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Threshold of a Drea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n the Threshold of a Dream》은 1969년 4월에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무디 블루스의 5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밴드의 왕성한 창작 활동 시기에 발매되었으며, 멤버들이 앨범의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력하여 곡을 완성했다. 앨범 커버는 사고, 표현, 창의력의 자유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담고 있으며, 밴드는 이 앨범을 통해 영국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이 앨범은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도 성공을 거두었으며, 아폴로 15호의 우주비행사가 달에 가져간 테이프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디 블루스의 음반 - Days of Future Passed
무디 블루스의 1967년 앨범 Days of Future Passed는 록 밴드와 오케스트라의 협연으로 프로그레시브 록의 초기 형태를 제시하고, 하루의 시간 흐름에 따라 구성된 컨셉 앨범으로, 런던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통해 사이키델릭 록과 클래식 음악의 조화를 시도하여, 대표곡 〈Nights in White Satin〉과 함께 영국과 미국에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무디 블루스의 음반 - Octave (음반)
무디 블루스의 복귀 앨범 《Octave》는 멜로트론 대신 신시사이저를 사용하고 실제 스트링을 더하여 이전 작품과 다른 사운드 변화를 시도,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69년 음반 - A Salty Dog
1969년에 발매된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 《A Salty Dog》는 로빈 트로워의 음악적 존재감이 부각되고 블루스, R&B, 심포닉 록 등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보여준 앨범으로, 타이틀곡은 프로그레시브 록 명곡으로 평가받는다. - 1969년 음반 - Led Zeppelin II
레드 제플린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인 Led Zeppelin II는 바쁜 투어 일정 속에서 제작되었으며, "Whole Lotta Love"를 비롯한 강렬하고 실험적인 사운드로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장르에 큰 영향을 미치며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 콘셉트 음반 - In the Wee Small Hours
1955년 프랭크 시나트라가 발표한 《In the Wee Small Hours》는 실연의 아픔과 새벽의 고독을 주제로 한 콘셉트 앨범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자 "성숙한" 보컬 스타일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넬슨 리들의 편곡과 시나트라의 개인적인 경험이 담긴 애절한 감성 표현이 특징이다. - 콘셉트 음반 - The Wall
The Wall은 핑크 플로이드의 록 오페라 앨범으로, 록 스타 핑크의 삶을 통해 버려짐, 폭력, 고립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멤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On the Threshold of a Dream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음반 종류 | 스튜디오 음반 |
아티스트 | 더 무디 블루스 |
발매일 (영국) | 1969년 4월 25일 |
발매일 (미국/캐나다) | 1969년 5월 |
녹음일 | 1969년 1월 12일~31일 |
녹음 장소 | 데카 스튜디오, 런던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
길이 | 36분 59초 |
레이블 | 데람 레코드 |
프로듀서 | 토니 클라크 |
싱글 정보 | |
싱글 제목 | Never Comes the Day |
싱글 발매일 | 1969년 4월 2일 |
차트 순위 | |
영국 | 1위 |
노르웨이 | 12위 |
미국 | 20위 |
이전 음반/다음 음반 | |
이전 음반 | In Search of the Lost Chord |
이전 음반 발매년도 | 1968년 |
