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조훈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조훈현은 1962년 9세의 나이로 세계 최연소 입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1963년 일본으로 건너가 세고에 겐사쿠 문하에서 바둑을 배웠으며, 1966년 일본기원 초단으로 입단했다. 1972년 병역 문제로 귀국하여 국내에서 활동을 시작, 1980년 9관왕을 달성하고, 1982년 한국 최초로 9단에 올랐다. 그는 150여 개의 타이틀을 획득하며 한국 바둑계를 대표하는 기사로 활동했으며, 1989년 잉창치배 우승을 비롯하여 여러 국제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16년에는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진출하여 바둑 진흥법 제정에 기여했고, 2020년 정계 은퇴 후 2022년 바둑계에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삼선초등학교 동문 - 진양혜
    진양혜는 1993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데뷔하여 여러 방송사에서 프로그램 진행을 맡았으며, 광고 모델로 활동하고 저서를 출간한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 서울삼선초등학교 동문 - 장혜리
    장혜리는 1981년 데뷔하여 독특한 음색과 가창력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무대 공포증으로 은퇴한 대한민국의 가수로, 대표곡은 "오늘밤에 만나요"이다.
  • 목포대학교 동문 - 윤소하
    윤소하는 전라남도 해남 출신으로 학생운동과 사회운동을 거쳐 정의당 비례대표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보건복지위원회, 정치발전특별위원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등에서 활동하고 정의당 원내대표를 역임하며 어린이병원비 걱정제로법 등 다수의 법안을 발의했다.
  • 목포대학교 동문 - 박우량
    박우량은 목포대학교 명예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신안군수와 하남시 부시장 등을 역임했고, 공무원 부정 채용 등으로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 대한민국의 스포츠인 출신 정치인 - 문대성
    문대성은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이후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국회의원, IOC 선수위원을 역임했으나 논문 표절 논란으로 국회의원직과 IOC 위원직에서 직무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스포츠인 출신 정치인 - 김영주 (1955년)
    김영주는 서울신탁은행 농구선수 출신으로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 상임부위원장을 거쳐 제17·19·20·21대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 초대 고용노동부 장관,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했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을 탈당 후 국민의힘에 입당한 정치인이다.
조훈현
기본 정보
이름조훈현
한글 이름조훈현
한자 이름曺薰鉉
로마자 표기Jo Hun-hyeon
매큔-라이샤워 표기Cho Hun-hyŏn
별명제비
전신(戰神)
출생일1953년 3월 10일
출생지목포시, 전라남도, 대한민국
거주지서울특별시, 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배우자정미화 (1981년 결혼)
학력일본 신메이 중학교
대한민국 목포초급대학
바둑 기사 정보
사범세고에 겐사쿠
후지사와 히데유키
제자이창호
프로 입단1962년 (대한민국)
1966년 (일본)
단수프로 9단
소속한국기원
정치인 정보
소속 정당무소속
지역구비례대표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0
소속 상임위원회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당내 직책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전직 직책미래한국당 사무총장 (2020년 2월 6일 ~ 2020년 3월 21일)
국회의원 임기 시작2016년 5월 30일
국회의원 임기 종료2020년 5월 29일
경력
주요 경력자유한국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프로바둑기사 출신
세계바둑대회 그랜드슬램 달성
새누리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특기흔들기

