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ect Machin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erfect Machine》은 빌 라스웰이 프로듀싱하고, 부치 콜린스, 리로이 "슈가풋" 보너, 그랜드 믹서 DXT 등 펑크 뮤지션들이 참여한 허비 행콕의 앨범이다. 이 앨범은 1980년대 허비 행콕의 "로킷" 시대를 마무리하는 작품으로, 컬럼비아 레코드의 상업적 요구로 창조성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해 빌보드 200 차트에는 진입하지 못했고, 올뮤직에서는 5점 만점에 2.5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비 행콕의 음반 - Maiden Voyage
Maiden Voyage는 허비 행콕이 1965년에 발표한 앨범으로, 프레디 허바드, 조지 콜먼, 론 카터, 토니 윌리엄스와 함께 녹음되었으며, 평론가와 대중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아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고 "Maiden Voyage", "The Eye of the Hurricane", "Dolphin Dance" 등의 곡들이 재즈 스탠다드로 자리 잡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 허비 행콕의 음반 - Head Hunters
1973년 허비 행콕이 발표한 Head Hunters는 재즈 펑크와 퓨전 사운드로 그의 음악 스타일 변화와 상업적 성공을 보여주며 "Chameleon"과 "Watermelon Man" 같은 대표곡으로 재즈, 펑크, 솔 팬들에게 영향을 주고 백만 장 이상 판매,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에 포함되는 등 음악사적으로 중요한 앨범이다. - 1988년 음반 - Rattle and Hum
《Rattle and Hum》은 U2의 1987년 조슈아 트리 투어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 사운드트랙이자 라이브 앨범으로, 라이브 공연과 새로운 스튜디오 녹음을 통해 비틀즈, 밥 딜런, B.B. 킹 등 여러 아티스트의 곡을 재해석하며 미국 뿌리 음악에 대한 밴드의 탐구와 음악적 전환점을 보여준다. - 1988년 음반 -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퍼블릭 에너미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인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은 더 밤 스쿼드의 혁신적인 프로듀싱, 척 D의 사회 비판적인 가사, 플래버 플래브의 독특한 스타일이 결합되어 힙합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앨범으로,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 Perfect Machin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아티스트 | 허비 행콕 |
| 발매일 | 1988년 5월 15일 |
| 녹음 | 1988년 |
| 스튜디오 | Garage Sale, 로스앤젤레스 OAO Studios, 뉴욕 Quad Studios, 뉴욕 RPM Studios, 뉴욕 |
| 장르 | 일렉트로-펑크 |
| 길이 | 36분 10초 |
| 레이블 | 컬럼비아 레코드 |
| 프로듀서 | 허비 행콕 빌 라스웰 |
| 이전 앨범 | 재즈 아프리카 |
| 이전 앨범 발매일 | 1987년 |
| 다음 앨범 | 마일스 데이비스 트리뷰트 |
| 다음 앨범 발매일 | 1994년 |
| 평가 | |
| 로버트 크리스트가우 | C+ |
2. 배경
이 음반은 빌 라스웰과 함께 프로듀싱되었으며[1], 펑크 계열의 뮤지션인 부치 콜린스, 오하이오 플레이어스의 리로이 "슈가풋" 보너, 그리고 그랜드 믹서 DXT가 참여했다.[1][5] 이 앨범은 허비 행콕의 1980년대 "Rockit"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작품이다.[1] 올뮤직(AllMusic)의 리처드 S. 기넬은 이 앨범을 "대부분 쿵쿵거리는 펑크에 젖은 테크노 팝"이라고 평가했다.[1] 허비 행콕은 후일 이 앨범이 컬럼비아 레코드의 상업적인 요구 때문에 창조성이 부족했다고 회고했다.[6] 그는 이 앨범을 마지막으로 1973년부터 소속되어 있던 컬럼비아 레코드를 떠났다.[7]
판매량 면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미국에서는 종합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 진입하지 못했고, 빌보드 R&B 음반 차트에서는 최고 65위에 머물렀다.[12][1] 올뮤직의 리처드 S. 지넬(Richard S. Ginell)은 5점 만점에 2.5점을 부여하며, 이 음반을 "대부분은 쿵쿵거리는 펑크 색채가 강한 테크노팝이지만, 약간의 기세도 있다"고 평가했다.[9][1]
모든 곡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부치 콜린스, 리로이 "슈가풋" 보너가 작곡했다.
