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B 7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MB 71은 노르웨이의 공항 철도인 가르데르모엔 선에서 운행하는 고속철도 전동차이다. 1992년 오슬로 신공항 건설 결정과 함께 가르데르모엔 선 건설이 결정되면서 1995년 입찰을 통해 ABB가 선정되어 제작되었다. NSB 73 전동차와 기술적, 외관적으로 유사하며 최고 속도 210km/h로 오슬로 중앙역에서 공항까지 20분 안에 주파 가능하다. 2008년부터 4량으로 증결되었으며, 2010년부터 기관사 훈련을 위한 시뮬레이터가 운영되고 있다. 1999년 열차 과속으로 인한 사고, 2000년과 2001년 공차 상태의 탈선 사고 등이 있었으나, 2001년 자동 열차 제어(ATC) 설치 이후 사고 발생은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철도 차량 - NSB 70
NSB 70은 노르웨이 국영 철도가 1990년대 초 도입한 전동차로,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수송을 위해 추가 주문되었으며, 기술적 문제와 지속적인 개선을 거쳐 현재 특정 노선에서 운행 중이고 알루미늄 차체와 중련 운행이 가능하다. - 노르웨이의 철도 차량 - NSB 69
NSB 69는 1960년대 노르웨이 국영 철도가 증가하는 지역 교통 수요에 맞춰 도입한 전동차로, 1970년부터 여러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다양한 계열로 제작되어 최고 속도 130km/h로 운행되었으나, 사고로 일부 폐차 후 현재 일부 노선에서 운행 중이다. - 노르웨이 - NSB El 16
NSB El 16은 노르웨이 국철이 험준한 지형과 악천후에 운행하기 위해 스웨덴 기관차를 개량하여 도입한 전기 기관차로, 뾰족한 차체와 사이리스터 제어 방식, 미끄럼 방지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여객 및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으나, 전력량 부족으로 일부 노선에서 제한되기도 했으며, 현재 운행 정보는 확인되지 않는다. - 노르웨이 - NSB 70
NSB 70은 노르웨이 국영 철도가 1990년대 초 도입한 전동차로,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수송을 위해 추가 주문되었으며, 기술적 문제와 지속적인 개선을 거쳐 현재 특정 노선에서 운행 중이고 알루미늄 차체와 중련 운행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GMB 71 | |
---|---|
기본 정보 | |
![]() | |
운행 시작 | 1998년 |
제작사 | Adtranz Strømmen |
개조 | 2008–2009년 |
후계 차량 | 78급 |
운행 노선 | 가르데르모엔 선 |
차량 정보 | |
편성량수 | 3량 (제작 당시), 4량 (2008-2009년 개조 이후) |
좌석 수 | 168석 |
전체 길이 | 82.3m |
차량 길이 | 선두차: 27.9m, 중간차: 26.32m |
폭 | 3240mm |
높이 | 4350mm |
무게 | 선두차: 52톤, 중간차: 54톤 |
최고 속도 | 210km/h |
출력 | 2645kW |
전기 시스템 | 15 kV }}}}}} |
운행 | |
운영사 | 공항 고속철도 |
노선 | 가르데르모엔 선 |
2. 역사
1992년 노르웨이 의회가 오슬로 신공항 건설을 결정하면서, 오슬로 중앙역에서 공항을 잇는 고속철도 건설도 함께 결정되었다. 이 노선은 NSB의 자회사인 NSB 가르데르모바넨에서 건설 및 운영을 맡게 되었다. 운영을 위해 총 16편성의 전동차가 필요했다.[20]
NSB 73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X2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많은 기술적 및 외관적인 면을 공유한다. 틸팅 기능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20] 최고 속도는 210km/h이며, 15kV 16 2/3Hz 교류 전력을 사용한다. 최대 4편성까지 중련 운행이 가능하며, 대개 단일 또는 2편성으로 운행한다.[20][21] 편성 정원은 247명이며, 총 16편성 도입 가격은 14억노르웨이 크로네이다.[21][22]
1993년 3월 12일, 노르웨이 란스피오르 선에서 X2 시험 운행이 있었다. 1995년 2월 23일, 공항철도용 전동차 입찰이 시작되었으며, ABB, AEG, 피아트, 탈보트, 링케-호프만, 지멘스, 괴를리츠 등이 참여하였다.[21] 1996년에는 쇠를란 선에서 X2 영업 운행이 잠시 진행되기도 했다.
