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SB 6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SB 69는 1970년대부터 노르웨이에서 운행된 전기 동차로, NSB(Norges Statsbaner)에서 지역 교통을 위해 도입되었다. 스웨덴의 SL X1 차량을 참고하여 객차 내장재 개선, 최고 속도 향상 등의 개량을 거쳤으며, A, B, C, D, E, G, H 등 7가지 파생형이 존재한다. 오슬로를 비롯한 노르웨이 각지의 통근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1999년 래핑 광고가 도입되기도 했다. 일부 차량은 사고로 폐차되었으며, 여러 이유로 퇴역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철도 차량 - GMB 71
    GMB 71은 노르웨이 가르데르모엔 선에서 운행하는 고속철도 전동차로, 오슬로 신공항 건설과 함께 도입되어 최고 속도 210km/h로 오슬로 중앙역에서 공항까지 20분 안에 주파하며, 2001년 자동 열차 제어(ATC) 설치 이후 사고 발생이 감소했다.
  • 노르웨이의 철도 차량 - NSB 70
    NSB 70은 노르웨이 국영 철도가 1990년대 초 도입한 전동차로,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수송을 위해 추가 주문되었으며, 기술적 문제와 지속적인 개선을 거쳐 현재 특정 노선에서 운행 중이고 알루미늄 차체와 중련 운행이 가능하다.
  • 노르웨이 - NSB El 16
    NSB El 16은 노르웨이 국철이 험준한 지형과 악천후에 운행하기 위해 스웨덴 기관차를 개량하여 도입한 전기 기관차로, 뾰족한 차체와 사이리스터 제어 방식, 미끄럼 방지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여객 및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으나, 전력량 부족으로 일부 노선에서 제한되기도 했으며, 현재 운행 정보는 확인되지 않는다.
  • 노르웨이 - GMB 71
    GMB 71은 노르웨이 가르데르모엔 선에서 운행하는 고속철도 전동차로, 오슬로 신공항 건설과 함께 도입되어 최고 속도 210km/h로 오슬로 중앙역에서 공항까지 20분 안에 주파하며, 2001년 자동 열차 제어(ATC) 설치 이후 사고 발생이 감소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NSB 69
기본 정보
홀름리아 역의 69-73호
홀름리아 역의 69-73호
종류전기 동차
운행 시작1971년
운행 종료현재 운행 중
제작사스트뢰멘 ASEA
개조2005년 (G 시리즈)
제작 대수85대
편성2량 또는 3량
운영사고-어헤드 노르웨이
Vy
운행 노선L2 (드라멘 선 및 외스트폴 선)
R50 (아렌달 선)
R55 (브라츠베르그 선)
최대 속도130km/h
차량 정보
차량 길이선두차:
24.85m (A, B, C)
25.06m (D, E, G)
중간차:
24.25m (B)
27m (C, D, E, G)
편성 정원189석 (A 시리즈)
282–306 (3량 2 시리즈)
180–204 (3량 B 시리즈)
301 (C 시리즈)
300–303 (D 시리즈)
178 (E 시리즈)
270 (G 시리즈)
자중동력차: 53.9t (A 시리즈)
54 t (B 시리즈)
53.5 t (C 시리즈)
60.5 t (D 시리즈)
64 t (E 시리즈)
중간차:
28.8 t (B 시리즈)
35 t (C-, D 시리즈)
38 t (E 시리즈)
조종차:
29 t (A-, C 시리즈)
28.5 t (B 시리즈)
35.5 t (D 시리즈)
37 t (E 시리즈)
동력 장치
동력 출력1632마력 (1217kW)
전기 시스템15 kV AC 가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기타

2. 역사

1960년대 NSB는 지역 교통을 위해 새로운 전동차 도입을 결정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65형, 67형, 68형 전동차는 약 30년간 큰 개량 없이 사용되어 노후화되었기 때문이다. NSB는 스웨덴에서 성공적으로 운행 중이던 X1 차량을 참고하여 새로운 차량 개발에 착수했다.

NSB는 몇 가지 목표를 설정했다. 첫째, 객차 내장재를 개선하여 신형 차량 2량이 기존 차량 3량과 비슷한 승객 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높였다. 둘째, 운행 속도를 높여 기존 시속 70km/h에서 130km/h까지 증속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 선로 용량을 늘리고, 같은 빈도로 운행하는 데 필요한 차량 수를 줄일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오슬로 동역에서 스키역까지 운행하는 데 필요한 차량은 9대에서 4대로 줄어들었다. 또한, 기존 차량보다 훨씬 높은 출력인 1,200 kW급 사이리스터 제어 장치를 도입했다.

