2:1로 꺽는등 여러 선수들이 승리하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문성원(T)이 김유종(T)을 2:0으로, 최지성(T)이 문진현(P)를 2:0으로 꺽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최지성(T)이 문성원(T)을 2:0으로, 김동원(T)이 한이석(T)를 2:0으로 꺽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 최지성(T)과 김동원(T)은 격돌하여 3:1로 최지성(T)이 승리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또다른 4강 경기인 정종현(T)과 황규석(T)의 경기는 3:1로 정종현(T)이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3. 8. 최종 순위

4. 승격/강등전

4. 1. 리그 일정

4. 2. 리그 방식

지난 시즌과 동일하다.

4. 3. 사용 맵


  • 금속 도시
  • 젤나가 동굴
  • 크레바스
  • 십자 포화 SE
  • 종착역
  • 탈다림 제단
  • 듀얼 사이트
  • 젤나가 요새

4. 4. 중계진

한국어 중계는 캐스터 이인환, 서경환과 해설 이주영, 박대만, 황영재가 담당한다.[1] 영어 중계는 캐스터 Nicholas Plott와 해설 Daniel Stemkoski가 담당한다.[2]

4. 5. 리그 BGM


  • 오프닝: Circus Maximus - Arrival Of Love, Amaranthe - Hunger, Kill The Romance - Avalanche, Divinefire - Bright Morning Star
  • 경기 방식 소개: Phinx - Login
  • 전체 출전 선수 소개: RawkFist - Sword Of Xiphea
  • 각 조 출전 선수 소개: Hybrid - Han Drifting
  • 선수 분할: King Lizard - Hell Yeah, Slavee To Gravity - Big Red, Civilization One - Life Of Agony, Stargazery - Puppet On A String
  • 경기 리드: Norther - The Last Time
  • 세트 종료: Venturia - Be The One, Auvernia - We Are Complete, Taproot - Take It, Decyfer Down - never lost, Band Of Spice - God Bless You, Scar Symmetry - Domination Agenda
  • 중간 클로징: Asian Dub Foundation - Urgency Frequency, Cash Cash - Wasted Love
  • 경기 결과: Domina Noctis - Electric Dragonfly
  • 내일 경기: Midnattsol - The Metamorphosis Melody
  • 최종 클로징: Brandon Heath - The One

4. 6. CODE A 우승자/준우승자 선수 지명

CODE A 우승자인 최지성은 1차 지명으로 박준을, 2차 지명으로 김상철을 선택했다. 준우승자인 정종현은 1차 지명으로 박서용을, 2차 지명으로 김성제를 선택했다.

4. 7. 대진표


  • CODE A 경기
  • * A조(2011년 5월 9일)

황규석(T) 2:1 서기수(P)

서기수 (P) 2:1 강초원(P)

  • * B조(2011년 5월 9일)

최종환(Z) 2:0 조나단 월시/Jonathan Walsh영어(T)

최정민(Z) 2:1 조나단 월시/Jonathan Walsh영어(T)

  • * C조(2011년 5월 10일)

변현우(T) 2:1 한이석(T)

한이석(T) 2:0 이형주(Z)

  • * D조(2011년 5월 10일)

장민철(P) 2:0 김동원(T)

안홍욱(P) 2:1 김동원(T)

  • * E조(2011년 5월 11일)

이정훈(T) 2:1 문성원(T)

크리스 로랭거/Chris Loranger영어(P) 2:0 문성원(T)

  • * F조(2011년 5월 11일)

김동환(Z) 2:0 한준(Z)

한준(Z) 2:1 박상익(Z)

  • * G조(2011년 5월 11일)

정종현(T) 2:0 박서용(T)

박서용(T) 2:0 김성제(T)

  • * H조(2011년 5월 11일)

최지성(T) 2:0 박준(T)

김상철(T) 2:0 박준(T)

참조

[1] 기타 1 캐스터, 2 해설 체재로 진행
[2] 기타 1 캐스터, 1 해설 체재로 진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