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 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 밴드는 1~2 GHz의 주파수 대역을 지칭하며, 이동 통신, 위성 항법, 레이다, 아마추어 무선, 그리고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동 통신에서는 주파수 경매를 통해 할당되며, GSM 휴대폰, 이리듐 위성, LTE-Advanced 기지국 등에 사용된다. 위성 항법 시스템에서는 GPS, GLONASS, 갈릴레오 등이 L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며, 레이다 분야에서는 SMART-L 레이다와 일부 스텔스기에 탑재된 레이다가 L 밴드를 사용한다.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23cm 밴드로 불리며, 국제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 활용된다. 이 외에도 기상 데이터 방송, 항공 감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방송, 전파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파 - 협대역
    협대역은 통신에서 광대역에 비해 좁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전화 통신, 무선 통신, 유선 데이터 통신 등에서 다양한 특징과 활용 범위를 가진다.
  • 전파 - X 밴드
    X 밴드는 8 GHz에서 12 GHz 사이의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으로, 레이더 시스템에서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며 기상 레이더, 항공 교통 관제,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L 밴드
L 대역
주파수1 – 2 GHz
파장30 – 15 cm
NATO 명칭D
ITU 명칭UHF

2. 이동통신

L 밴드는 GSM 휴대폰(800-900 MHz, 1800-1900 MHz), 이리듐 위성(1616-1626.5 MHz), 인마샛과 라이트스퀘어드(1525-1646.5 MHz), 투라야 위성폰(1525-1661 MHz) 등 다양한 이동통신 및 위성 통신 서비스에 활용된다. 유럽에서는 유럽 우편 및 전기 통신 행정 위원회(CEPT) 산하 전자 통신 위원회(ECC)가 L 밴드 일부(1452–1492MHz)를 LTE-Advanced 또는 UMTS/HSDPA 기지국의 다운링크 추가 대역폭 제공에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1]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PCS 및 AWS 대역(1.7 GHz ~ 2.1 GHz)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가 운영된다.

2. 1. 주파수 할당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2013년 8월 30일, 미래창조과학부가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 결과를 발표했다. SK텔레콤은 1.8 GHz 35 MHz C2블록을 1조 500억원, KT는 1.8 GHz 15 MHz D2블록을 9.001조원, LG유플러스S 밴드인 2.6 GHz 40 MHz B2블록을 4.788조원에 낙찰받았다.[11]

GSM 휴대폰은 800–900 MHz와 1800–1900 M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리듐 위성은 1616-1626.5 MHz, 인마샛과 라이트스퀘어드는 1525-1646.5 MHz, 투라야 위성폰은 1525-1661 MHz를 사용한다.

유럽에서는 유럽 우편 및 전기 통신 행정 위원회 (CEPT)의 전자 통신 위원회 (ECC)가 L 밴드의 일부(1452–1492 MHz)를 조화시켜, 개별 국가가 이 스펙트럼을 지상 이동/고정 통신망 보조 다운링크(MFCN SDL)에 채택할 수 있도록 했다. LTE-Advanced 또는 UMTS/HSDPA 기지국은 캐리어 집성을 통해 이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기지국에서 모바일 장치로의 통신, 즉 다운링크 방향으로 추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1]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PCS 및 AWS 대역에서 1.7 GHz ~ 2.1 GHz 범위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가 운영된다.

2. 2. 활용

GSM 휴대폰은 800–900 MHz와 1800–1900 M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리듐 위성은 1616-1626.5 MHz를 사용하며, 인마샛과 라이트스퀘어드는 1525-1646.5 MHz를 사용한다. 투라야 위성폰은 1525-1661 MHz를 사용한다.[11]

유럽에서는 유럽 우편 및 전기 통신 행정 위원회(CEPT) 산하 전자 통신 위원회(ECC)가 L 밴드의 일부(1452–1492MHz)를 조화시켜, 개별 국가가 이 스펙트럼을 지상 이동/고정 통신망 보조 다운링크(MFCN SDL)에 채택할 수 있도록 했다. LTE-Advanced 또는 UMTS/HSDPA 기지국은 캐리어 집성을 통해 이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기지국에서 모바일 장치로의 통신, 즉 다운링크 방향으로 추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1]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개인 통신 서비스(PCS) 및 첨단 무선 서비스(AWS) 대역에서 1.7GHz ~ 2.1GHz 범위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가 운영된다.

