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TS-12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S-124는 2008년 5월 31일부터 2008년 6월 14일까지 진행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의 임무이다. 7명의 우주 비행사(사령관 마크 켈리, 조종사 케네스 햄, 임무 전문가 카렌 니버그, 로널드 J. 가란 주니어, 마이클 E. 포섬, 호시데 아키히코, 국제 우주 정거장 비행 엔지니어 그레고리 샤미토프)가 참여했으며,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일본 실험 모듈인 키보의 가압 모듈을 운송하여 하모니 모듈에 결합하는 것을 주 임무로 했다. 임무 중 3번의 선외 활동(EVA)이 진행되었으며, 154번째 NASA의 유인 우주 비행이자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의 35번째 비행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재진입한 우주선 - 선저우 7호
    선저우 7호는 2008년 중국의 유인 우주 임무로, 3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하여 최초로 우주 유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소형 위성 반싱을 방출한 후 귀환 모듈이 내몽골 자치구에 착륙하며 임무를 종료했다.
  • 2008년 재진입한 우주선 - 쥘 베른 ATV
    쥘 베른 ATV는 유럽 우주국의 자동화 보급 수단으로, 2008년 국제 우주 정거장에 발사되어 화물 보급 및 궤도 수정 임무를 수행한 후 대기권에서 파괴되었다.
  • 2008년 우주 개발 - 이소연 (공학자)
    이소연은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2008년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이 되었으며,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임무를 수행한 후 연구원 활동, MBA 유학, 강연 및 과학 감수 활동을 했다.
  • 2008년 우주 개발 - 찬드라얀 1호
    찬드라얀 1호는 인도의 첫 번째 달 탐사선으로, 달 표면의 고해상도 3차원 지도 및 화학 원소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312일간 임무를 수행하며 달 표면에서 물 분자를 발견하는 등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통신 두절로 임무가 종료되었다.
  • 2008년 발사한 우주선 - 선저우 7호
    선저우 7호는 2008년 중국의 유인 우주 임무로, 3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하여 최초로 우주 유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소형 위성 반싱을 방출한 후 귀환 모듈이 내몽골 자치구에 착륙하며 임무를 종료했다.
  • 2008년 발사한 우주선 - 찬드라얀 1호
    찬드라얀 1호는 인도의 첫 번째 달 탐사선으로, 달 표면의 고해상도 3차원 지도 및 화학 원소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312일간 임무를 수행하며 달 표면에서 물 분자를 발견하는 등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통신 두절로 임무가 종료되었다.
STS-124
미션 정보
명칭우주 수송 시스템-124
STS-124 패치
STS-124 미션 패치
우주선OV-103
미션 유형ISS 조립
운영 기관NASA
COSPAR ID2008-027A
SATCAT32960
완료 궤도 수217
이동 거리9,230,622.6 킬로미터
미션 기간13일, 18시간, 13분 7초
발사 질량122,075 킬로그램
착륙 질량92,228 킬로그램
탑재 질량17,530 킬로그램
발사 정보
발사 장소케네디 우주 센터 LC-39A
발사 날짜2008년 5월 31일, 21:02:12 UTC
착륙 정보
착륙 날짜2008년 6월 14일, 15:15:19 UTC
착륙 장소케네디, SLF 활주로 15
승무원 정보
승무원 수7
승무원마크 E. 켈리
케네스 T. 햄
캐런 L. 나이버그
로널드 J. 가란 주니어
마이클 E. 포섬
호시데 아키히코
발사 승무원그레고리 E. 차미토프
착륙 승무원개릿 E. 라이즈먼
STS-124 승무원
왼쪽부터 차미토프, 포섬, 햄, 켈리, 나이버그, 가란, 호시데
도킹 정보
도킹 대상ISS
도킹 종류도킹
도킹 포트PMA-2 (Harmony forward)
도킹 날짜2008년 6월 2일, 18:03 UTC
언도킹 날짜2008년 6월 11일, 11:42 UTC
도킹 시간8일, 17시간, 39분
궤도 정보
궤도해당 없음
궤도 기준지구 중심
궤도 영역낮은 지구 궤도
궤도 원지점328 킬로미터
궤도 근지점307 킬로미터
궤도 주기91분
궤도 경사51.6도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이전 미션STS-123
다음 미션STS-126
키보 모듈 정보
키보
키보 모듈