2. 약력

연도주요 활동 및 수상 내역
1962년9세의 나이로 세계 최연소 입단.[8]
1963년일본으로 건너가 세고에 겐사쿠(瀨越憲作) 9단 문하에 들어감.[8]
1966년일본기원 초단으로 입단.[8]
1972년병역 문제로 귀국, 일본기원 5단 인정.[8]
1974년최고위전 우승[8]
1976년국수전 우승
1977년왕위전 우승
1980년전관왕(9관왕) 달성 (최강자, 왕좌, 왕위, 국수, 국기, 최고위, 패왕, 명인, 백남배).[10]
1982년한국 최초 9단 승단(29세). 전관왕(10관왕) 달성 (제1기 KBS바둑왕전 우승 추가). 부인 정미화 씨와 결혼[5]
1983년제2기 KBS 바둑왕전 우승(2연패)
1984년국수전 9연패
1985년국수전 10연패, 제4기 KBS 바둑왕전 우승
1986년전관왕(11관왕) 달성(천원 추가).[5]
1987년제6기 KBS 바둑왕전 우승
1988년제8기 KBS 바둑왕전 우승
1989년100회 타이틀 달성. 왕위전 우승, 제7기 MBC 제왕전 우승, 잉창치배 우승. 은관 문화훈장 서훈.[4]
1990년제1기 기성전 우승. 왕위전 10연패 달성. 제8기 MBC 제왕전 우승, 제9기 KBS 바둑왕전 우승
1991년제10기 KBS 바둑왕전 우승. 35기 국수전 우승
1992년제3기 기성전 우승. 제11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 36기 국수전 우승. 제4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준우승
1993년패왕전 최다연패(16연패).[5][9] 제5회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
1994년제12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2기 MBC 제왕전 우승. 제6회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 제5회 동양증권배 우승. 바둑문화상 최우수기사상 수상
1995년제13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 제12기 박카스배 우승. 제13기 MBC 제왕전 우승. 1,000승 기록 달성. 제7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준우승. 바둑문화상 최다승기록상 수상
1996년제14기 KBS 바둑왕전 승자조 4강. 기왕전, 패왕전, BC카드배 우승. 제4기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제1기 테크론배, 제1기 박카스배 천원전 준우승. 한국 기네스 협회 선정 최다 연승 및 최다 타이틀 획득. 바둑문화상 최다승기록상 수상(69승 36패)
1997년제15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4기 배달왕기전 우승. 제32기 패왕전 우승. 제28기 명인전 우승. 제8기 동양증권배 우승.
1998년제16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7기 KBS 바둑왕전 본선. 제33기 패왕전 우승. 제42기 국수전 우승. 제29기 명인전 준우승.
1999년제18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회 춘란배 우승. 서봉수 九단과 함께 바둑문화상 수훈상 공동 수상.
2000년제43기 국수전 준우승. 제34기 패왕전 우승. 제31기 명인전 준우승. 후지쓰배, 제1회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 우승 수훈, 제12기 TV 아시아 바둑 선수권 우승. 제5회 삼성화재배 8강
2001년제35기 패왕전 준우승. 제44기 국수전 우승. 후지쓰배, 제2회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 우승 수훈, 제6회 삼성화재배, 제13기 TV 아시아 바둑 선수권 우승. 바둑문화상 우수기사상 수상
2002년제1기 KT배 우승, 제7회 삼성화재배 우승.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 바둑문화상 “우수기사상” 수상.
2003년CSK배 바둑 아시아대항전 한국 대표. 제8회 삼성화재배 8강. 제37기 왕위전, 제14기 기성전, 34기 명인전 준우승.
2004년제23기 KBS 바둑왕전 본선. 2004한국바둑리그 “한국얀센” 주장
2005년제24기 KBS 바둑왕전 본선.
2008년제27기 KBS 바둑왕전 본선. 전자랜드 현무왕전 준우승
2009년BC카드배 월드바둑 챔피언십 본선 4강 진출, 바투인비테이셔널 10강 (1승 3패), 월드바투리그 시즌 1 듀얼토너먼트 D조 출전
2010년제1기 대주배 우승[18]
2011년제30기 KBS 바둑왕전 본선
2012년제2기 대주배 준우승[18]
2013년제32기 KBS 바둑왕전 본선
2016년 ~ 2020년제20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새누리당→자유한국당)[20]2016년 6월 ~ 2018년 5월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2018년 2월 ~ 2018년 5월제20대 국회 전반기 여성가족위원회 위원2018년 7월 ~ 2020년 5월제20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2018년 10월 ~ 2019년 6월제20대 국회 후반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2020년 2월 ~ 2020년 3월미래한국당 사무총장[25]2020년 3월미래한국당 4·15 공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
2022년국회의원 은퇴와 함께 바둑계 복귀. 첫 대국은 6월 13일 여류기사 최정과의 대국.[26]


2. 1. 프로 입단 및 일본 유학 (1962년 ~ 1972년)

1962년 9세의 나이로 세계 최연소 입단하였다.[8] 1963년 일본에 건너가 세고에 겐사쿠(瀨越憲作) 9단 문하에 들어갔다.[8] 일본 유학 당시, 세고에 겐사쿠는 조훈현에게 정신적인 스승이었고, 후지사와 히데유키는 바둑판 위의 스승으로 여겨질 만큼 깊은 가르침을 받았다.[19]