다음 음반 | To Our Children's Children's Children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1969년 |
2. 배경
이 앨범은 1969년 1월, 그룹의 첫 북미 투어가 끝난 후 녹음되었다. In Search of the Lost Chord가 발매된 지 9개월 후이자, To Our Children's Children's Children이 발매되기 7개월 전인 1969년 4월에 발매되어, 밴드의 왕성한 창작 활동 시기를 보여준다. 기타리스트 저스틴 헤이워드(Justin Hayward)는 "우리는 60년대에 앞만 보고 이 곡들에 매달리며 고속 열차를 탄 듯했다. 투어를 많이 다니지도 않고, 스튜디오로 돌아가서 앞으로 나아갔다"라고 회상한다.[4]
이 앨범은 1969년 1월, 그룹의 첫 북미 투어를 마치고 녹음되었다.[4] 전작 ''In Search of the Lost Chord'' 발매 9개월 후, 후속작 ''To Our Children's Children's Children'' 발매 7개월 전인 1969년 4월에 발매되어, 밴드의 왕성한 창작 활동 시기를 보여준다. 기타리스트 저스틴 헤이워드는 "우리는 60년대에 앞만 보고 이 곡들에 매달리며 고속 열차를 탄 듯했다. 투어를 많이 다니지도 않고, 스튜디오로 돌아가서 앞으로 나아갔다"라고 회상한다.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On the Threshold of a Dream''은 컨셉 앨범이지만, 이전 앨범인 Days of Future Passed와 In Search of the Lost Chord보다는 느슨한 주제를 담고 있다. 앨범 제목은 꽃의 힘(flower power) 시대 정신과 우드스톡(Woodstock) 자유 연애 시대를 반영하며, 사회가 새로운 의식 시대, 즉 새로운 깨달음의 시기에 접어들었다는 희망을 담고 있다. 이 제목은 마이크 핀더(Mike Pinder)가 그의 친구이자 BBC 진행자인 데이비드 심몬즈(David Symonds)와의 대화에서 만들어졌다. 핀더는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앨범을 만드는 중간 즈음에, 제목을 가지고 논의할 때, '67년을 카프탄을 입고 지나왔을 때를 기억해요. 모두가 거리로 나와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고, 꽃의 힘 같은 것들이 있었죠. 그래서 우리는 '야, 새로운 의식의 문턱에 서 있고, 세상을 보는 새로운 방식이 열리고 있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우리는 그것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마치 '인간의 꿈, 인류의 꿈의 문턱'에 서 있는 것 같았고, 데이브가 '문턱(threshold)'이라고 말했고, 저는 '꿈의(of a dream)'을 생각해냈고, 완벽했어요."[4] 기타리스트 저스틴 헤이워드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우리는 아마도 [우리 스스로를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주 당연한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하려고 했던 것을 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믿어야 했습니다. 그것은 진심에서 우러나온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 우리는 그런 평판을 얻었습니다. 저는 60년대 후반에 많은 다른 사람들을 대변하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저는 간단하게, 깨달음을 찾기 위한 우리의 탐구에 대해 쓰고 싶었습니다. 저는 지금도 그런 일을 하고 있습니다."[5]
베이스 연주자 존 로지(John Lodge (musician)|존 로지])는 밴드의 창작 과정을 회상하며, 각 멤버가 앨범의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를 그룹에 가져오고, 앨범을 제작하면서 함께 곡 작업을 했다고 말한다. 그는 "집단적으로 우리는 모두 같은 주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다른 사람들이었고, 모두 다른 것들을 연주했고, 다르게 소리가 났기 때문에, 주제는 같았지만 모든 곡이 달랐습니다."[6]라고 설명한다. 그는 이어서 "우리가 스튜디오에 들어갔을 때, 우리는 커피 테이블을 가지고 있었어요. 우리는 거기에 앉아서 노래에 대해 이야기하곤 했습니다. 만약 제가 앨범에 넣고 싶은 노래를 썼다면, 그 테이블에 앉아서 다른 멤버들에게 연주해 주었고, 테이블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그 노래에 자신들의 해석을 넣었습니다. 다른 멤버들에게 그 노래를 연주하는 순간, 그것은 정말 무디 블루스(Moody Blues)의 노래가 되었습니다. 여러분은 그 노래를 최고의 수준으로 만들기 위해 그들이 최대한 창의적으로 할 것이라는 믿음을 가졌습니다."[7]라고 덧붙였다.
