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peak of the Devil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peak of the Devil은 오지 오스본의 1982년 라이브 앨범으로, 오스본이 블랙 사바스 시절에 불렀던 곡들을 담고 있다. 앨범은 기타리스트 브래드 길리스,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 드러머 토미 알드리지가 참여한 라이브 음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랜디 로즈의 사망 이후 그의 음원을 활용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 미국 빌보드 200 차트 14위, 영국 앨범 차트 21위를 기록했으며, 미국에서 플래티넘, 영국에서 실버, 캐나다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앨범 발매 후 길리스와 사르조는 각자 활동하던 밴드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지 오스본의 라이브 음반 - Just Say Ozzy
    오지 오스본의 라이브 EP인 Just Say Ozzy는 1989년 런던 공연 실황을 담았다고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재녹음 및 믹싱 과정을 거쳤으며, 빌보드 200에서 58위를 기록하고 골드 인증을 받았지만 현재는 법적 문제로 오스본의 카탈로그에서 삭제되었다.
  • 오지 오스본의 라이브 음반 - Live at Budokan (오지 오스본의 음반)
    오지 오스본의 1980년 라이브 앨범인 Live at Budokan은 "I Don't Know", "Crazy Train", "Paranoid" 등 대표곡들의 라이브 실황과 DVD 버전의 보너스 영상이 수록되어 있으며, 미국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 1982년 라이브 음반 - Live Evil
    《Live Evil》은 1982년 블랙 사바스가 발매한 라이브 앨범으로, 투어 중 녹음된 오지 오스본과 로니 제임스 디오 시절의 곡들을 담고 있으며, 발매 후 멤버 간 갈등을 심화시켜 디오와 드러머의 탈퇴를 야기했고 믹싱 과정에서의 이견과 약물 남용 논란을 낳았다.
  • 1982년 라이브 음반 - Extraterrestrial Live
    《Extraterrestrial Live》는 블루 오이스터 컬트가 1982년에 발매한 라이브 음반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녹음된 13곡과 대표곡들을 포함하며, 로비 크리거 등의 추가 연주자와 샌디 펄먼 등의 제작진이 참여하여 캐나다, 영국,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각각 37위, 39위, 29위를 기록했다.
  • 에픽 레코드 음반 - Supreme Clientele
    고스트페이스 킬라의 데뷔 음반인 《Supreme Clientele》는 RZA의 주도 하에 녹음 중단과 스튜디오 피해를 극복하고 아프리카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가사와 독특한 사운드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롤링 스톤지의 "역대 최고 앨범 500장" 목록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피프티 센트 조롱과 작사권 논란도 있었다.
  • 에픽 레코드 음반 - Celine Dion
    셀린 디온의 1992년 앨범 "Celine Dion"은 "미녀와 야수"의 성공과 유명 작곡가들의 참여, 그리고 그래미상과 주노상 수상으로 평론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셀린 디온을 북미 슈퍼스타로 만들었다.
Speak of the Devil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지 오스본의 Speak of the Devil 음반 커버
Speak of the Devil 음반 커버
장르헤비 메탈
길이70분 16초
레이블제트, 에픽
프로듀서맥스 노먼
녹음 장소더 리츠, 뉴욕 시
녹음일1982년 9월 26일 ~ 27일
발매 정보
발매일1982년 11월
싱글
싱글 1Symptom of the Universe
싱글 1 발매일1982년 12월 10일 (영국)
싱글 2Paranoid
싱글 2 발매일1983년 2월 3일 (미국)
평가
AllMusic2.5
Martin Popoff8
Sounds5
관련 음반
이전 음반Diary of a Madman (1981)
다음 음반Bark at the Moon (1983)

2. 배경

1982년 초, 오지 오스본의 매니지먼트와 음반사는 오스본이 블랙 사바스 시절 불렀던 곡들로만 구성된 라이브 앨범을 발매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블랙 사바스의 이전 매니지먼트와의 출판 계약이 만료되어 곡을 다시 녹음하면 오스본을 포함한 작곡가들이 출판 로열티를 받을 수 있었다. 둘째, 오스본의 레이블인 Jet Records가 CBS Records와 새로운 유통 계약을 맺어 앨범 발매로 상당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블랙 사바스 역시 자체 라이브 앨범 발매를 준비하고 있었기에, 오스본 측은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서둘러 앨범을 내려는 의도도 있었다.[7][8]

