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은 NASA의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에 참여한 우주왕복선 중 하나로, 1984년 첫 비행을 시작하여 2011년 퇴역할 때까지 총 39번의 임무를 수행했다. 디스커버리호는 챌린저호 폭발 사고와 컬럼비아호 폭발 사고 이후 비행이 재개된 임무를 수행했으며, 허블 우주 망원경 발사 및 정비, 국제 우주 정거장(ISS)과의 도킹 및 건설, 보급 임무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2011년 퇴역 후에는 국립 항공 우주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왕복선 - 챌린저 우주왕복선
    챌린저호는 NASA의 우주왕복선으로, 구조 시험용 기체를 개조하여 제작되었으며, 향상된 성능과 새로운 시스템을 탑재하고 10차례 임무를 수행했으나, 1986년 발사 직후 폭발 사고로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 우주왕복선 -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컬럼비아 우주왕복선은 NASA의 우주왕복선 계획에 따라 제작된 5대의 궤도선 중 하나로, 과학 실험, 위성 배치, 허블 우주망원경 정비 등 28회의 임무를 수행했지만, 2003년 STS-107 임무 중 대기권 재진입 과정에서 단열재 파편으로 인한 내열 패널 손상으로 공중 분해되어 7명의 승무원 모두 사망하는 사고로 소실되었다.
  • 스미스소니언 협회 소장품 - 스페이스십원
    스페이스십원은 스케일드 컴포지츠사에서 제작한 3인승 준궤도 우주선으로,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과 독특한 꼬리날개 설계를 통해 민간 자금으로 유인 우주 비행에 최초로 성공하며 안사리 X상을 수상했다.
  • 스미스소니언 협회 소장품 - 파사르가다에
    파사르가다에는 키루스 대왕이 건설한 아케메네스 제국의 첫 번째 수도이자 페르시아 정원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는 고고학 유적지로, 키루스 2세의 무덤을 비롯한 왕궁 및 정원 유적을 포함하며 보존 노력이 요구된다.
  • 유인 우주선 - 챌린저 우주왕복선
    챌린저호는 NASA의 우주왕복선으로, 구조 시험용 기체를 개조하여 제작되었으며, 향상된 성능과 새로운 시스템을 탑재하고 10차례 임무를 수행했으나, 1986년 발사 직후 폭발 사고로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 유인 우주선 - 스페이스십원
    스페이스십원은 스케일드 컴포지츠사에서 제작한 3인승 준궤도 우주선으로,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과 독특한 꼬리날개 설계를 통해 민간 자금으로 유인 우주 비행에 최초로 성공하며 안사리 X상을 수상했다.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
기본 정보
우주 공간에서 우주왕복선의 모습.
2011년 STS-133 미션 중 궤도에 있는 디스커버리
유형우주왕복선
종류스페이스 셔틀 궤도선
일련번호OV-103
이름 유래디스커버리 (1602년)
디스커버리 (1774)
소유자미국 항공 우주국
제조사록웰 인터내셔널
건조 중량78000 kg
로켓스페이스 셔틀
비행 정보
첫 비행 날짜1984년 8월 30일 ~ 1984년 9월 5일
첫 비행STS-41-D
마지막 비행 날짜2011년 2월 24일 ~ 2011년 3월 9일
마지막 비행STS-133
총 비행 횟수39회
총 비행 시간8,783 시간
총 비행 거리238,539,663 km (지구 주위)
지구 궤도 회전 수5,830회
퇴역 및 현재 위치
퇴역퇴역
현재 위치스티븐 F. 우드바-헤이지 센터
챈틸리, 버지니아
이전 및 다음 우주왕복선
이전챌린저
다음아틀란티스
추가 정보
총 승무원 수252명
총 체류 시간365일 12시간 53분 34초
발사한 위성 수31기 ( 허블 우주 망원경 포함)
미르 우주 정거장 도킹 횟수1회
국제 우주 정거장 도킹 횟수13회
이미지 정보
39A 발사대에서 STS-124 임무로 발사되는 디스커버리
2009년 3월 11일, 보름달 아래의 디스커버리

2. 역사

디스커버리호라는 이름은 탐험선의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선택되었다.[2] '디스커버리(Discovery)'는 '발견'을 의미하며, 대항해시대부터 많은 탐험선에 사용되어 왔다(디스커버리호 참조).

제임스 쿡 선장이 1776년부터 1779년까지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주요 항해에서 지휘했던 배 중 하나인 HMS 디스커버리호(1774년 건조)[7]와 1610년부터 1611년까지 허드슨 만을 탐험하고 북서 항로를 찾는 데 사용되었던 헨리 허드슨의 디스커버리호(1602년 건조)[2]가 그 예시이다. 이 이름을 가진 다른 배로는 1875년~1876년 북극점으로 향한 영국 북극 탐험의 HMS 디스커버리호(1874년 건조)[8]로버트 팰컨 스콧 선장이 이끈 1901년~1904년 디스커버리호 탐험(Discovery Expedition)을 수행한 RRS 디스커버리호가 있다.[12]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목성 탐사선의 이름도 디스커버리호이다.

2. 1. 명칭의 유래

디스커버리호라는 이름은 탐험선의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선택되었다.[2] '디스커버리(Discovery)'는 '발견'을 의미하며, 대항해시대부터 많은 탐험선에 사용되어 왔다(디스커버리호 참조).

