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TS-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S-9는 1983년 11월 28일 발사된 우주왕복선 컬럼비아의 임무로, 6명의 승무원이 탑승하여 당시 우주왕복선 임무 사상 최다 인원을 기록했다. 주요 임무는 NASA와 유럽 우주국(ESA)의 공동 프로그램인 스페이스랩 1을 활용한 과학 실험 수행이었으며, 72개의 과학 실험이 진행되었다. 이 임무는 아마추어 무선 통신을 우주에서 최초로 시도하고, 당시 최장 기간인 10일 동안 진행되어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나, 비행 제어 컴퓨터 고장 및 착륙 전 보조 동력 장치 화재 등의 기술적 문제도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과학 - STS-8
    STS-8은 챌린저호의 8번째 임무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우주비행사 기온 블루포드의 참여, INSAT-1B 위성 배치, 과학 실험 수행, 그리고 챌린저호의 첫 야간 발사 및 착륙을 기록했지만, 비행 후 안전 분석에서 부식 및 손상 문제가 발견되었다.
  • 1983년 과학 - STS-6
    STS-6는 1983년 챌린저호의 첫 비행으로, 경량 외부 탱크와 고체 로켓 부스터 케이싱을 사용하고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최초로 우주 유영을 수행했으며 추적 및 데이터 중계 위성(TDRS-1)을 궤도에 배치하는 임무였다.
  • 1983년 발사한 우주선 - IRAS
    IRAS는 1983년에 발사되어 적외선 파장으로 하늘의 96%를 매핑하고 약 35만 개의 천체를 발견한 최초의 적외선 전천 탐사 관측소로, 헬륨 고갈로 10개월 만에 임무가 종료되었지만 소행성 3200 파에톤과 6개의 혜성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천체를 발견했으며 이후 WISE, NEOWISE 등의 후속 임무로 이어졌다.
  • 1983년 발사한 우주선 - STS-8
    STS-8은 챌린저호의 8번째 임무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우주비행사 기온 블루포드의 참여, INSAT-1B 위성 배치, 과학 실험 수행, 그리고 챌린저호의 첫 야간 발사 및 착륙을 기록했지만, 비행 후 안전 분석에서 부식 및 손상 문제가 발견되었다.
  • 존 영 (우주비행사) - 제미니 10호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70시간 10분간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했다.
  • 존 영 (우주비행사) - 제미니 3호
    제미니 3호는 1965년 3월 23일 발사된 제미니 계획 최초의 유인 우주선으로, 4시간 52분간 비행하며 궤도 변경 시험 등을 수행하고 플로리다 반도 인근 대서양에 착수했다.
STS-9
기본 정보
"컬럼비아의 화물칸 모습. 스페이스랩이 보인다."
임무 명칭우주왕복선-9
다른 이름스페이스랩 1
임무 유형미세 중력 연구
운영 기관NASA
총 임무 기간1983년 11월 28일, 11:00:00 ~ 1983년 12월 8일, 23:47:24 (10일, 12시간, 47분, 24초)
총 이동 거리6,913,504 km
총 궤도 회전 수167
발사 질량112,918 kg
착륙 질량99,800 kg
탑재 질량15,068 kg
발사 날짜1983년 11월 28일, 16:00:00 UTC (11:00 EST)
발사 장소케네디, LC-39A
발사 계약자록웰 인터내셔널
착륙 날짜1983년 12월 8일, 23:47:24 UTC (15:47:24 PST)
착륙 장소에드워즈, 활주로 17
승무원 수6
승무원존 영
브루스터 H. 쇼
로버트 A. 파커
오웬 개리오트
바이런 K. 리히텐베르크
울프 메르볼트
궤도 기준지구 중심 궤도
궤도 종류저궤도
궤도 근지점240 km
궤도 원지점253 km
궤도 경사57.00°
궤도 주기89.50 분
궤도 정보 출처gee
STS-9 임무 휘장
왼쪽부터: 개리오트, 리히텐베르크, 쇼, 영, 메르볼트, 파커
프로그램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이전 임무STS-8
다음 임무STS-41-B (10)

