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S-8은 1983년 8월 30일에 발사된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여덟 번째 임무이다. 5명의 승무원이 탑승했으며, 기온 블루포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최초의 우주 비행사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주요 임무는 인도 우주 연구 기구의 INSAT-1B 위성을 궤도에 배치하는 것이었으며, 페이로드 비행 테스트 기사(PFTA)를 사용하여 우주 비행사의 시스템 사용 경험을 돕기 위한 실험도 진행되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과학 실험과 기술 테스트가 수행되었으며, 챌린저호는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최초의 야간 착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과학 - STS-6
STS-6는 1983년 챌린저호의 첫 비행으로, 경량 외부 탱크와 고체 로켓 부스터 케이싱을 사용하고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최초로 우주 유영을 수행했으며 추적 및 데이터 중계 위성(TDRS-1)을 궤도에 배치하는 임무였다. - 1983년 과학 - STS-9
STS-9는 1983년 11월 28일에 발사된 우주왕복선 컬럼비아의 임무로, 스페이스랩 1을 활용한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아마추어 무선 통신을 최초로 시도했으며, 6명의 승무원이 탑승하여 10일 동안 진행되었으나 기술적 문제도 발생했다. - 1983년 발사한 우주선 - IRAS
IRAS는 1983년에 발사되어 적외선 파장으로 하늘의 96%를 매핑하고 약 35만 개의 천체를 발견한 최초의 적외선 전천 탐사 관측소로, 헬륨 고갈로 10개월 만에 임무가 종료되었지만 소행성 3200 파에톤과 6개의 혜성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천체를 발견했으며 이후 WISE, NEOWISE 등의 후속 임무로 이어졌다. - 1983년 발사한 우주선 - STS-7
STS-7은 1983년 챌린저 우주왕복선에 의해 발사된 임무로, 미국 여성 최초의 우주 비행사 샐리 라이드를 포함한 5명의 우주 비행사가 참여하여 위성 배치 및 다양한 실험을 수행했다. - 1983년 우주 개발 - 존 영 (우주비행사)
존 영은 미국의 해군 장교이자 시험 비행 조종사이자 NASA 우주비행사로, 제미니, 아폴로, 우주 왕복선 계획에 모두 참여한 유일한 인물이며 아폴로 16호에서는 달 표면을 밟고 STS-1을 지휘하는 등 총 6번의 우주 비행을 했다. - 1983년 우주 개발 - IRAS
IRAS는 1983년에 발사되어 적외선 파장으로 하늘의 96%를 매핑하고 약 35만 개의 천체를 발견한 최초의 적외선 전천 탐사 관측소로, 헬륨 고갈로 10개월 만에 임무가 종료되었지만 소행성 3200 파에톤과 6개의 혜성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천체를 발견했으며 이후 WISE, NEOWISE 등의 후속 임무로 이어졌다.
STS-8 | |
---|---|
미션 정보 | |
명칭 | STS-8 |
목록 | 우주 수송 시스템-8 |
![]() | |
미션 유형 | 통신 위성 배치 |
운영자 | NASA |
미션 기간 | 6일, 1시간, 8분, 43초 |
완료 궤도 | 98 |
승무원 수 | 5 |
승무원 | 리처드 트룰리 대니얼 브랜든스타인 기온 블루포드 데일 가드너 윌리엄 E. 손턴 |
발사 날짜 | UTC (오전 2:32EDT) |
발사 장소 | 케네디, LC-39A |
발사 계약자 | 록웰 인터내셔널 |
착륙 날짜 | UTC (오전 12:40:43PDT) |
착륙 장소 | 에드워즈, 활주로 22 |
궤도 기준 | 지구 중심 궤도 |
궤도 영역 | 저궤도 |
궤도 경사 | 28.51° |
궤도 주기 | 90.60분 |
궤도 장반축 | gee |
장비 | 산소와 물질의 상호 작용 평가 고용량 열 파이프 시연 |
![]() | |
![]() | |
프로그램 | 우주 왕복선 프로그램 |
이전 미션 | STS-7 |
다음 미션 | STS-9 |
2. 승무원
STS-8 임무에는 리처드 H. 트룰리, 대니얼 브란덴스타인, 기온 블루포드, 데일 가드너, 윌리엄 E. 손턴까지 총 5명의 우주비행사가 참여했다.[1]
2. 1. 구성
이 임무에는 3명의 임무 전문가를 포함하여 5명의 승무원이 탑승했다. 이 임무는 5명의 승무원을 태운 두 번째 임무(STS-7 이후)였으며, 당시까지 단일 우주선이 탑승한 최대 인원이었다.[1] 이 승무원은 기온 블루포드가 참여하여 우주 비행에 참여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다.[2]사령관 트룰리는 1981년 STS-2에서 조종사로 비행했으며 1977년 ''엔터프라이즈''에 탑승하여 두 차례의 접근 및 착륙 시험(ALT)에 참여한 유일한 베테랑 우주비행사였다. 브란덴스타인, 가드너, 블루포드는 모두 1978년에 채용되었으며 1979년부터 임무를 위해 훈련을 받았다.[3] 이 임무는 원래 4명의 승무원으로 계획되었으며, 1982년 12월에 손턴이 세 번째 임무 전문가로 승무원에 추가되었다. 이는 승무원이 원래 지정된 지 8개월 후였다.[4] 트룰리와 마찬가지로 그는 1967년에 NASA에 합류한 아폴로 시대의 신규 채용자였다.[5] 그의 임무 참여에는 "우주 멀미"로 더 잘 알려진 우주 적응 증후군과 관련된 생리적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일련의 테스트가 포함되었다.