제임스 쿡 선장이 1776년부터 1779년까지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주요 항해에서 지휘했던 배 중 하나인 HMS 디스커버리호(1774년 건조)[7]와 1610년부터 1611년까지 허드슨 만을 탐험하고 북서 항로를 찾는 데 사용되었던 헨리 허드슨의 디스커버리호(1602년 건조)[2]가 그 예시이다. 이 이름을 가진 다른 배로는 1875년~1876년 북극점으로 향한 영국 북극 탐험의 HMS 디스커버리호(1874년 건조)[8]로버트 팰컨 스콧 선장이 이끈 1901년~1904년 디스커버리호 탐험(Discovery Expedition)을 수행한 RRS 디스커버리호가 있다.[12]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목성 탐사선의 이름도 디스커버리호이다.

2. 2. 제작 과정

wikitext

날짜주요 이정표
1979년 1월 29일록히드 마틴(당시 록웰 인터내셔널) 우주수송시스템부에 계약 수주[12] (캘리포니아주 다우니)
1979년 8월 27일승무원 모듈 장기 제작 시작
1980년 6월 20일하부 동체(fuselage) 제작 시작
1980년 11월 10일후방 동체 구조 조립 시작
1980년 12월 8일후방 동체 초기 시스템 설치 시작
1981년 3월 2일탑재물(Payload) 베이 도어 제작/조립 시작
1981년 10월 26일승무원 모듈 초기 시스템 설치 시작 (다우니)
1982년 1월 4일상부 전방 동체 초기 시스템 설치 시작
1982년 3월 16일중간 동체 도크 진입 (캘리포니아주 팜데일)
1982년 3월 30일엘리본(Elevon) 도크 진입 (팜데일)
1982년 4월 30일그러먼에서 날개(Wing) 팜데일 도착
1982년 4월 30일하부 전방 동체 도크 진입 (팜데일)
1982년 7월 16일상부 전방 동체 도크 진입 (팜데일)
1982년 8월 5일수직 안정판(Vertical stabilizer) 도크 진입 (팜데일)
1982년 9월 3일최종 조립 시작
1982년 10월 15일보디 플랩(Body flap) 도크 진입 (팜데일)
1983년 1월 11일후방 동체 도크 진입 (팜데일)
1983년 2월 25일최종 조립 및 마무리 설치 완료 (팜데일)
1983년 2월 28일초기 하위 시스템 테스트 시작, 전원 켜기 (팜데일)
1983년 5월 13일초기 하위 시스템 테스트 완료
1983년 7월 26일하위 시스템 테스트 완료
1983년 8월 12일최종 승인 완료
1983년 10월 16일팜데일에서 롤아웃
1983년 11월 5일팜데일에서 에드워드 공군 기지로 육상 운송
1983년 11월 9일케네디 우주센터 인도
1984년 6월 2일비행 준비 발사 시험
1984년 8월 30일첫 비행 (STS-41-D)


2. 2. 1. 제작 이정표

wikitable

날짜주요 이정표
1979년 1월 29일록히드 마틴 (Rockwell International) 우주수송시스템부에 계약 수주[12]
1979년 8월 27일승무원 모듈 장기 제작 시작
1980년 6월 20일하부 동체(fuselage) 제작 시작
1982년 3월 16일중간 동체 도크 진입 (캘리포니아주 팜데일)
1982년 4월 30일그러먼(Grumman)에서 날개(Wing) 팜데일 도착
1983년 10월 16일팜데일에서 롤아웃
1983년 11월 9일케네디 우주센터 인도
1984년 8월 30일첫 비행 (STS-41-D)


3. 특징 및 개량

디스커버리호는 건조 당시 우현 중앙 창문 근처에 검은색 타일이 여러 개 부착되었는데, 이는 '눈물방울'이라 불리며 디스커버리호를 다른 우주왕복선과 구별하는 특징이 되었다.[13] 이 '눈물방울' 모양은 STS-121 임무 중 ISS에 접근하는 디스커버리호 사진에서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13]

STS-121 임무 중 ISS에 접근하는 디스커버리호. 독특한 '눈물방울' 형태가 선명하게 보인다.


엔터프라이즈호, 컬럼비아호, 챌린저호의 건조 및 시험 과정에서 도출된 최적화 덕분에, 디스커버리호는 취역 당시 컬럼비아호보다 약 3116 kg 가벼웠다.[14] 이후 추가적인 경량화 조정을 거쳐 아틀란티스호보다 약 2.7kg 무겁고, 엔데버호보다 약 165kg 무겁게 되었다.[15] 디스커버리호의 경량화에는 동체에 흰색 AFRSI 담요를 하얀색 LRSI 타일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페이로드 베이 도어와 일부 날개 스파 및 보조대에 알루미늄 대신 흑연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6]

1983년 케네디 우주 센터에 인도된 후, 디스커버리호는 챌린저호와 함께 1986년부터 사용될 예정이었던 액체 연료 센타우르-G 부스터를 수용하도록 개조되었으나, 챌린저호 참사 이후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17]

1995년 말부터 9개월간 궤도선 정비 중단 기간(OMDP)을 거치면서 ISS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5번째 극저온 탱크와 외부 에어록을 장착했다.[14] 다른 모든 궤도선과 마찬가지로, 개조된 보잉 747에 편승하여 이동할 수 있었다.[14]

STS-105 이후, 디스커버리호는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궤도선 주요 개조(OMM) 기간을 거친 첫 번째 궤도선이 되었다. 2002년 9월부터 비행 재개를 위한 준비 작업이 시작되었으며, 여기에는 예정된 업그레이드와 추가적인 안전 개선이 포함되었다.[14]

3. 1. 특징

디스커버리호는 건조 당시 우현 중앙 창문 근처에 검은색 타일이 여러 개 부착되었는데, 이는 '눈물방울'이라 불리며 디스커버리호를 다른 우주왕복선과 구별하는 특징이 되었다.[13] 이 '눈물방울' 모양은 STS-121 임무 중 ISS에 접근하는 디스커버리호 사진에서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13]