2. 승무원

STS-9 미션에는 총 6명의 승무원이 참여했으며, 이는 당시 우주왕복선 임무 사상 최다 인원이었다. 승무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


  • 선장: 존 영 (6번째 비행)
  • 조종사: Brewster H. Shaw|브루스터 쇼영어 (1번째 비행)
  • 임무 전문가 1: 오웬 개리엇 (2번째 비행)
  • 임무 전문가 2: Robert A. Parker|로버트 A. 파커영어 (1번째 비행)
  • 페이로드 스페셜리스트 1: 울프 메르볼트 (ESA 소속, 1번째 비행)
  • 페이로드 스페셜리스트 2: Byron K. Lichtenberg|바이런 리히텐버그영어 (1번째 비행)


ESA 소속 웁보 오켈스는 탑재체 전문가 1의 백업 승무원이었고, Michael Lampton|마이클 램프턴영어는 탑재체 전문가 2의 백업 승무원이었다.

2. 1. 기본 승무원

역할이름소속비고
선장존 영USA|미국영어6번째이자 마지막 비행
조종사Brewster H. Shaw|브루스터 H. 쇼영어USA|미국영어첫 번째 비행
임무 전문가 1오웬 개리엇USA|미국영어두 번째이자 마지막 비행
임무 전문가 2
(비행 엔지니어)
Robert A. Parker|로버트 A. 파커영어USA|미국영어첫 번째 비행
탑재체 전문가 1울프 메르볼트GER|독일de ESA 소속첫 번째 비행
탑재체 전문가 2Byron K. Lichtenberg|바이런 K. 리히텐버그영어USA|미국영어첫 번째 비행


2. 2. 백업 승무원

ESA 소속 우보 오켈스(Wubbo Ockels)는 탑재체 전문가 1의 백업 승무원이었다. 마이클 램프턴(Michael Lampton)는 탑재체 전문가 2의 백업 승무원이었다.

2. 3. 지원 승무원

역할이름
입장 담당 캡콤존 E. 블라하
프랭클린 R. 창디아스
메리 L. 클리브
안나 L. 피셔
윌리엄 F. 피셔
상승 담당 캡콤가이 S. 가드너
마셜 캡콤찰스 루이스
마셜 캡콤윌리엄 복
브라이언 D. 오코너
우보 오켈스


2. 4. 좌석 배치

좌석 1–4는 비행 갑판에, 좌석 5–7은 중간 갑판에 있다.[3]

좌석발사착륙
1
2
3미사용미사용
4파커파커
5개리엇개리엇
6리히텐버그리히텐버그
7메르볼트메르볼트


3. 미션 배경

STS-9 미션은 NASA와 유럽 우주국(ESA)의 공동 프로젝트인 스페이스랩 1호를 궤도에 운반하고, 우주 공간에서 다양한 과학 실험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미션은 국제 협력을 통해 우주 개발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과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 기여했다. 특히, ESA가 스페이스랩 1호의 자금을 제공하여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

이 임무에는 당시 최다 인원인 6명의 승무원이 참여했다. 사령관은 존 W. 영이었고, 조종사는 브루스터 H. 쇼였다. 미션 전문가로는 오웬 K. 개리엇과 로버트 A. 파커가, 페이로드 전문가로는 바이런 K. 리첸버그와 울프 메르볼트가 참여했다. 특히 메르볼트는 서독 국적의 우주비행사로, 우주 왕복선에 탑승한 최초의 외국인이었다. 리첸버그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연구원이었다.[1]

STS-9 미션은 우주 왕복선 고체 연료 보조 로켓 노즐 문제로 발사가 한 달 연기되어 1983년 11월 28일 오전 11시(EST)에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노즐을 교체하기 위해 우주 왕복선 조립동으로 기체를 다시 옮겨야 했다.[1]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STS-9 발사


오웬 개리엇은 이 비행 중에 역사상 최초로 우주에서 아마추어 무선 통신을 시도했다. 이후, 교육 목적 및 백업 통신 수단으로 우주에서의 아마추어 무선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었다.[1]