1966년 일본기원 초단으로 입단,[8] 후지사와 히데유키의 지도를 받으며, 2009년 후지사와 사망 때까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8] 1970년에는 33승 5패 1무의 성적으로 기도상 신인상을 수상했다.[17] 1971년에는 5단으로 승단했다.[17] 이 기간 동안 가토리 마코토 문하생들과 함께 카지와라 타케오와 후지사와 히데유키의 연구회에 참가했다.[17]

1972년 병역 문제로 귀국하여 일본기원 5단을 인정받았다.[8] 공군에 입대하여 1976년 전역할 때까지 병역 의무를 수행하면서, 1973년 한국기원에 5단으로 소속되어 기전에도 참가했다.[17]

2. 2. 국내 활동 및 전성기 (1972년 ~ 2010년)

1972년 병역 문제로 귀국하여 일본기원 5단을 인정받았다. 공군에 입대(1976년 전역)하여 병역 근무와 함께 기전에 참가했다.[8] 1973년 한국기원에 5단으로 소속되었다.

1974년 최고위전에서 우승하며 첫 타이틀을 획득했고,[8] 1976년 국수전 우승, 1977년 왕위전에서 우승하였다.

1980년 전관왕(9관왕)을 달성(최강자, 왕좌, 왕위, 국수, 국기, 최고위, 패왕, 명인, 백남배)하였다.[10]

1982년 한국 최초 9단에 올랐다(29세).[3] 그해 전관왕(10관왕)을 달성하고(제1기 KBS바둑왕전 우승(원년) 추가), 부인 정미화 씨와 결혼하였다.[5]

1983년 제2기 KBS 바둑왕전에서 우승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1984년 국수전 9연패, 1985년 국수전 10연패, 제4기 KBS 바둑왕전에서 우승하였다. 1986년 전관왕(11관왕)을 달성했다(천원 추가).[5]

1987년 제6기 KBS 바둑왕전, 1988년 제8기 KBS 바둑왕전에서 우승하였다. 1989년 100회 타이틀을 달성하고, 왕위전 우승, 제7기 MBC 제왕전 우승, 잉창치배에서 우승하였다. 은관 문화훈장을 수훈받았다.

1990년 제1기 기성전에서 우승하고, 왕위전 10연패를 달성했다. 제8기 MBC 제왕전 우승, 제9기 KBS 바둑왕전에서 우승하였다. 1991년 제10기 KBS 바둑왕전 우승, 35기 국수전에서 우승하였다.

1992년 제3기 기성전에서 우승하고, 제11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 36기 국수전에서 우승하였다. 제4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에서 준우승하였다. 1993년 패왕전 최다연패(16연패)를 달성했다.[5][9] 제5회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하였다.

1994년 제12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2기 MBC 제왕전에서 우승하였다. 제6회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 제5회 동양증권배에서 우승하고, 바둑문화상 최우수기사상을 수상하였다.

1995년 제13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 제12기 박카스배 우승, 제13기 MBC 제왕전에서 우승하였다. 1,000승 기록을 달성하고, 제7회 TV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준우승, 바둑문화상 최다승기록상을 수상하였다.

1996년 제14기 KBS 바둑왕전 승자조 4강에 진출하고, 기왕전, 패왕전, BC카드배에서 우승하였다. 제4기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준우승, 제1기 테크론배 준우승, 제1기 박카스배 천원전에서 준우승하였다. 한국 기네스 협회에서 선정한 최다 연승 및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웠다. 바둑문화상 최다승기록상을 수상하였다(1996년 69승 36패).

1997년 제15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4기 배달왕기전 우승, 제32기 패왕전 우승, 제28기 명인전 우승, 제8기 동양증권배에서 우승하였다.

1998년 제16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7기 KBS 바둑왕전 본선에 진출했다. 제33기 패왕전 우승, 제42기 국수전 우승, 제29기 명인전에서 준우승하였다.

1999년 제18기 KBS 바둑왕전 우승, 제1회 춘란배에서 우승하였다. 서봉수 九단과 함께 바둑문화상 수훈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2000년 제43기 국수전 준우승, 제34기 패왕전 우승, 제31기 명인전 준우승, 후지쓰배, 제1회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 우승에 공헌했다. 제12기 TV 아시아 바둑 선수권에서 우승하고, 제5회 삼성화재배 8강에 진출했다.

2001년 제35기 패왕전 준우승, 제44기 국수전 우승, 후지쓰배, 제2회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 우승에 공헌했다. 제6회 삼성화재배, 제13기 TV 아시아 바둑 선수권에서 우승하고, 바둑문화상 우수기사상을 수상하였다.