앨범은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의 철학적 논증인 Cogito, ergo sum에서 영감을 받은 말로 시작하며, 내레이터는 자신의 존재를 의심하고 확인한 다음,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질문한다. 드럼 연주자 그레이엄 엣지(Graeme Edge)가 쓴 이 부분에 대해, 키보드 연주자 마이크 핀더는 앨범의 도입 부분이 그룹 멤버들의 협력적인 노력의 결과였다고 회상한다.[8]
3. 작곡 및 녹음
베이스 연주자 존 로지(John Lodge (musician)|존 로지)는 각 멤버들이 앨범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를 가져와 함께 곡 작업을 했다고 회상한다.[6] 그는 "집단적으로 우리는 모두 같은 주제를 가지고 있었지만, 각자 다른 방식으로 연주하고 표현했기 때문에 곡들은 모두 다르게 들렸다"고 설명한다.[6] 또한, 스튜디오에서 멤버들이 커피 테이블에 둘러앉아 곡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각자의 해석을 더해 무디 블루스만의 곡으로 만들어갔다고 덧붙였다.[7]
앨범의 시작을 알리는 경쾌한 곡 "Lovely to See You"는 따뜻한 가사를 담고 있으며, 이후 그룹 콘서트의 오프닝 곡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존 로지가 작곡한 "Send Me No Wine"은 컨트리 음악 스타일을 반영하며, 엔지니어 바날스는 멜로트론 연주가 페달 스틸 기타와 비슷하다고 언급했다.[10] 마이크 핀더의 "So Deep Within You"는 나중에 Four Tops에 의해 무디 블루스 멤버들의 악기 연주로 녹음되었다.[11]
레이 토마스의 "Lazy Day"는 만족감 속에 세월을 보내는 사람들을 풍자하는 곡으로, "오늘이 양고기여야 해, 소고기는 지난주였으니까"라는 가사는 영국 노동자의 평균 일요일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 묘사된다.[15]
이 음반은 1969년 1월 12일부터 31일까지 프로듀서 토니 클라크와 엔지니어 데릭 바날스와 함께 데카 웨스트 햄스테드 스튜디오의 스튜디오 원에서 녹음되었으며, 스튜디오의 새로 설치된 슐리 8트랙 녹음 장비를 사용했다.[23][24] 음반의 최종 믹싱은 2월 3일과 4일에 완료되었다.[23] 세션은 주로 오후부터 밤늦게까지 진행되었고, 창작팀은 스튜디오 안에 격리되었다.[25]
저스틴 헤이워드는 종교와 환각 경험을 탐구하던 시기에 이 앨범을 통해 음악적 자유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회상한다.[26] 드러머 그레이엄 에지는 'In Search of the Lost Chord'를 녹음하며 얻은 스튜디오 기술 지식과 공연 경험이 결합되어 이 앨범에 더 많은 기악 파트가 포함되었다고 설명한다.[27]
특히 오프닝 곡 "In the Beginning"은 멜로트론의 고주파 및 저주파와 "핑크 노이즈"를 결합하여 "모든 것의 소리이자 아무것도 아닌 소리"를 만들었다.[28] 그레이엄 에지의 광적인 기성 컴퓨터 목소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시계 소리와 멜로트론 내부 메커니즘 소리를 결합하여 기계와 지배를 꿈꾸는 미친 교수의 분위기를 연출했다.[28]
존 로지는 이 앨범을 통해 스튜디오 밴드로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라이브 연주가 아닌 녹음에서 가능한 것을 탐구했다고 회상한다.[29] 토니 클라크는 이 앨범이 미래 컨셉 앨범 녹음의 기준을 세웠다고 덧붙였다.[30]
그레이엄 에지 작의 "도입부"는 오리지널 마스터에서는 3분 이상이었지만, 본작 수록에 따라 리믹스되었다.[45] 녹음 후 밴드는 BBC 프로그램 "톱 기어"와 "더 토니 브랜든 쇼"를 위한 스튜디오 라이브를 진행했다.[49] 이 음원은 리마스터 CD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이후 무디 블루스는 앨범 제목을 기반으로 스레숄드 레코드를 설립했다.[45]
3. 1. In the Beginning (인 더 비기닝)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의 철학적 명제 Cogito, ergo sum(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에서 영감을 받은 곡으로, 내레이터는 자신의 존재를 의심하고 확인한 다음, 그 의미를 질문한다.[8] 드럼 연주자 그레이엄 엣지(Graeme Edge)가 썼으며, 키보드 연주자 마이크 핀더(Mike Pinder)는 앨범 도입부가 그룹 멤버들의 협력적인 노력의 결과였다고 회상한다.[8]
"In the Beginning"은 앨범 게이트폴드 소매에 인쇄된 가사에 "First Man", "Establishment", "Inner Man"의 세 등장인물이 나온다. 저스틴 헤이워드(Justin Hayward)는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다소 당황한 외로운 사람의 역할을 맡았다. 엣지는 조롱하는 기성세대의 인물로, 첫 번째 남자의 존재를 확인하지만, 그의 목적은 기업 기계의 톱니바퀴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첫 번째 남자는 자신의 존재가 그보다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하며, 핀더가 연설한 그의 "Inner Man"으로부터 "침착하라"와 "자유롭게 생각하라"는 격려를 받는다.