엔터프라이즈호, 컬럼비아호, 챌린저호의 건조 및 시험 과정에서 도출된 최적화 덕분에, 디스커버리호는 취역 당시 컬럼비아호보다 약 3116 kg 가벼웠다.[14] 디스커버리호의 경량화에는 동체에 흰색 AFRSI 담요를 하얀색 LRSI 타일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페이로드 베이 도어와 일부 날개 스파 및 보조대에 알루미늄 대신 흑연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6]

1983년 케네디 우주센터에 인도된 후, 디스커버리호는 챌린저호와 함께 1986년부터 사용될 예정이었던 액체 연료 센타우르-G 부스터를 수용하도록 개조되었으나, 챌린저호 참사 이후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17]

1995년 말부터 1996년 6월까지 디스커버리호는 캘리포니아주 팜데일에서 궤도선 정비 중단 기간(OMDP)을 거쳤으며, 국제 우주 정거장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5번째 극저온 탱크와 외부 에어록을 장착했다. 다른 모든 궤도선과 마찬가지로, 개조된 보잉 747에 편승하여 이동할 수 있었다.[14]

STS-105 이후, 디스커버리호는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궤도선 주요 개조(OMM) 기간을 거친 첫 번째 궤도선이 되었으며, 2002년 9월부터 비행 재개를 위한 준비 작업이 시작되었다.[14]

3. 2. 경량화

디스커버리호는 엔터프라이즈호, 컬럼비아호, 챌린저호의 건조 및 시험 과정에서 도출된 최적화 덕분에 취역 당시 컬럼비아호보다 약 3,116 kg 가벼웠다.[14] 이후 추가적인 경량화 조정을 거쳐 아틀란티스호보다 6 lb 무겁고, 엔데버호보다 363 lb 무겁게 되었다.[15]

디스커버리호의 경량화에는 동체에 흰색 AFRSI 담요를 하얀색 LRSI 타일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페이로드 베이 도어와 일부 날개 스파 및 보조대에 알루미늄 대신 흑연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6]

3. 3. 개량

디스커버리호는 건조 및 시험 과정에서 도출된 최적화 덕분에 취역 당시 컬럼비아호보다 약 3,116kg 가벼웠다.[14] 동체에 흰색 AFRSI 담요를 LRSI 타일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페이로드 베이 도어와 일부 날개 스파 및 보조대에 알루미늄 대신 흑연 에폭시를 사용하는 등 추가적인 경량화가 이루어졌다.[16]

1983년 케네디 우주 센터에 인도된 후, 디스커버리호는 챌린저호와 함께 1986년부터 사용될 예정이었던 액체 연료 센타우르-G 부스터를 수용하도록 개조되었으나, 챌린저호 참사 이후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17]

1995년 말부터 9개월간 궤도선 정비 중단 기간(OMDP)을 거치면서 ISS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5번째 극저온 탱크와 외부 에어록을 장착했다.[14]

STS-105 이후, 디스커버리호는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궤도선 주요 개조(OMM) 기간을 거친 첫 번째 궤도선이 되었다. 2002년 9월부터 비행 재개를 위한 준비 작업이 시작되었으며, 여기에는 예정된 업그레이드와 추가적인 안전 개선이 포함되었다.[14]

4. 주요 임무

디스커버리호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특히 역사적인 순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STS-31의 발사 장면. 이 임무는 허블 우주망원경을 궤도상에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STS-114의 발사 장면. 이 임무는 2003년 컬럼비아 우주왕복선이 폭발한 이후 2년 만에 발사되는 것이다.


디스커버리호가 국제 우주 정거장에 도킹하기 위해 접근하고 있다. 이 임무는 STS-121이다.