3. 위성 항법

GPS를 비롯하여 러시아의 GLONASS, 한국이 참여하고 있는 유럽의 갈릴레오 등 다양한 위성 항법 시스템이 L 밴드 주파수를 사용한다.[2] L 밴드는 구름, 안개, 비, 폭풍 및 식물 등을 통과할 수 있어, GPS 장치에 활용된다. 다만, 빽빽한 숲이나 콘크리트 건물과 같은 밀집된 환경에서는 GPS 장치가 부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2] 갈릴레오 항법 시스템, 글로나스, 베이더우 시스템은 GPS와 유사한 L 밴드를 사용하지만 주파수 범위는 다르게 명명된다.[3]

3. 1. GPS

미국의 GPS는 1176.45MHz (L5), (L2), 1381.05MHz (L3), 1575.42MHz (L1) 주파수를 사용한다. 러시아의 GLONASS, 한국이 참여하고 있는 유럽의 갈릴레오도 모두 L 밴드 주파수를 사용한다.[2]

L 밴드 파는 구름, 안개, 비, 폭풍 및 식물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GPS 장치에 사용된다. 빽빽한 숲이나 콘크리트 건물과 같은 밀집된 환경에서만 GPS 장치가 부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2]

갈릴레오 항법 시스템, 글로나스, 베이더우 시스템은 GPS와 유사한 L 밴드를 사용하지만 주파수 범위는 다르게 명명된다.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최신 수신기는 여러 시스템(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L1 밴드만)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3]

3. 2. 기타 위성 항법 시스템

미국의 GPS는 1176.45MHz (L5), (L2), 1381.05MHz (L3), 1575.42MHz (L1) 주파수를 사용한다. 러시아의 GLONASS, 한국이 참여하고 있는 유럽의 갈릴레오도 모두 L 밴드 주파수를 사용한다.[2]

L 밴드 파는 구름, 안개, 비, 폭풍 및 식물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GPS 장치에 사용된다. GPS 장치가 부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은 빽빽한 숲의 덮개나 콘크리트 건물과 같은 밀집된 환경뿐이다.[2]

갈릴레오 항법 시스템, 글로나스 시스템, 베이더우 시스템은 GPS와 유사한 L 밴드를 사용하지만 주파수 범위는 다르게 명명된다.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최신 수신기는 여러 시스템(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L1 밴드만)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3]

4. 레이다

L 밴드는 독도함의 SMART-L 레이다, 러시아 PAK FA 스텔스기의 좌우 날개 레이다에 사용된다. L 밴드는 X 밴드보다 정확도가 낮지만, 스텔스 도료는 X 밴드에서 효과가 크고 L 밴드에서는 약하다.[12] 2005년 슬램이글 전투기의 슬램 미사일 주파수가 휴대폰과 같아 문제가 된다는 보도가 있었다.[12]

4. 1. 군사용 레이다

독도함에서 사용하는 SMART-L 레이다는 L 밴드를 사용한다. 러시아 스텔스기 PAK FA도 좌우 날개에 L 밴드 레이다를 장착했다. L 밴드는 X 밴드보다 레이다 탐지 정확도가 낮지만, 스텔스 도료는 X 밴드에서 큰 스텔스 효과를 보이고, L 밴드에서는 그 성능이 약하다고 알려져 있다.[12]

2005년 대한민국의 슬램이글 전투기에 장착된 슬램 미사일이 휴대폰 주파수와 같아 문제가 된다는 보도가 있었다.[12]

4. 2. 슬램 미사일 주파수 간섭 논란

독도함에서 사용하는 SMART-L 레이다는 L 밴드를 사용한다. 러시아 스텔스기 PAK FA도 좌우 날개에 L 밴드 레이다를 장착했다. L 밴드는 X 밴드보다 레이다 탐지 정확도가 부정확하지만, 스텔스 도료는 X 밴드에서 큰 스텔스 효과가 있고, L 밴드에서는 스텔스 성능이 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2005년 대한민국의 슬램이글 전투기에 장착한 대표 무기인 슬램 미사일이 휴대폰 주파수와 같아 문제가 된다는 보도가 있었다.[12]

5. 아마추어 무선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L 밴드를 23센티미더 밴드라고 부른다. 1240 MHz에서 1300 MHz 대역이 ITU에서 정한 국제아마추어밴드이며,[13] 대류권 덕트 교신의 경우 4150km까지 교신이 가능하다.[14]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의 전파 규칙은 이 주파수 대역에서 아마추어 무선 운용을 허용하며, 아마추어 위성 업링크는 1,260–1,270 MHz 대역에서 허용된다. AMSAT에서는 L 밴드로 알려져 있다.