우주왕복선에는 우주 유영의 경우를 대비하여 두 개의 우주복 (EMU)이 탑재되었다. 필요한 경우 트룰리와 가드너가 사용할 것이다.
역할 | 우주비행사 |
---|---|
사령관 | 리처드 H. 트룰리 (2) |
조종사 | 대니얼 브란덴스타인 (1) |
임무 전문가 1 | 기온 블루포드 (1) |
임무 전문가 2 비행 엔지니어 | 데일 가드너 (1) |
임무 전문가 3 | 윌리엄 E. 손턴 (1) |
(괄호 안의 숫자는 우주 비행 횟수)
2. 2. 특징
이 임무에는 3명의 임무 전문가를 포함하여 5명의 승무원이 탑승했다. 이 임무는 STS-7에 이어 5명의 승무원을 태운 두 번째 임무였으며, 당시까지 단일 우주선에 탑승한 최대 인원이었다.[1] 기온 블루포드가 참여하여 우주 비행에 참여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다.[2]사령관 트룰리는 1981년 STS-2에서 조종사로 비행했으며, 1977년 ''엔터프라이즈''에 탑승하여 두 차례의 접근 및 착륙 시험(ALT)에 참여한 유일한 베테랑 우주비행사였다. 브란덴스타인, 가드너, 블루포드는 모두 1978년에 채용되었으며 1979년부터 임무를 위해 훈련을 받았다.[3] 이 임무는 원래 4명의 승무원으로 계획되었으며, 1982년 12월에 손턴이 세 번째 임무 전문가로 승무원에 추가되었는데, 이는 승무원이 원래 지정된 지 8개월 후였다.[4] 트룰리와 마찬가지로 손턴은 1967년에 NASA에 합류한 아폴로 시대의 신규 채용자였다.[5] 그의 임무 참여에는 "우주 멀미"로 더 잘 알려진 우주 적응 증후군과 관련된 생리적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일련의 테스트가 포함되었다. 이는 우주왕복선 임무 중에 우주비행사들이 우주 멀미에 굴복함에 따라 NASA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우주왕복선에는 우주 유영의 경우를 대비하여 두 개의 우주복(EMU)이 탑재되었다. 필요한 경우 트룰리와 가드너가 사용할 예정이었다.
2. 3. 좌석 배치
좌석[6] | 발사 | 착륙 |
---|---|---|
좌석 1–4는 비행 갑판에 있다. 좌석 5–7은 중간 갑판에 있다. | ||
1 | 리처드 H. 트룰리 | 리처드 H. 트룰리 |
2 | 대니얼 브란덴스타인 | 대니얼 브란덴스타인 |
3 | 기온 블루포드 | 기온 블루포드 |
4 | 데일 가드너 | 데일 가드너 |
5 | 윌리엄 E. 손턴 | 윌리엄 E. 손턴 |
6 | 미사용 | |
7 | 미사용 |
2. 4. 지원 승무원
- 존 E. 블라하
- 메리 L. 클리브
- 윌리엄 F. 피셔
- 제프리 A. 호프먼
- 브라이언 D. 오코너 (상승 CAPCOM)
- 리처드 트룰리 (2) - 선장
- 대니얼 브란덴스타인(1) - 조종사
- 데일 가드너(1) - 미션 스페셜리스트(MS)
- 기온 블루포드(1) - MS
- 윌리엄 E. 손턴(1) - MS
(괄호 안의 숫자는 우주 비행 횟수)
3. 임무 계획 및 페이로드
1982년 4월, STS-8 임무는 1983년 7월로 예정되어 4명의 승무원이 3일간 INSAT-1B와 NASA 통신 중계 위성 TDRS-B를 발사할 계획이었다.[7] 그러나 STS-6 임무에서 TDRS-A를 배치하는 데 사용된 관성 상단 (IUS) 문제로 1983년 5월 TDRS는 비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되었고, 페이로드 비행 테스트 기사(PFTA)로 대체되었다.[8] IUS 재개발 후, TDRS-B는 STS-51-L 임무에 포함되었지만, 1986년 1월 발사 실패로 우주왕복선 ''챌린저''와 승무원들과 함께 손실되었다.[9]
STS-8 임무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험 장비 및 페이로드가 포함되었다.