4. 셔틀 처리 과정

1982년 11월, 컬럼비아는 STS-5 임무를 마치고 귀환한 후, STS-9 임무를 위해 여러 가지 개조 및 변경 작업을 거쳤다. 이러한 변경 사항 대부분은 스페이스랩 모듈과 승무원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랩을 궤도선의 에어록에 연결하는 터널을 추가하고, 승무원 6명을 위한 갤리, 침대 등을 설치했다. 또한, 컬럼비아는 챌린저에서 처음 도입된 보다 강력한 우주왕복선 주 엔진을 장착했는데, 이 엔진은 최대 추력 104%로 평가되었다. 원래 장착되어 있던 주 엔진은 나중에 당시 건설 중이던 아틀란티스에 사용하기 위해 재정비되었다. 덧붙여, 우주왕복선에는 추적 및 데이터 중계 위성(TDRS)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고용량 연료 전지 및 Ku 밴드 안테나가 추가되었다.[4]

1983년 10월 29일로 예정되었던 임무 발사일은 오른쪽 고체 로켓 부스터(SRB)의 배기 노즐 문제로 인해 연기되었다.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왕복선은 우주선 조립 건물(VAB)로 되돌려져 분해되었고, 궤도선은 궤도선 처리 시설(OPF)로 반환되었으며, 문제가 된 부스터는 수리를 받았다. 우주왕복선은 다시 조립되어 1983년 11월 8일에 발사대로 복귀했다.[4][5][6]

5. 발사 시도

STS-9 임무는 원래 1983년 10월 29일 정오에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우주 왕복선 고체 연료 보조 로켓(SRB) 노즐 문제로 인해 1983년 10월 19일에 발사가 취소되었다. 이 문제로 인해 컬럼비아 호는 노즐 교체를 위해 우주 왕복선 조립동으로 다시 옮겨져야 했다.

결국 STS-9 임무는 한 달 연기되어 1983년 11월 28일 오전 11시(EST)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날짜시각(EST)결과사유
1983년 10월 29일12:00:00 (정오)취소우주 왕복선 고체 연료 보조 로켓 노즐 문제
1983년 11월 28일11:00:00 (오전)성공-



6. 미션 요약



STS-9는 1983년 11월 28일 오전 11시(동부 표준시)에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7] 우주왕복선 승무원은 임무 기간 동안 12시간씩 교대 근무를 하는 두 팀으로 나뉘었다. 존 영, 로버트 파커, 울프 메르볼트는 레드 팀, 브루스터 H. 쇼, 오웬 개리엇, 바이런 K. 리히텐버그는 블루 팀이었다. 보통 영과 쇼는 비행 갑판에 배치되었고, 미션 및 탑재체 전문가는 스페이스랩 내부에서 근무했다.

대기 및 플라즈마 물리학, 천문학, 태양 물리학, 재료 과학, 기술, 우주 생물학, 지구 관측 등 여러 분야에서 72개의 과학 실험이 수행되었다. 스페이스랩에서의 실험은 매우 성공적이어서 임무 기간이 하루 연장되어 총 10일 동안 진행되었는데, 이는 당시 최장 기간의 우주왕복선 비행이었다. 오웬 개리엇은 비행 중 우주에서 햄 무선 통신을 한 최초의 아마추어 무선 통신사였다. 이는 이후 교육 및 백업 통신 도구로 아마추어 무선 통신을 통합한 많은 우주 비행으로 이어졌다.

스페이스랩 1 미션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POCC와 협력하여 탑재체 전문가로 훈련받은 비 NASA 인원이 우주에서 복잡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당시 완전 가동 중인 TDRS-1 위성은 지상 터미널을 통해 POCC로 상당한 양의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었다.

7. 미션 성과

STS-9 미션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스페이스랩 1을 활용하여 대기 및 플라즈마 물리학, 천문학, 태양 물리학, 재료 과학, 기술, 우주 생물학, 지구 관측 분야에서 72개의 과학 실험을 수행했다.[7] 실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임무 기간이 하루 연장되어 총 10일이 되었고, 이는 당시 최장 기간의 우주왕복선 비행이었다.