5. 1. 주파수 대역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23센티미더 밴드라고 부른다. 1240 MHz에서 1300 MHz 대역이 ITU에서 정한 국제아마추어밴드이다. 2009년 F6KUP/P 아마추어무선사는 10W 송신출력으로 952 km 떨어진 EA2DR/1 아마추어무선사와 교신하는데 성공했다.[13] 대략 서울에서 도쿄, 서울에서 베이징 까지의 거리다. 대류권 덕트 교신의 경우 4150km까지 교신이 가능하다고 한다.[14]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의 전파 규칙은 1,240–1,300 MHz 주파수 대역에서 아마추어 무선 운용을 허용하며, 아마추어 위성 업링크는 1,260–1,270 MHz 대역에서 허용된다. 이는 아마추어 무선가들 사이에서는 23cm 대역으로, AMSAT에서는 L 밴드로 알려져 있다.

5. 2. 통신 기록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23센티미더 밴드라고 부른다. 1240 MHz에서 1300 MHz 대역이 ITU에서 정한 국제아마추어밴드이다. 2009년 F6KUP/P 아마추어무선사는 10W 송신출력으로 952 km 떨어진 EA2DR/1 아마추어무선사와 교신하는데 성공했다.[13] 대략 서울에서 도쿄, 서울에서 베이징 까지의 거리다. 대류권 덕트 교신의 경우 4,150 km까지 교신이 가능하다고 한다.[14]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의 전파 규칙은 1,240–1,300 MHz 주파수 대역에서 아마추어 무선 운용을 허용하며, 아마추어 위성 업링크는 1,260–1,270 MHz 대역에서 허용된다. 이는 아마추어 무선가들 사이에서는 23cm 대역으로, AMSAT에서는 L 밴드로 알려져 있다.

6. 기타 활용 분야

L 밴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GSM 휴대폰은 800–900 MHz와 1800–1900 M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리듐 위성은 1616-1626.5 MHz를 사용하며,[4] 스냅드래곤 위성 역시 L 밴드의 주파수를 활용할 것이다. 인마샛과 리가도 네트워크스 단말기는 1525-1646.5 MHz 사이, 수라야 위성 전화는 1525-1661 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항공기는 자동 종속 감시 방송(ADS-B) 장비를 1090 MHz에서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통신한다.[1] 모드 S 트랜스폰더와 TCAS 시스템 또한 1030/1090 MHz 주파수를 사용하며, ADS-B가 이를 보완한다.[1] ADS-B 정보는 978 MHz의 L 밴드 주파수로도 방송될 수 있다.[1] DME 및 TACAN 시스템도 이 주파수 대역에 있다.[1]

미국과 미국 해외 영토에서 L 밴드는 미국군이 원격 측정을 위해 사용하므로, 디지털 라디오는 동일 채널 내 신호 전송 (IBOC) 솔루션을 사용해야 한다.[1]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DAB)은 주로 Band III을 사용하지만, 일부 국가에서 1452–1492 MHz 대역에서도 전송이 허용되었다.[1]

월드스페이스 위성 라디오는 과거 1467–1492 MHz L 서브 밴드에서 방송을 했다.[1] DVB-H, DVB-SH, 및 DVB-T2와 T-DMB는 L 대역에서 작동할 수 있다.[1]

L 밴드는 중성 수소의 초미세 전이(수소선, 1420 MHz)를 포함하며, 이는 성간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중성 원자 수소를 영상화하는 수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5] 또한 이 밴드는 1665 MHz와 1667 MHz에서 수산기 라디칼 전이선을 포함한다. 1400–1427 MHz 및 1660.6–1670.0 MHz 영역은 전 세계적으로 보호되는 전파 천문학 할당이다.[5][6]