회수날짜임무명비고
11984년 8월 30일STS-41-D3개의 통신위성을 궤도에 배치. 길이 31m의 태양전지판 전개 실험.
21984년 11월 8일STS-51-A2기의 위성을 배치하고 2기의 통신위성을 회수.
31985년 1월 24일STS-51-C미국 국방부 매그넘 ELINT(전자 정보 수집) 위성을 궤도에 배치. 엘리슨 오니즈카 탑승(일계 미국인 최초).
41985년 4월 12일STS-51-D2개의 통신위성을 궤도에 배치.
51985년 6월 7일STS-51-G2개의 통신위성을 궤도에 배치.
61985년 8월 27일STS-51-I3개의 통신위성을 궤도에 배치.
71988년 9월 29일STS-26챌린저호 사고 이후 재운항. TDRS-C를 궤도에 배치.
81989년 5월 13일STS-29TDRS-D를 궤도에 설치.
91989년 11월 22일STS-33미국 국방부 매그넘 ELINT(전자 정보 수집) 위성을 궤도에 배치.
101990년 4월 24일STS-31허블 우주 망원경(HST)을 궤도에 배치.
111990년 10월 6일STS-41율리시스 위성을 배치.
121991년 4월 28일STS-39미국 국방부 공군 Program-675 (AFP675) 위성을 궤도에 배치.
131991년 9월 12일STS-48대기권 상층 연구 위성(UARS)을 배치.
141992년 1월 22일STS-42스페이스랩 실험. 제1차 국제 미소 중력 실험실(IML-1).
151992년 12월 2일STS-53미국 국방부 임무.
161993년 8월 8일STS-56스페이스랩 대기 실험실 (ATLAS-2).
171993년 9월 12일STS-51고급 통신 기술 위성(ACTS) 배치, ORFEUS-SPAS 배치 및 회수.
181994년 2월 3일STS-60SPACEHAB-2, 고진공 실험 위성 Wake Shield Facility (WSF).
191994년 9월 9일STS-64LIDAR 우주 기술 실험(LITE).
201995년 2월 3일STS-63우주 정거장 미르와 랑데부, SPACEHAB-3.
211995년 7월 13일STS-70추적 및 데이터 중계 위성(TDRS)-G 배치.
221997년 2월 11일STS-82허블 우주 망원경 정비 작업(HST-SM2). 정기 점검(오버홀)을 위한 18개월 만의 비행.
231997년 8월 7일STS-85CRISTA-SPAS-02 배치 및 회수, 일본의 MFD(조작 비행 시험) 실험.
241998년 6월 2일STS-91미르와 도킹(우주왕복선에 의한 9번째이자 마지막 도킹). SPACEHAB, AMS 탑재.
251998년 10월 29일STS-95일본인 우주비행사 무카이 치아키 탑승. 존 글렌 우주비행사의 두 번째 우주 비행. 태양 코로나 관측 위성 Spartan 201-5 배치 및 회수.
261999년 5월 27일STS-96국제 우주 정거장과 최초 도킹 및 보급(ISS-2A.1). 일반 학생을 위한 시각 관측 교재용 위성 스타샤인 배치.
271999년 12월 19일STS-103허블 우주 망원장(HST) 수리(HST-3A 임무).
282000년 10월 11일STS-92일본인 우주비행사 와카타 코이치 탑승. 국제 우주 정거장 조립(ISS-3A).
292001년 3월 8일STS-102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ISS-5A.1).
302001년 8월 10일STS-105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보급(ISS-7A.1).
312005년 7월 26일STS-114컬럼비아호 사고 이후 재운항. 일본인 우주비행사 노구치 소이치 탑승. 국제 우주 정거장 보급, 새로운 안전 시스템 테스트(LF-1).
322006년 7월 4일STS-121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보급(ULF-1.1).
332006년 12월 9일STS-116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 및 보급(12A). 컬럼비아호 사고 이후 최초 야간 발사.
342007년 10월 23일STS-120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보급. 유럽 우주 기구의 모듈 하모니 운반.
352008년 6월 1일STS-124일본인 우주비행사 호시데 아키히코 탑승. "키보" 일본 실험동 선내 실험실 설치, 실내 설정 작업(1J).
362009년 3월 16일STS-119일본인 우주비행사 와카타 코이치 탑승.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15A).
372009년 8월 28일STS-128국제 우주 정거장 보급(17A).
382010년 4월 5일STS-131일본인 우주비행사 야마자키 나오코 탑승(일본인 마지막).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19A).
392011년 2월 24일STS-133영구적 다목적 모듈 레오나르도, ELC-4, 로보넛2 수송. 디스커버리호의 마지막 임무.



마지막 임무까지 디스커버리호는 39번의 임무를 통해 238,539,663 km를 비행했으며, 5,830회의 궤도 비행을 완료하고 27년간 365일 동안 궤도에 머물렀다.[30] 디스커버리호는 다른 어떤 우주왕복선보다도 더 많은 비행을 수행했는데, 1985년 한 해에만 4번의 비행을 완료했다. 디스커버리호는 챌린저호와 컬럼비아호 사고 이후 재비행 임무인 STS-26(1988년), STS-114(2005년), STS-121(2006년)을 수행했다. 디스커버리호는 2011년 2월 24일 발사된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의 마지막에서 세 번째 임무인 STS-133을 수행했다. 엔데버호는 STS-134를, 애틀랜티스호는 NASA의 마지막 우주왕복선 임무인 STS-135를 수행했다. 2011년 2월 24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는 케네디 우주센터 39-A 발사대에서 마지막 궤도 비행을 시작하기 위해 발사되었다.[31]

디스커버리호에서 발사된 여러 위성 중 하나인 상층 대기 연구 위성(UARS)

4. 1. 허블 우주 망원경 관련

1990년 4월 24일, STS-31 임무에서 허블 우주 망원경(HST)을 궤도에 배치하였다. 1997년 2월 11일에는 STS-82 임무를 통해 허블 우주 망원경의 두 번째 정비 작업(HST-SM2)을 수행하였다. 이는 정기 점검(오버홀)을 위한 18개월 만의 비행이었다. 1999년 12월 19일, STS-103 임무에서 허블 우주 망원경의 세 번째 수리(HST-3A 임무)를 진행하였다.

4. 2. 국제 우주 정거장 관련

1999년 5월 27일,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은 STS-96 임무를 통해 국제 우주 정거장(ISS)과 최초로 도킹하여 보급 임무를 수행했다. 이 임무에는 일반 학생을 위한 시각 관측 교재용 위성 스타샤인이 배치되었다. 2000년 10월 11일에는 STS-92 임무를 통해 국제 우주 정거장 조립(ISS-3A)을 진행했으며, 이 임무는 100번째 우주왕복선 임무였다. 이 임무에는 일본인 우주비행사 와카타 코이치가 탑승했다.

이후에도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은 국제 우주 정거장과 관련된 여러 임무를 수행했다. 2001년 3월 8일 STS-102 임무와 2001년 8월 10일 STS-105 임무에서는 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보급 임무(ISS-7A.1)를 수행했다. 2006년 7월 4일 STS-121 임무에서는 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보급(ULF-1.1)을, 2006년 12월 9일 STS-116 임무에서는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 및 보급(12A)을 수행했다. 2007년 10월 23일 STS-120 임무에서는 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보급과 함께 유럽 우주 기구의 모듈 하모니를 운반했다.