2. 승무원

STS-124 임무에는 총 7명의 우주비행사가 참여했다.[7] 사령관은 마크 켈리(미국)로, 세 번째 우주 비행이었다. 조종사는 케네스 햄(미국)이 맡았으며, 이번이 그의 첫 번째 비행이었다. 임무 전문가 1은 카렌 니버그(미국)로, 그녀의 첫 번째 비행이었다. 임무 전문가 2(비행 엔지니어)는 로널드 J. 가란 주니어(미국)가 맡았고, 그 역시 첫 번째 비행이었다. 임무 전문가 3은 마이클 E. 포섬(미국)으로, 두 번째 비행이었다. 임무 전문가 4는 호시데 아키히코(일본, JAXA)로, 그의 첫 번째 비행이었다.[5]

ISS 비행 엔지니어로는 그레고리 샤미토프(미국)가 합류하여 제17차 원정에 참여했고, 개릿 라이즈먼(미국)은 제17차 원정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했다. 두 사람 모두 첫 번째 비행이었다.[5]

마크 켈리는 이번 임무에 대해 "정말 재능 있는 사람들"로 구성된 승무원과 함께하게 되어 행운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파일럿 켄 햄의 오비터 지식, 이전 비행에서 세 번의 우주 유영을 했던 마이크 포섬의 EVA 수행 능력, 모든 로봇 팔 조작을 책임지는 카렌 나이베르그의 역량, 세 번의 우주 유영을 할 예정인 론 가란의 훈련 성과, 그리고 일본 실험실을 책임지는 호시데 아키히코의 헌신을 높이 평가했다.[7]

150px

좌석 1~4는 비행 갑판, 좌석 5~7은 중간 갑판에 위치한다.[12]

좌석[12]발사착륙
1켈리
2
3니버그
4가란
5포섬
6호시데
7차미토프라이스만



그레고리 차미토프는 최초로 베이글 3봉지(18개의 참깨 몬트리올 스타일 베이글)를 우주로 가져갔다.[8][9]

스티븐 G. 보웬은 원래 STS-124에 배정되었으나, ISS 승무원을 교대하기 위해 STS-126으로 이동했다.[6] 보웬은 포섬과 함께 비행 중 우주 유영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가란이 그의 자리를 대신하여 우주 유영을 수행했다.

2. 1. 승무원 구성

STS-124 임무에는 총 7명의 우주비행사가 참여했다.[7] 사령관은 마크 켈리(미국)로, 세 번째 우주 비행이었다. 조종사는 케네스 햄(미국)이 맡았으며, 이번이 그의 첫 번째 비행이었다. 임무 전문가 1은 카렌 니버그(미국)로, 그녀의 첫 번째 비행이었다. 임무 전문가 2(비행 엔지니어)는 로널드 J. 가란 주니어(미국)가 맡았고, 그 역시 첫 번째 비행이었다. 임무 전문가 3은 마이클 E. 포섬(미국)으로, 두 번째 비행이었다. 임무 전문가 4는 호시데 아키히코(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로, 그의 첫 번째 비행이었다.[5]

국제우주정거장(ISS) 비행 엔지니어로는 그레고리 샤미토프(미국)가 합류하여 제17차 원정에 참여했고, 개릿 라이즈먼(미국)은 제17차 원정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했다. 두 사람 모두 첫 번째 비행이었다.[5]

마크 켈리는 이번 임무에 대해 "정말 재능 있는 사람들"로 구성된 승무원과 함께하게 되어 행운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파일럿 켄 햄의 오비터 지식, 이전 비행에서 세 번의 우주 유영을 했던 마이크 포섬의 EVA 수행 능력, 모든 로봇 팔 조작을 책임지는 카렌 나이베르그의 역량, 세 번의 우주 유영을 할 예정인 론 가란의 훈련 성과, 그리고 일본 실험실을 책임지는 호시데 아키히코의 헌신을 높이 평가했다.[7]

좌석 1~4는 비행 갑판, 좌석 5~7은 중간 갑판에 위치한다.[12]

좌석[12]발사착륙
1켈리
2
3니버그
4가란
5포섬
6호시데
7차미토프라이스만



그레고리 차미토프는 최초로 베이글 3봉지(18개의 참깨 몬트리올 스타일 베이글)를 우주로 가져갔다.[8][9]

2. 2. 승무원 관련 특이사항

스티븐 G. 보웬은 원래 STS-124에 배정되었으나, 국제 우주 정거장(ISS) 승무원을 교대하기 위해 STS-126으로 이동했다.[6] 보웬은 포섬과 함께 비행 중 우주 유영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가란이 그의 자리를 대신하여 우주 유영을 수행했다.