ABB가 최종 낙찰되었고, 1997년 9월 19일 첫 번째 차량이 반입되었다. 1998년 1월 30일에는 마지막 차량이 반입되었는데, 이 차량은 73에 사용된 틸팅 기능을 시험하기 위해 틸팅 기능이 장착된 상태였다. 이후 베르겐 선과 도브레 선에서 시험 운행을 거친 후 틸팅 기능은 제거되었고, 공항철도에 투입되었다.[20]
2007년, 플뤼토게트는 모든 열차를 4량으로 늘리는 증결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편성 정원이 247명으로 증가하여, 연간 승객 수 증가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2008년부터 추가 중간차가 반입되기 시작하여 2009년에 제작이 완료되었다. 중간차 제작은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이 담당하였다.[24] 중간차 생산은 쉽지 않은 작업이었다. 차량 생산 당시 사용했던 부품 중 상당수는 더 이상 생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차체와 정류기 같은 주요 부품은 봄바디어가 중단했던 생산 공정을 다시 가동하여 제작해야 했고, 내장재를 납품했던 제조사 대부분은 이미 폐업한 상태였다.[25]
3. 기술 사양
편성 구성 및 각 차량의 길이와 중량은 다음과 같다.[21]차량 편성 구성 길이 중량 BM/BFM BM-BMX-BMU-BFM 27.9m 52ton BMU BM-BMX-BMU-BFM 26.32m 54ton
제작 과정에서 차량 중량이 증가하여, 장애인 편의 시설이 삭제되고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되었으나, 작동 문제가 있었다.[20] 노르웨이 장애인 단체 연맹은 장애인 편의 장치가 없는 추가 증차를 비판하였다.[23]
3. 1. 디자인 특징
GMB 71 전동차는 NSB 73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X2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NSB 73 전동차와 많은 기술적, 외관적 특징을 공유한다. 스폿 용접된 스테인리스 강 차체를 사용하며, 각 차량에 동력 대차 1개와 무동력 대차 1개가 있어 열차 전체에 모터가 분산되어 있다. 차량은 대차 사이에 문이 있는 구조이며, 터널 통과 시 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밀폐되어 있다. 또한 끝부분에는 유압 커플러가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덮개로 가려진다. 71형은 틸팅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다.[1]
각 열차는 2645kW의 출력을 낸다. 표준 노르웨이 전압인 15 kV 16.7 Hz AC를 사용한다. 최대 4개의 차량을 병결 운전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단독 또는 2량으로만 운행한다. 양쪽 끝 차량의 길이는 27.9m이고 무게는 52ton이며, 가운데 차량의 길이는 26.32m이고 무게는 54ton이다. 팬터그래프는 중간 차량에 위치한다.[2]
건설 과정에서 무게가 149톤에서 170톤으로 증가했다. 이를 158톤으로 줄이기 위해 당초 계획했던 노면 접근 방식 대신 휠체어 리프트를 설치했지만 작동하지 않았다. 문 주변은 승강장과 연결되지만, 열차 내 좌석 공간은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1] 노르웨이 장애인 단체 연맹은 장애인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지 않는 추가 차량을 주문한 것에 대해 비판했다.[4]
71형은 최고 210km/h의 속도로 운행할 수 있으며, 이는 오슬로 중앙역에서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공항까지 2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속도이다. 신호 시스템 ATC-2는 200km/h에 맞춰 구축되어 그 이상으로 적용할 수 없었다. 차량은 철도 작업장에서만 분리할 수 있다.[1]
4. 사고
2000년 6월 17일, 넬라우그역에서 73 전동차 차축 파손으로 탈선 사고가 발생한 다음 날, 71 전동차는 바로 영업을 재개하였다.[27] 2004년 1월 24일에는 베어링 피로로 연기가 발생하여 1편성의 운행이 중단되었고, 이후 모든 편성의 베어링을 교체하였다.[29]
1999년, 예른반베르케트 직원 1명이 열차 과속 충돌 사고로 사망하였다. 플뤼토게 측은 기관사에게 속도 제한을 알리지 않아 벌금을 물었다.[30]
2000년과 2001년에는 공차 상태의 열차가 3회 탈선하였다. 한 번은 기술자가 졸다가 발생했고, 두 번은 정지 신호를 무시하여 발생하였다.[33][34][35][36] 2001년 (ATC) 설치 이후, 이러한 사고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다.[37]
참조
[1]
서적
Elektrolok i Norge
Baneforlaget
[2]
간행물
Flyplasstog til Gardermobanen
[3]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lytoget.[...]