2008년 6월 1일 STS-124 임무에서는 일본인 우주비행사 호시데 아키히코가 탑승하여 "키보" 일본 실험동 선내 실험실 설치 및 실내 설정 작업(1J)을 진행했다. 2009년 3월 16일 STS-119 임무에서는 일본인 우주비행사 와카타 코이치가 탑승하여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15A)에 참여했다. 2009년 8월 28일 STS-128 임무는 국제 우주 정거장 보급(17A) 임무였다. 2010년 4월 5일 STS-131 임무에서는 일본인 우주비행사 야마자키 나오코가 탑승하여(일본인 마지막)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19A) 임무를 수행했다. 2011년 2월 24일 STS-133 임무에서는 영구적 다목적 모듈 레오나르도, ELC-4, 로보넛2를 수송했으며, 이는 디스커버리호의 마지막 임무였다.

4. 3. 사고 이후 재개 비행

1986년 챌린저호 폭발 사고 이후 1988년 STS-26 임무를 통해 비행이 재개되었다.[41] TDRS-C를 궤도에 배치하는 데 성공했다.[41] 2003년 컬럼비아호 공중분해 사고 이후에는 2005년 STS-114 임무를 통해 다시 비행을 재개했으며, 이 임무에는 일본인 노구치 소이치가 탑승했다.[41] 비행 중 단열재가 벗겨지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무사히 귀환했다. 2006년에는 STS-121 임무를 수행하여 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보급을 실시했다.

4. 4. 기타 중요 임무

1990년 10월 6일 발사된 STS-41 임무에서는 율리시스 탐사선을 발사했다. 1998년 10월 29일에 발사된 STS-95 임무에서는 존 글렌이 77세의 나이로 최고령 우주 비행 기록을 세웠다. 또한, TDRS 위성 발사 임무도 수행했다.

4. 5. 한국과의 관계

5. 퇴역

''디스커버리''호는 2011년 3월 9일에 퇴역되었다.[19][20] NASA는 한 달간의 오염 제거 과정 후,[21] 국가 소장품의 일부로[22][23][24] ''디스커버리''호를 대중 전시 및 보존을 위해 스미스소니언 협회의 국립 항공 우주 박물관에 기증했다.[25][26][27] ''디스커버리''호는 2011년까지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의 스티븐 F. 우드바르-헤이지 센터에 전시되어 있던 ''엔터프라이즈''호를 대체했다.[28][29] ''디스커버리''호는 2012년 4월 17일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으로 이송되었고, 4월 19일 우드바르-헤이지 센터로 옮겨 환영식이 거행되었다. 그 후 오후 5시 30분경 ''디스커버리''호는 우드바르-헤이지 센터의 "최종 정지 위치"에 자리 잡았다.[28][29]

5. 1. 퇴역 이후

NASA는 오염 제거 과정을 거친 후,[21] 국가 소장품의 일부로[22][23][24] ''디스커버리''호를 스미스소니언 협회의 국립 항공 우주 박물관에 기증했다.[25][26][27] ''디스커버리''호는 2011년까지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의 스티븐 F. 우드바르-헤이지 센터에 전시되어 있던 ''엔터프라이즈''호를 대체했다.[28][29] 2012년 4월 17일 SCA N905NA에 실려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으로 이송되었고,4월 19일 우드바르-헤이지 센터로 옮겨져 환영식이 거행되었다. 그 후 오후 5시 30분경 ''디스커버리''호는 우드바르-헤이지 센터의 "최종 정지 위치"에 자리 잡았다.[28][29]

6. 임무 목록

디스커버리호는 총 39번의 임무를 수행했다.[30] 1985년 한 해에만 4번의 비행을 완료할 정도로, 다른 어떤 우주왕복선보다도 많은 비행을 수행했다.[30] 특히 챌린저호와 컬럼비아호 사고 이후 재비행 임무인 STS-26(1988년), STS-114(2005년), STS-121(2006년)을 모두 수행했다.[30] 2011년 2월 24일 발사된 STS-133은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의 마지막에서 세 번째 임무이자 디스커버리호의 마지막 임무였다.[30][31]

