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GC 325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C 3256은 두 개의 중심핵을 가진 상호작용 은하로, 병합 전 두 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이 아직 합쳐지지 않아 북부와 남부 중심부로 나뉘어 있다. 북부 중심부에서는 활발한 별 생성과 전리수소영역이 관측되며, 남부 중심부는 활동은하핵으로 확인되었다. 이 은하는 활발한 별 생성 지역과 조석 꼬리를 가지며, 가까운 미래에 한 개의 초대질량 블랙홀을 가진 더 큰 은하로 진화할 것이다. NGC 3256은 NGC 3263과 NGC 3256C를 포함하는 NGC 3256 은하군에 속하며, 바다뱀자리-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이은하 - 생쥐 은하
  • 특이은하 - 마페이 1
    마페이 1은 파올로 마페이가 발견한 거대 타원 은하로, 회피대 내에 위치하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밝게 보이며, 늙은 금속풍부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심부에 작은 청색 항성 핵이 존재하며, IC 342/마페이 은하군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이다.
NGC 3256
기본 정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NGC 3256
NGC 3256 (허블 우주망원경 촬영)
형태특이 은하
별자리돛자리
적경10h 27m 51.3s
적위−43° 54′ 13″
겉보기 등급+ 11.3
크기3′.8 × 2′.1
거리1억 2,200만 광년
적색 편이0.009354 +/- 0.000019
후퇴 속도2,804 ± 6 km/s
기타 명칭ESO 263-IG 038
VV 65
AM 1025-433
MCG -07-22-010
PGC 030785
참고 사항은하 병합, 별 폭발 은하

2. 특징

NGC 3256은 두 은하가 충돌하여 합쳐지는 과정에 있는 대표적인 상호작용은하이다. 이 은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아직 완전히 하나로 합쳐지지 않은 두 개의 은하핵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북쪽 핵은 가시광선으로도 관측 가능하며 활발한 별 형성 활동을 보이고, 남쪽 핵은 먼지에 가려져 있지만 적외선전파 관측을 통해 활동은하핵(AGN)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은하 전역에서는 매우 활발한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매우 밝은 HII 영역들의 존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HII 영역들은 초성단(SSC)을 품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가까운 미래에 두 핵이 완전히 합쳐지면, NGC 3256은 하나의 거대한 초대질량 블랙홀을 가진 더 큰 타원은하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2. 1. 두 개의 중심핵

NGC 3256의 중심핵은 사실상 두 개로 나뉘어 있다. 이는 이 은하가 합쳐지기 전의 초기 은하들 중심부에 있던 초대질량 블랙홀들이 아직 합쳐지지 않은 상태임을 보여주는 증거로 볼 수 있다 (비슷한 예로 NGC 6240이 있다). NGC 3256의 두 중심핵은 '''북부 중심핵'''과 '''남부 중심핵'''으로 불리며, 서로 약 850 파섹 (pc) (5초각) 정도 떨어져 있다.[7] 두 핵 모두 전파적외선 파장에서는 뚜렷하게 관측되지만, 남부 중심핵은 두꺼운 먼지 띠에 가려져 가시광선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반면 북부 중심핵은 가시광선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7] 일부 과학자들은 파장 길이 λ ≥ 3.75 μm 영역에서 세 번째 중심핵, 즉 세 번째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으나[8], 다른 과학자들은 이것이 NGC 3256 은하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또 다른 밝은 전리수소(H II) 영역일 것이라고 반론한다.[8] 여러 은하 병합 과정 후기의 은하들과 마찬가지로, NGC 3256 역시 가까운 미래에는 두 핵이 완전히 합쳐져 하나의 거대한 중심 초대질량 블랙홀을 가진 더 큰 은하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7]

북부 중심핵에서는 별들의 폭발적인 생성 활동(폭발적 항성생성)으로 인해 발생한 초강풍(superwind)에 의한 충격파와 함께 이온화된 가스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증거가 관측되었다.[8] 이는 많은 전리수소영역의 형성과 활발한 폭발적 항성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찬드라 X-선 망원경과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관측 결과,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보이지 않는 남부 중심핵은 광도가 낮은 활동은하핵 (AGN)으로 밝혀졌다. 또한 X-선 영역에서의 스펙트럼 분석 결과, 남부 핵은 심하게 흡수된(Compton-thin) 세이퍼트 2형 은하의 특징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7]

2. 2. 활발한 별 생성 (HII 영역)