하지만 이 계획은 당시 오스본 밴드의 핵심 멤버였던 기타리스트 랜디 로즈와 드러머 토미 알드리치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이들은 자신들의 독자적인 음악 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블랙 사바스 커버 앨범 녹음이 경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참여를 거부했다. 이로 인해 오스본과 밴드 멤버들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다.[7]

원래 앨범 녹음은 토론토메이플 리프 가든스에서 진행될 예정이었고, 공연 실황을 홈 비디오로 출시하려는 계획도 있었다.[7] 그러나 1982년 3월, 기타리스트 랜디 로즈가 비행기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모든 계획은 무산되었다.

결국 랜디 로즈의 빈자리는 나이트 레인저의 기타리스트 브래드 길리스가 임시로 메웠고, 새로운 라인업으로 라이브 앨범 녹음이 진행되었다. 랜디 로즈의 생전 라이브 음원을 사용한 추모 앨범 발매도 고려되었으나, LP 2장 분량의 음원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또한, 당시 투어 멤버에서 키보디스트 돈 에어리가 빠져 있었기 때문에 연주에 키보드가 필요 없는 블랙 사바스 시절 곡들로만 앨범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 앨범에는 오스본의 솔로 활동 이후 발표된 곡은 전혀 수록되지 않았다.

앨범 발매 이후 진행된 투어가 종료되자, 브래드 길리스는 다시 나이트 레인저로 돌아갔고,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 역시 콰이어트 라이엇의 재결성에 참여하기 위해 오스본의 밴드를 떠났다.

2. 1. 랜디 로즈와 함께하는 앨범 계획

1982년 2월 초, 오지 오스본의 매니지먼트와 음반사는 그가 1970년대에 블랙 사바스와 함께 녹음한 곡들로만 구성된 라이브 앨범을 녹음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결정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첫째, 사바스의 이전 매니지먼트와의 출판 계약이 최근 만료되어, 이 곡들을 다시 녹음함으로써 오스본을 포함한 모든 작곡가가 출판 로열티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둘째, Jet Records는 CBS Records와 유통 계약을 체결하여 소규모 레이블이 이 앨범 발매를 통해 상당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업적인 결정 외에도 블랙 사바스 또한 자체 라이브 앨범 발매를 준비하고 있었고, 오스본은 그의 앨범이 먼저 발매되기를 원했다.[7] 사바스 베이시스트 기저 버틀러는 "우리 둘 다 각자의 불행을 겪고 있었다"라고 회상했다. "우리는 ''Live Evil''을 발매하지 않을 수 없었고, 오지 오스본은 ''Speak of the Devil''을 제작하도록 강요받았다."[8]

블랙 사바스 커버 앨범을 녹음하려는 계획은 오스본의 밴드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기타리스트 랜디 로즈와 드러머 토미 알드리치는 자신들이 녹음 아티스트로 자리 잡았으며, 그러한 앨범은 전문적으로 퇴보하는 것이라고 느껴 참여를 거부했다. 그들은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에게 이러한 감정을 공유했고, 사르조는 참여를 거부하는 것에 완전히 편안함을 느끼지 못했지만 밴드 멤버들과 함께하기로 결정하고, 이 셋은 매니저 샤론 아덴에게 그들의 결정을 알렸다.

샤론은 이 소식을 비교적 잘 받아들였지만, 오지는 분노했다. 그는 사르조가 묘사한 "내가 목격한 최악의 음주 행각"을 벌였고, 로즈와의 관계는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오스본이 악명 높게 알라모에서 술에 취해 소변을 본 사건은 바로 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일어났다. 알라모 사건 몇 시간 전에 그는 술에 취해 밴드 전체(로즈 포함)를 해고했지만, 나중에 그렇게 한 기억이 전혀 없었다. 오스본은 투어 버스에서 로즈와 자주 대면하며 프랭크 자파게리 무어와 같은 사람들이 라이브 앨범에서 그를 대체할 의향이 있다고 조롱했다. 오스본의 불안정하고 대립적인 행동은 곧 로즈가 밴드를 떠나도록 설득했다. 그는 마지못해 라이브 앨범에 출연하기로 동의했지만, Jet Records와의 계약 의무를 이행한 후 떠날 것이며, 이는 스튜디오 앨범 1장과 후속 투어로 구성되어 있었다.[7]

