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G배 세계기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G배 세계기왕전은 프로와 아마추어가 참여하는 바둑 기전으로,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자를 가린다. 본선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결승은 3번기로 우승자를 결정한다. 우승 상금은 3억 원이다. 1996년부터 시작되어 대한민국, 중국, 일본 등 여러 국가의 기사들이 참여하며, 이창호, 이세돌, 구리, 신진서 등 유명 기사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G스포츠 - LG 트윈스
    LG 트윈스는 1982년 MBC 청룡으로 시작하여 LG그룹에 인수된 후 KBO 리그에서 세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두었으며, 잠실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LG스포츠 - 창원 LG 세이커스
    창원 LG 세이커스는 1997년 창단하여 KBL에 참가한 프로 농구단으로, 2013-14 시즌 정규리그 우승과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022년부터 조상현 감독 체제에서 팀을 재건하여 팬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 LG배 세계기왕전 - 박정상
    박정상은 2000년에 입단하여 2006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9단으로 승단했고, 현재는 바둑 해설가로 활동한다.
  • LG배 세계기왕전 - 17회 LG배 세계기왕전
    17회 LG배 세계기왕전은 2012년 4월 예선부터 2013년 2월 결승까지 진행된 국제 바둑 기전으로, 스웨가 우승하고 원성진이 준우승했으며, 일본 기사 전멸, 롄샤오 기권, 이창호의 17회 연속 본선 진출 등의 기록이 있었다.
  • 국제 바둑 기전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은 SBS 주최, 진로그룹 후원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5회 개최된 한국, 중국, 일본 대표 기사들의 국가대항전 바둑 단체전으로, 한국 바둑의 위상을 높이고 바둑계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우승 상금은 20만 달러였다.
  • 국제 바둑 기전 -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은 32명의 프로 기사가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며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되고, 우승 상금은 180만 위안인 바둑 대회이다.
LG배 세계기왕전
LG배 세계기왕전
LG배 로고
LG배 로고
대회 정보
정식 명칭LG배 세계기왕전
영문 명칭LG Cup World Baduk Championship
후원LG
우승 상금3억원
준우승 상금1억원
시작 연도1996년
역대 우승자
1회이창호 한국
2회이창호 한국
3회위빈 중국
4회이창호 한국
5회조훈현 한국
6회이세돌 한국
7회이세돌 한국
8회이창호 한국
9회유창혁 한국
10회구리 중국
11회저우쥔쉰 중국
12회이세돌 한국
13회박영훈 한국
14회탕웨이싱 중국
15회박정환 한국
16회장웨이제 중국
17회퉈자시 중국
18회김지석 한국
19회강동윤 한국
20회박정환 한국
21회양딩신 중국
22회커제 중국
23회신민준 한국
24회신진서 한국
25회신진서 한국
26회딩하오 중국
27회변상일 한국

2. 대회 형식

LG배 세계기왕전은 프로와 아마추어가 모두 참여하는 통합 예선을 거쳐 16명을 선발한다.[1] 전기 대회 시드 2명과 국가별 배정 14명(한국 5명, 중국 4명, 일본 4명, 대만 1명)을 포함하여 총 32명이 본선에 진출했다.[1] 25회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통합 예선 대신 국가별 예선을 시행했고,[1] 26회 대회부터는 본선 참가 인원을 24명으로 변경했다.[1]

본선은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결승전은 3번기로 우승자를 가린다.[1] 제한 시간은 각 3시간이며, 초읽기는 40초 5회가 주어진다.[1][2] 은 6집 반이다.(1~3회는 5집 반)[1] 우승 상금은 3억 , 준우승 상금은 1억원이다.[1][2]

3. 역대 우승자 및 결과

wikitable

회수연도우승전적준우승
11996-1997 이창호 九단3-0 유창혁 九단
21997-1998 왕리청 九단3-2 유창혁 九단
31998-1999 이창호 九단3-0 마샤오춘 九단
41999-2000 위빈 九단3-1 유창혁 九단
52000-2001 이창호 九단3-2 이세돌 三단
62001-2002 유창혁 九단3-2 조훈현 九단
72002-2003 이세돌 三단3-1 이창호 九단
82003-2004 이창호 九단3-1 목진석 七단
92004-2005 장쉬 九단3-1 위빈 九단
102005-2006 구리 九단3-2 천야오예 五단
112006-2007 저우쥔쉰 九단2-1 후야오위 八단
122007-2008 이세돌 九단2-1 한상훈 二단
132008-2009 구리 九단2-0 이세돌 九단
142009-2010 쿵제 九단2-0 이창호 九단
152010-2011 퍄오원야오 五단2-0 쿵제 九단
162011-2012 장웨이제 五단2-0 이창호 九단
172012-2013 스웨 五단2-0 원성진 九단
182013-2014 퉈자시 三단2-1 저우루이양 九단
192014-2015 박정환 九단2-1 김지석 九단
202015-2016 강동윤 九단2-1 박영훈 九단
212016-2017 당이페이 四단2-0 저우루이양 九단
222017-2018 셰얼하오 五단2-1 이야마 유타 九단
232018-2019 양딩신 七단2-1 스웨 九단
242019-2020 신진서 九단2-0 박정환 九단
252020-2021 신민준 九단2-1 커제 九단
262021-2022 신진서 九단2-0 양딩신 九단
272022-2023 딩하오 九단2-0 양딩신 九단
282023-2024 신진서 九단2-0 변상일 九단