뢰렌스쿠그역에 정차 중인 D 계열 BM69078 편성


1970년 11월 1일 첫 번째 A 계열 차량 15편성이 도입되어 오슬로에서 릴레스트룀역 및 스키역 방면 노선에 투입되었다. 이후 몇 년 뒤 장거리 노선 운행을 위한 B 계열 차량이 도입되었고, 곧이어 C 계열 차량도 추가되었다. 1980년대에는 장거리 운행에 맞춰 내장재를 개량한 D 계열 차량이 도입되었다. 마지막 D 계열 차량은 1994년 동계 올림픽 수송 지원을 위해 1993년에 인도되었다. 초기 도입된 차량은 모두 2량 편성으로 제작되었으나, 1987년부터는 중간 객차를 추가하여 3량 편성으로 개조하기 시작했다. A 계열과 B 계열은 일부러 2량 편성을 유지하여 필요에 따라 2량부터 최대 9량까지 다양한 길이로 열차를 조합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확보했다. 1990년과 1993년에 인도된 D 계열 차량 중 일부는 처음부터 3량 편성으로 제작되었다.

1982년까지 69형 전동차는 오슬로 지역 내 노선에서만 운행되었다. 1982년 이후 플롬선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으로 오슬로 외 지역으로 운행 범위를 넓혔다. 1984년부터는 베르겐 통근 철도에, 1991년부터는 스타방에르 통근 철도에도 투입되었다.

E 계열과 G 계열은 기존 차량을 개조하여 좌석 편의성을 높인 편성이다. E 계열은 1994년부터 쇠를란선의 크리스티안산역-스타방에르역 구간에 투입되었고, G 계열은 2005년부터 요비크선 운행을 위해 도입되었다.

1999년 12월 14일, NSB는 3편성에 Freia Melkesjokolade|프레이아 멜케쇼콜라no 초콜릿 랩 광고를 시도했으나, 이후 차량 외부 광고는 중단하기로 결정했다.[1] 2019년 12월부터는 일부 편성(2대)이 고어헤드 노르예(Go-Ahead Norge)로 이관되어 운행될 예정이다.[2]

3. 운행 구간

NSB 69형 전동차는 노르웨이 각지의 통근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주요 운행 구간은 다음과 같다.



또한, 릴레스트롬 – 아스케르 간의 L1 노선에서도 가끔 사용된다.

4. 파생형

NSB 69형 전동차는 도입 시기와 운행 목적에 따라 총 7가지 계열로 나뉜다.[1][2]


  • '''A 계열''':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생산된 초기 모델로, 2량 편성으로 구성되었다.[1][2]
  • '''B 계열''': 1974년에 제작되었으며, 대부분 2량 편성이지만 일부는 중간 객차가 추가된 3량 편성이다. 일부 편성은 스키나 자전거 수송을 위해 대형 화물칸을 갖추도록 개조되었으며, 객차 측면에 출입문이 하나만 있는 것이 특징이다.[1][2]
  • '''C 계열''': 1975년에 제작된 3량 편성으로, 주로 통근용으로 사용된다.[1][2]
  • '''D 계열''': 1983년부터 1990년까지 제작되었으며, C 계열과 전두부 디자인이 다르다. 이후 등장하는 E, G, H 계열의 기반 모델이 되었다.[1][2]
  • '''E 계열''': D 계열을 개조한 모델로, 장거리 운행에 적합하도록 좌석 배치가 변경되었다.[1][2]
  • '''G 계열''': D 계열을 개조하여 음료 자판기, 1등석 좌석 등 편의 시설을 강화한 모델이다. 예비크 선에서 운행된다.[1][2]
  • '''H 계열''': D 계열을 개조한 세 번째 모델로, 중앙 좌석 배치 변경 및 조종 차량 장착 등의 특징이 있다.[2]

4. 1. A 계열

NSB 69 A 계열은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제작된 초기 모델이다. 총 15편성이 제작되었으며, 2량 1편성으로 구성되었다. 도입 초기에는 오슬로 외곽 지역인 릴레스트룀역과 스키역 방면 노선에 투입되어 운행을 시작했다. 제작된 15편성 중 현재 12편성이 운행 중이다.