원래 계획은 토론토메이플 리프 가든스에서 앨범을 녹음하는 것이었다. 매니저 샤론이 예상했듯이 "역대 최고의 록 공연"이 될 무대에는 반라의 여성들이 등장할 예정이었고, 이 공연은 비디오로 촬영되어 급성장하는 홈 비디오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었다.[7] 이러한 계획은 몇 주 후 로즈가 비행기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모두 무산되었다.

2. 2. 브래드 길리스의 합류

랜디 로즈가 사망한 후, 밴드는 기타리스트 버니 토르메와 잠시 활동을 이어갔으나, 양측 모두 이 협력이 성공적이지 않다는 데 동의했다. 뉴욕 지역의 블랙 사바스 커버 밴드에서 활동하던 기타리스트 비토 브라타가 다음 후보로 고려되었지만, 샤론과의 의견 차이로 합류가 무산되었다. 브라타는 훗날 이 기회를 놓친 것을 아쉬워했다.[9]

결국 나이트 레인저의 기타리스트 브래드 길리스가 새로운 멤버로 합류하게 되었다. 길리스는 1982년 4월 5일, 오디션을 보기 위해 캘리포니아에서 뉴욕 시로 왔다. 샤론은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를 길리스의 호텔 방으로 보내 곡들을 가르치도록 했다. 길리스는 전년 여름 데이 온 더 그린 페스티벌에서 오지 오스본 밴드의 라이브 공연을 본 적이 있어 오스본의 솔로 곡들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지만, 블랙 사바스의 음악은 전혀 알지 못했다. 그는 뉴욕으로 떠나기 전 친구에게 오래된 블랙 사바스 앨범을 빌려 급하게 곡들을 익혔다. 길리스가 랜디 로즈의 기타 파트를 충실하게 재현하는 능력을 보여주면서 최종적으로 밴드에 합류하게 되었다. 그는 버니 토르메가 마지막 몇 차례 공연을 소화하는 동안 밴드와 함께 이동하며 연주할 곡들을 익혔다. 1982년 4월 12일, 길리스는 빙엄턴에서 열린 공연 전 사운드 체크에서 처음으로 밴드와 호흡을 맞추었고, 그날 저녁 정식으로 첫 무대에 섰다. 이 과정에서 버니 토르메는 길리스가 준비될 때까지 밴드에 남아 협력했으며, 길리스의 첫 몇몇 공연 동안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백스테이지에서 대기하는 등 프로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7]

이후 발매된 라이브 앨범 Speak of the Devil은 오스본의 솔로 활동 이후 곡은 전혀 포함하지 않고, 오스본이 몸담았던 블랙 사바스 시절의 곡들로만 채워졌다. 이 앨범에는 브래드 길리스가 기타를 연주한 라이브 음원이 사용되었다. 원래는 랜디 로즈의 생전 라이브 음원을 사용한 추모 앨범을 기획했으나, LP 2장 분량의 음원을 확보하기 어려워 새로운 라이브 음원을 녹음하게 된 것이다. 또한, 앨범 녹음 시점에는 키보디스트 돈 에어리가 이미 투어 멤버에서 빠진 상태였기 때문에, 연주 시 키보드가 필요 없는 블랙 사바스 시대의 곡들만 선곡되었다.

미국에서는 "아이언 맨"과 "칠드런 오브 더 그레이브" 메들리가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메인스트림 록 차트 32위에 올랐고[23], "파라노이드" 라이브 버전은 같은 차트에서 25위를 기록했다[23]. 영국에서는 앨범 타이틀과 동명의 곡 "Speak of the Devil"이 싱글로 발매되어 영국 싱글 차트 100위에 올랐다[24].

투어가 끝난 후, 브래드 길리스는 다시 나이트 레인저로 돌아갔다.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 역시 콰이어트 라이엇 재결성에 참여하기 위해 오스본의 밴드를 떠났다.