NGC 3256은 최소 7개의 거대한 HII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른 상호작용은하들에 비해 적은 수치이지만, 이 HII 영역들은 매우 높은 광도를 가지고 있어, 총 타란툴라 성운의 85배에 달하는 플럭스(밝기)를 보인다.[9] 이러한 높은 광도는 초성단(SSC)을 품고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NGC 3256의 HII 영역 위치는 은하의 X선 방출 영역과 일치하며, 이는 초성단의 존재 가능성을 뒷받침한다.[9] 이 X선의 가능한 발생원은 초신성 잔해(펄사 포함)와 X선 쌍성이다.[9] 이는 X선 발생원(초신성 잔해, X선 쌍성)이 질량이 큰 별에서 유래하며, 이러한 별들은 HII 영역 내 성단의 초기 구성원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9]

또한, 이 특징들의 HI 질량은 이들이 구상 성단의 전구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10]

2. 3. 조석 꼬리

NGC 3256은 두 개의 조석 꼬리를 가지고 있다. 이 두 꼬리는 은하의 HI 방출량의 약 75%를 차지하며, 중앙 흡수 특징을 포함한다.[10] 마이클 루브록(Michael Rubrock) 등은 두 꼬리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서로 다른 별의 집단을 암시한다고 밝혔다. 동쪽 꼬리의 평균 별 집단 연령은 841+125−157 메가년으로 결정되었으며, 은하 상호 작용 이전에 형성된 별의 집단에 속하는 질량이 더 많다. 동쪽 꼬리에서는 강한 성운 방출을 보이는 여러 개의 젊은 (< 10 메가년), 저질량 천체도 감지되었는데, 이는 소규모의 최근 별 형성 폭발을 나타낸다. 서쪽 꼬리의 평균 별 집단은 288+11−54 메가년으로 추정되었으며, 빛은 상호 작용 이후에 형성된 별에 의해 지배된다.[11] 꼬리에는 많은 수의 별 무리가 있으며, 특히 서쪽 꼬리에 더 많이 분포한다.[12]

3. 주변 은하와의 관계

NGC 3256은 다른 은하들과 함께 NGC 3256 은하군이라는 작은 무리를 이루고 있다. 이 은하군에는 조석력에 의해 영향을 받은 NGC 3263과 NGC 3256C를 비롯하여 약 15개 이상의 다른 은하와 HI 조각들이 포함되어 있다.[13] 일부 연구에서는 NGC 3256과 NGC 3263이 별개의 그룹을 형성한다고 보기도 하지만, 공간적으로 구별하기 어렵고 분석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도 한다.[13] 이 은하군의 특징 중 하나는 특정 은하에 속하지 않으면서 그룹의 일부로 보이는 거대한 은하간 HI 구름인 벨라 구름(Vela Cloud)의 존재이다.[13] NGC 3256 은하군은 더 큰 구조인 바다뱀자리-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에 속해 있다.[13]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ipac.calt[...] 2016-01-18
[2] 웹사이트 NGC 3256 https://www.spacetel[...] 2008-04-24
[3] 논문 The IRAS Revised Bright Galaxy Sample 2003-10
[4] 웹사이트 Transient Name Server entry for SN 2001db. https://www.wis-tns.[...] 2023-03-23
[5] 웹사이트 Transient Name Server entry for SN 2018ec. https://www.wis-tns.[...] 2023-03-23
[6] 웹사이트 Transient Name Server entry for SN 2021afuq. https://www.wis-tns.[...]
[7] 논문 Infrared and X-Ray Evidence of an Agn in the NGC 3256 Southern Nucleus 2015-05-29
[8] 논문 Luminous Infrared Galaxies. III. Multiple Merger, Extended Massive Star Formation, Galactic Wind, and Nuclear Inflow in NGC 3256 2000-08
[9] 논문 Giant H [CSC]ii[/CSC] Regions in the Merging System NGC 3256: Are They the Birthplaces of Globular Clusters? 2003-03
[10] 논문 NGC 3256: Kinematic Anatomy of a Merger 2003-03
[11] 논문 A tale of two tails: exploring stellar populations in the tidal tails of NGC 3256 2016-09-01
[12] 논문 From Globular Clusters to Tidal Dwarfs: Structure Formation in the Tidal Tails of Merging Galaxies 2003-09
[13] 논문 The Vela Cloud: A Giant H I Anomaly in the NGC 3256 Group 2010-01-01
[14] 웹사이트 Cosmic collision lights up the darkness https://www.spacetel[...] 2018-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