- 개발 비행 계측 장치(DFI) 팔레트: 궤도선과 페이로드의 구조 재료와 주변 원자 산소의 상호 작용 연구, 미래 우주선의 열 제거 시스템용 히트 파이프 성능 테스트 실험을 수행했다.[14]
- 4개의 게터웨이 스페셜(GAS) 페이로드:
- 전자 장비에 대한 우주선의 영향 연구
- 자외선 흡수 측정을 이용한 궤도선 주변 가스 환경 영향 연구 (스페이스랩 2용 자외선 장비 전조)
- 일본 아사히 신문 후원으로 수증기를 이용한 눈 결정 생성 실험 (이전 STS-6 실험 실패 후 재설계)
- STS-3 실험과 유사하게 탄소 및 오스뮴 웨이퍼의 산화 속도 측정을 통한 원자 산소 주변 수준 연구[15]
- 미국 우편 서비스(USPS) 협력 우편 엽서: 260,000개의 우편 엽서에 9.35달러 특급 우편 요금 우표를 부착하여 수집가에게 판매하고, 수익금은 USPS와 NASA가 분배했다.[16]
- 연속 흐름 전기 영동 시스템: 전기장을 통해 생물학적 물질 용액을 분리하는 실험으로, 당뇨병 치료 연구를 지원했다 (네 번째 비행).[17]
- 쥐 우리: 6마리의 쥐를 수용했으며, 비행 중 동물 실험은 수행되지 않았지만 향후 임무를 위한 학생 참여 프로젝트가 계획되었다.[18]
- 윌리엄 E. 손튼의 생체 피드백 기술 실험: 무중력에서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학생 참여 프로젝트였다.[18]
- 사진 실험: 궤도선 주변에서 보고된 발광 대기 광선의 스펙트럼을 연구하고, 이것이 반작용 제어 시스템(RCS) 발사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확인했다.[19]
또한, STS-6에서 배치된 TDRS-1 위성을 이용한 테스트와 암호화된 전송 장비 테스트도 예정되어 있었다.[20][21]
3. 1. INSAT-1B

STS-8 임무의 주요 페이로드는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가 운영할 예정인 다목적 기상 및 통신 위성 INSAT-1B였다.[10] 이 위성은 1982년 4월 델타 발사체로 발사되었으나, 반작용 제어 시스템 (RCS) 고장으로 곧 가동이 중단된 INSAT-1A의 후속 위성이었다.[10] INSAT-1B는 우주왕복선의 페이로드 베이 후방에 탑재되었으며, 궤도선에서 분리된 후 고체 로켓 상단인 페이로드 보조 모듈 (PAM-D)에 의해 정지 천이 궤도 (GTO)로 보내졌다.[10] 상단을 포함한 위성의 총 질량은 3377kg였고, 크레이들은 1102kg의 질량을 가졌으며,[11] 약 5천만 달러의 비용이 들었다.[12]
3. 2. 페이로드 비행 테스트 기사 (PFTA)

페이로드 비행 테스트 기사(PFTA)는 1982년 4월 계획에서 STS-16에 1984년 6월 발사될 예정이었으나,[7] 1983년 5월 STS-11로 앞당겨졌다. 같은 달 TDRS 임무가 연기되면서 페이로드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STS-8로 앞당겨졌다. PFTA는 6m 길이의 중앙 차축이 있는 두 개의 바퀴 모양 알루미늄 구조로, 총 질량이 3855kg가 되도록 납으로 밸러스트 처리되었다. 이는 우주왕복선의 "로봇 팔"인 "캐나다 암" 원격 조작 시스템(RMS)으로 들어 올려져 우주 비행사가 시스템 사용 경험을 쌓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페이로드 베이 중간 부분에 보관되었다.[13]
3. 3. 기타 페이로드
STS-8 임무의 주요 페이로드는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가 운영할 다목적 기상 및 통신 위성인 INSAT-1B였다. 이 위성은 우주왕복선의 페이로드 베이 후방에 탑재되었으며, 궤도선에서 분리된 후 페이로드 보조 모듈(PAM-D)이라는 고체 로켓 상단에 의해 정지 천이 궤도(GTO)로 올려졌다.[10] 상단을 포함한 위성의 총 질량은 3377kg였고, 크레이들은 1102kg의 질량을 가졌으며,[11] 약 5천만 미국 달러의 비용이 들었다.[12]페이로드 비행 테스트 기사(PFTA)는 6m 길이의 중앙 차축이 있는 두 개의 바퀴 모양 알루미늄 구조로, 총 질량이 3855kg가 되도록 납으로 밸러스트 처리되었으며, 우주왕복선의 "로봇 팔"인 "캐나다 암" 원격 조작 시스템(RMS)으로 들어 올려져서 우주 비행사가 시스템 사용 경험을 쌓는 데 도움을 주었다. 페이로드 베이의 중간 부분에 보관되었다.[13]