2. 3. 리허설

1982년 9월 19일, 밴드와 스태프는 ''Speak of the Devil'' 앨범에 수록될 두 공연을 위한 리허설을 위해 뉴욕시에 도착했다.[7] 며칠 동안 기타리스트 브래드 길리스,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 드러머 토미 올드리지는 사르조가 "우울한 미드타운 맨해튼 스튜디오"라고 묘사한 곳에서 리허설을 진행했지만, 보컬인 오지 오스본은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7] 밴드는 단 5일 만에 곡들을 익혀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올드리지는 1970년대 블랙 오크 아칸소 멤버로 활동하며 블랙 사바스의 오프닝 공연을 여러 차례 맡았기 때문에 블랙 사바스의 곡들에 상당히 익숙했다.[7]

리허설이 시작되자 샤론 오스본이 나타나 밴드에게 "리허설에서 오스본을 많이 볼 거라고 기대하지 마라. 그는 협조적이지 않다."라고 말했다.[7] 음반사는 랜디 로즈가 기타를 연주한 "아이언 맨", "Children of the Grave", 그리고 "Paranoid"의 기존 라이브 녹음 버전을 앨범에 포함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샤론은 밴드에게 이 곡들은 리허설할 필요가 없다고 전했다.[7]

오스본 없이 리허설이 진행되는 동안, 밴드 멤버들은 여전히 기타리스트 랜디 로즈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한 슬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팀의 사기는 매우 낮았다.[7] 멤버들은 자신들이 오지 오스본 앨범을 위해 리허설하고 있음에도 정작 오스본 본인은 나타나지 않는 상황에 분개했다.[7] 특히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는 이 시기에 이미 콰이어트 라이엇과 비밀리에 ''Metal Health'' 앨범 세션을 녹음하고 있었으며, 오스본의 불성실한 태도와 밴드의 침체된 분위기 속에서 결국 오스본 밴드를 떠나기로 최종 결심하게 되었다.[7]

3. 녹음

1982년 9월 26일과 27일, 뉴욕의 리츠에서 진행된 라이브 공연이 녹음되었다. 오지 오스본은 밴드와 전혀 리허설을 하지 않은 상태로 9월 26일 첫 공연 당일 사운드체크에 나타났으며, 많은 곡의 가사를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30][7] 공연 중 오스본은 무대 위에 접이식 의자와 책상 램프를 설치하고, 그 위에 직접 손으로 쓴 가사 노트를 올려놓고 이를 보며 노래를 불렀다.[30][7]

공연 장소인 리츠는 1,000명 미만을 수용하는 비교적 작은 클럽이었으나 공연은 매진되었다. 베이시스트 루디 사조는 당시 관객들을 "난폭했다"고 회상했으며, 개조된 라틴 사교장(리츠)의 음향은 따뜻하고 친밀하여 녹음에 적합했다고 평가했다.[30][7] 하지만 리츠의 무대가 협소하여 밴드는 평소 대형 공연장에서 사용하던 사이드 필 모니터(무대 측면에 설치하여 다른 연주자의 소리를 듣게 하는 스피커)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기타리스트 브래드 길리스와 베이시스트 루디 사조는 드러머 토미 알드리지의 드럼 소리를 듣기 위해 공연 내내 드럼 라이저(드럼 설치를 위한 단상) 바로 앞에서 연주해야만 했다.[30][7]

공연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평소 오스본의 라이브 공연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무대 장치나 연출을 줄이고, 녹음을 위해 가능한 최상의 연주를 포착하는 데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레코드 플랜트의 이동식 녹음 스튜디오 차량이 리츠 클럽 뒤편 골목에 주차되어 공연 실황을 녹음했다.[30][7] 밴드 멤버들은 평소의 무대 의상 대신 편안한 복장을 착용했으며, 특히 오스본은 며칠 전 술에 취해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였던 긴 머리를 삭발한 상태였기 때문에, 추리닝 바지를 입고 민머리로 무대에 섰다.[30][7]

