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TS-12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S-123은 2008년 3월에 발사된 우주왕복선 임무로, 일본 실험 모듈 "키보"의 실험물류모듈 가압부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설치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했다. 이 임무에는 도미닉 고리 사령관을 포함한 6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했으며, 5번의 우주 유영을 통해 덱스터 로봇 팔 조립, ISS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했다. STS-123은 일본의 유인 우주 시설인 키보의 첫 번째 구성 요소 설치, 덱스터 로봇 팔의 활용 등 국제 우주 협력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으며, 16일 14시간 12분 27초의 우주 여행을 마치고 귀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재진입한 우주선 - 선저우 7호
    선저우 7호는 2008년 중국의 유인 우주 임무로, 3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하여 최초로 우주 유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소형 위성 반싱을 방출한 후 귀환 모듈이 내몽골 자치구에 착륙하며 임무를 종료했다.
  • 2008년 재진입한 우주선 - STS-124
    STS-124는 국제우주정거장으로 향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의 임무로, 일본 실험 모듈 '키보'의 가압 모듈 설치, 7명의 승무원, 3회의 우주 유영, 제17차 원정 승무원 교대, 그리고 버즈 라이트이어 액션 피규어의 비행을 포함했다.
  • 2008년 발사한 우주선 - 선저우 7호
    선저우 7호는 2008년 중국의 유인 우주 임무로, 3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하여 최초로 우주 유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소형 위성 반싱을 방출한 후 귀환 모듈이 내몽골 자치구에 착륙하며 임무를 종료했다.
  • 2008년 발사한 우주선 - 찬드라얀 1호
    찬드라얀 1호는 인도의 첫 번째 달 탐사선으로, 달 표면의 고해상도 3차원 지도 및 화학 원소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312일간 임무를 수행하며 달 표면에서 물 분자를 발견하는 등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통신 두절로 임무가 종료되었다.
  • 2008년 3월 -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는 티베트인들의 불만으로 2008년 3월 10일 라싸에서 시작된 시위가 중국 당국의 강경 진압으로 이어진 사건으로, 중국 정부는 폭동으로 규정하고 강경 진압에 나섰으나 티베트 망명 정부는 인권 탄압이라 주장하며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지만 해결책은 요원하다.
  • 2008년 3월 - 2008년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2008년 말레이시아 그랑프리는 2008년 포뮬러 원 시즌의 두 번째 레이스이며, 페라리의 펠리페 마사가 예선에서 폴 포지션을, 키미 래이쾨넨이 결승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STS-123
개요
임무 명칭STS-123
이름우주 수송 시스템-123
STS-123 패치
STS-123 패치
임무 유형ISS 조립
운영자미국 항공우주국 (NASA)
COSPAR ID2008-009A
SATCAT32699
완료 궤도 수250
이동 거리6,577,800 마일 (10,585,834 km)
임무 기간15일, 18시간, 12분, 27초
발사 질량269,767 lb (122,367 kg)
착륙 질량207,582 lb (94,160 kg)
페이로드 질량해당 없음
발사 정보
발사 장소케네디 우주 센터, LC-39A
발사 일자2008년 3월 11일, 06:28:14 UTC
착륙 정보
착륙 일자2008년 3월 27일, 00:40:41 UTC
착륙 장소케네디, SLF 활주로 15
승무원
승무원 수7
승무원도미닉 L. 푸드윌 고리
그레고리 H. 존슨
로버트 L. 벤켄
마이클 포먼
리처드 M. 리네한
도이 다카오
발사 승무원개릿 라이즈먼
착륙 승무원레오폴트 에야르츠
STS-123 승무원 사진
앞줄 (왼쪽부터) 존슨(조종사), 고리(지휘관). 뒷줄 (왼쪽부터) 리네한, 벤켄, 라이즈먼, 포먼, 도이(임무 전문가).
도킹 정보
도킹 대상ISS
도킹 유형도킹
도킹 포트PMA-2 (Harmony forward)
도킹 일자2008년 3월 13일, 03:49 UTC
언도킹 일자2008년 3월 26일, 00:25 UTC
도킹 시간11일, 20시간, 36분
궤도 정보
원지점해당 없음
궤도 기준지구 중심
궤도 영역낮은 지구 궤도
궤도 근지점336 km (209 마일)
궤도 원지점346 km (215 마일)
궤도 주기91.6 분
궤도 경사51.6 도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우주 왕복선 프로그램
이전 임무STS-122
다음 임무STS-124