650x650px


#날짜임무 명칭비고비행 시간
1STS-41-D디스커버리호의 첫 번째 임무. 주디스 레즈닉(Judith Resnik)이 두 번째 미국 여성 우주비행사가 됨. 통신 위성 3개(Syncom|LEASAT F2 포함)를 궤도에 진입시킴.6일 00시간
56분 04초
2STS-51-A통신 위성 2개(LEASAT F1 포함)를 발사하고 2개를 구조함.7일 23시간
44분 56초
3STS-51-CDOD)의 매그넘(Magnum) 신호정보 수집 위성 발사.3일 01시간
33분 23초
4STS-51-D통신 위성 2개(LEASAT F3 포함)를 발사함. 최초의 현직 미국 의원인 제이크 가른(Jake Garn) (R–유타주)가 우주로 진출함.6일 23시간
55분 23초
5STS-51-G술탄 살만 알사우드)가 최초의 사우디아라비아 우주비행사가 됨.7일 01시간
38분 52초
6STS-51-I통신 위성 2개(LEASAT F4 포함)를 발사함. LEASAT F3을 회수, 수리 및 재배치함.7일 02시간
17분 42초
7STS-26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참사 이후 재비행, TDRS-3 발사.4일 01시간
00분 11초
8STS-29TDRS-4 발사.4일 23시간
38분 52초
9STS-33국방부 매그넘 신호정보 수집 위성 발사.5일 00시간
06분 49초
10STS-31허블 우주 망원경(HST) 발사.5일 01시간
16분 06초
11STS-41율리시스 발사.4일 02시간
10분 04초
12STS-39국방부 공군 프로그램-675(AFP-675) 위성 발사.8일 07시간
22분 23초
13STS-48상층 대기 연구 위성(UARS) 발사.5일 08시간
27분 38초
14STS-42국제 미소 중력 실험실-1(IML-1).8일 01시간
14분 44초
15STS-53국방부 탑재체.7일 07시간
19분 47초
16STS-56대기 실험실(ATLAS-2).9일 06시간
08분 24초
17STS-51고등 통신 기술 위성(ACTS).9일 20시간
11분 11초
18STS-60첫 번째 우주왕복선-미르 임무; 웨이크 실드 시설(WSF). 최초의 러시아 우주인(세르게이 크리칼레프(Sergei Krikalev))이 미국 우주선에 탑승.8일 07시간
09분 22초
19STS-64LIDAR 우주 기술 실험(LITE).10일 22시간
49분 57초
20STS-63미르 우주 정거장과 랑데부. 최초의 여성 우주왕복선 조종사인 에일린 콜린스(Eileen Collins).[15]8일 06시간
29분 36초
21STS-70TDRS-7 발사.8일 22시간
20분 05초
22STS-82허블 우주 망원경(HST) 정비(HSM-2).9일 23시간
38분 09초
23STS-85저온 적외선 분광기 및 망원경(CRISTA).11일 20시간
28분 07초
24STS-91마지막 우주왕복선/미르 도킹 임무.9일 19시간
55분 01초
25STS-95SPACEHAB, 존 글렌의 두 번째 비행 (당시 77세로 최고령 우주인이자 세 번째 현직 의원 우주 비행), 페드로 두케(Pedro Duque)는 최초의 스페인 우주비행사가 됨.8일 21시간
44분 56초
26STS-96최초의 국제 우주 정거장과의 우주왕복선 도킹 임무[15]9일 19시간
13분 57초
27STS-103허블 우주 망원경(HST) 정비(HSM-3A).7일 23시간
11분 34초
28STS-92국제 우주 정거장 조립 비행 (Z1 트러스 운반 및 조립); 100번째 우주왕복선 임무.12일 21시간
43분 47초
29STS-102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비행 (탐험 1호 및 탐험 2호)12일 19시간
51분 57초
30STS-105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및 물자 수송 (탐험 2호 및 탐험 3호)11일 21시간
13분 52초
31STS-114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첫 번째 "재비행" 임무; 국제 우주 정거장(ISS) 물자 수송, 새로운 안전 절차 시험 및 평가, 다목적 물류 모듈(MPLM) 라파엘로.13일 21시간
33분 00초
32STS-121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두 번째 "재비행" 임무, STS-114 중 외부 탱크의 발포체 파편에 대한 우려로 인함; 국제 우주 정거장(ISS) 물자 수송, 새로운 안전 및 수리 기술 시험.12일 18시간
37분 54초
33STS-116ISS 승무원 교대 및 조립 (P5 트러스 부분 운반 및 조립); 패드 39-B에서 발사된 마지막 비행;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최초의 야간 발사.
12일 20시간
44분 16초
34STS-120ISS 승무원 교대 및 조립 (하모니 모듈 운반 및 조립).15일 02시간
23분 55초
35STS-124ISS 승무원 교대 및 조립 (키보 JEM PM 모듈 운반 및 조립).13일 18시간
13분 07초
36STS-119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네 번째 우현 트러스 부분(ITS S6)과 네 번째 태양 전지판 및 배터리 세트 조립. 또한 소변을 음용수로 전환하는 시스템의 고장난 장치를 교체함.12일 19시간
29분 33초
37STS-128레오나르도 다목적 물류 모듈을 사용한 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ISS 보급. 또한 스티븐 콜베어의 이름을 딴 C.O.L.B.E.R.T 러닝머신을 운반함.13일 20시간
54분 40초
38STS-131레오나르도 다목적 물류 모듈을 사용한 ISS 보급. 이 임무는 네 명의 여성이 우주에 동시 체류한 최초의 사례이자 두 명의 일본 우주인이 우주 정거장에 함께 체류한 최초의 사례임.[32] 이 궤도선의 가장 긴 임무.15일 2시간 47분 11초‡
39STS-1332월 24일 오후 4시 53분 EST에 발사된 이 임무는 영구 다목적 모듈(PMM) 레오나르도, ELC-4 및 로보넛 2를 ISS로 운반함.[33] 디스커버리호의 마지막 비행.12일 19시간
4분 50초



‡ 디스커버리호의 가장 긴 우주왕복선 임무

– 디스커버리호의 가장 짧은 우주왕복선 임무

디스커버리호 임무 기념 마크
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
STS-41-DSTS-51-ASTS-51-CSTS-51-DSTS-51-GSTS-51-ISTS-26STS-29
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
STS-33STS-31STS-41STS-39STS-48STS-42STS-53STS-56
110x110px110x11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
STS-51STS-60STS-64STS-63STS-70STS-82STS-85STS-91
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
STS-95STS-96STS-103STS-92STS-102STS-105STS-114STS-121
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100x100px
STS-116STS-120STS-124STS-119STS-128STS-131STS-133


6. 1. 전체 임무 목록 (표)