공연 막바지에 연주된 "Iron Man", "Children of the Grave", "Paranoid" 세 곡은 녹음 당시에는 앨범에 포함되지 않을 예정이었다. 매니지먼트는 이 곡들 대신 기타리스트 랜디 로즈가 생전에 참여했던 라이브 버전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밴드에게 전달했기 때문에, 밴드는 이 곡들을 비교적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연주했다. 그러나 이후 랜디 로즈의 연주 버전은 추후 발매될 추모 앨범을 위해 보존하기로 결정이 바뀌면서, 결국 리츠에서 녹음된 버전이 ''Speak of the Devil'' 앨범에 최종적으로 수록되었다. 루디 사조는 나중에 이 곡들의 최종 믹스를 듣고, 리허설을 거의 하지 못했던 상태에서 연주했던 자신의 베이스 파트가 얼마나 엉성했는지 놀랐다고 회상했다.[7]

앨범의 프로듀서를 맡았던 맥스 노먼은 2007년 인터뷰를 통해, 예산상의 이유로 9월 26일 또는 27일 오후 시간대에 관객 없이 추가적인 공연 전체를 녹음했다고 밝혔다. 이는 실제 라이브 공연 녹음이 앨범 발매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조치였다. 노먼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발매된 앨범에는 이 '오후 세션'에서 녹음된 곡이 세 곡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곡들에는 후반 작업을 통해 관중 소리가 덧입혀졌다. 그는 구체적으로 어떤 곡이 오후 세션 녹음인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주의 깊게 들으면 구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0][11] 실제로 9월 26일과 27일 양일간의 공연은 모두 사운드보드 녹음(믹싱 콘솔에서 직접 추출한 고음질 녹음)이 존재하며, 이들은 부틀렉(불법 복제 음반) 형태로 유통되기도 했다. ''Speak of the Devil'' 앨범에 수록된 대부분의 트랙은 9월 27일 공연 녹음이지만, "Sabbath Bloody Sabbath"는 예외이다.[12] 이 곡은 리츠 공연의 세트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며[13][14], 맥스 노먼이 언급했던 오후의 추가 녹음 세션에서 녹음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앨범은 오스본의 솔로 활동 이후 발표된 곡들을 제외하고, 오직 그가 초기에 활동했던 밴드 블랙 사바스 시절의 곡들로만 구성되었다. 이는 원래 랜디 로즈의 사고사 이후 그의 연주가 담긴 추모 앨범으로 기획되었으나, LP 2장 분량의 사용 가능한 라이브 음원이 부족하여 계획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녹음 시점에는 투어 멤버였던 키보디스트 돈 에어리가 이미 밴드를 떠난 상태였기 때문에, 키보드 파트가 필요 없는 블랙 사바스 시대의 곡들 위주로 선곡이 이루어졌다. 기타 파트는 나이트 레인저의 멤버이기도 한 브래드 길리스가 맡아 연주했다.

4. 곡 목록

이 앨범에 수록된 모든 곡은 오지 오스본, 토니 아이오미, 기저 버틀러, 빌 워드가 작사 및 작곡하였다. 각 사이드별 상세 곡 목록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4. 1. Side One

모든 곡은 오지 오스본, 토니 아이오미, 기저 버틀러, 빌 워드가 작사/작곡했다.

번호곡 제목원곡 수록 앨범재생 시간
1Symptom of the UniverseSabotage》 (1975년)5:41
2SnowblindVol. 4》 (1972년)4:56
3Black SabbathBlack Sabbath》 (1970년)6:04


4. 2. Side Two

번호곡 제목원본 수록 앨범재생 시간
4Fairies Wear BootsParanoid》 (1970년)6:33
5War PigsParanoid8:35
6The WizardBlack Sabbath》 (1970년)4:43


4. 3. Side Three

#곡 제목원본 앨범 (발매 연도)재생 시간
1N.I.B.Black Sabbath》 (1970년)5:35
2Sweet LeafMaster of Reality》 (1971년)5:55
3Never Say DieNever Say Die!》 (1978년)4:18


4. 4. Side Four

번호제목원본 앨범재생 시간
4Sabbath Bloody SabbathSabbath Bloody Sabbath》 (1973년)5:34
5Iron Man / Children of the GraveParanoid》 / 《Master of Reality9:12
6ParanoidParanoid3:10