3. 1. 국가별 우승 횟수

wikitable

국가우승준우승
대한민국1316
중국1211
일본21
{{llang10


3. 2. 역대 우승자

회수연도우승전적준우승
11996-1997 이창호 九단3-0 유창혁 九단
21997-1998 왕리청 九단3-2 유창혁 九단
31998-1999 이창호 九단3-0 마샤오춘 九단
41999-2000 위빈 九단3-1 유창혁 九단
52000-2001 이창호 九단3-2 이세돌 三단
62001-2002 유창혁 九단3-2 조훈현 九단
72002-2003 이세돌 三단3-1 이창호 九단
82003-2004 이창호 九단3-1 목진석 七단
92004-2005 장쉬 九단3-1 위빈 九단
102005-2006 구리 九단3-2 천야오예 五단
112006-2007 저우쥔쉰 九단2-1 후야오위 八단
122007-2008 이세돌 九단2-1 한상훈 二단
132008-2009 구리 九단2-0 이세돌 九단
142009-2010 쿵제 九단2-0 이창호 九단
152010-2011 퍄오원야오 五단2-0 쿵제 九단
162011-2012 장웨이제 五단2-0 이창호 九단
172012-2013 스웨 五단2-0 원성진 九단
182013-2014 퉈자시 三단2-1 저우루이양 九단
192014-2015 박정환 九단2-1 김지석 九단
202015-2016 강동윤 九단2-1 박영훈 九단
212016-2017 당이페이 四단2-0 저우루이양 九단
222017-2018 셰얼하오 五단2-1 이야마 유타 九단
232018-2019 양딩신 七단2-1 스웨 九단
242019-2020 신진서 九단2-0 박정환 九단
252020-2021 신민준 九단2-1 커제 九단
262021-2022 신진서 九단2-0 양딩신 九단
272022-2023 딩하오 九단2-0 양딩신 九단
282023-2024 신진서 九단2-0 변상일 九단


3. 3. 각 대회별 결과

LG배 세계기왕전의 각 대회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대진 결과 및 내용은 해당 회차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예: 1회 LG배 세계기왕전)

회차연도우승자전적준우승자
1회1996–1997 이창호3–0 유창혁
2회1997–1998 오이겐(王立誠)3–2 유창혁
3회1998–1999 이창호3–0 마샤오춘(馬曉春)
4회1999–2000 위빈(俞斌)3–1 유창혁
5회2000–2001 이창호3–2 이세돌
6회2001–2002 유창혁3–2 조훈현
7회2002–2003 이세돌3–1 이창호
8회2003–2004 이창호3–1 목진석
9회2004–2005 조치훈3–1 위빈(俞斌)
10회2005–2006 구리(古力)3–2 천야오예(陳耀燁)
11회2006–2007 저우쥔쉰(周俊勳)2–1 후야오위(胡耀宇)
12회2007–2008 이세돌2–1 한상훈
13회2008–2009 구리(古力)2–0 이세돌
14회2009–2010 쿵제(孔杰)2–0 이창호
15회2010–2011 롄샤오(朴文垚)2–0 쿵제(孔杰)
16회2011–2012 장웨이제(江維杰)2–0 이창호
17회2012–2013 스웨(时越)2–0 원성진
18회2013–2014 퉈자시(柁嘉熹)2–1 저우루이양(周睿羊)
19회2014–2015 박정환2–1[3] 김지석
20회2015–2016 강동윤2–1 박영훈
21회2016–2017 탕웨이싱(黨毅飛)2–0 저우루이양(周睿羊)
22회2017–2018 셰얼하오(謝爾豪)2–1 이야마 유타
23회2018–2019 양딩신(楊鼎新)2–1[4] 스웨(时越)
24회2019–2020 신진서2–0 박정환
25회2020–2021 신민준2–1[5] 커제(柯潔)
26회2021–2022 신진서2–0[6] 양딩신(楊鼎新)
27회2022–2023 딩하오(丁浩)2–0[7] 양딩신(楊鼎新)
28회2023–2024 신진서2–0 변상일


4. 기타

4. 1. 참가 선수

LG배 세계기왕전은 초기에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미국 등에서 정해진 수의 선수들이 초청되어 참가했다. 11회 대회부터는 국제 통합 예선을 통해 선발된 선수들이 본선에 합류하면서 대회 규모가 확대되었다.