궤도선은 전방 페이로드 베이에 개발 비행 계측 장치(DFI) 팔레트를 탑재했다. 팔레트에는 비행 계측 장비가 장착되지 않았지만, 궤도선과 페이로드의 구조 재료와 주변 원자 산소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실험과 미래 우주선의 열 제거 시스템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히트 파이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두 가지 실험을 탑재했다.[14]
4개의 게터웨이 스페셜(GAS) 페이로드가 탑재되었다. 각 페이로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전자 장비에 대한 우주선의 영향을 연구하는 실험
- 자외선 흡수 측정을 사용하여 궤도선 주변의 가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실험 (스페이스랩 2용 자외선 장비의 전조)
- 일본 아사히 신문이 후원하여 수증기를 사용하여 눈 결정을 만드는 실험 (이전 STS-6 실험 실패 후 재설계)
- STS-3 실험과 유사하게, 원자 산소 주변 수준 연구를 위해 탄소 및 오스뮴 웨이퍼의 산화 속도를 측정하는 실험.[15]
미국 우편 서비스(USPS)와 협력하여 260,000개의 우편 엽서에 9.35 미국 달러 특급 우편 요금 우표를 실어 수집가에게 판매하고, 수익금을 USPS와 NASA가 분배했다. 두 개의 보관함이 DFI 팔레트에 부착되었고, 더 많은 보관함이 6개의 게터웨이 스페셜 캐니스터에 보관되었다.[16]
궤도선 승무원실 내부에서 수행될 예정이었던 실험은 다음과 같다.
- 연속 흐름 전기 영동 시스템: 전기장을 통해 생물학적 물질 용액을 분리하는 실험 (당뇨병 치료 연구 지원 목적, 네 번째 비행).[17]
- 6마리 쥐를 수용한 작은 동물 우리: 비행 중 동물 실험은 수행되지 않았지만, 향후 임무를 위한 학생 참여 프로젝트가 계획되었고, NASA는 우리 비행 테스트를 희망했다.[18]
- 윌리엄 E. 손튼의 생체 피드백 기술: 무중력에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학생 참여 프로젝트.[18]
- 사진 실험: 궤도선 주변에서 보고된 발광 대기 광선의 스펙트럼을 연구하고, 이것이 반작용 제어 시스템(RCS)의 발사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확인하려고 시도.[19]
STS-6에 의해 배치된 TDRS-1 위성으로 일련의 테스트를 수행하여, 다가오는 STS-9 비행에서 스페이스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 전에 시스템이 완전히 작동하는지 확인하도록 예정되었다.[20] 또한 궤도선은 암호화된 전송을 허용하는 장비를 탑재하여, 향후 기밀 임무에 사용하기 위해 테스트할 예정이었다.[21]
4. 임무 진행
STS-8 임무는 1983년 6월 3일 이동식 발사 플랫폼에서 우주왕복선의 고체 로켓 부스터(SRB)를 조립하면서 시작되었다.[22] 6월 20일에 부스터 조립이 완료되었고, 6월 23일에는 외부 연료 탱크(ET)가 결합되었다.[22] 6월 29일, ''챌린저''가 케네디 우주 센터에 도착하여 다음 날 궤도선 처리 시설로 옮겨졌다.[22] 이후 우주왕복선은 차량 조립동으로 옮겨져 부스터/탱크 스택에 결합되었고, 8월 2일 발사 단지 39A로 이동했다.[22]
''챌린저''는 뇌우로 인해 17분간 지연된 후, 1983년 8월 30일 06:32:00 UTC (02:32:00 EDT)에 발사되었다.[27] 아폴로 17호 이후 최초의 미국 야간 발사였으며, 수천 명의 관람객이 지켜보는 가운데 새벽 어둠 속에서 발사가 이루어졌다.[30]
궤도에 진입한 후, 연속 흐름 전기영동 시스템 실험과 대기 발광 연구 측정이 시작되었다. 유압 순환 펌프 고장이 있었지만, 우회하여 작동했고 작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28] 둘째 날에는 INSAT-1B 위성이 성공적으로 전개되었고,[34] 셋째 날과 넷째 날에는 Canadarm 원격 조작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과 TDRS를 통한 통신 테스트가 진행되었다.[37] 다섯째 날에는 Canadarm 테스트가 계속되었고, TDRS 테스트는 더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37] 여섯째 날에는 실험 실행이 완료되었고, 승무원은 탈궤도 준비를 했다.[37]
''챌린저''는 1983년 9월 5일 07:40:33 UTC (00:40:33 PDT)에 에드워즈 공군 기지 22번 활주로에 착륙했다. 이 착륙은 프로그램의 첫 번째 야간 착륙이었다.