5. 참여 뮤지션

이 앨범은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와 드러머 토미 알드리지오지 오스본 밴드 멤버로서 실제로 참여한 첫 번째 앨범이다. 이 두 사람은 이전 앨범 ''Diary of a Madman''(1981)의 크레딧에는 이름이 올랐지만, 실제 녹음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이름역할
오지 오스본보컬, "The Wizard"의 하모니카
브래드 길리스기타
루디 사르조베이스
토미 알드리지드럼
맥스 노먼프로듀서, 엔지니어, 믹싱 (레코드 플랜트 스튜디오, 뉴욕)
척 와이즈너라이브 사운드
팀 영마스터링


6. 반응 및 평가

이 앨범은 발매 후 상업적으로 주목받았으며, 일부 곡들은 싱글로 발매되어 영국미국의 메인스트림 록 차트 등에 오르기도 했다.

6. 1. 상업적 성과

앨범은 발매 후 여러 국가의 음악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차트 (1982–1983)최고 순위
캐나다10
영국21
미국 (빌보드 200)14


6. 2. 비판

(내용 없음)

6. 3. 싱글

wikitext

연도싱글차트순위
1983"파라노이드"메인스트림 록 (미국)[21]25
"아이언 맨"/"Children of the Grave"메인스트림 록 (미국)[21]32
"Symptom of the Universe"영국 싱글 차트[22]100



미국에서는 "아이언 맨"과 "Children of the Grave"의 메들리가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지의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32위에 올랐고[21], "파라노이드"의 라이브 버전도 같은 차트에서 25위에 도달했다[21]. 영국에서는 "Symptom of the Universe"가 싱글 커트되어 영국 싱글 차트에서 100위를 기록했다[22].

7. 여파

투어가 종료된 후, 기타리스트 브래드 길리스는 나이트 레인저로 돌아갔고,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 역시 콰이어트 라이엇의 재결성에 참여하기 위해 오스본의 밴드를 떠났다. 이 앨범은 길리스가 참여한 유일한 오지 오스본의 공식 앨범이다.

''Speak of the Devil''은 오스본의 이전 밴드였던 블랙 사바스가 자신들의 라이브 앨범 ''Live Evil''을 발매하기 한 달 전에 발매되어, 두 진영 간의 경쟁을 심화시켰다. 미국에서는 ''Speak of the Devil''이 ''Live Evil''보다 훨씬 높은 판매고를 올렸으나, 영국에서는 반대로 ''Live Evil''이 더 높은 차트 순위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아이언 맨"과 "Children of the Grave"의 메들리가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32위를 기록했고[23], "파라노이드"의 라이브 버전 역시 같은 차트에서 25위에 올랐다[23]. 영국에서는 "Speak of the Devil"이 싱글로 발매되어 영국 싱글 차트 100위를 기록했다[24].

초기 CD 발매본에서는 시간 제약으로 인해 "Sweet Leaf"가 누락되었으나, 1995년 재발매판에는 다시 포함되었다.

8. Speak of the Devil (비디오)

1980년대 초부터 일본에서만 공식 출시된 "Speak of the Devil"이라는 제목의 비디오가 있다. 이 비디오는 같은 이름의 앨범과는 관련이 없으며, 오지 오스본의 초창기 솔로곡과 블랙 사바스(Black Sabbath)의 세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비디오에는 1982년 6월 23일 어바인 메도우즈 원형극장(Irvine Meadows Amphitheatre)에서 촬영된 야외 라이브 공연이 담겨 있으며, 앨범과 동일한 백 밴드가 참여했다. 이 녹화는 MTV에서 진행했으며, 1982년 10월 31일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MTV 할로윈 라이브 from 어바인"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방송되었다.