2. 승무원

STS-123 임무에는 총 7명의 우주비행사가 참여했으며, 사령관, 조종사, 임무 전문가 등의 역할을 맡았다. 이 중 개릿 라이스먼은 국제우주정거장 (ISS)에 남아 원정 16호 임무를 시작했고, 레오폴드 에야르츠는 원정 16호 임무를 마치고 이 임무를 통해 지구로 귀환했다.

자세한 승무원 구성 및 역할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기본 승무원

직책이름국적비행 횟수소속 기관
사령관도미닉 L. 퍼드윌 고리미국4번째이자 마지막
조종사그레고리 H. 존슨미국첫 번째
임무 전문가 1로버트 L. 벤켄미국첫 번째
임무 전문가 2 / 비행 엔지니어마이클 포어먼미국첫 번째
임무 전문가 3리처드 M. 린네한미국4번째이자 마지막
임무 전문가 4도이 다카오일본두 번째이자 마지막JAXA


2. 2. 국제우주정거장 (ISS) 왕복 승무원

발사 시 국제우주정거장 (ISS)에 합류한 승무원과 착륙 시 지구로 귀환한 승무원은 다음과 같다.

  • 발사 시 합류: 개릿 라이스먼 (미국). 첫 번째 우주 비행이었으며, 원정 16호의 비행 엔지니어로 ISS에 합류했다.
  • 착륙 시 귀환: 레오폴드 에야르츠 (프랑스, ESA). 두 번째이자 마지막 우주 비행이었으며, 원정 16호의 비행 엔지니어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귀환했다.

2. 3. 승무원 좌석 배치

좌석[8]발사착륙
좌석 1~4는 비행 갑판에 위치. 좌석 5~7은 중간 갑판에 위치.
1고리
2존슨
3벤켄
4포어먼
5린네한
6도이
7라이스먼에야르츠


3. 주요 임무

우주정거장 처리 시설의 JEM 키보 ELM-PS


STS-123 임무 완료 후 ISS에 설치된 JEM 키보 ELM-PS 및 덱스터


STS-123 임무의 주요 목표는 일본 실험 물류 모듈(ELM-PS)의 가압부와 특수 목적 정교 조작기(SPDM)를 국제 우주 정거장(ISS)으로 운송하는 것이었다.

일본 실험 모듈의 첫 번째 구성 요소인 ELM-PS는 성공적으로 ISS에 전달 및 설치되었다. 이는 일본 최초의 유인 우주 시설인 '키보' 건설의 중요한 단계였다.

캐나다가 개발한 로봇 팔인 특수 목적 정교 조작기, 일명 '덱스터'(Dextre)는 스페이스랩 팔레트(SLP)에 분해된 상태로 실려 운반되었다. ISS 도착 후, 총 세 번의 우주 유영을 통해 성공적으로 조립되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장비와 실험 모듈이 함께 운송되었다. 주요 화물 목록은 다음과 같다.

위치화물질량
1–2번 베이궤도선 도킹 시스템
EMU 3003 / EMU 3004
1800kg
~260kg
3P 베이우주왕복선 전력 분배 장치 (SPDU)~100kg
3S 베이캐나다암2 요 관절336kg
4P 베이MISSE PEC 6a103kg
4S 베이직류 스위칭 장치 (DCSU)363kg
5P 베이MISSE PEC 6b103kg
5S 베이직류 스위칭 장치 (DCSU)363kg
6S 베이표준 인터페이스 패널?
7–8번 베이스페이스랩 팔레트의 덱스터3485kg
9P 베이APC의 ECSH (EVA 화물 보관)~100kg
10–12번 베이키보 ELM-PS8484kg
11S 베이표준 인터페이스 패널?
13P 베이MISSE용 경량 어댑터 평면244kg
13S 베이USAF RIGEX 실험315kg
우현 실궤도선 붐 센서 시스템~450kg
좌현 실캐나다암410kg
총계:16916kg


4. 임무 타임라인

미국 공군의 썬더버드 곡예 비행팀이 NASA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STS-123 발사체를 향해 플라이패스트를 선보이고 있다.