2002년 제1기 KT배 우승, 제7회 삼성화재배에서 우승하였다. 농심신라면배 한국 대표로 참가하고, 바둑문화상 “우수기사상”을 수상하였다.

2003년 CSK배 바둑 아시아대항전 한국 대표로 참가하고, 제8회 삼성화재배 8강, 제37기 왕위전 준우승, 제14기 기성전 준우승, 34기 명인전에서 준우승하였다.

2004년 제23기 KBS 바둑왕전 본선에 진출하고, 2004한국바둑리그 “한국얀센” 주장을 맡았다.

2005년 제24기 KBS 바둑왕전 본선에 진출하였다.

2008년 제27기 KBS 바둑왕전 본선, 전자랜드 현무왕전에서 준우승하였다.

2009년 BC카드배 월드바둑 챔피언십 본선 4강에 진출하고, 바투인비테이셔널 10강(1승 3패), 월드바투리그 시즌 1 듀얼토너먼트 D조에 출전하였다.

2010년 제1기 대주배에서 우승하였다.

2011년 제30기 KBS 바둑왕전 본선에 진출했다.

2. 3. 시니어 활동 및 정계 진출 (2011년 ~ 2020년)

2010년 제1기 대주배에서 우승했다.[18] 2012년에는 제2기 대주배에서 서능욱 九단에게 패하며 준우승했다.[18]

2016년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20대 총선에 출마하여 당선, 프로 바둑 기사 최초로 국회의원이 되었다.[20] 2020년 정계에서 은퇴할 때까지, 2018년에 바둑 진흥법(법률 제15567호, 2018년 4월 17일 제정, 2018년 10월 18일 시행)을 제정했다.[21][22] 국회의원 재임 중에는 정치의 복잡함에 익숙하지 않은 심경을 드러내기도 했다. 조훈현은 바둑 진흥법 통과 후 인터뷰를 통해 60년 바둑 인생의 마지막 큰 과제를 마쳤다며 정계 은퇴 의사를 밝혔고,[23] 2019년에는 "정치는 나의 길이 아니다"라며 다음 해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24] 국회의원 시절 말년에는 자유한국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사무총장을 역임하기도 했다.[25]

조훈현의 국회의원 임기 동안 활동은 다음과 같다.

기간활동 내용
2016년 6월 ~ 2018년 5월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2018년 2월 ~ 2018년 5월제20대 국회 전반기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2018년 7월 ~ 2020년 5월제20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2018년 10월 ~ 2019년 6월제20대 국회 후반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2020년 2월 ~ 2020년 3월미래한국당 사무총장
2020년 3월미래한국당 4·15 공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


2. 4. 바둑계 복귀 (2022년 ~ 현재)

2022년 6월, 국회의원 은퇴와 함께 바둑계에 복귀하였다. 복귀 후 첫 대국은 6월 13일 여류기사 최정과의 대국이었다.[26]

3. 주요 기록

국내 대회
대회명우승준우승
국수16회 (1976~1985, 1988, 1989, 1991, 1992, 1998, 2000)8회 (1986, 1987, 1993~1996, 1999, 2001)
명인12회 (1977, 1979~1981, 1984~1990, 1997)7회 (1973, 1978, 1983, 1991, 1998, 2000, 2003)
천원2회 (1996, 2002)
KBS배11회 (1980, 1981, 1984, 1986, 1987, 1989, 1990, 1992, 1996, 1997, 1999)2회 (1991, 1994)
대주배1회 (2010)1회 (2011)
왕위13회 (1976~1979, 1981~1989)7회 (1990, 1992, 1994, 1997, 1998, 2001, 2003)
기성2회 (1990, 1992)7회 (1991, 1993~1996, 1998, 2003)
BC카드배2회 (1990, 1995)4회 (1991, 1992, 1994, 1996)
배달왕1회 (1996)
최고위15회 (1973, 1974, 1976~1979, 1981~1988, 1992)8회 (1980, 1989, 1990, 1993~1997)
국기12회 (1975~1979, 1981~1987)3회 (1980, 1988, 1992)
패왕20회 (1977~1992, 1997~2000)2회 (1993, 2001)
태왕8회 (1983, 1985~1987, 1989, 1990, 1994, 1995)2회 (1988, 1997)
배커스배6회 (1983, 1985, 1987~1989, 1994)
다왕7회 (1983~1987, 1989, 1993)3회 (1993, 1995, 1996)
패델컵1회 (1996)5회 (1993~1995, 1997, 1999)
KT배1회 (2002)
기왕12회 (1979, 1981, 1982, 1984~1987, 1989~1992, 1995)3회 (1983, 1988, 1993)
SBS TV배1회 (1994)
신의1회 (1971)
합계13967
국제 대회
대회명우승준우승
잉씨배1회 (1988)
LG배1회 (2002)
삼성화재배2회 (2001, 2002)
춘란배1회 (1999)
후지쓰배3회 (1994, 2000, 2001)1회 (1993)
아시아 TV배2회 (2000, 2001)3회 (1992, 1995, 2002)
동양증권배2회 (1994, 1997)
합계116
총 경력
합계15073[4]