3. 2. Dear Diary (디어 다이어리)
"Dear Diary"는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과 소통하지 못하는 소외감을 일기 형식으로 표현한 곡이다. 이 곡은 편지를 부치고 윈도 쇼핑을 하는 일상을 재현하는 평범한 일기장 기록으로 마무리되며, "오늘 누군가가 핵폭탄을 터뜨렸어...하지만 내가 아는 사람은 아니었어"라는 덜컹거리는 묘사가 이어진다.[9] 엔지니어 데릭 바날스(Derek Varnals)는 레코딩 중에 토마스가 마지막 내레이션을 즉흥적으로 연기했음을 기억한다. 앨범을 믹싱할 때, 바날스는 최대 효과를 위해 트랙을 적절한 순간에 페이드 아웃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 그는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네, 우리는 그 부분이 재치 있고 꽤 재미있었기 때문에 유지하고 싶었습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페이드 아웃의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너무 크게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페이드의 일부여야 했고, 우리가 제대로 했다고 생각합니다."[9]
3. 3. Never Comes the Day (네버 컴즈 더 데이)
저스틴 헤이워드가 작곡한 곡으로, 이루지 못한 사랑에 대한 안타까움을 노래한다. 헤이워드는 당시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를 찾기 위해 노력했던 경험이 이 곡에 영향을 주었다고 회상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 인생에서 꽤 어려운 시기였어요. 그때 저처럼 어린 사람에게는 정말 고통스러운 상황이었죠. 저는 제 자신의 삶, 제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무엇이 이상한지, 어디에서 살고 있는지, 그룹 멤버들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에 대해 확신이 없었어요. 저는 모든 것을 의심했고, 동시에 당시의 철학을 실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사람들이 글을 쓰고 있던 강력한 철학적 길과 노선의 시대였고, 일종의 깨달음을 추구하는 시대였습니다."[12]
이 곡의 애절한 분위기는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라는 권고와 함께 절정에 달한다. 헤이워드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저는 더 행복하고 낙관적인 무언가로 발전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그것은 제게 자연스럽게 다가왔죠. 저는 노래의 다이내믹스를 좋아합니다. 밝음과 어둠, 조용하게 시작해서 크게 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13]
이 곡은 오픈 G 튜닝을 사용하는데, 헤이워드는 리치 하벤스와 함께 투어하면서 배웠다고 기억한다. 그는 "저는 초기에 코드, 오픈 튜닝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오픈 C 튜닝의 큰 곡인 'Question'과 오픈 G 튜닝의 'Never Comes a Day'가 그렇죠. 우리는 리치 하벤스와 몇 번 함께 연주했는데, 그는 그의 멋지고 좋은 옛 기타로 무대 뒤에서 몇 가지 튜닝을 보여주었습니다."라고 말했다.[14]
3. 4. Are You Sitting Comfortably? (아 유 시팅 컴포터블리?)
Are You Sitting Comfortably|아 유 시팅 컴포터블리?영어는 저스틴 헤이워드가 작곡한 곡으로, 중세 음유시인을 연상시키는 가사가 특징이다.[16] 손가락으로 뜯는 기타 연주와 "수정 바다의 황금 갤리온 함대", "카멜롯의 영광스러운 날들"과 같은 생생한 이미지를 사용하고, 멀린이 잠의 마법을 거는 내용 등을 묘사한다.[17] 이 곡의 첫 소절은 인기 어린이 프로그램 ''Listen with Mother''에서 따왔다.[17]
헤이워드는 이 곡에 대해 "이야기하기, 하지만 약간의 사이키델릭 스토리로 승화된 것"이라고 설명했다.[16] 이 곡은 세션 마지막 부분에 쓰였으며, "The Dream"을 제외하고 앨범을 위해 녹음된 마지막 트랙이었다. 헤이워드는 기타 리프와 코드 시퀀스, 첫 소절과 제목은 이미 가지고 있었고, 레이 토마스가 가사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회상했다.[18]
3. 5. Have You Heard (해브 유 허드)