이번 임무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세웠다.

  • ISS에 대한 역대 최장 기간의 우주왕복선 임무
  • NASA의 153번째 유인 우주 비행
  • STS-1 이후 122번째 우주 왕복선 비행
  • ''챌린저호 참사'' 이후 97번째 임무
  • ''컬럼비아호 참사'' 이후 9번째 임무
  • 30번째 야간 발사
  • 케네디 우주 센터 야간 우주 왕복선 착륙 16회, 전체 우주 왕복선 야간 착륙 22회
  • ''엔데버호''의 21번째 발사
  • 귀환 비행 이후 ''엔데버호''의 2번째 임무


비행일은 발사 지역의 시간대와 일치하지 않는 주간-야간 패턴으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들이 경험하는 날짜를 기준으로 한다. 첫 번째 비행일은 우주비행사들이 발사하는 날이다. 2008년 3월 10일(현지 시각) 발사장에서 시작되었으며, 실제 발사는 11일 새벽에 이루어졌고 우주비행사들은 발사 후 몇 시간 후에 잠자리에 들었다. 실제 임무가 3월 11일에 발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NASA는 2008년 3월 10일을 비행 1일차로 간주한다.

4. 1. 발사 (3월 11일, 비행 1일차)

''엔데버''호는 2008년 3월 11일 이른 밤, 케네디 우주 센터의 39번 발사대 A에서 02시 28분 14초 EDT(06시 28분 14초 UTC)에 정시에 발사되었다.

발사 중 플래시 증발 시스템이 주 제어기에서 백업 제어기로 전환되었고, 일부 좌측 제어 추력기에 대한 계측기가 카드 고장으로 인해 손실되었다. 이러한 이상 현상은 임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10]

4. 2. 우주왕복선 검사 (3월 12일, 비행 2일차)

우주왕복선은 우주 정거장에 접근하는 동안, 승무원들은 발사 과정에서 발생했을 수 있는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약 15.24m(15m) 길이의 레이저 팁이 달린 로봇 팔 확장 장치(OBSS)를 사용하여 날개 앞부분과 노즈캡을 정밀하게 검사했다. 이 절차는 2003년 ''컬럼비아'' 참사 이후 모든 우주왕복선 임무에서 표준적으로 수행되었다. 비행 지휘관 마이크 모세스는 승무원들이 지구 관제 센터로 전송한 검사 이미지를 신속하게 검토한 결과, 우려할 만한 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이날 승무원들은 우주왕복선 검사 외에도, 임무 기간 중 계획된 총 5회의 우주 유영 활동을 위해 우주복을 점검하고 준비하는 작업을 진행했으며, 국제우주정거장과의 도킹에 필요한 도구들을 정리했다.[11]

4. 3. 국제우주정거장 도킹 (3월 13일, 비행 3일차)

덱스트레가 실린 팔레트가 모바일 기지 스테이션에 임시로 도킹되어 있다.


엔데버호의 지휘관 도미닉 고리는 우주 정거장과 도킹하기 전에 우주 왕복선의 바닥에 있는 열 타일을 완전히 사진으로 감시하기 위해, 랑데부 피치 기동으로 알려진 360도 회전 기동을 통해 우주 왕복선을 유도했다.[12] 도킹은 03:49 UTC에 이루어졌고, 두 우주선 사이의 해치는 05:36 UTC에 열렸다.[13] 도킹 후 덱스트레를 탑재한 팔레트는 모바일 기지 스테이션(MBS)의 페이로드 ORU 수용(POA) 위치로 캐나담2에 의해 옮겨졌다.