  • 1962년: 세계 최연소 입단 (9세)
  • 1982년: 대한민국 최초 9단 승단
  • 1980년, 1982년, 1986년: 전관왕 3회 달성 (각각 9관왕, 10관왕, 11관왕)
  • 1977년~1993년: 패왕전 16연패 (최다 연패 기록)
  • 통산 최다 타이틀 획득: 158회
  • 타이틀전 최다 출전: 233회
  • 통산 최다 불계승: 1120승
  • 최다 대국수: 2,567국 (2010년 1월 5일 기준)
  • 통산 최다승: 1,810승 (2010년 1월 5일 기준)
  • 최고령 타이틀 획득: 49세 (2002년 삼성화재배, KT배)
  • 1989년: 은관 문화훈장 수훈

4. 국제 기전 성적

조훈현 9단은 여러 국제 기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주요 국제 기전 성적은 다음과 같다.

기전결과
응씨배1회 (1988) 우승
후지쓰배3회 (1994, 2000, 2001) 우승, 1회 (1993) 준우승
동양증권배2회 (1994, 1997) 우승
삼성화재배2회 (2001, 2002) 우승
LG배1회 (2002) 준우승
춘란배1회 (1999) 우승
아시아 TV배2회 (2000, 2001) 우승, 3회 (1992, 1995, 2002) 준우승
농심배1999년(1회): 1승 1패, 2000년(2회): 2승 1패, 2001년(3회): 1승 1패, 2002년(4회): 1패, 2006년(7회): 1패
진로배1993년: 1승, 1994년: 2승 1패, 1995년: 2승, 1996년: 1승
롯데배1994년: 2승, 1995년: 1승 1패, 1996년: 2패, 1997년: 1승 1패
CSK배2002년: 2승, 2003년: 2승 1패
기타 국제 기전남방장성 바둑초청전 (2003), 국제명인페어바둑토너먼트 (2011, 김효정과 페어), 국수산맥배 페어바둑전 (2014, 오정아와 페어; 2015, 이영주와 페어), 산서보성 세계페어바둑전 (2015, 권효진과 페어), 섭위평배 바둑대사전 (2020) 우승



1989년 응창기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결승 5번기에서 조훈현은 녜웨이핑을 3-2로 꺾고 우승했다. 특히 제1국에서 흑1(113수)로 둔 녜웨이핑에 맞서 백2~흑7까지의 수읽기로 우세를 확립하며 승리했다.[13]

1989년 9월 5일 조훈현-녜웨이핑

4. 1. 세계 대회

기전19881989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
잉씨배우승16강8강16강××
후지쯔배16강4강4강16강8강준우승우승16강16강24강8강16강우승우승16강16강16강×××××
동양증권배×4강4강4강우승4강4강우승16강중지
삼성화재배16강32강16강16강8강우승우승8강16강8강32강16강32강32강
LG배8강8강16강4강8강준우승8강×24강×32강16강××
춘란배우승8강4강8강16강××
도요타배16강32강××중지
BC카드배4강
중환배×××중지
TV아시아××1회전준우승×1회전준우승×1회전4강×우승우승준우승×××××××
농심배1:12:11:10:1×××0:1×××


  • 응창기배 1989년 우승[1]
  • 후지쯔배 1994년, 2000년, 2001년 우승[2]
  • 동양증권배 1994년, 1997년 우승[3]
  • 춘란배 1999년 우승[4]
  • TV바둑 아시아 선수권전 2000년, 2001년 우승[5]
  • 삼성화재배 2001년, 2003년(제7회) 우승[6]