4. 1. 발사 준비

STS-8 임무 준비는 1983년 6월 3일 이동식 발사 플랫폼에서 우주왕복선의 고체 로켓 부스터(SRB) 조립으로 시작되었다.[22] 1983년 6월 20일에 부스터 조립이 완료되었고, 1983년 6월 23일에는 외부 연료 탱크(ET)가 조립체에 결합되었다.[22] 1983년 6월 29일, ''챌린저''가 케네디 우주 센터에 도착했으며, 6월 30일에 궤도선 처리 시설로 옮겨졌다.[22] 비행 후 유지 보수 및 새로운 임무 준비(대부분의 비행 탑재물 설치 포함)를 마친 후, 1983년 7월 27일 우주왕복선은 차량 조립동으로 옮겨져 부스터/탱크 스택에 결합되었다.[22] 1983년 7월 29일과 30일에 스택 점검이 이루어졌으며, 8월 2일 발사 단지 39A로 이동했다.[22] INSAT-1B는 발사대에 있을 때 궤도선에 탑재되었으며, ''챌린저''가 KSC에 도착하여 발사 준비가 완료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62일로, 당시 프로그램 기록이었다.[23]
발사는 원래 1983년 8월 4일로 예정되었으나, 1983년 8월 20일로 변경되었다.[24] 추적 및 데이터 중계 위성 시스템(TDRSS)과의 시험 필요성으로 인해 시스템 준비까지 10일간의 지연이 발생했고, 그동안 스택은 발사대에 남아 있었다.[25] 발사대 지연 기간 동안 허리케인 배리 (1983)가 플로리다 해안에 상륙하여, 1983년 8월 25일 아침 케네디 우주 센터 바로 남쪽에 상륙했다.[26] 폭풍은 이틀 전에야 확인되었고, ''챌린저''를 발사대에서 철수할 시간이 없어 발사 스택을 고정하고 폭풍을 견디기로 결정했다.[26]
4. 2. 발사

챌린저는 발사 기지 근처의 뇌우로 인해 17분간 지연된 후, 1983년 8월 30일 06:32:00 UTC (02:32:00 EDT)에 발사되었다.[27] 발사 창은 06:15부터 06:49까지였다.[29] 발사 카운트다운은 공보관 마크 헤스가 진행했다.
아폴로 17호 이후 최초의 미국 야간 발사로,[30] 수천 명의 관람객이 지켜보는 가운데 새벽 어둠 속에서 발사가 이루어졌다. 이례적인 발사 시간은 주 탑재체인 INSAT-1B의 추적 요구 사항 때문이었다.[1] 이 프로그램은 1985년 STS-61-B까지 야간 발사를 하지 않았다.[31] 승무원들은 어두운 시뮬레이터에서 훈련하여 야간 시력을 유지하려 했지만, 실제로는 고체 연료 로켓 부스터의 빛이 발사대 주변을 거의 주간 발사만큼 밝게 만들었다.[32]
이 발사는 고체 로켓 부스터용으로 새로 개발된 고성능 모터를 처음 사용했으며, 약 7% 더 큰 추력을 제공했다. 비행 후 분석 결과 로켓 케이싱에서 거의 관통 연소가 발생했는데, 이는 나중에 51-L 임무를 파멸시킨 심각한 문제였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비행 후 안전 분석" 섹션 참조).[33] 또한, 이 발사는 부스터용 원래 표준 질량 강철 케이싱을 사용하는 두 번째 마지막 발사였다. STS-6 및 STS-7에서는 1800kg을 절약하는 더 얇은 케이스로 대체되었지만, 안전 문제로 인해 다음 두 번의 비행에서는 기존 케이스가 사용되었다.