4. 4. 첫 번째 우주 유영 (3월 14일, 비행 4일차)

우주 비행사 린네한이 첫 번째 선외 활동 동안 레이스먼을 향해 "비행"하고 있다.


''키보'' ELM-PS가 ''하모니''에 설치된 모습


우주 유영 임무를 맡은 리처드 린네한과 개릿 레이스먼은 덱스터 설치 작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덱스터를 탑재한 스페이스랩 팔레트의 전원이 켜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14] 지상 관제소의 엔지니어들은 소프트웨어 패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했지만, 이후 덱스터의 임시 전원 케이블 설계 결함이 문제의 원인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5]

한편, 엔데버호에 탑승한 승무원들은 로봇 팔을 이용하여 일본 보급 모듈 - 가압 섹션(JLP)을 엔데버호의 화물칸에서 꺼내 국제우주정거장에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JLP는 협정 세계시(UTC) 기준 08시 06분에 하모니 모듈의 임시 위치에 성공적으로 부착되었다.[16]

4. 5. 일본 실험 모듈 설치 (3월 15일, 비행 5일차)

승무원들은 일본 물류 모듈을 장착하고 우주왕복선 ''인데버''에서 ISS로 물품과 장비를 옮기는 데 시간을 보냈다. 국제 우주 정거장의 캐나다암2 조작 요원들은 협동 로봇 덱스트레(Dextre|덱스트레eng)를 조작하여 한국 시각 3월 15일 오전 10시 59분에 성공적으로 붙잡았다. 캐나다암2는 11분 후 덱스트레의 전원을 성공적으로 켰다. 미션 전문가 릭 린네한과 마이크 포어먼은 미션의 두 번째 우주 유영을 준비하기 위해 국제 우주 정거장의 퀘스트 에어록에서 밤을 보냈다.[17]

4. 6. 두 번째 우주 유영 (3월 16일, 비행 6일차)

비행 6일차인 3월 16일에 STS-123 임무의 두 번째 우주 유영이 진행되었다. 이 우주 유영의 주 목표는 덱스트레 로봇 팔 시스템을 조립하는 것이었다. 임무 전문가인 리처드 린네한과 마이클 포어먼은 총 7시간 8분 동안 우주 유영을 수행했으며, UTC 기준 06:57에 임무를 마쳤다. 우주 유영 도중, 두 우주 비행사는 덱스트레를 운송 중에 고정했던 볼트 두 개를 제거하는 데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겪었다. 이 볼트를 푸는 데 어려움이 있어 결국 지렛대를 사용해야 했다.

같은 날, 국제 우주 정거장과 우주왕복선에 탑승한 다른 승무원들은 일본 보급 모듈 – 가압 섹션을 계속해서 설치하고 준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4. 7. 일본 보급 모듈 장착 (3월 17일, 비행 7일차)

승무원들은 일본 보급 모듈 - 가압 섹션의 장비를 계속 설치하고, 엔데버 우주왕복선에서 보급품과 장비를 이송하는 한편, 모듈 내부에 랙을 구성했다. 승무원들은 로봇 시스템 팔의 브레이크를 시험했다. 팔의 관절 중 하나가 필요한 여유 범위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보였다. 기술자들은 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릭 리네한과 로버트 벤켄은 국제우주정거장의 퀘스트 에어록에서 "야영"(우주 유영 전 감압 절차)을 하는 것으로 하루를 마무리했다.[19]

4. 8. 세 번째 우주 유영 (3월 18일, 비행 8일차)

리처드 린네한과 로버트 벤켄은 협정 세계시 기준 22시 51분에 세 번째 우주 유영을 시작했다. 이 우주 유영은 총 6시간 53분 동안 이어졌다. 두 우주비행사는 덱스터 로봇 팔을 위한 예비 부품 플랫폼, 카메라, 그리고 도구 처리 조립체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또한 덱스터의 끝부분 작동 장치(엔드 이펙터)를 점검하고 보정했으며, 중요한 예비 부품들을 외부 보관 플랫폼에 옮겨 부착했다.