3. 반응 및 평가
4. 곡 목록
4. 1. 오리지널 앨범
모든 곡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루치 콜린스 그리고 리로이 "슈가풋" 보너가 작곡했다.
| # | 제목 | 작곡가 | 재생 시간 |
|---|---|---|---|
| 1 | Perfect Machine |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니키 스코펠리티스 | 6:35 |
| 2 | Obsession |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루치 콜린스, 리로이 "슈가풋" 보너 | 5:20 |
| 3 | Vibe Alive |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루치 콜린스, 리로이 "슈가풋" 보너, 마이코 웨이브 | 5:26 |
| 4 | Beat Wise |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루치 콜린스, 리로이 "슈가풋" 보너 | 5:52 |
| 5 | Maiden Voyage/P. Bop |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루치 콜린스, 리로이 "슈가풋" 보너 | 6:34 |
| 6 | Chemical Residue | 허비 행콕 | 6:01 |
| 7 | Vibe Alive |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루치 콜린스, 리로이 "슈가풋" 보너 | 8:13 |
| 8 | Beat Wise | 허비 행콕, 빌 라스웰, 루치 콜린스, 리로이 "슈가풋" 보너 | 6:28 |
4. 2. 리마스터 CD 보너스 트랙
5. 참여진
''Perfect Machine'' 앨범 제작에 참여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5. 1. 음악가
- 허비 행콕 – 피아노, 페어라이트 CMI 시리즈 I & II, ARP 크로마, 매킨토시 플러스, 야마하 DX1, 야마하 DX7, Kurzweil K250, 야마하 TX816, 오버하임 매트릭스 신시사이저, Akai S900, 보코더, 신시사이저, 키보드
- 제프 보바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
- 피트 스터지 –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 키보드, 샘플 및 편집
- 부츠 콜린스 – 베이스 기타, 보코더
- 마이코 웨이브 – 미니무그 베이스, 토크 박스, 보코더, 일렉트릭 베이스
- 니키 스코펠리티스 – 페어라이트 드럼, 드럼 머신
- 그랜드 믹서 DXT – 턴테이블, 음향 효과, 턴테이블리즘
- 르로이 "슈가풋" 보너 – 보컬
5. 2. 제작진
'''음악가'''- 허비 행콕 – 피아노, 페어라이트 CMI, ARP 크로마, 매킨토시 플러스, 야마하 DX1, 야마하 DX7, Kurzweil K250, 야마하 TX816, 오버하임 매트릭스 신시사이저, Akai S900, 보코더
- 제프 보바, 피트 스터지 – 신스 프로그래밍
- 부츠 콜린스 – 베이스 기타, 보코더
- 마이코 웨이브 – 미니무그 베이스, 토크 박스, 보코더
- 피트 스터지 – 키보드, 샘플 및 편집
- 니키 스코펠리티스 – 페어라이트 드럼
- 그랜드 믹서 DXT – 턴테이블, 음향 효과
- 르로이 "슈가풋" 보너 – 보컬
'''제작'''
참조
[1]
웹사이트
Perfect Machine
http://www.allmusic.[...]
2011-07-18
[2]
웹사이트
Consumer Guide Reviews
http://www.robertchr[...]
2018-06-23
[3]
서적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Penguin Books
[4]
문서
CD英文ブックレット内クレジット
[5]
웹사이트
Perfect Machine - Herbie Hancock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1-11-07
[6]
웹사이트
Hancock's New Album In Jazz Top 10
https://www.spokesma[...]
The Spokesman
1995-06-24
[7]
웹사이트
Herbie Hancock Biography, Songs & Album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1-11-07
[8]
웹사이트
Herbie Hancock - Award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1-11-07
[9]
웹인용
Perfect Machine
http://www.allmusic.[...]
2011-07-18
[10]
웹인용
Consumer Guide Reviews
http://www.robertchr[...]
2018-06-23
[11]
서적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Penguin Books
[12]
웹인용
Herbie Hancock - Award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1-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