야외 공연이었기 때문에 바람으로 인해 안개 기계에서 충분한 연기가 발생하지 않아 레이저 쇼가 제대로 반사되지 못했고, 따라서 레이저는 사용되지 않았다. 최종 편집본에서 보이는 레이저는 나중에 후반 작업에서 추가되었다. 1982년 7월 16일, 밴드 멤버들은 로스앤젤레스의 제트 레코드(Jet Records) 사무실에 모여 최종 편집본을 시청했다. 오스본은 레이저 쇼에 불만을 품고 방에서 뛰쳐나갔다. 베이시스트 루디 사르조(Rudy Sarzo)는 나중에 그가 주차장에서 술에 취해 항의하는 의미로 프로듀서의 타이어에서 바람을 빼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다.[7]

이 비디오는 2012년 7월 17일 이글 록 엔터테인먼트(Eagle Rock Entertainment)에서 DVD 형식으로 미국에서 출시되었다.[19] 미국 출시 이후, 이 DVD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기타 인터내셔널(Guitar International)의 윌리엄 클라크(William Clark)는 "무대 세트부터 무대 위의 액션, 강력한 오지 오스본(Ozzy Osbourne)의 모습까지 모든 것이 이 라이브 공연을 한마디로 환상적으로 만든다"라고 평가했다.[20]

참조

[1] 웹사이트 Ozzy Osbourne singles https://dutchcharts.[...]
[2] 웹사이트 Ozzy Osbourne singles https://dutchcharts.[...]
[3] 웹사이트 Ozzy Osbourne - Speak of the Devil review http://www.allmusic.[...] Rovi Corporation 2012-06-15
[4] 서적 The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Volume 2: The Eighties Collector's Guide Publishing 2005-11-01
[5] 저널 Ozzy Osbourne: Talk Of The Devil (Jet) 1982-11-20
[6] 웹사이트 Search for Artist Ozzy Osbourne http://www.bpi.co.uk[...]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2015-10-25
[7] 서적 Off the Rails CreateSpace Publishing 2017
[8] 잡지 Is Sabbath Turning Purple? 1984
[9] 웹사이트 KISS to White Lion's Vito Bratta, "Your name is too ethnic," + Ozzy Osbourne, Paul Stanley, Gene Simmons https://www.youtube.[...] FullInBloom 2023-10-29
[10] 웹사이트 On Yer Bike with Studio Wizard Max Norman http://www.knac.com/[...] KNAC 2012-06-15
[11] 웹사이트 Max Norman Interview – Legendary Producer on Ozzy Osbourne Albums http://musiclegends.[...] Music Legends.ca 2013
[12] 웹사이트 Ozzy Osbourne – Speak of the Devil: Ritz 1982 Complete (Zodiac 027) https://www.collecto[...]
[13] 웹사이트 Ozzy Osbourne Setlist at the Ritz, New York https://www.setlist.[...]
[14] 웹사이트 Ozzy Osbourne Setlist at the Ritz, New York https://www.setlist.[...]
[15] 문서 God Bless Ozzy Osbourne documentary film Next Entertainment 2011
[16] 뉴스 Drummer Tommy Aldridge Says Ozzy Made Fun Of Ronnie James Dio http://www.blabbermo[...] 2005-01-22
[17] 웹사이트 Black Sabbath - The Dio Years http://images.radcit[...] 2015-10-31
[18] 뉴스 Biography for Ronnie James Dio https://www.imdb.com[...] imdb.com 2013-05-24
[19] 웹사이트 Ozzy Osbourne's 1982 'Speak of the Devil' concert film headed for DVD http://ultimateclass[...] Ultimate Classic Rock.com 2012-06-15
[20] 웹사이트 Review: Ozzy Osbourne - Speak of the Devil DVD http://guitarinterna[...] Guitar International.com 2012-09-11
[21] 웹사이트 Speak of the Devil Billboard Singles http://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5-10-31
[22] 웹사이트 Ozzy Osbourne Official Charts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Company 2015-10-25
[23] 웹사이트 Speak of the Devil - Ozzy Osbourne : Awards : AllMusic http://www.allmusic.[...]
[24] 웹사이트 ChartArchive - Ozzy Osbourne http://chartarchive.[...]
[25] 문서 イギリス盤のタイトルは『Talk of the Devil』
[26] 웹인용 Ozzy Osbourne - Speak of the Devil review http://www.allmusic.[...] Rovi Corporation 2012-06-15
[27] 서적 The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Volume 2: The Eighties Collector's Guide Publishing 2005-11-01
[28] 저널 Ozzy Osbourne: Talk Of The Devil (Jet) 1982-11-20
[29] 웹인용 Search for Artist Ozzy Osbourne http://www.bpi.co.uk[...]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2015-10-25
[30] 서적 Off the Rails CreateSpace Publishing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