하지만 재료 과학 실험 장치를 콜럼버스 모듈에 부착하려던 계획은 부착 장치(피팅) 문제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 이 작업은 임무 후반에 다시 시도될 예정이었다.[20]

4. 9. 로봇 활동 (3월 19일, 비행 9일차)

이날은 로봇 활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덱스터는 미국 실험실 모듈인 ''데스티니''의 전원 및 데이터 연결 장치에 부착되었다. 캐나다암2는 궤도 전초 기지로 이동하는 동안 덱스터를 고정했던 팔레트를 잡아서, 지구 귀환을 위해 우주왕복선 ''엔데버''의 화물칸으로 다시 옮겼다.

우주 정거장과 우주왕복선 승무원들은 다음 우주 유영에서 사용할 우주왕복선 타일 수리 테스트 장비를 준비하는 한편, 필요한 휴식을 취했다.[21]

4. 10. 휴식 및 인터뷰 (3월 20일, 비행 10일차)

엔데버호와 국제 우주 정거장의 승무원들은 궤도 비행 10일째 되는 날 아침에 휴식 시간을 가졌다. 또한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와 통화하고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 참여했다.

4. 11. 네 번째 우주 유영 (3월 21일, 비행 11일차)

미션 전문가 로버트 L. 벤켄과 마이크 포어먼은 04:28 UTC에 STS-123 임무의 네 번째 우주 유영을 시작하여 6시간 24분 동안 진행했다. 두 우주 비행사는 우주 정거장의 트러스에 있는 고장난 원격 전원 제어 모듈(RPCM, Remote Power Control Module)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이 모듈은 본질적으로 회로 차단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하지만 Z1 트러스에서 전원 커넥터를 분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우주왕복선 안에서는 미션 전문가 릭 린네한이 이들의 활동을 조율했으며, 우주 유영자들은 손상된 내열 타일을 수리하는 기술을 시험했다. 이 시험에서는 '셔틀 타일 절삭 분배기(Tile Repair Ablator Dispenser, T-RAD)'라는 코킹 건과 유사한 도구를 사용하여, 'STA-54'라는 수리 재료를 일부러 손상시킨 단열 타일에 도포했다. 이렇게 수리된 샘플 타일은 지구로 가져와 지상에서 정밀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었다.[23]

4. 12. 우주왕복선 최종 점검 (3월 22일, 비행 12일차)

STS-123 승무원들은 우주왕복선 ''엔데버''의 최종 점검을 수행했다. 왕복선의 로봇 팔과 OBSS를 사용하여, 고리, 존슨, 그리고 도이는 엔데버를 재진입 시 발생하는 열로부터 보호하는 타일에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궤도선의 날개와 노즈 캡을 면밀히 점검했다.

승무원들은 남은 시간 동안 비행 중 마지막으로 예정된 우주 유영을 위해 필요한 도구를 준비하고 관련 절차를 검토하는 데 집중했다. 이 준비 과정에는 벤켄과 포어먼이 우주 정거장의 ''퀘스트'' 에어록에서 표준 절차인 "캠프 아웃"을 하는 것도 포함되었다.

4. 13. 다섯 번째 우주 유영 (3월 23일, 비행 13일차)

마이클 포먼이 OBSS를 고정하는 작업을 돕고 있다.


마이클 포먼과 로버트 벤켄은 6시간 2분 동안 진행된 다섯 번째 우주 유영을 02:36 (UTC)에 완료하였다. 이들은 15m 길이의 검사대(OBSS)를 국제 우주 정거장에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포먼과 벤켄은 검사대에 특수 제작된 긴 전원 코드를 연결하여 향후 두 달간 레이저와 카메라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치한 뒤, 검사대를 우주 정거장 외부에 단단히 고정시켰다.

이 작업을 마친 후, 포먼은 몇 달 동안 태양 전지판 배열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해 온 고장난 회전 관절 부분을 점검했다. 국제 우주 정거장 비행 책임자인 데이나 와이겔은 NASA가 이달 말까지 해당 관절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25]

4. 14. 마지막 공동 작업 (3월 24일, 비행 14일차)

우주왕복선 ''엔데버''호와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승무원들은 마지막 공식 일정을 함께 마쳤다.