6. 1. 위성 통신

GSM 휴대폰은 800–900 MHz와 1800–1900 M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리듐 위성은 1616-1626.5 MHz를 사용하며,[4] 이리듐 커뮤니케이션스의 양방향 메시징 서비스인 스냅드래곤 위성 역시 L 밴드의 주파수를 활용할 것이다. 인마샛과 리가도 네트워크스(구 라이트스퀘어드) 단말기는 1525-1646.5 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수라야 위성 전화는 1525-1661 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6. 2. 항공 감시

L 밴드는 960-1215 MHz에 걸쳐 있다. 항공기는 자동 종속 감시 방송(ADS-B) 장비를 1090 MHz에서 사용하여 교통 정보 및 회피를 위해 지상과 서로 간에 위치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1] 모드 S 트랜스폰더는 1090 MHz 주파수 (1030 MHz와 페어링)를 사용하며, 이 주파수에서 작동할 때 ADS-B가 이를 보완한다.[1] TCAS 시스템 또한 1030/1090 MHz 페어링 주파수를 사용한다.[1] ADS-B 정보는 978 MHz의 L 밴드 주파수로도 방송될 수 있다.[1] DME 및 TACAN 시스템도 이 주파수 대역에 있다.[1]

6. 3.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방송

미국과 미국 해외 영토에서 L 밴드는 미국군이 원격 측정을 위해 사용하므로, 디지털 라디오는 동일 채널 내 신호 전송 (IBOC) 솔루션을 사용해야 한다.[1]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DAB)은 주로 Band III을 사용하지만, 과거에는 일부 국가에서 1452–1492 MHz 대역에서도 전송이 허용되었다.[1]

월드스페이스 위성 라디오는 과거 1467–1492 MHz L 서브 밴드에서 방송을 했다.[1] DVB-H, DVB-SH, 및 DVB-T2는 L 대역에서 작동할 수 있다.[1] T-DMB는 L 밴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1]

6. 4. 전파 천문학

L 밴드는 중성 수소의 초미세 전이(수소선, 1420 MHz)를 포함하며, 이는 성간 공간에서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 중성 원자 수소를 영상화하는 수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5] 또한 이 밴드는 1665 MHz와 1667 MHz에서 수산기 라디칼 전이선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L 밴드의 일부는 전 세계적으로 보호되는 전파 천문학 할당이다.[5] 구체적으로, 1400–1427 MHz 및 1660.6–1670.0 MHz 영역이 보호된다.[6]

7. 다른 주파수 밴드

밴드 이름주파수 범위
S 밴드2 ~ 4 GHz
C 밴드4 ~ 8 GHz
X 밴드8 ~ 12 GHz
Ku 밴드12 ~ 18 GHz
K 밴드18 ~ 26.5 GHz
Ka 밴드26.5 ~ 40 GHz
Q 밴드30 ~ 50 GHz
U 밴드40 ~ 60 GHz
V 밴드50 ~ 75 GHz
E 밴드60 ~ 90 GHz
W 밴드75 ~ 110 GHz
F 밴드90 ~ 140 GHz
D 밴드110 ~ 170 GHz


참조

[1] 웹사이트 Harmonised use of the band 1452–1492 MHz for MFCN SDL http://www.erodocdb.[...] CEPT ECC 2015-07-03
[2] 서적 Applied GPS for Engineers and Project Managers ASCE Press
[3] 논문 Investigation on Reference Frames and Time Systems in Multi-GNSS 2018-01-09
[4] URL http://www.fcc.gov/B[...] 2022-03
[5] 웹사이트 Radio Spectrum Allocation https://www.fcc.gov/[...] 2011-03-02
[6] 웹사이트 RA.314:Preferred frequency bands for radio astronomical measurements https://www.itu.int/[...]
[7] 웹사이트 レーダーの構成 https://www.furuno.c[...] 2014-03-04
[8] 웹사이트 用語集 https://www.bousai.g[...] 2014-03-03
[9] 웹사이트 【参考】 電波の周波数による分類・定義 http://www.wti.jp/te[...] 2014-03-03
[10] 간행물 艦載レーダーの歩み 海人社
[11] 뉴스 https://news.naver.c[...]
[12] 뉴스 https://news.naver.c[...]
[1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f4buc.pagespe[...] 2013-09-21
[1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forums.qrz.co[...] 2013-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