2011-07-13
[4]
웹사이트
Langt igjen til universell utforming
http://www.shdir.no/[...]
2007-06-19
[5]
웹사이트
Flytoget inngår kontrakt med Bombardier Transportation om kjøp av nye mellomvogner
http://www.flytoget.[...]
2009-01-09
[6]
웹사이트
Her er det nye Flytoget
http://www.tu.no/ind[...]
2009-01-14
[7]
웹사이트
210 km/t forbi Oslo lufthavn
http://www.tu.no/mot[...]
2011-01-22
[8]
웹사이트
Utmatting årsak til avsporing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0-06-18
[9]
뉴스
Signatur endelig i drift
http://www.vg.no/nyh[...]
2000-07-13
[10]
뉴스
Må skifte alle hjullagre i Flytogene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5-01-31
[11]
웹사이트
Flytoget bøtelagt etter dødsulykke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1-02-21
[12]
웹사이트
Ulykkesstatisktikk 2002
http://www.sjt.no/Gl[...]
2011-07-13
[13]
웹사이트
- Satt i skinnegangen da toget kom
http://www.vg.no/nyh[...]
2001-01-26
[14]
웹사이트
Fullt tog-kaos på Romerike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07-12-03
[15]
웹사이트
Ulykkesstatisktikk 2000
http://www.sjt.no/no[...]
2011-07-13
[16]
뉴스
Flytoget sporet av
http://www.vg.no/nyh[...]
2001-01-03
[17]
웹사이트
Sovnet - kræsjet flytoget
http://www.vg.no/nyh[...]
2000-06-20
[18]
웹사이트
Flytoget kjørte mot stoppsignal
http://www.vg.no/nyh[...]
2000-06-14
[19]
웹사이트
Ulykkesstatisktikk 2001
http://www.jernbanet[...]
2011-07-13
[20]
서적
Elektrolok i Norge
Baneforlaget
[21]
간행물
[22]
웹인용
http://www.flytoget.[...]
2010-09-07
[23]
웹인용
Langt igjen til universell utforming
http://www.shdir.no/[...]
2007-06-19
[24]
웹인용
http://www.flytoget.[...]
2009-01-09
[25]
웹인용
Her er det nye Flytoget
http://www.tu.no/ind[...]
2009-01-24
[26]
웹인용
http://www.lokmann.n[...]
2010-08-19
[27]
웹인용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8-09-13
[28]
웹인용
http://www.vg.no/nyh[...]
2008-09-13
[29]
웹인용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7-06-30
[30]
웹인용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8-06-30
[31]
웹인용
http://www.jernbanet[...]
2008-06-30
[32]
웹인용
http://www.vg.no/nyh[...]
2008-06-30
[33]
웹인용
http://www.jernbanet[...]
2008-06-30
[34]
웹인용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8-06-30
[35]
웹인용
http://www.vg.no/nyh[...]
2008-06-30
[36]
웹인용
Flytoget kjørte mot stoppsignal
http://www.vg.no/nyh[...]
2008-06-30
[37]
웹인용
Ulykkesstatisktikk 2001
http://www.jernbanet[...]
2008-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