3. 임무 개요

STS-124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일본 실험 모듈(JEM)의 가압 모듈(PM)인 ''키보''를 전달하여 하모니 모듈에 결합하는 것이 주된 임무였다.[10] STS-123 승무원이 가져온 JEM 실험 물류 모듈의 가압 부분은 ''하모니''에서 JEM-PM으로 이동했다. 일본 우주 로봇 팔(JEM RMS)도 STS-124에 의해 ''키보''에 부착되었다.[10] 전체 ''키보'' 실험실은 3번의 임무를 통해 운송되었으며, 모든 모듈은 쓰쿠바 우주 센터에서 제조되어 발사 준비를 위해 KSC SSPF로 운송되었다. 스테인리스강과 티타늄으로 제작되었다.[10]

''디스커버리''는 국제 우주 정거장의 고장난 화장실을 교체하기 위한 부품도 운반했다.[10] 승무원은 ISS의 즈베즈다 모듈에 새로운 교체 부품이 설치될 때까지 다른 시설을 사용했다.[10]

STS-124 승무원과 함께 ''토이 스토리'' 프랜차이즈의 버즈 라이트이어 액션 피규어가 비행했다.[11] STS-124 미션의 조종사 켄 햄은 ESPN 라디오 관련 물품을 가져왔고, 랜스 암스트롱의 투르 드 프랑스 사이클 대회 7회 우승 기념 유니폼, 엘리 매닝의 슈퍼볼 백업 유니폼, 크레이그 비지오의 마지막 경기 유니폼도 우주왕복선에 보관되었다.[11]

STS-124가 완료된 후, 다음 영구 가압 모듈은 STS-130이 2010년 2월에 ''트랭퀼리티''를 가져올 때까지 ISS로 전달되지 않았다.[13]

이번 임무는 다음과 같다:[13]


  • NASA의 154번째 유인 우주 비행
  • STS-1 이후 123번째 우주 왕복선 비행
  • ''챌린저''호 참사 이후 98번째 임무
  •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10번째 임무
  • 우주 왕복선 프로그램 잔여 11번째 비행
  • 국제 우주 정거장(ISS)으로의 26번째 비행
  • 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의 35번째 비행
  • 2008년 세 번째 우주 왕복선 임무


''키보'' 실험실의 해치가 21시 05분(UTC)에 열렸고, 승무원들은 고장난 국제 우주 정거장 변기를 수리했다.[22][23]

승무원들은 ''키보'' 물류 모듈을 ''하모니''에서 가압 모듈로 옮겼다.[26]

256x256px

3. 1. 주요 임무

4. 선외 활동 (EVA)

STS-124 임무 동안 총 3번의 선외 활동(EVA)이 예정되었고 완료되었다.[36] 임무 중 선외 활동에 소요된 총 시간은 20시간 32분이었다.

선외 활동우주 유영사시작 (UTC)종료 (UTC)지속 시간
1차 선외 활동로널드 J. 개런 주니어
마이클 E. 포섬
2008년 6월 3일
16:22
2008년 6월 3일
23:10
6시간 48분
우주왕복선의 로봇 팔 팔꿈치 조인트 카메라의 스트랩을 해제하고, OBSS를 우주왕복선으로 다시 옮겼다. 키보로 명명된 일본 실험 모듈, 가압 모듈 (JEM-PM)을 설치할 준비를 했다. 오른쪽 태양 알파 회전 조인트의 트런들 베어링 조립체를 교체하고 SARJ의 손상을 점검했다.[37][38]
2차 선외 활동개런
포섬
2008년 6월 5일
15:04
2008년 6월 5일
22:15
7시간 11분
키보에 덮개와 외부 장비를 설치하고, ELM-PS 재배치를 준비했다. 제거할 질소 탱크 조립체를 준비하고, 새로운 탱크를 설치하기 위해 외부 수납 플랫폼에 보관했다. 전원 공급 장치가 고장난 텔레비전 카메라를 제거했다.[39]
3차 선외 활동포섬
개런
2008년 6월 8일
13:55
2008년 6월 8일
20:28
6시간 33분
오른쪽 질소 탱크 조립체를 제거하고 교체했다. 키보 실험실의 장비를 완비했다. 수리된 전원 공급 장치가 있는 텔레비전 카메라를 재설치했다.[39]