〈Have You Heard〉는 19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초기 버전이 밴드의 라이브 세트에 등장했었다.[20] 이 곡의 가사는 앨범의 깨달음이라는 주제를 반복한다. 이 곡은 멜로트론으로 제작된 오케스트라 현으로 시작하여 피아노로 반복되는 멜로디와 함께 절정에 달하고 첼로가 〈Have You Heard〉의 반복으로 전환되는 기악곡인 〈The Voyage〉의 앞뒤를 감싸고 있다. 바날스는 〈The Voyage〉의 도입부가 앨범 세션 몇 달 전에 개봉된 ''2001: A Space Odyssey''에 사용된 ''Also sprach Zarathustra''의 영향을 받았다고 기억한다. 이 트랙은 3일 동안 녹음되었으며, 마이크 핀더는 멜로트론에서 주로 혼자 작업하고, 그룹이 연주한 오버더빙된 첼로, 피아노 및 기타 악기가 사용되었다.[21]
〈Have You Heard〉의 반복 부분의 마지막에서, 앨범은 앨범을 여는 전자음으로 끝을 맺는다. 멜로트론으로 제작된 이 소리는 앨범의 동심원 홈으로 지속적으로 재생되어 레코드 플레이어의 톤암이 들어 올려질 때까지 계속 재생된다.[22]
마이크 핀더 작의 〈해브 유 허드〉는 1969년 1월 18일에 하나의 곡으로 녹음되었지만, 최종적으로 역시 핀더가 작곡한 〈항해〉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파트로 나뉘었다.[45]
4. 앨범 커버
전작과 마찬가지로 앨범 커버는 필 트래버스(Phil Travers)가 디자인했다. 이 앨범은 처음으로 게이트폴드 슬리브를 사용하여 앨범 아트워크에 더 큰 캔버스를 제공했으며, 밴드는 이후 여러 앨범에서도 이 방식을 반복했다. 플루티스트 레이 토마스는 추가 비용에 대해 음반사 데카(Decca)와 협상했던 것을 기억하며, "그들은 앨범당 슬리브 비용이 2펜스 증가하는 것을 우려했습니다. 우리는 처음에 제작 책임자로부터 앨범이 우리가 말한 것처럼 좋다면 갈색 종이 봉투에 넣을 수도 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결국, 많은 항의 끝에 우리는 우리의 뜻을 관철시킬 수 있었습니다."라고 회상했다.[31] 추가 공간을 통해 처음으로 앨범 가사와 작곡가 라이오넬 바트의 에세이를 포함할 수 있었다.[32]
커버 이미지는 "사고, 표현, 창의력의 자유를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생명체를 움켜쥐고 꽉 쥐고 있는 금속 로봇 형태의 존재"[33]를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 핀더(Mike Pinder)는 "Are You Sitting Comfortably"의 가사에서 영감을 얻은 멀린이 마법을 걸고, 카멜롯, 수정 바다에 떠 있는 황금 갤리선 함대의 이미지라고 설명했다.[34] 베이시스트 존 로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그래픽 아티스트 필 트래버스를 스튜디오에 불러 각 트랙이 완성될 때마다 듣게 했습니다. 또한 그에게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도록 가사를 전달했습니다. 그런 다음 필은 다양한 러프 슬리브 디자인을 스케치했고, 우리 모두 커피 테이블에 둘러앉아 원하는 것을 논의했습니다. 우리 모두는 음악과 앨범 슬리브 디자인이 하나의 특별한 패키지의 일부가 되어야 하고 올바르게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35]
5. 발매 및 반응
《On the Threshold of a Dream》은 1969년 4월 25일 영국에서[53], 5월 30일 미국에서 발매되었다.[54] 무디 블루스의 첫 영국 앨범 차트 1위 음반이며,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20위권에 진입하여 미국 시장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빌보드 200 차트에 2년 반 이상 머무르며, 이 그룹의 대표적인 음반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 앨범은 아폴로 15호 우주비행사 알프레드 워덴이 To Our Children's Children's Children과 함께 달에 가져간 테이프 중 하나였다.[55]
2006년 3월, SACD 형식으로 리마스터되어 9개의 추가 트랙과 함께 재발매되었다. 2008년에는 일반 CD로도 같은 보너스 트랙을 포함하여 리마스터 버전이 나왔다.
5. 1. 대한민국에서의 반응
On the Threshold of a Dream영어의 수록곡들은 1970년대 중후반, 최경식, 김광한, 박원웅 등 유명 DJ들이 진행하는 FM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자주 소개되었다. 특히, 'The Dream', 'Have You Heard', 'The Voyage' 등이 전파를 타면서 한국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46]6. 곡 목록
《On the Threshold of a Dream》 음반의 곡 목록은 다음과 같다.