제1회 대회에는 대한민국 14명, 일본 8명, 중국 6명, 대만 2명, 미국 1명 등 총 31명이 출전했다. 2회부터 10회까지는 전 대회 베스트 4, 대한민국 8명, 일본 5명, 중국 4명, 대만·미국·유럽 각 1명으로 총 24명이 참가했다. 11회부터는 전 대회 1, 2위, 대한민국 5명, 일본·중국 3명, 대만·미국·유럽 각 1명, 아마추어 포함 국제 통합 예선을 통한 16명으로 총 32명이 참가했다. 26회부터는 본선 참가 인원이 24명으로 조정되었다.

4. 2. 역대 결승전

LG배 세계기왕전의 역대 결승전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회부터 10회까지는 결승전이 5번기로 진행되었으나, 11회부터는 3번기로 변경되었다.

회차연도우승자전적준우승자
1회1996–1997이창호한국어3–0유창혁한국어
2회1997–1998왕리청/오이겐일본어3–2유창혁한국어
3회1998–1999이창호한국어3–0마샤오춘중국어
4회1999–2000위빈중국어3–1유창혁한국어
5회2000–2001이창호한국어3–2이세돌한국어
6회2001–2002유창혁한국어3–2조훈현한국어
7회2002–2003이세돌한국어3–1이창호한국어
8회2003–2004이창호한국어3–1목진석한국어
9회2004–2005조치훈일본어3–1위빈중국어
10회2005–2006구리중국어3–2천야오예중국어
11회2006–2007저우쥔쉰중국어2–1후야오위중국어
12회2007–2008이세돌한국어2–1한상훈한국어
13회2008–2009구리중국어2–0이세돌한국어
14회2009–2010쿵제중국어2–0이창호한국어
15회2010–2011롄샤오중국어2–0쿵제중국어
16회2011–2012장웨이제중국어2–0이창호한국어
17회2012–2013스웨중국어2–0원성진한국어
18회2013–2014퉈자시중국어2–1저우루이양중국어
19회2014–2015박정환한국어2–1[3]김지석한국어
20회2015–2016강동윤한국어2–1박영훈한국어
21회2016–2017탕웨이싱중국어2–0저우루이양중국어
22회2017–2018셰얼하오중국어2–1이야마 유타일본어
23회2018–2019양딩신중국어2–1[4]스웨중국어
24회2019–2020신진서한국어2–0박정환한국어
25회2020–2021신민준한국어2–1[5]커제중국어
26회2021–2022신진서한국어2–0[6]양딩신중국어
27회2022–2023딩하오중국어2–0[7]양딩신중국어
28회2023–2024신진서한국어2–0변상일한국어


4. 3. 특별 이벤트

20주년 기념 신예 도전자 컵이 2015년 4월에 개최되었다. 1997년 이후 출생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 8명, 중국과 일본 각 4명씩 총 16명이 참가했다. 우승자는 LG배 본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한국 출전자 중에는 연구생 2명도 포함되었다. 결승전에서 변상일양딩신을 꺾고 우승하여 LG배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16강8강4강결승
양딩신 ○ – 임지혁 ×양딩신 ○ – 무라카와 유타 ×양딩신 ○ – 신민준 ×양딩신 × – 변상일
무라카와 유타 ○ – 설현준 ×신민준 ○ – 오유진 ×변상일 ○ – 허자위안 ×
신민준 ○ – 사미호 ×변상일 ○ – 김명훈 ×
오유진 ○ – 후지사와 리나 ×허자위안 ○ – 리친청 ×
변상일 ○ – 황윈쑹 ×
김명훈 ○ – 이치리키 료 ×
허자위안 ○ – 김기범 ×
리친청 ○ – 신진서 ×



2017년에는 최정과 위즈잉의 특별 대국이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G Cup World Baduk Championship http://baduk.lg.co.k[...] 2021-02-04
[2] 웹사이트 Ke Jie loses LG Cup final 1-2 to top Korean Shin Min-jun, misses opportunity to become youngest nine-time champion https://sports.qq.co[...] 2021-02-04
[3] 웹사이트 Park Junghwan wins 19th LG Cup – Breaking international title drought https://web.archive.[...] 2015-02-12
[4] 웹사이트 21岁的杨鼎新:仍是当年最值得期待的少年棋手 https://sports.sina.[...] 2019-11-26
[5] 웹사이트 LG杯决赛柯洁1-2负韩国名将申旻埈 无缘成为最年轻九冠王 https://sports.qq.co[...] 2021-02-04
[6] 웹사이트 '직선 공격' 신진서, 짜릿한 재역전극으로 LG배 우승(종합) https://m.yna.co.kr/[...] 2022-02-09
[7] 웹사이트 22岁丁浩LG杯夺冠!00后棋手也是时候担起大任了 https://news.xinmin.[...] 2023-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