이 미션을 통해 POCC와 협력하여 탑재체 전문가로 훈련받은 비 NASA 인원이 우주에서 복잡한 실험을 수행하는 개념이 실현 가능함을 입증했다. TDRS-1 위성은 지상 터미널을 통해 POCC로 상당한 양의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었다.[7]

오웬 개리엇은 비행 중 우주에서 아마추어 무선 통신을 한 최초의 아마추어 무선 통신사였다.[7] 이는 교육 및 백업 통신 도구로 아마추어 무선 통신을 통합한 많은 후속 우주 비행으로 이어졌다.

8. 기술적 문제 및 사고

우주선의 방향 조정 중, 재진입 4시간 전에 비행 제어 컴퓨터 중 하나가 반작용 제어 시스템(RCS) 추력기가 작동했을 때 다운되었다.[7] 몇 분 후, 두 번째 컴퓨터도 유사한 방식으로 다운되었지만 성공적으로 재부팅되었다.[7] 이 문제로 인해 재진입이 8시간 연기되었다.[9][10] 존 영은 착륙을 연기하고 우주선이 표류하도록 내버려 두었다. 그는 나중에 "만약 우리가 백업 비행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했다면, 우주선과 승무원의 손실이 발생했을 것입니다."라고 증언했다.[7] 비행 후 분석 결과, GPC (범용 컴퓨터)가 RCS 추력기 움직임으로 인해 납땜 조각이 떨어져 CPU 보드가 단락되면서 고장난 것으로 밝혀졌다.[7]

''컬럼비아''는 1983년 12월 8일 오후 3시 47분 24초에 PST 기준으로 에드워드 공군 기지의 활주로 17에 착륙했다. 착륙 직전에, 우주왕복선의 보조 동력 장치(APU) 세 개 중 두 개에서 하이드라진 누출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지만,[11] 우주선은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누출은 나중에 자체적으로 소멸되어 격실에 큰 손상을 입힌 후에 발견되었다.

9. 착륙 및 귀환

컬럼비아 호는 1983년 12월 8일 오후 3시 47분 24초(PST영어)에 에드워드 공군 기지의 활주로 17에 착륙했다.[7] 167번 궤도를 돌았으며, 임무 기간 동안 6900000km를 이동했다. 착륙 직전 우주왕복선의 APU 3개 중 2개에서 하이드라진 누출로 화재가 발생했지만, 우주선은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컬럼비아 호는 1983년 12월 15일에 KSC로 다시 수송되었다. 이후 누출은 자체적으로 소멸되어 격실에 큰 손상을 입힌 후에 발견되었다.

10. 미션 휘장

STS-9 미션 휘장에는 주요 탑재체인 스페이스랩 1이 컬럼비아 호의 페이로드 베이에 묘사되어 있다. 휘장에 있는 9개의 별과 궤도선의 경로는 이 비행의 임무 번호 STS-9를 나타낸다.[1]

참조

[1] 웹사이트 Fun facts about STS numbering http://enterfiringro[...] 2010-05-27
[2] 웹사이트 Ulf Merbold http://www.esa.int/O[...]
[3] 웹사이트 STS-9 http://spacefacts.de[...] Spacefacts 2014-02-26
[4] 웹사이트 STS-9 Press Kit http://www.shuttlepr[...] NASA 2013-04-26
[5] 서적 The voyages of Columbia: the first true spaceship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Shuttle Rollbacks http://www.nasa.gov/[...] NASA 2013-04-26
[7] 웹사이트 Space Shuttle DATA PROCESSING SYSTEM Manual; Interior of the Flight Deck of the Space Shuttles http://www.spaceshut[...]
[8] 웹사이트 "Fun facts about STS numbering" http://enterfiringro[...] 2022-01-25
[9] 웹사이트 Spaceflight mission report: STS-9 http://www.spacefact[...] 2022-01-28
[10] 웹사이트 Did We Almost Lose Columbia at the End of STS-9? https://forum.nasasp[...] 2022-01-28
[11] 웹사이트 35 Years Ago, STS-9: The First Spacelab Science Mission http://www.nasa.gov/[...] 2018-11-27
[12] 웹사이트 Fun facts about STS numbering http://enterfiringro[...] 2010-05-27
[13] 웹인용 Ulf Merbold http://www.esa.in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