Side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리드 보컬 |
---|---|---|---|---|
One | "In the Beginning" | 그레임 에지 | 2:08 | 헤이워드, 핀더, 에지 (내레이션) |
"Lovely to See You" | 저스틴 헤이워드 | 2:35 | 헤이워드 | |
"Dear Diary" | 레이 토머스 | 3:56 | 토머스 | |
"Send Me No Wine" | 존 로지 | 2:20 | 헤이워드, 로지, 토머스, 핀더 | |
"To Share Our Love" | 존 로지 | 2:54 | 핀더, 로지 | |
"So Deep Within You" | 마이크 핀더 | 3:07 | 핀더 | |
Two | Never Comes the Day | 저스틴 헤이워드 | 4:43 | 헤이워드 |
Lazy Day | 레이 토머스 | 2:43 | 토머스, 헤이워드 | |
Are You Sitting Comfortably? | 저스틴 헤이워드, 레이 토머스 | 3:29 | 헤이워드 | |
The Dream | 그레임 에지 | 0:57 | 마이크 핀더 (내레이션) | |
Have You Heard (Part 1) | 마이크 핀더 | 1:30 | 핀더 | |
The Voyage | 마이크 핀더 | 3:58 | 기악 | |
Have You Heard (Part 2) | 마이크 핀더 | 2:32 | 핀더 |
6. 1. Side One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리드 보컬 |
---|---|---|---|
"In the Beginning" | 그레임 에지 | 2:08 | 헤이워드, 핀더, 에지 (내레이션) |
"Lovely to See You" | 저스틴 헤이워드 | 2:35 | 헤이워드 |
"Dear Diary" | 레이 토머스 | 3:56 | 토머스 |
"Send Me No Wine" | 존 로지 | 2:20 | 헤이워드, 로지, 토머스, 핀더 |
"To Share Our Love" | 존 로지 | 2:54 | 핀더, 로지 |
"So Deep Within You" | 마이크 핀더 | 3:07 | 핀더 |
6. 2. Side Two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리드 보컬 |
---|---|---|---|
Never Comes the Day | 저스틴 헤이워드 | 4:43 | 헤이워드 |
Lazy Day | 레이 토머스 | 2:43 | 토머스, 헤이워드 |
Are You Sitting Comfortably? | 헤이워드, 토머스 | 3:29 | 헤이워드 |
The Dream | 그레임 에지 | 0:57 | 마이크 핀더 (내레이션) |
Have You Heard (Part 1) | 핀더 | 1:30 | 핀더 |
The Voyage | 핀더 | 3:58 | 기악 |
Have You Heard (Part 2) | 핀더 | 2:32 | 핀더 |
7. 참여 뮤지션
- 저스틴 헤이워드 - 보컬, 기타, 첼로, 멜로트론[41]
- 존 로지 - 보컬, 베이스, 첼로, 더블 베이스
- 레이 토마스 - 보컬, 하모니카, 플루트, 탬버린, 오보에, 피콜로, EMS VCS 3
- 그레이엄 에지 - 드럼, 타악기, 보컬, EMS VCS 3
- 마이크 핀더 - 보컬, 멜로트론, 해먼드 오르간, 피아노, 어쿠스틱 기타, 첼로
- 피트 잭슨 – 트라이앵글
- 토니 클라크 – 프로듀서
- 데릭 바날스 – 녹음 엔지니어
- 애드리안 마틴스 – 보조 엔지니어
- 필 트래버스 – 커버 그림
- 데이비드 웨지버리 – 내지 앞면 사진
- 테렌스 이보트 – 내지 뒷면 사진
- 라이오넬 바트, 데이비드 심스 – 슬리브 노트[42]
참조
[1]
웹사이트
Moody Blues
https://www.official[...]
2024-01-26
[2]
간행물
Hayward on Threshold
2003-08-29
[3]
웹사이트
Justin Hayward on His New Solo Album and Possible New Music from the Moody Blues
https://ultimateclas[...]
2013-02-28
[4]
간행물
Pinder on Threshold
2002-10
[5]
웹사이트
Moody Blues Interview
https://www.paulduno[...]
The Word
2006-04
[6]
웹사이트
'The Moody Blues | John Lodge | Interview by Zach White'
https://www.psychede[...]
2023-10-23
[7]
웹사이트
Interview – John Lodge of the Moody Blues
https://crypticrock.[...]