4. 3. 궤도 운영
296km의 원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 첫 번째 실험이 시작되었다. 처음 두 개의 샘플은 연속 흐름 전기영동 시스템을 통해 실행되었고, 대기 발광 연구를 위한 측정이 이루어졌다. 유압 순환 펌프가 고장났지만, 이를 우회하여 작동했고, 작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28]두 번째 날(1983년 8월 31일)의 주요 사건은 INSAT-1B 위성의 성공적인 전개였으며, 이는 07:48 UTC에 이루어졌고, 그 후 ''챌린저''는 40분 후에 부스터 모터 발사를 피하기 위해 기동했다.[34] 다른 실험이 계속되었지만, TDRS를 통한 원격 측정은 약 3시간 동안 손실되어 수동 개입이 필요했다.[35] 아침에 화재 경보가 울려 항공전자 구획에서 화재 징후를 나타냈지만, 두 번째 경보는 침묵을 유지했고, 결국 오경보로 판명되었다.[36]
1983년 9월 1일과 2일, 세 번째 날과 네 번째 날에는 Canadarm 원격 조작 시스템과 탑재체 테스트 기기를 이용한 작업이 시작되었고, TDRS를 통한 통신 테스트가 계속되었다. 전자는 성공적이었지만, 후자는 화이트 샌즈 지상국의 문제로 인해 여러 번 연락이 끊어졌다.[37] 그 결과, 승무원은 1983년 9월 1일 일찍 일어나 이 문제에 대처해야 했다.[38] 1983년 9월 2일, 경미한 객실 압력 누출이 폐기물 관리 시스템으로 추적되었고, 빠르게 통제되었다.[37] 우주왕복선은 1983년 9월 2일에 궤도 기동 시스템 (OMS) 발사를 수행하여 공기 밀도가 더 높고 산소 상호 작용 실험이 더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더 낮은 궤도에 진입했다.[39]
1983년 9월 3일, 다섯 번째 날에는 Canadarm의 테스트가 계속되었으며, 여러 선택적 "쇼핑 목록" 테스트가 포함되었고, TDRS 테스트는 더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37] 아폴로 17호 이후 최초의 비행 중 기자 회견이 늦은 시간에 열렸다.[40] 1983년 9월 4일, 여섯 번째 날에는 실험 실행이 완료되었고, 승무원은 탈 궤도 준비를 했다. 이 마지막 날에 두 개의 시스템 고장이 기록되었으며, 가장 심각한 것은 기내 컴퓨터 중 하나에서 동기화 오류가 발생한 것이었다.[37]
궤도에 있는 동안, ''챌린저''는 셔틀 궤도선의 동작을 테스트하고, 다른 열적 조건에서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고도 및 자세 조정을 했다. 특정 영역을 햇빛에 노출시키거나 가리는 방식으로 특별히 따뜻하거나 차가운 조건을 유도하여, 그로 인한 문제를 관찰할 수 있었다.[41]
4. 4. 착륙
임무 계획에 따르면 121:28 임무 경과 시간(MET)에 캘리포니아 에드워즈 공군 기지에 착륙할 예정이었다.[42] 원래 계획은 1983년 9월 4일 07:44 UTC였지만, 마지막 순간의 발사 지연을 고려하기 전이었다.[29]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통신 테스트를 위해 하루 늦춰졌고, ''챌린저''는 1983년 9월 5일 07:40:33 UTC (00:40:33 PDT)에 에드워드 공군 기지 22번 활주로로 착륙하여 임무 7일째 되는 날 아침에 착륙했다. 발사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프로그램의 첫 번째 야간 착륙이었다. 우주 왕복선에는 재진입을 견딜 수 있는 착륙등을 설계하는 어려움 때문에 자체 조명이 없었으며,[21] 따라서 활주로는 우주 왕복선을 유도하기 위해 고강도 제논 아크 램프로 밝혀졌다.[29] 야간 착륙에 대한 긴급한 운용상의 요구는 없었지만,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열망이 있었다.[1] 착륙 장면은 1986년 영화 ''스페이스 캠프''에 등장했다.5. 비행 후 안전 분석
발사는 뚜렷한 이상 없이 수행되었지만, 1983년 9월 27일, 고체 로켓 부스터의 비행 후 검사 중에 왼쪽에 있는 부스터에서 심각한 부식이 발견되었다. 발사 시 두께의 약 절반이 침식되도록 설계된 로켓 노즐을 보호하는 3cm 두께의 수지 라이닝은 부분적으로 0.5cm까지 연소된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추정에 따르면 노즐이 파열되기 전까지 약 14초의 발사 시간이 남았으며, 이는 통제 불능 상태를 초래하고 우주선의 해체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나중에 이 결함은 이 부스터 세트에 사용된 특정 수지 배치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소 문제는 언론에 의해 작은 사고로 취급되었고, 1986년 ''챌린저'' 폭발 사고 이후에야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당시 주요 대중 비판은 소련 측에서 나왔다.[43] 이 사건의 결과로, STS-9의 비행은 부스터 노즐을 교체하면서 한 달 동안 연기되었다.[44]