#날짜임무 명칭비고비행 시간
1STS-41-D디스커버리호의 첫 번째 임무: 주디스 레즈닉(Judith Resnik)이 두 번째 미국 여성 우주비행사가 됨. 통신 위성 3개(Syncom|LEASAT F2 포함)를 궤도에 진입시킴.6일 00시간
56분 04초
2STS-51-A통신 위성 2개(LEASAT F1 포함)를 발사하고 2개를 구조함.7일 23시간
44분 56초
3STS-51-CDOD)의 매그넘(Magnum) 신호정보 수집 위성 발사.3일 01시간
33분 23초
4STS-51-D통신 위성 2개(LEASAT F3 포함)를 발사함. 최초의 현직 미국 의원인 제이크 가른(Jake Garn) (R–유타주)가 우주로 진출함.6일 23시간
55분 23초
5STS-51-G술탄 살만 알사우드)가 최초의 사우디아라비아 우주비행사가 됨.7일 01시간
38분 52초
6STS-51-I통신 위성 2개(LEASAT F4 포함)를 발사함. LEASAT F3을 회수, 수리 및 재배치함.7일 02시간
17분 42초
7STS-26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참사 이후 재비행, TDRS-3 발사.4일 01시간
00분 11초
8STS-29TDRS-4 발사.4일 23시간
38분 52초
9STS-33국방부 매그넘 신호정보 수집 위성 발사.5일 00시간
06분 49초
10STS-31허블 우주 망원경(HST) 발사.5일 01시간
16분 06초
11STS-41율리시스 발사.4일 02시간
10분 04초
12STS-39국방부 공군 프로그램-675(AFP-675) 위성 발사.8일 07시간
22분 23초
13STS-48상층 대기 연구 위성(UARS) 발사.5일 08시간
27분 38초
14STS-42국제 미소 중력 실험실-1(IML-1).8일 01시간
14분 44초
15STS-53국방부 탑재체.7일 07시간
19분 47초
16STS-56대기 실험실(ATLAS-2).9일 06시간
08분 24초
17STS-51고등 통신 기술 위성(ACTS).9일 20시간
11분 11초
18STS-60첫 번째 우주왕복선-미르 임무; 웨이크 실드 시설(WSF). 최초의 러시아 우주인(세르게이 크리칼레프(Sergei Krikalev))이 미국 우주선에 탑승.09분 22초
19STS-64LIDAR 우주 기술 실험(LITE).10일 22시간
49분 57초
20STS-63미르 우주 정거장과 랑데부. 최초의 여성 우주왕복선 조종사인 에일린 콜린스(Eileen Collins).[15]8일 06시간
29분 36초
21STS-70TDRS-7 발사.8일 22시간
20분 05초
22STS-82허블 우주 망원경(HST) 정비(HSM-2).9일 23시간
38분 09초
23STS-85저온 적외선 분광기 및 망원경(CRISTA).11일 20시간
28분 07초
24STS-91마지막 우주왕복선/미르 도킹 임무.9일 19시간
55분 01초
25STS-95SPACEHAB, 존 글렌의 두 번째 비행 (당시 77세로 최고령 우주인이자 세 번째 현직 의원 우주 비행), 페드로 두케(Pedro Duque)는 최초의 스페인 우주비행사가 됨.8일 21시간
44분 56초
26STS-96최초의 국제 우주 정거장과의 우주왕복선 도킹 임무[15]9일 19시간
13분 57초
27STS-103허블 우주 망원경(HST) 정비(HSM-3A).11분 34초
28STS-92국제 우주 정거장 조립 비행 (Z1 트러스 운반 및 조립); 100번째 우주왕복선 임무.12일 21시간
43분 47초
29STS-102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비행 (탐험 1호 및 탐험 2호)12일 19시간
51분 57초
30STS-105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및 물자 수송 (탐험 2호 및 탐험 3호)11일 21시간
13분 52초
31STS-114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첫 번째 "재비행" 임무; 국제 우주 정거장(ISS) 물자 수송, 새로운 안전 절차 시험 및 평가, 다목적 물류 모듈(MPLM) 라파엘로.13일 21시간
33분 00초
32STS-121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두 번째 "재비행" 임무, STS-114 중 외부 탱크의 발포체 파편에 대한 우려로 인함; 국제 우주 정거장(ISS) 물자 수송, 새로운 안전 및 수리 기술 시험.12일 18시간
37분 54초
33STS-116ISS 승무원 교대 및 조립 (P5 트러스 부분 운반 및 조립); 패드 39-B에서 발사된 마지막 비행;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최초의 야간 발사.
12일 20시간
44분 16초
34STS-120ISS 승무원 교대 및 조립 (하모니 모듈 운반 및 조립).15일 02시간
23분 55초
35STS-124ISS 승무원 교대 및 조립 (키보 JEM PM 모듈 운반 및 조립).13일 18시간
13분 07초
36STS-119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네 번째 우현 트러스 부분(ITS S6)과 네 번째 태양 전지판 및 배터리 세트 조립. 또한 소변을 음용수로 전환하는 시스템의 고장난 장치를 교체함.29분 33초
37STS-128레오나르도 다목적 물류 모듈을 사용한 국제 우주 정거장 승무원 교대 및 ISS 보급. 또한 스티븐 콜베어의 이름을 딴 C.O.L.B.E.R.T 러닝머신을 운반함.13일 20시간
54분 40초
38STS-131레오나르도 다목적 물류 모듈을 사용한 ISS 보급. 이 임무는 네 명의 여성이 우주에 동시 체류한 최초의 사례이자 두 명의 일본 우주인이 우주 정거장에 함께 체류한 최초의 사례임.[32] 이 궤도선의 가장 긴 임무.15일 2시간 47분 11초‡
39STS-1332월 24일 오후 4시 53분 EST에 발사된 이 임무는 영구 다목적 모듈(PMM) 레오나르도, ELC-4 및 로보넛 2를 ISS로 운반함.[33] 디스커버리호의 마지막 비행.12일 19시간
4분 50초



‡ 디스커버리호의 가장 긴 우주왕복선 임무

– 디스커버리호의 가장 짧은 우주왕복선 임무

7. 순항 관리자

순항 관리자(Flow Director)는 우주왕복선의 발사 준비와 착륙 후 처리를 총괄 담당했으며, 우주비행사 승무원이 매 임무마다 바뀌는 동안 우주선 지상팀을 상시 지휘했다.[34] 각 우주왕복선의 순항 관리자는 동일한 우주선을 담당하는 차량 관리자(Vehicle Manager)의 지원을 받았다.[34]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의 순항 관리자는 다음과 같다.