2018-09-19
[8]
문서
Thinking Is (Still) the Best Way to Travel
2000
[9]
간행물
The Making of 'On the Threshold of a Dream'
[10]
간행물
The Making of 'On the Threshold of a Dream'
[11]
웹사이트
"The Day the Moody Blues Jammed with the Four Tops"
https://www.denofgee[...]
2020-04-13
[12]
웹사이트
“Justin Hayward of the Moody Blues on His Days of Future Passed (and Present).”
https://rockcellarma[...]
2013-04-02
[13]
웹사이트
“Justin Hayward of the Moody Blues on His Days of Future Passed (and Present).”
https://rockcellarma[...]
2013-04-02
[14]
웹사이트
The Moody Blues’ Justin Hayward Talks New Record and Lost Chords
https://www.denofgee[...]
2020-04-17
[15]
문서
Liner notes essay
2006
[16]
웹사이트
“Justin Hayward of the Moody Blues on His Days of Future Passed (and Present).”
https://rockcellarma[...]
2013-04-02
[17]
웹사이트
'Justin Hayward of the Moody Blues on His Days of Future Passed (and Present) '
http://www.rockcella[...]
2016-09-28
[18]
간행물
The Making of 'On the Threshold of a Dream'
[19]
웹사이트
The Moody Blues Broke through with ‘on the Threshold of a Dream.’
https://ultimateclas[...]
2015-04-25
[20]
문서
Liner notes essay
2006
[21]
간행물
The Making of 'On the Threshold of a Dream'
[22]
웹사이트
The Moody Blues Album Covers by Phil Travers
https://musicaficion[...]
2020-11-18
[23]
문서
Liner notes essay
2006
[24]
간행물
The Making of 'On the Threshold of a Dream'
[25]
간행물
The Making of 'On the Threshold of a Dream'
[26]
간행물
Hayward on Threshold
2003-08-29
[27]
문서
Liner notes essay
2006
[28]
간행물
The Making of 'On the Threshold of a Dream'
[29]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John Lodge of the Moody Blues
https://vwmusicrocks[...]
2022-01-14
[30]
간행물
The Making of 'On the Threshold of a Dream'
[31]
문서
Liner notes essay
2006
[32]
문서
Liner notes essay
2006
[33]
문서
Thinking Is (Still) the Best Way to Travel
2000
[34]
웹사이트
The Moody Blues Album Covers by Phil Travers
https://musicaficion[...]
2020-11-18
[35]
문서
Liner notes essay
2006
[36]
AllMusic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37]
뉴스
Consumer Guide (4)
http://www.robertchr[...]
2012-07-29
[38]
웹사이트
Moody Blues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officialc[...]
2016-06-12
[39]
간행물
The Moody Blues – Chart History | Billboard
http://www.billboard[...]
2016-06-12
[40]
웹사이트
Al Worden's Apollo 15 Flown Music Cassette Tapes
https://historical.h[...]
[41]
웹사이트
Justin Hayward of the Moody Blues on His Days of Future Passed (and Present) |
http://www.rockcella[...]
2016-09-28
[42]
문서
Threshold of a Dream
http://albumlinernot[...]
Albumlinernotes
2024-02-14
[43]
서적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Kustannusosakeyhtiö Otava
[44]
웹사이트
Le Détail des Albums de chaque Artiste – M
http://www.infodisc.[...]
2012-06-09
[45]
문서
日本盤リマスターCD(UICY-20048)ライナーノーツ(マーク・パウエル/翻訳:三角和代)
[46]
웹사이트
MOODY BLUES | Artist | Official Charts
http://www.officialc[...]
[47]
웹사이트
norwegiancharts.com - The Moody Blues - On The Threshold Of A Dream
http://norwegianchar[...]
[48]
웹사이트
The Moody Blues - Awards : AllMusic
http://www.allmusic.[...]
[49]
웹사이트
Moody Blues, The - On The Threshold Of A Dream (CD, Album) at Discogs
http://www.discogs.c[...]
[50]
웹사이트
RIAA公式サイト内SEARCHABLE DATABASE
http://www.riaa.com/[...]
[51]
AllMusic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52]
뉴스
Consumer Guide (4)
http://www.robertchr[...]
2012-07-29
[53]
웹인용
Moody Blues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officialc[...]
2016-06-12
[54]
웹인용
The Moody Blues – Chart History | Billboard
http://www.billboard[...]
2016-06-12
[55]
웹인용
Al Worden's Apollo 15 Flown Music Cassette Tapes
https://historical.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