열 보호 시스템 타일에 대한 비행 후 검사에서 주요 잔해 충격 7건과 사소한 충격 49건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각각 3건과 26건이 궤도선의 아랫면에 발생했다.[45] 이는 최소한 STS-74까지 가장 낮은 주요 타일 손상 발생률이었으며,[46] 프로그램 평균인 아랫면의 주요 충격 23건과 비교해도 매우 양호한 수준이었다.[47] 이는 열 보호 시스템에 대해 보고된 심각한 문제가 없는 최초의 우주왕복선 비행이었다.[48] 세 개의 창문은 피팅과 흐림 현상으로 인해 궤도선에서 제거되었다.[49]
총 33건의 비행 중 이상이 보고되었다.[50] 위 문제 외에도, STS-8의 더 작은 문제로는 결함이 있는 온도 조절기[51]에서 객실 내의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먼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52]
6. 과학적 성과
STS-8 임무에서 승무원은 계획된 54개의 모든 임무 테스트 목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53] INSAT 위성 배치는 성공적이었으나, 정지 궤도에서 태양 전지판을 펼치는 데 문제가 발생하여 1983년 9월 중순까지 완전히 작동하지 않았다. 하지만 일단 작동된 후에는 7년 동안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하며 36,000장의 지구 이미지를 전송하고 수천 개의 인도 외딴 마을에 텔레비전 방송을 송출했다.[34] 페이로드 비행 테스트 기사 평가 결과, 캐나다암 원격 조작 시스템은 5cm의 정밀도와 1°의 정렬로 부피가 큰 물체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4]
TDRS-1 프로그램은 여러 컴퓨터 고장과 원격 측정 손실로 인해 상대적으로 덜 성공적이었다. 궤도선은 계획된 89개 궤도 중 65개 궤도에서 위성을 사용할 수 있었고, 약 40개 궤도에서 연결을 성공적으로 활용했다.[54] 연속 흐름 전기 영동 시스템 장비는 계획대로 작동하여 지구에서 가능한 것보다 수백 배 더 많은 재료를 처리했다.[55] ''아사히 신문''의 결정 실험은 두 번째 비행에서 캐니스터를 재설계한 후 눈 결정을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54]
토튼의 우주 적응 증후군 연구에 따르면, STS-8 우주 비행사들은 심각한 증상을 겪지 않았으며 운동 제어 손실을 경험한 사람도 없었다.[56] 가드너는 "경미한 사례"를 겪었지만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고,[57] 훈련 중 멀미를 겪었던 브란덴스타인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증상은 발사 후 3일 이내에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56]
7. 깨우기 알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제미니 계획 동안 우주 비행사들에게 음악을 틀어주는 전통을 시작했으며, 아폴로 15호 비행 중 처음으로 승무원들을 깨우기 위해 음악을 사용했다.[58][59] 각 곡은 특별히 선택되며, 종종 우주 비행사 가족에 의해 선택되고, 일반적으로 승무원 개개인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거나, 그들의 일상 활동과 관련이 있다.[58][59]
비행 일 | 노래 | 아티스트/작곡가 | 재생 대상 |
---|---|---|---|
2일차 | "조지아 공과대학교 응원가" | 리처드 H. 트룰리 | |
3일차 | "일리노이 대학교 응원가" | 데일 가드너 | |
4일차 |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응원가" | 기온 블루포드 | |
5일차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응원가" | 윌리엄 E. 손턴 | |
6일차 | "Tala Sawari" | 라비 샹카르 | INSAT |
7일차 | "Semper Fidelis" | 존 필립 수자 |
참조
[1]
문서
Jenkins, p. 271
[2]
문서
Jenkins, p. 271. An African-American test pilot, [[Robert Henry Lawrence Jr.]], had been selected for the [[United States Air Force|U.S. Air Force]] [[Manned Orbiting Laboratory]] (MOL) program in 1967, but was killed in a flying accident a few months later. The Manned Orbiting Laboratory program was canceled in June 1969, and most of its surviving astronauts transferred to NASA. Outside the United States, [[Arnaldo Tamayo Méndez]] was a [[Cuba]]n Air Force officer who flew on the [[Soyuz 38]] mission in 1980 as part of the [[Soviet Union|Soviet]] [[Interkosmos]] program, and became the first person of African descent in space.