우주 비행사들은 오전에 대부분 휴식 시간을 가졌다. 그 후, 승무원들은 ''엔데버''호와 정거장 사이의 장비 및 보급품 이송을 마무리했고, 도킹 해제 및 후속 활동에 필요한 도구들을 챙겼다.

STS-123 및 제16차 탐사대 승무원들은 또한 지구에 있는 언론인들의 질문에 답하는 합동 기자 회견을 열었다.[26]

4. 15. 도킹 해제 (3월 25일, 비행 15일차)

우주왕복선에서 바라본 ISS


엔데버와 국제 우주 정거장 사이의 해치가 21시 49분(UTC)경 닫히면서 12일간의 ISS 체류가 종료되었다. 원래 도킹 해제는 23시 57분(UTC)에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ISS의 태양 전지판에 전송된 명령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킹 해제가 28분 지연되었고, 실제 도킹 해제는 00시 25분(UTC)에 이루어졌다.

4. 16. 귀환 준비 (3월 26일, 비행 16일차)

인데버호의 승무원들은 3월 26일 (비행 16일차) 귀환 준비와 STS-123 임무 종료를 위해 하루를 보냈다. 이른 아침, 승무원들은 궤도선의 재진입 위치를 잡기 위한 추진기와 대기권 비행을 위한 제어면의 테스트를 수행했다.

STS-123 우주비행사들은 또한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인데버호 승무원들과 합류한 미션 전문가 Léopold Eyharts|레오폴드 에야르츠fra를 위해 눕는 자세의 좌석을 설치했다. 이 좌석은 무중력 환경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 사람들에게 중력의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설계된 특별한 좌석이다.[27]

4. 17. 착륙 (3월 27일, 비행 17일차)

''엔데버''가 착륙 후 활주하고 있다. 노란색 불꽃은 우주왕복선의 APU에서 발생하며, 칠흑 같은 밤에도 뚜렷하게 보인다. 우주왕복선에는 충돌 방지등, 항법등, 또는 착륙등이 없었다.


비행 관제사들은 케네디 우주 센터의 우주왕복선 착륙 시설에 좋지 않은 기상 조건 때문에 23:05 UTC (19:05 EDT)로 예정되었던 첫 번째 착륙 시도를 취소했다.[28]

기상 조건은 2008년 3월 27일 00:39 UTC (2008년 3월 26일 20:39 EDT)로 계획된 두 번째 착륙 기회에는 적합했다. 착륙은 우주왕복선 착륙 시설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KSC에서의 16번째 우주왕복선 야간 착륙이자, 전체 우주왕복선 임무 중 22번째 야간 착륙이었다. 이 임무는 야간 발사로 시작된 바 있다.

두 번째 착륙 시도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 주 착륙 장치 접지: 20:39:08 EDT (2008년 3월 27일 00:39:08 UTC)
  • 앞바퀴 접지: 20:39:17 EDT (2008년 3월 27일 00:39:17 UTC)
  • 바퀴 정지: 20:40:41 EDT (2008년 3월 27일 00:40:41 UTC)


이로써 STS-123 승무원은 16일 14시간 12분 27초 동안의 우주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착륙 후 ''엔데버''의 꼬리 날개 양쪽에 있는 히드라진 가스 발생기 APU에서 나오는 배기 가스가 NASA의 가시광선 카메라에 평소보다 더 뚜렷하게 포착되어 일부 관찰자들 사이에서 우려를 낳기도 했다.[29] 그러나 이는 정상적이고 예상된 현상이다. 세 개의 히드라진 가스 발생기 APU는 궤도 이탈 연소 5분 전에 활성화되어 바퀴가 멈춘 후 5분 동안 작동한다. 단일 추진제인 히드라진은 촉매에 의해 분해되어 927°C까지 온도가 올라간다.[30] 이 유압 동력은 하강 중 우주왕복선의 러더, 속도 제어용 브레이크, 승강타, 보디 플랩, 착륙 장치 작동에 필요하며, 상승 중에는 주 엔진 노즐의 짐벌 작동에 사용된다. 각 고체 로켓 부스터에도 노즐 짐벌을 위한 유사한 히드라진 가스 발생기가 두 개씩 있다.