4. 1. 1차 EVA

마이크 포섬과 론 가란은 23시 10분(UTC)에 6시간 48분 동안 우주 유영을 했다.[21] 이 우주 유영 동안 두 사람은 궤도선 붐 센서 시스템을 회수하고, 태양 전지판 회전 조인트의 구성 요소를 점검 및 수리했으며, ''키보'' 실험실의 JEM-PS 구성 요소를 설치할 준비를 했다. 카렌 니버그와 호시데 아키히코는 국제 우주 정거장의 로봇 팔을 사용하여 JEM-PS를 우주 왕복선의 화물칸에서 꺼내 ''하모니'' 노드에 고정하여 23시 01분(UTC)에 작업을 완료했다.[21]

4. 2. 2차 EVA

포섬과 가란은 STS-124의 두 번째 우주 유영을 완료했다. 7시간 11분 동안 진행된 우주 유영은 22시 15분(UTC)에 종료되었다.[24] 가란은 우주 유영에 앞서 "마이크와 저는 오늘 두 번째 우주 유영을 위해 문 밖으로 나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멋진 날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25]

4. 3. 3차 EVA

포섬과 개런은 세 번째이자 마지막 우주 유영을 실시하여 빈 질소 탱크를 교체하고 태양 전지판에서 부유물 샘플을 수집했다.[29]

5. 발사 및 귀환



STS-124 발사 근접 촬영


thumb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는 현지 시간 기준 17시 02분(동부 일광 절약 시간)에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다. 연료 탱크에서 떨어진 파편은 최소였다.[14]

발사 직전 ''디스커버리''호의 사령관 마크 켈리는 "오늘 이 순간을 위해 모두가 준비해왔지만, 키보에서 얻는 발견들은 분명히 내일에 대한 희망을 제시할 것입니다. 이제 지구상 가장 위대한 쇼를 기대해주십시오."라고 말했다.[15]

승무원들은 하루 대부분의 시간 동안 진행된 긴 탈 궤도 준비 목록을 처리했다. 그들은 11:30 (UTC)에 페이로드 베이 도어를 닫았고, 이 과정은 문제없이 진행되었다. 모든 ''디스커버리''의 시스템은 정상이었고, KSC의 날씨가 매우 좋아 탈 궤도 연소는 예정대로 14:10 (UTC)에 이루어졌으며, 활주로 15번에서 15:15 (UTC)에 착륙할 예정이었다.[34]

12:00 (UTC)에 활주로 33번 대신 활주로 15번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사령관이 ''디스커버리''를 활주로에 정렬할 때 사령관의 창문에 햇빛이 반사되는 것을 고려하여 내려졌다.

5. 1. 발사대 손상

STS-124 발사 시 우주왕복선에서 나오는 화염을 배출하는 발사대 39A의 참호 중 하나가 심각하게 손상되었다.[16] 이후 사고 조사 결과, 이 손상은 내화 벽돌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에폭시의 탄화와 강철 앵커의 부식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염산이 고체 로켓 부스터의 배기 부산물이라는 사실에 의해 악화되었다.[17] 참호 수리는 2008년 10월 8일로 예정되었던 STS-125 미션의 발사 시도 전에 완료되었다.[18] 실제로 STS-125는 2009년 5월에 발사되었으며, 그 동안 STS-126 (2008년 11월)과 STS-119 (2009년 3월)가 모두 발사대 39A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6. 비상 우주왕복선 승무원 지원 (Contingency Mission)

STS-326는 STS-124 임무 중 ''디스커버리''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될 경우 발사될 비상 우주왕복선 승무원 지원 임무에 부여된 명칭이었다.[41] 이 임무는 발사일을 앞당긴 ''엔데버''의 STS-126 임무의 수정된 버전이었을 것이며, 전체 STS-126 승무원의 4인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다.[41]

STS-124 비행 중 만약 내열 패널에 손상이 생기는 등 디스커버리가 지구로의 재진입을 견딜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엔데버가 구조 비행을 수행하게 되어 있었고, 이 비행은 STS-326으로 명명되었다.

구체적인 STS-326의 승무원 구성은 다음과 같다.