1989년 제1회 응창기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결승 5번기에서 조훈현 9단은 녜웨이핑 9단을 상대로 종합전적 3-2로 꺾고 우승하며 세계 바둑계의 강자로 떠올랐다. 특히, 결승 5번기 제1국에서 조훈현 9단은 흑번 녜웨이핑의 흑1(113수째)에 맞서 백2~흑7까지의 수읽기로 우세를 확립, 결국 승리했다.[13] 이 승리는 한국 바둑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4. 2. 기타 국제 대회

기전19881989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
잉씨배우승16강8강16강××-
후지쯔배16강4강4강16강8강준우승우승16강16강24강8강16강우승우승16강16강16강×××××
동양증권배×4강4강-4강우승4강4강-우승16강중지-
삼성화재배-16강32강16강16강8강우승우승8강16강8강32강16강32강32강
LG배-8강8강16강4강8강준우승8강×24강×32강16강××
춘란배-우승8강4강-8강-16강-×-×-
도요타배-16강-32강-×-×중지
BC카드배-4강
중환배-××-×중지-
TV아시아-××1회전준우승×1회전준우승×1회전4강×우승우승준우승×××××××
농심배-1:12:11:10:1×××0:1×××

[1]


  • 주요 국제 기전 우승: 응창기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전 (1989년), 세계바둑선수권대회 후지쓰배 (1994년, 2000년, 2001년), 동양증권배 세계 선수권전 (1994년, 1997년),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전 (1999년), TV바둑 아시아 선수권전 (2000년, 2001년), 삼성화재배 세계오픈전 (2001년, 2003년)
  • 진로배 SBS 세계바둑최강전
  • * 1993년 1-0 (○무궁정수)
  • * 1994년 2-1 (○이다 아쓰시, ○고마쓰 히데키, ×무궁정수)
  • * 1995년 2-0 (○섭위평, ○임해봉)
  • * 1996년 1-0 (○마효춘)
  • 롯데배 중한바둑대항전
  • * 1994년 2-0 (○유창혁, ○섭위평)
  • * 1995년 1-1 (×마효춘, ○창하오)
  • * 1996년 0-2 (×마효춘, ×섭위평)
  • * 1997년 1-1 (×섭위평, ○창하오)
  •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 * 2000년 1-1 (○이다 아쓰시, ×창하오)
  • * 2001년 2-1 (○야마시타 케이고, ○위빈, ×가토 마사오)
  • * 2002년 1-1 (○위빈, ×창하오)
  • * 2003년 0-1 (×후야오위)
  • * 2006년 0-1 (×하네 나오키)
  • CSK배 바둑 아시아대항전
  • * 2002년 2-0 (○왕리청, ○임해봉)
  • * 2003년 2-1 (×위빈, ○가토 마사오, ○임해봉)
  • 남방장성 바둑초청전 2003년 (○창하오)
  • 강원랜드배 한중바둑대항전 2006년 0-1 (×창하오)
  • 국제명인페어바둑토너먼트 우승 2011년 (김효정과 페어)
  • 주강배 세계바둑단체선수권 2013년 4위 (한국 와일드카드팀)
  • 국수산맥배 페어바둑전 우승 2014년 (오정아와 페어), 2015년 (이영주와 페어)
  • 산서보성 세계페어바둑전 우승 2015년 (권효진과 페어)
  • 섭위평배 바둑대사전 2020년 우승
[1]

1989년 제1회 응창기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결승 5번기 제1국에서 조훈현은 흑번 녜웨이핑을 상대로 승리했다. 흑1(113수째)로 두자, 우변 일대가 얇은 백이었지만, 백2~흑7까지를 이득 본 것이 기민한 수였다. 이러한 공방에서 백 한 칸 뛰어넘기의 절단이 사라지고, 백8이 놓여 백의 영토가 정돈되면서 우세를 확립했다.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이 제1국에서 승리한 후, 닝보에서 열린 2, 3국을 패배하여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였지만, 싱가포르에서 열린 4, 5국을 연승하여 우승을 차지하고, 상금 400000USD를 손에 넣었다.[1]

5. 기풍

조훈현은 가볍고 발이 빠른 기풍으로 인해 "제비류(ツバメ流)", "바둑황제(囲碁帝王)" 등으로 불렸다.[4]

6. 논란

2016년 4월 13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조훈현 의원은 당시 새누리당 소속 후보자 40명 중 한 명으로, 조건부 세비 반납 공약을 했다.[28]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로 인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이후 세비 반납 공약 파기 논란이 일었다.