4. 2. B 계열

1974년에 제작된 두 번째 모델이다. 총 17편성이 제작되었으며, 대부분은 객차 2량으로 구성되었으나 2편성에는 중간 객차가 추가되어 3량 편성으로 운행되기도 했다.

일부 편성은 스키나 자전거 수송 수요가 많은 노선을 위해 대형 화물칸을 갖추도록 개조되었다. 이러한 개조 편성은 베르겐과 미르달 구간처럼 스키나 자전거 이용객이 많은 비교적 장거리 노선에 투입되었다.

B 계열의 특징 중 하나는 객차 측면에 출입문이 한 개만 설치된 점이다. 이 구조는 승하차 시간을 다소 늘리는 단점이 있었지만, 대신 더 많은 좌석을 확보할 수 있었다.

4. 3. C 계열

1975년에 제작된 계열이다. 총 14편성이 생산되었으며, 3량 1편성으로 구성된다. 주로 통근용으로 사용되며, 이후 등장한 NSB 69 D 계열과 유사한 용도로 운행된다.

4. 4. D 계열



NSB 69 D 계열의 내부 모습


NSB 69 D 계열은 1983년부터 1990년 사이에 제작된 네 번째 시리즈이다. 이전 모델인 C 계열과는 열차 전두부 디자인이 달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총 39편성이 제작되었으며, 이 중 35편성이 현재 사용 중이다. 주로 오슬로를 중심으로 한 통근 노선에 투입되었다. 1990년에 도입된 일부 편성은 제작 당시부터 3량으로 구성되었다.

D 계열은 이후 장거리 운행이나 특정 노선에 맞게 개조된 E 계열, G 계열, H 계열의 기반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4. 5. E 계열

E 계열은 D 계열을 개조한 열차로, 장거리 운행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인 5인용 좌석 대신 4인용 좌석을 설치하는 등 내부 좌석 배치를 개선하여 승객 편의성을 높였다. 과거에는 예비크 선과 얘렌 선에서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주로 베르겐과 보스 구간에서 운행되고 있다.

4. 6. G 계열

D 계열을 개조한 열차로, 2005년 예비크 선 운행을 위해 도입되었다. 식음료 자판기와 1등석 좌석을 포함하여 기존보다 더 편안한 좌석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갖춰져 있다. 총 9편성이 덴마크에서 개조되어 예비크 선에서 운행 중이다.

예비크 선의 G 계열 열차가 니테달 역에 정차한 모습

4. 7. H 계열

69H는 69D형을 재설계한 세 번째 버전이다. 중앙에 4인용 좌석과 조종 차량이 장착되었다.

5. 기술 사양


  • 중량: 53.5ton–64ton
  • 출력: 1632 마력 (1200kW급 사이리스터 제어 방식 채택)
  • 차축 배열
  • * 2량 편성: Bo'Bo'+2'2'
  • * 3량 편성: Bo'Bo'+2'2'+2'2'
  • 최고 속도: 130km/h (기존 70km/h에서 향상됨)

6. 사고

NSB 69는 운행 중 여러 차례 사고를 겪었으며, 이로 인해 일부 편성이 폐차되거나 운행을 중단했다.


  • 1986년 6월 20일: 54편성(69.054)이 로달렌에서 전소되었다.
  • 1988년 10월 26일: 68편성(69.668)이 El 16 2205 기관차와 충돌하여 폐차(해체)되었다.
  • 1990년 4월 16일: 9편성(69.009)과 28편성(69.628)이 리사케르에서 충돌하여 운행이 중단되었다.
  • 1991년: 14편성(69.014)이 전소되었다.
  • 1992년: 19편성(69.019)이 전소되었다.
  • 1993년: 노르스트란 사고로 인해 68편성(69.068)이 퇴역했다.[3][1]

7. 퇴역

여러가지 이유로 일부 편성이 퇴역하였다. 퇴역한 편성은 01호, ERTMS 시험 열차로 사용되었던 02호, 04호, 06호, 07호, 08호, 09호, 10호, 13호, 15호, 17호, 18호, 20호, 21호, 22호, 23호, 25호, 30호, 31호, 32호, 41호이다.

참조

[1] 서적 Elektrolok i Norge Baneforlaget
[2] 간행물 Go-Ahead Wins Tender Modern Railways 2018-12-01
[3] 서적 Baneforlag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