  • 크리스토퍼 퍼거슨 – 사령관
  • 에릭 A. 보 – 조종사
  • 스티븐 G. 보웬 – 임무 전문가, 선외 활동 2
  • 하이데마리 스테파니신-파이퍼 – 임무 전문가, 선외 활동 1

6. 1. STS-326 승무원 (예정)

STS-326는 STS-124 임무 중 ''디스커버리''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될 경우 발사될 비상 우주왕복선 승무원 지원 임무에 부여된 명칭이었다.[41] 이 임무는 발사일을 앞당긴 ''엔데버''의 STS-126 임무의 수정된 버전이었을 것이며, 전체 STS-126 승무원의 4인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다.[41]

STS-124 비행 중 만약 내열 패널에 손상이 생기는 등 디스커버리가 지구로의 재진입을 견딜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엔데버가 구조 비행을 수행하게 되어 있었고, 이 비행은 STS-326으로 명명되었다.

구체적인 STS-326의 승무원 구성은 다음과 같다.

  • 크리스토퍼 퍼거슨 – 사령관
  • 에릭 A. 보 – 조종사
  • 스티븐 G. 보웬 – 임무 전문가, 선외 활동 2
  • 하이데마리 스테파니신-파이퍼 – 임무 전문가, 선외 활동 1

7. 기타

8. 각성 호출 (Wake-up Calls)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제미니 계획 동안 우주 비행사들에게 음악을 틀어주는 전통을 시작했으며, 이는 아폴로 15호에서 비행 승무원을 깨우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40] 각 트랙은 특별히 선택되며, 종종 그들의 가족에 의해 선택되고, 일반적으로 승무원의 개별 구성원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지거나 그들의 일상 활동에 적용된다.[40]

비행 일자노래아티스트/작곡가누구를 위해 연주됨링크
2일차Your Wildest Dreams더 무디 블루스(The Moody Blues)케네스 햄(Kenneth Ham)[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26/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02.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459/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02.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15810/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02.txt TRANSCRIPT]
3일차Away from Home호세 몰리나 세라노그레고리 차미토프(Gregory Chamitoff)[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29/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03.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40/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03.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617230246/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03.txt TRANSCRIPT]
4일차Hold Me with the Robot Arm하나와 유스케호시데 아키히코(Akihiko Hoshide)[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0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04.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2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04.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1493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04.txt TRANSCRIPT]
5일차Have You Ever브랜디 칼라일(Brandi Carlile)카렌 L. 니버그(Karen Nyberg)[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48/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05.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27/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05.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20127/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05.txt TRANSCRIPT]
6일차Fly Away레니 크라비츠(Lenny Kravitz)로널드 J. 개런 주니어(Ronald J. Garan Jr.)[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1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06.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00/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06.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20132/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06.txt TRANSCRIPT]
7일차Bright as Yellow이노센스 미션(Innocence Mission)카렌 니버그[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440/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07.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22/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07.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15406/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07.txt TRANSCRIPT]
8일차Taking Off고다이고호시데 아키히코[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50/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08.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43/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08.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611051545/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08.txt TRANSCRIPT]
9일차The Mickey Mouse Club March버즈 라이트이어[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449/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09.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24/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09.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611051550/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09.txt TRANSCRIPT]
10일차The Spirit of Aggieland파이팅 텍사스 애기 밴드(Fightin' Texas Aggie Band)마이클 E. 포섬(Michael E. Fossum)[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426/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10.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70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10.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61300265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10.txt TRANSCRIPT]
11일차All Because of YouU2론 개런[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40/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11.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24/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11.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613002656/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11.txt TRANSCRIPT]
12일차Centerfield존 포거티(John Fogerty)케네스 햄[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0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12.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437/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12.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61723025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12.txt TRANSCRIPT]
13일차Crystal Frontier칼렉시코(Calexico)마크 켈리 (우주비행사)(Mark Kelly)[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612/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13.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45/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13.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20117/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13.txt TRANSCRIPT]
14일차'Baby, Wont You Please Come Home''루이 프리마(Louis Prima) 와 킬리 스미스(Keely Smith)개럿 레이즈먼(Garrett Reisman)[https://wayback.archive-it.org/all/20080624195531/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14.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624195557/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14.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617230256/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14.txt TRANSCRIPT]
15일차Life on an Ocean Wave미국 상선 해군 사관학교 밴드(the US Merchant Marine Academy Band)마크 켈리[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15426/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wave/fd15.wav WAV] [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15440/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mp3/fd15.mp3 MP3]
[https://web.archive.org/web/20080921120224/http://spaceflight.nasa.gov/gallery/audio/shuttle/sts-124/transcript/fd15.txt TRANSCRIPT]