  • 1991년 1월까지: 존 J. "팁" 탈론 주니어(이후 ''인데버''의 순항 관리자)[34]
  • 1991년 1월 – 1992년 9월: 존 C. "크리스" 페어리[34]
  • 1992년 9월 – 1996년 10월: 데이비드 A. 킹[35]
  • 1996년 10월 – 2000년 5월: W. 스콧 실렌토[36]
  • 2000년 12월 – 2011년 3월: 스테파니 S. 스틸슨[37]

참조

[1] 웹사이트 NASAfacts Discovery (OV-103) http://www.nasa.gov/[...] 2010-10-21
[2] 웹사이트 Space Shuttle Overview: Discovery (OV-103) http://www.nasa.gov/[...] NASA
[3] 웹사이트 Most re-used spacecraft https://www.guinness[...] 2024-12-12
[4] 웹사이트 10 Cool Facts About NASA's Space Shuttle Discovery | Space Shuttle Retirement http://www.space.com[...] Space.com 2012-04-18
[5] 웹사이트 Discovery's last mission flight to space begun https://web.archive.[...] 2011-02-24
[6] 웹사이트 Discovery's Final Touchdown A Success https://web.archive.[...] redOrbit.com
[7] 웹사이트 Discovery (OV-103)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How Did the Space Shuttle Discovery Get Its Name? http://www.space.com[...] 2011-02-22
[9] 웹사이트 Part II. Discovery (OV-103) http://www.nasa.gov/[...] NASA.gov
[10] 웹사이트 STS-96 - NASA https://www.nasa.gov[...]
[11] 뉴스 Space Shuttle Discovery Joins the National Collection https://web.archive.[...] 2011-04-12
[12] 웹사이트 Discovery (OV-103) https://web.archive.[...] NASA/KSC
[13] 웹사이트 Tire marks and teardrop tiles: Smithsonian curator on shuttle Discovery at 30 years {{!}} collectSPACE http://www.collectsp[...]
[14] 웹사이트 Space Shuttle Overview: Discovery (OV-103) http://www.nasa.gov/[...] NASA
[15] 뉴스 Space Shuttle Discovery Facts http://www.floridato[...] 2011-04-10
[16] 웹사이트 STS-41D Press Kit https://web.archive.[...] NASA 1984-08
[17] 서적 Space Shuttle Launch System: 1972–2004 Osprey Publishing
[18] 저널 Space Shuttle Discovery lands, for the last time, in Washington, D.C. http://www.csmonitor[...] 2012-04-17
[19] 웹사이트 Consolidated Launch Manifest http://www.nasa.gov/[...] NASA
[20] 웹사이트 NASA sets new launch date targets through to STS-124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1] 웹사이트 Space Shuttle Discovery Lands on Earth After Final Voyage http://www.space.com[...] SPACE.com 2011-03-09
[22] 웹사이트 NASA seeks shuttle suitors: Museums may need to cover the costs for retired orbiters http://www.collectsp[...] collectspace.com
[23] 보도자료 NASA Solicits Ideas for Displaying Retired Space Shuttles and Main Engines http://www.nasa.gov/[...] NASA 2009-12-17
[24] 뉴스 Discovery is Smithsonian's http://www.chron.com[...] 2009-12-07
[25] 웹사이트 NASA Primes Retired Test Shuttle Enterprise For One Last Flight http://www.space.com[...] 2010-03-17
[26] 웹사이트 news – "NASA readies retired test shuttle Enterprise for one last flight" http://www.collectsp[...] collectSPACE 2010-03-15
[27] 뉴스 NYC, L.A., Kennedy Space Center, Smithsonian to get the 4 retired space shuttles http://content.usato[...] 2011-04-12
[28] 웹사이트 Welcome, Discovery! https://web.archive.[...] Smithsonian Air and Space Museum
[29] 웹사이트 Udvar-Hazy Center Getting a 2nd Space Shuttle http://www.nbcwashin[...] NBC Washington 2012-01-24
[30] 뉴스 Space shuttle Discovery lands, ends flying career http://www.sltrib.co[...] 2011-03-09
[31] Youtube STS-133 space shuttle Discovery launches for the final time https://www.youtube.[...] 2011-02-24
[32] 웹사이트 Four Women, Two Japanese in Space at Same Time http://aapress.com/e[...] Asian American Press 2010-04-08
[33] 뉴스 Shuttle Discovery takes off on its final flight http://www.cnn.com/2[...] CNN 2011-02-24
[34] 웹사이트 KSC Names Two Space Shuttle Flow Directors https://web.archive.[...] 1991-01-08
[35] 웹사이트 NASA – KSC Names David King as Shuttle Discovery's Flow Director http://www.nasa.gov/[...]
[36] 웹사이트 KSC Release No. 120-96 http://www-pao.ksc.n[...] 2013-09-08
[37] 웹사이트 Kennedy Biographies http://www.nasa.gov/[...] 2013-06-06
[38] 웹사이트 NASAfacts Discovery (OV-103) http://www.nasa.gov/[...] 2010-10
[39] 웹사이트 The Long Voyage of Discovery http://www.nasa.gov/[...] 2010-10-20
[40] 뉴스 Space shuttle Discovery lands, ends flying career http://www.sltrib.co[...] Associated Press, Salt Lake Tribune 2011-03-09
[41] 웹사이트 最終飛行のディスカバリーが帰還、27年の任務終え退役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1-03-10
[42] 뉴스 退役シャトルの「終の棲家」4カ所発表 初飛行30周年 http://www.asahi.com[...] asahi.com 2011-04-13
[43] 뉴스 スペースシャトル「ディスカバリー」、余生送る博物館に到着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2-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