[3]
문서
Press kit, pp. 48–50
[4]
문서
Evans, p. 76
[5]
문서
Press kit, p. 51
[6]
웹사이트
STS-8
http://spacefacts.de[...]
Spacefacts
2024-07-29
[7]
간행물
Space Shuttle payload flight manifest / News Release 82-46
https://ntrs.nasa.go[...]
NASA
1982-04-14
[8]
문서
The term "[[wikt:manifest#Noun|manifest]]" is used by NASA to indicate both the overall program schedule and the individual payloads and experiments planned for a single flight.
[9]
문서
Jenkins, p. 287
[10]
문서
Press kit, p. 34
[11]
문서
Press kit, p. 31
[12]
문서
Evans, p. 83
[13]
문서
Press kit, p. 32
[14]
문서
Press kit, pp. 38–39. The first experiment was formally designated "Evaluation of Oxygen Interaction with Materials" (DSO-0301) while the second was the High Capacity Heat Pipe Demonstration (DSO-0101)
[15]
문서
Press kit, pp. 40–41. In order, these were designated the Cosmic Ray Upset Experiment (CRUX) (G-0346); the Ultraviolet-Sensitive Photographic Emulsion Experiment (G-0347); the Japanese snow crystal experiment (G-0475), and the Contamination Monitor Package (G-0348).
[16]
문서
Press kit, p. 37
[17]
문서
Press kit, p. 38
[18]
문서
Press kit, p. 39
[19]
문서
"STS-9 Press Information, p. 60. This was formally designated as \"Investigation of STS Atmospheric Luminosities\"."
[20]
문서
Press kit, p. 42
[21]
문서
Major NASA satellite missions, p. 34
[22]
문서
Press kit, p. 11; Shuttle flight data, p. 1-270
[23]
문서
Evans, p. 75
[24]
문서
Jenkins, p. 266. Some sources give an originally planned date of August 14, 1983.
[25]
문서
Shuttle flight data, p. 1-330
[26]
뉴스
Shuttle nestled away from the storm
https://news.google.[...]
2009-07-07
[27]
문서
Jenkins, p. 266
[28]
문서
"STS-9 Press Information, p. 84"
[29]
문서
Press kit, p. 5
[30]
문서
Shayler, p. 136
[31]
문서
Jenkins, p. 275
[32]
문서
Evans, p. 80
[33]
문서
Jenkins, p. 425
[34]
문서
Evans, p. 85
[35]
문서
STS-9 press information, pp. 84–85
[36]
뉴스
Shuttle launches satellite despite 'fire'
http://digitalnewspa[...]
1983-09-01
[37]
간행물
STS-9 press information
[38]
뉴스
Challenger tests its robot arm successfully
https://news.google.[...]
1983-09-01
[39]
뉴스
Challenger crew conducts various scientific experiments
https://news.google.[...]
1983-09-02
[40]
뉴스
Challenger just humming along
https://news.google.[...]
1983-09-03
[41]
문서
Evans
[42]
간행물
Press kit
[43]
문서
Shayler
[44]
간행물
Shuttle flight data
[45]
간행물
Shuttle flight data
[46]
간행물
Shuttle flight data
[47]
간행물
Columbia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Report
[48]
간행물
Shuttle flight data
[49]
간행물
Shuttle flight data
[50]
간행물
Shuttle flight data
[51]
간행물
Shuttle flight data
[52]
문서
Evans
[53]
간행물
STS-9 press information
[54]
문서
Evans
[55]
문서
Evans
[56]
문서
Evans
[57]
문서
Evans
[58]
뉴스
Chronology of Wakeup Calls
https://history.nasa[...]
NASA
2007-06-25
[59]
웹사이트
40 Years Ago: STS-8, the First African American in Space, and the First Space Shuttle Night Launch and Landing – NASA
https://www.nasa.gov[...]
2023-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