5. 우주 유영

STS-123 비행 중 5번의 우주 유영이 이루어졌다.[31][32] 이 임무 동안의 누적 우주 유영 시간은 33시간 28분이었다.

우주 유영우주 유영 수행자시작 (UTC)종료지속 시간임무
우주 유영 1리처드 M. 린네한
개럿 E. 레이즈먼
2008년 3월 14일
01:18
2008년 3월 14일
08:19
7시간 01분ELM-PS 및 덱스터 조립 설치.
우주 유영 2린네한
마이클 J. 포어먼
2008년 3월 15일
23:49
2008년 3월 16일
06:57
7시간 08분덱스터 조립 (계속).
우주 유영 3린네한
로버트 L. 벤켄
2008년 3월 17일
22:51
2008년 3월 18일
05:44
6시간 53분덱스터 조립 (계속), 착륙을 위해 스페이스랩 물류 팔레트 준비, 예비 캐나다암2 요 연결부 이송, 2개의 예비 직류 스위칭 장치 임무 이송 및 콜럼버스 모듈 외부에 MISSE 6 실험 설치 실패.
우주 유영 4벤켄
포어먼
2008년 3월 20일
22:04
2008년 3월 21일
04:28
6시간 24분원격 전원 제어 모듈 교체 및 타일 수리 재료 테스트. 덱스터 왼손 덮개 제거 및 하모니에 있는 일부 발사 잠금 장치 제거. 하모니의 발사 잠금 장치 해제s 포트 및 하강 공통 계류 기구
우주 유영 5벤켄
포어먼
2008년 3월 22일
20:34
2008년 3월 23일
02:36
6시간 02분우주 정거장에 우주 왕복선 궤도 붐 센서 시스템 보관, ELM-PS 트러니언 덮개 설치, 우현 SARJ에서 5개의 덮개 제거 및 검사 수행, 디지털 사진 촬영, 콜럼버스 모듈 외부에 MISSE 6 실험 성공적으로 설치 및 잔해 수집.


6. 기타

해당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6. 1. 기상 호출 (Wake-up calls)

NASA는 제미니 계획 동안 우주 비행사에게 음악을 틀어주는 전통을 시작했으며, 이는 아폴로 15호 동안 비행 승무원을 깨우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

각 트랙은 특별히 선택되며, 종종 그들의 가족에 의해 선택되고, 일반적으로 승무원의 개별 구성원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거나, 그들의 일상 활동에 적용된다.[33]

비행일노래아티스트/작곡가누구를 위해 재생되었는가링크
2일차"리너스와 루시"빈스 과랄디마이클 포먼
3일차"고질라"블루 오이스터 컬트도이 다카오
4일차"세터데이 나이트"베이 시티 롤러스개릿 레이스먼
5일차"턴! 턴! 턴! (모든 것에는 계절이 있다)"더 버즈릭 린네한
6일차"우리는 친구가 될 거야"더 화이트 스트라이프스로버트 L. 벤켄
7일차"경이의 하나님"케드몬스 콜도미닉 고리
8일차"세상을 공유하며"그레고리 H. 존슨
9일차"호시 츠무기노 우타"히라하라 아야카도이 다카오
10일차"버닝 러브"엘비스 프레슬리마이크 포먼
11일차"블루 스카이"빅 헤드 토드 앤 더 몬스터스릭 린네한
12일차"엔터 샌드맨"메탈리카로버트 L. 벤켄
13일차"아이 러브드 허 퍼스트"하트랜드도미닉 고리
14일차"나는 자유다"Friendswood United Methodist Church마이크 포먼
15일차"홈"도이 유코도이 다카오
16일차"컨 테 파르티로"안드레아 보첼리레오폴드 에이하르츠
17일차"드롭스 오브 주피터"Train그레고리 H. 존슨


6. 2. 비상 대응 임무 (Contingency mission)