6. 1. 세비 반납 공약 파기 논란

조훈현 의원을 포함한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 40명은 2016년 4월 13일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민국과의 계약'이라는 이름으로 5대 개혁과제를 2017년 5월 31일까지 이행하지 못하면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28] 이들은 갑을개혁, 일자리규제개혁, 청년독립, 4050자유학기제, 마더센터 등을 5대 개혁과제로 제시하고, 계약서에 서명까지 하며 이 약속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가 발생하면서 5대 과제는 전혀 이행되지 않았다. 공약 후 1년이 지나 세비 반납 문제가 논란이 되자,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5대 개혁과제 법안을 발의했으므로 계약 내용을 이행했다"고 주장했다.[29]

하지만 이들이 발의한 법안들은 모두 해당 상임위원회에 계류 중이었고, 실제로 이행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특히 노동개혁 관련 법안은 마감 시한 직전에 발의되어 졸속 발의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대해 '법안 통과가 되지 않았는데 개혁 과제를 이행했다고 볼 수 있는지', '세비 반납을 피하기 위해 꼼수를 부린 것은 아닌지' 등의 비판과 함께, 약속했던 세비 반납의 조건이 '과제 이행'이었던 만큼 법안 발의만으로는 약속을 이행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논란이 제기되었다.[29][30][31]

7. 이름의 한자 표기

조훈현의 한자 표기는 나라에 따라 다양하게 적힌다.

조훈현의 성인 曺(조)는 曹의 이체자(모양만 다르고 훈·음이 같은 한자)이지만, 현재 한국에서는 두 글자의 용법을 구분하고 있다. 曺는 한국인의 성씨로만 사용하고, 曹는 중국인의 성씨나 기타 일반명사 등에 쓰이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중국어권과 일본에서는 曹만 자신들의 한자 목록(상용한자, 인명용 한자 등)에 포함시키고 曺는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그래서 중국어권이나 일본어권에서는 조훈현의 성씨 표기를 曺가 아니라 曹로 대신하기도 한다. 또한 일본에서는 曺만 가타카나로 チョ|조일본어로 바꿔 쓰기도 한다.

한자 문화권의 관례상 薰(훈)은 필기 시 薫으로 쓰기도 하는데, 후자를 ‘인쇄체’로 공식적으로 쓰는 나라는 일본(신자체에 포함)뿐이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조훈현의 이름이 薰鉉이 아니라 薫鉉으로 적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鉉(현)의 경우 정체자(번체) 중국어나 일본어에서 그대로 쓰지만(일본 상용한자표에는 없으나 일본어에서 대개 문제 없이 표기함), 간체자에서는 간략화돼서 铉으로 쓰인다.

이에 따라 조훈현의 이름은 한자로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로 적힐 수 있다.


  • 曺薰鉉: 본래의 표기. 주로 대한민국에서 사용.
  • : 중국어(정체) 표기.
  • 曺薫鉉|조쿤겡일본어: 일본. 또한 다른 나라에서 필기할 때 쓰기도 함.
  • 曹薫鉉|조쿤겡일본어: 일본. 또한 중국어(정체)권에서 필기할 때 쓰기도 함.
  • チョ薫鉉|조쿤겡일본어: 일본.
  • : 중국어(간체) 표기.
  • : 중국어(간체)권에서 필기할 때 쓰기도 하는 표기(인쇄체에서는 대개 사용 않음).

8. 가족 관계

항목내용
아버지조규상
이종사촌나종훈
배우자정미화
자녀슬하 1남(조민제), 2녀(조윤선, 조승희)


9. 관련 도서


  • 조훈현, 김종서, 《전신(戰神) 조훈현 (나는 바둑을 상상한다)》, 청년사(2004)[1]
  • 조훈현, 《조훈현과의 대화》, 부키(1999)[2]
  • 만화 《바둑 삼국지》 (글: 박기홍, 그림: 김선희)
  • 조훈현, 《조훈현, 고수의 생각법》, 인플루엔셜(2015)
  • 조훈현, 《Go with the Flow》, Influential Inc., (2018)

: 2015년에 한국의 프로 9단 조훈현이 저술하고 유정민이 번역한 자서전이다. 한국어판은 2015년에, 영어판은 2018년에 출판되었다. 바둑과 삶에 대한 여덟 가지 주제의 이야기와 자기 성찰을 담고 있으며, 아홉 살에 프로 바둑 기사가 된 이후 56년 동안 1,935승을 거두고 160회나 다양한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하며 세계 바둑 역사상 전례 없는 기록을 달성했다. 이 책에서 그는 자신의 삶을 통해 배운 것, 즉 마음과 정신을 단련하는 방법의 본질을 전달한다.[3]

