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ver Gone"은 백스트리트 보이즈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5년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Incomplete", "Just Want You to Know", "Crawling Back to You", "I Still..." 등의 싱글을 포함하며, 첫 번째 싱글 "Incomplete"는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13위를 기록했다. 평가는 엇갈리거나 부정적이었으며, 메타크리틱에서 40점을 받았다. 상업적으로는 미국빌보드 200에서 3위로 데뷔하여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일본에서는 2005년 두 번째로 많이 팔린 서양 앨범으로 기록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3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백스트리트 보이즈의 음반 - Backstreet Boys (1997년 음반) 1997년 발매된 백스트리트 보이즈의 음반 《Backstreet Boys》는 지역에 따라 다른 제목으로 발매되어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히트곡들을 배출하고 1990년대 후반 보이 밴드 음악의 부흥을 이끌었다.
백스트리트 보이즈의 음반 - Backstreet's Back 1997년 발매된 백스트리트 보이즈의 두 번째 정규 음반 《Backstreet's Back》은 팝과 팝 록 장르를 아우르며 전 세계적으로 3천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Everybody (Backstreet's Back)" 등의 히트곡을 통해 여러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맥스 마틴이 프로듀싱한 음반 - Overexposed 2012년 발매된 마룬 5의 네 번째 정규 음반 《Overexposed》는 전작의 부진을 극복하고 팝적인 음악적 시도와 다양한 장르 융합을 통해 "One More Night", "Payphone" 등의 히트곡을 내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비평가들에게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맥스 마틴이 프로듀싱한 음반 - Hurts 2B Human 핑크의 2019년 앨범 《Hurts 2B Human》은 팝, 댄스, 컨트리 음악 요소를 결합하고 여러 음악가가 참여하여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하며 상업적 성공과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미국의 팝 음반 - Caution (머라이어 캐리의 음반) 머라이어 캐리가 2018년에 발매한 열다섯 번째 정규 음반인 Caution은 컨템포러리 R&B, 힙합, 팝 음악의 요소를 결합하여 비평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에픽 레코드로 이적 후 처음 발매하는 스튜디오 앨범이다.
미국의 팝 음반 - Emotions (머라이어 캐리의 음반) 머라이어 캐리의 두 번째 정규 음반인 Emotions는 디스코, 가스펠, R&B 장르를 융합하여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으며 "Emotions" 등의 싱글로 상업적 성공과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했다.
Never Gone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Never Gone 음반 커버
아티스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종류
스튜디오 음반
발매일
2005년 6월 14일
녹음 기간
2003년 12월 – 2004년 11월
장르
팝
길이
47분 41초 (일반판), 57분 59초 (일본판)
레이블
자이브
프로듀서
요한 브로르손 닥터 루크 존 필즈 빌리 만 맥스 마틴 댄 무칼라 크리스티안 닐손 존 섐크스 수파플라이어스 마크 테일러 그레그 와튼버그 폴 윌트셔 빅토리아 우 라미
Never Gone 투어는 앨범 발매 직후 시작되었다. 2005년 12월 20일, 백스트리트 보이즈는 DVD ''Never Gone: The Videos''를 발매했는데, 여기에는 비하인드 스토리 영상과 "Incomplete", "Just Want You to Know", "I Still..."의 뮤직 비디오가 포함되었다. DVD에는 "Just Want You to Know"의 연주 오디오와 독일에서 진행된 그들의 다음 투어에 대한 인터뷰를 담은 슬라이드 쇼도 포함되어 있다.
3. 싱글
''Never Gone''에서는 "Incomplete", "Just Want You to Know", "Crawling Back to You", "I Still..."가 싱글로 발매되었다.[1] 첫 싱글 "Incomplete"는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13위를 기록하고 20주 동안 차트에 머무르며 성공을 거두었다.[1] "Just Want You to Know"는 영국과 스페인에서 10위권, 이탈리아, 독일, 아일랜드에서 20위권 안에 들었으며, 다른 대부분의 차트에서도 40위권 안에 진입하며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1]
4. 평가
''Never Gone''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엇갈리거나 부정적이었다.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백스트리트 보이즈가 기존의 팝 스타일에서 벗어나 좀 더 성숙한 어덜트 컨템포러리 사운드로 변화하는 것에 대해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다. 주류 평론가들의 리뷰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점수를 매기는 메타크리틱에서는 이 음반이 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40점을 받았다.[15]
5. 상업적 성과
''Never Gone''은 미국빌보드 200에서 3위로 데뷔하여 첫 주에 293,000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는 2001년 ''The Hits – Chapter One''에 이어 차트에서 5번째 연속으로 10위 안에 든 앨범이다. 2005년 7월 14일, 이 앨범은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미국에서 이상 판매를 기록하여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16]
일본에서는 2005년 두 번째로 많이 팔린 서양 앨범이었으며 2006년 1월까지 이상 판매되었다.[17][18] 또한 11개 국가에서 골드 및 플래티넘 레코드로 인증되었다.
이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이상 판매되었다.[19][20]
6. 차트
2005년 차트
차트
최고 순위
차트
순위
아르헨티나 앨범 (CAPIF)[22]
3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28]
92
브라질 앨범 (ABPD)[23]
7
네덜란드 앨범 (Album Top 100)[29]
78
체코 앨범 (ČNS IFPI)[24]
29
유럽 앨범 (빌보드)[30]
58
유럽 앨범 차트[25]
2
독일 앨범 (Offizielle Top 100)[31]
35
그리스 앨범 (IFPI)[26]
1
이탈리아 앨범 (FIMI)[32]
57
멕시코 앨범 (Top 100 Mexico)[27]
3
스웨덴 앨범 (Sverigetopplistan)[33]
99
스위스 앨범 (Schweizer Hitparade)[34]
22
미국 빌보드 200[35]
98
월드 와이드 앨범 (IFPI)[36]
25
《Never Gone》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순위를 기록했다. 주간 차트에서는 아르헨티나, 유럽, 독일, 그리스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브라질, 캐나다, 네덜란드,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미국 등에서 3위 안에 들었다. 연말 차트에서는 스위스에서 22위, 독일에서 35위, 이탈리아에서 57위, 유럽에서 58위, 미국 빌보드 200에서 98위, 월드 와이드 앨범 차트에서 25위를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