STS-324는 우주왕복선 ''엔데버''가 STS-123 임무 중 사용 불능 상태가 될 경우를 대비한 비상 수송 임무의 명칭이다.[34] 이 임무는 STS-124 임무 계획을 수정한 것으로, 원래 계획보다 발사 일정이 앞당겨졌을 것이다. 이 비상 임무의 승무원은 STS-124 전체 승무원 중 4명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34]

참조

[1] 웹사이트 Space Shuttle STS-123 http://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8-01-26
[2] 웹사이트 Space Shuttle Lands Safely After Construction Marathon http://www.space.com[...] Space.com 2008-03-26
[3] 웹사이트 Crew Equipment Interface Test (CEIT) for Kibo http://iss.jaxa.jp/e[...]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2007-08-27
[4] 웹사이트 Endeavour rolls to VAB http://www.nasaspace[...] NASA Spaceflight.com 2008
[5] 웹사이트 Endeavour Headed To Launch Pad Feb. 18 http://www.aviationw[...] Aviation Week 2008
[6] 웹사이트 NASA's Space Shuttle Endeavour to Move to Launch Pad Monday http://www.nasa.gov/[...] NASA 2008
[7] 웹사이트 Space Shuttle Endeavour Arrives at Launch Pad, Countdown Test Set http://www.nasa.gov/[...] NASA 2008
[8] 웹사이트 STS-123 http://spacefacts.de[...] Spacefacts 2024-04-25
[9] 뉴스 Mission Quick-Look 1 http://www.cbsnews.c[...] CBS 2008-02-24
[10] 웹사이트 STS-123 Shuttle Report, Mission Status Center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2010-08-22
[11] 웹사이트 Endeavour set to dock at station http://archive.colum[...] Archive.columbiatribune.com 2008-03-12
[12] 뉴스 Endeavour's astronauts to begin spacewalk http://www.cnn.com/2[...] 2008-03-21
[13] 웹사이트 STS-123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05 http://www.nasa.gov/[...] NASA 2008-03-13
[14] 웹사이트 STS-123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06 http://www.nasa.gov/[...] NASA 2008-03-13
[15] 뉴스 Space station's new robot on blink http://www.cnn.com/2[...] 2008-05-21
[16] 웹사이트 STS-123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07 http://www.nasa.gov/[...] NASA 2008-03-14
[17] 웹사이트 Astronauts Enter JLP, Prepare for Spacewalk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18] 웹사이트 Crew Assembles Dextre During Second Spacewalk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19] 웹사이트 Astronauts Continue Outfitting JLP Today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20] 뉴스 Astronauts outfit robot with tool belt, cameras http://edition.cnn.c[...] 2008-03-19
[21] 웹사이트 Dextre Moved to Destiny Lab, Crew Enjoys Time Off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22] 웹사이트 Astronauts Prepare for Fourth Spacewalk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23] 웹사이트 Endeavour Crew Tests Repair Method, Prepares for Inspection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24] 웹사이트 Astronauts Prepare for Final STS-123 Spacewalk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25] 뉴스 Endeavour crew rests before trip home https://news.yahoo.c[...] 2008-03-24
[26] 웹사이트 Crews End Last Full Day Together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27] 웹사이트 STS-123 Continues Landing Preparations http://www.nasa.gov/[...] Nasa.gov 2010-08-18
[28] 웹사이트 NASA's STS-123 Landing Blog http://www.nasa.gov/[...] Nasa.gov 2010-05-26
[29] 웹사이트 STS-123 Shuttle Report, Shuttle Endeavour returns from space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30] 웹사이트 Hydrazine Gas Generator performance on Space Shuttle http://pdf.aiaa.org/[...]
[31] 뉴스 All Aboard for STS-123: The Station Goes Global http://www.nasa.gov/[...] Johnson Space Center 2008-01-29
[32] 웹사이트 NASA Sets Briefings to Preview March Space Shuttle Mission, STS-123 http://www.nasa.gov/[...] NASA 2008-01-29
[33] 뉴스 Chronology of Wakeup Calls https://history.nasa[...] NASA 2007-06-25
[34] 뉴스 NASA sets new launch date targets through to STS-124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 2007-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