  • 이광구(李光九), 『조훈현(曹薰鉉)과의 대화』 (1999)[4]

참조

[1] 웹사이트 Episode 1: Pro's Nicknames http://gobase.org/st[...] gobase.org 2011-06-16
[2] 웹사이트 Cho Hun-hyun: "Victory or defeat, I will go my way until I die." https://web.archive.[...] koreafocus.or.kr 2011-06-16
[3] 웹사이트 Games of Cho Chikun against Cho Hun-hyeon http://rongen17.home[...] ronger17.home.xs4all.nl 2011-06-16
[4] 웹사이트 Cho Hunhyun 9p https://web.archive.[...] gogameworld.com 2011-06-16
[5] 웹사이트 KOREA BADUK ASSOCIATION http://english.baduk[...] english.baduk.or.kr 2011-12-28
[6] 웹사이트 Lee Changho 9p http://www.gogamewor[...] gogameworld.com 2011-06-16
[7] 웹사이트 Lee Sedol 9p https://web.archive.[...] gogameworld.com 2011-06-16
[8] 웹사이트 Episode 2: Cho HoonHyun Returns http://gobase.org/st[...] gobase.org 2011-06-16
[9] 웹사이트 Consecutive Title Myth https://web.archive.[...] gogameworld.com 2002-12
[10] 웹사이트 Cho HoonHyun http://gobase.org/in[...] gobase.org 2011-06-16
[11] 웹사이트 ing cup, 1st edition, 1988 http://gobase.org/ga[...] gobase.org 2011-06-16
[12] 뉴스 Go player Cho joins Saenuri Party https://www.koreatim[...]
[13] 뉴스 Saenuri unveils candidates for non-electoral seats https://www.koreatim[...]
[14] 뉴스 닻 올린 미래한국당… 고육책? 꼼수? 하루살이? http://news.kmib.co.[...] 2020-02-05
[15] 문서 조훈현
[16] 웹사이트 조훈현 9단, 세계 최초 2천500국 달성 http://www.yasinmoon[...] 2008-11-24
[17] 웹사이트 曹薰鉉和徐奉洙刀耕火種十六年 趙治勳在日本崛起 https://kknews.cc/sp[...] 2016-07-28
[18] 웹사이트 韓国現代囲碁70周年特別対局 https://baduk.hangam[...] 2015-07-26
[19] 서적 韓流 囲碁が驚くほど強くなる本
[20] 뉴스 曺薫鉉 プロ囲碁棋士初の国会議員当選 http://biz.chosun.co[...] ChosumBiZ
[21] 웹사이트 帰ってきた囲碁皇帝曺薫鉉対崔精 http://www.baduk.or.[...] 韓国棋院 2020-05-28
[22] 웹사이트 바둑진흥법 https://www.law.go.k[...] 2023-10-01
[23] 웹사이트 [이진구 기자의 對話]조훈현 “정석(定石)은 어디 가고…, 강수 꼼수만…” https://www.donga.co[...] 2018-04-30
[24] 웹사이트 "뭍에 오른 물고기였죠… 금배지 던져 행복합니다" https://www.chosun.c[...] 2019-11-16
[25] 웹사이트 민주당, '미래한국당 한선교 대표 ·조훈현 사무총장' 검찰에 고발 https://news.sbs.co.[...] 2020-02-13
[26] 웹사이트 '바둑황제' 조훈현, 복귀전서 '바둑여제' 최정과 대결 https://www.yna.co.k[...] 2020-06-04
[27]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28] 뉴스 [단독] 김무성 '세비반납' 약속 D-7...옛 새누리, 대국민 전면광고 https://web.archive.[...] 헤럴드경제 2017-05-25
[29] 뉴스 새누리 출신 의원들 ‘세비 반납’은 결국 쇼? https://web.archive.[...] 2017-06-04
[30] 뉴스 자유한국당, '세비반납' 약속 마감 하루 전 법안 발의해 논란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17-05-30
[31] 뉴스 ‘대한민국과의 계약’ 파기…세비 반납은 없었다 http://news.kbs.co.k[...] KBS 뉴스 2017-06-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