참조

[1] 웹사이트 STS-124 http://weebau.com/fl[...] 2018-04-24
[2] 웹사이트 Mission Information – STS-124 http://www.nasa.gov/[...] NASA
[3] 웹사이트 Page 19 http://www.nasa.gov/[...] 2010-08-22
[4] 웹사이트 NASA Updates Target Launch Date for Next Space Shuttle Flight http://www.nasa.gov/[...] NASA 2008-03-31
[5] 웹사이트 NASA Assigns Crew for Shuttle Mission to Install Japanese Lab http://www.nasa.gov/[...] NASA 2007-10-30
[6] 웹사이트 Crew assignments for space shuttle mission STS-126 have been revised following the resignation of an experienced astronaut. https://web.archive.[...] iTWire 2007-11-22
[7] 웹사이트 Preflight Interview: Mark Kelly, Commander http://www.nasa.gov/[...] NASA 2010-08-22
[8] 웹사이트 Montreal-born astronaut brings bagels into space https://www.ctvnews.[...] 2008-06-01
[9] 뉴스 Here's proof: Montreal bagels are out of this world https://web.archive.[...] 2008-06-03
[10] 웹사이트 1J Mission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JAXA https://iss.jaxa.jp/[...] 2023-02-26
[11] 웹사이트 Buzz Lightyear to Soar with Discovery http://www.nasa.gov/[...] NASA 2008-05-29
[12] 웹사이트 STS-124 http://spacefacts.de[...] Spacefacts 2024-04-25
[13] 웹사이트 Space Shuttle Discovery Arrives at Launch Pad, Countdown Test Set http://www.nasa.gov/[...] NASA 2009-12-30
[14] 웹사이트 Discovery blasts off for space station http://www.cnn.com/2[...] 2008-06-02
[15] 웹사이트 SPACE.com – Shuttle Discovery Launches Space Station's Largest Lab http://www.space.com[...] 2008-06-14
[16] 웹사이트 SPACE.com http://www.space.com[...] 2008-07-10
[17] 논문 Hit the Bricks https://web.archive.[...] NASA 2011-07-20
[18] 웹사이트 NASA Image of the Day http://www.nasa.gov/[...] 2008-07-10
[19]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No. 03 http://www.nasa.gov/[...] NASA 2008-06-03
[20]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No. 05 http://www.nasa.gov/[...] NASA 2008-06-03
[21]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No. 07 http://www.nasa.gov/[...] NASA 2008-06-05
[22]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22
[23] 뉴스 Russian toilet pump replaced in space station https://spaceflightn[...] SpaceflightNow 2022-12-03
[24]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22
[25] 웹사이트 SPACE.com – Astronauts to Add Camera Eyes to New Station Lab http://www.space.com[...] 2008-06-14
[26]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22
[27] 웹사이트 Shuttle astronauts prepare robot arm for 1st use https://news.yahoo.c[...]
[28] 웹사이트 SPACE.com – Shuttle Crew Hits Mission Midpoint with Robot Arm Test http://www.space.com[...] 2008-06-14
[29] 웹사이트 Astronauts breeze through their 3rd spacewalk https://news.yahoo.c[...]
[30] 웹사이트 Astronauts wrap up space station work https://news.yahoo.c[...]
[31]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21 http://www.nasa.gov/[...] 2010-04-25
[32] 웹사이트 SPACE.com – Space Shuttle Flight a 'Great Success,' Astronauts Say http://www.space.com[...] 2008-06-14
[33] 웹사이트 SPACE.com – Shuttle Discovery Undocks From Space Station http://www.space.com[...] 2008-06-14
[34] 웹사이트 NASA – Space Shuttle http://www.nasa.gov/[...] 2008-06-14
[35] 웹사이트 NASA identifies shiny object trailing shuttle http://www.cnn.com/2[...] CNN 2010-08-22
[36] 웹사이트 NASA Mission Summary, STS-124 http://www.nasa.gov/[...] NASA 2008-04-09
[37] 웹사이트 STS-124 EVA Briefing Graphics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38]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No. 07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39] 웹사이트 STS-124 MCC Status Report No. 11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40] 뉴스 Chronology of Wakeup Calls https://history.nasa[...] NASA 2007-08-13
[41] 뉴스 NASA sets new launch date targets through to STS-124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 2007-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