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ovarius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ratovarius는 2005년에 발매된 동명의 앨범으로, 2003년 멤버 교체와 티모 톨키의 정신 질환으로 인한 밴드의 위기 이후 제작되었다. 이 앨범은 밴드의 기존 심포닉 메탈 사운드에서 벗어나 거칠고 느린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톨키의 신고전주의 기타 연주, 옌스 요한슨의 키보드 역할, 요르그 미하일의 더블 베이스 드럼 연주 등에서 변화를 보였다. 앨범은 핀란드에서 4위를 기록하는 등 차트 성적을 거두었지만, 톨키는 앨범의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고, 밴드의 음악 스타일 변화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앨범 발매 후 야리 카이누라이넨이 탈퇴했고, 2008년 톨키의 탈퇴로 인해 이 앨범은 톨키와 야리가 함께 참여한 마지막 앨범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츄어리 레코드의 음반 - Maniac Dance
Maniac Dance는 핀란드 파워 메탈 밴드 스트라토바리우스의 싱글 음반으로, 타이틀곡 "Maniac Dance"를 포함한 총 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특히 "Maniac Dance" 프로모션 비디오는 야리 카이누라이넨과 티모 톨키가 함께 출연하는 마지막 영상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 생츄어리 레코드의 음반 - Wild Rover
2011년에 발매된 The Wild Rover는 아일랜드 전통 음악 앨범으로, "The Wild Rover", "Whiskey in the Jar" 등의 곡이 수록된 두 개의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일랜드 음반 차트 55위를 기록했다. - 파워 메탈 음반 - Episode (스트라토바리우스의 음반)
Episode는 1996년 발매된 핀란드 파워 메탈 밴드 스트라토바리우스의 다섯 번째 정규 음반으로, 옌스 요한슨과 요르그 미하일의 합류로 바로크 스타일의 스피디한 파워 메탈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Forever"가 대한민국 드라마 주제가로 사용되며 인기를 얻었지만 음악 스타일 괴리로 환불 사태가 있었다. - 파워 메탈 음반 - Dreamspace
스트라토바리우스의 네 번째 정규 앨범 Dreamspace는 티모 톨키가 보컬을 맡은 마지막 앨범이자 야리 카이누라이넨이 베이시스트로 합류한 첫 앨범으로, 현대인의 삶의 압박을 다룬 어두운 가사와 톨키의 특징적인 음악 스타일을 담고 있으며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 26위를 기록했다. - 스트라토바리우스의 음반 - Infinite Visions
Infinite Visions는 스트라토바리우스의 DVD 타이틀로, 1988년부터 2000년까지의 라이브 공연, 투어 에피소드, 뮤직 비디오와 더불어 소나타 아티카의 "Black Diamond" 커버 영상 등을 담고 있다. - 스트라토바리우스의 음반 - A Million Light Years Away
티모 톨키가 작사, 작곡한 A Million Light Years Away는 동명의 EP 음반에 수록된 곡으로, 스트라토바리우스의 음악적 여정을 보여주는 곡으로 평가받는다.
Stratovarius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스트라토바리우스 |
발매일 | 2005년 9월 5일 |
녹음 | 2004년 4월 – 2005년 3월 |
스튜디오 | 사운드트랙 스튜디오, 소닉 펌프 스튜디오, 헬싱키 골든웍스 티모 톨키의 홈 스튜디오 뉴욕 시 |
장르 | 헤비 메탈 프로그레시브 메탈 하드 록 |
길이 | 49:17 |
레이블 | 생츄어리 |
프로듀서 | 티모 톨키 |
싱글 | |
싱글 1 | Maniac Dance |
싱글 1 발매일 | 2005년 8월 14일 |
이전 음반 | |
이전 음반 제목 | Elements Pt. 2 |
이전 음반 발매일 | 2003년 |
다음 음반 | |
다음 음반 제목 | Polaris |
다음 음반 발매일 | 2009년 |
일본 정보 (일본어 위키 문서 기반) | |
일본 발매일 | 2005년 10월 (일본) / 2005년 8월 31일 (JPN) |
녹음 스튜디오 | Finnvox Studios, 2002년 4월-2003년 2월 |
레이블 | 비ク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サンクチュアリ・レコード |
차트 순위 | 4위 88위 58위 37위 93위 "border European top 100 albums 97위" |
프로듀서 | ティモ・トルキ & 스트라토바리우스 |
이전 음반 | エレメンツ・パート2 (2001년) |
다음 음반 | Black Diamond: The Anthology (2006년) |
한국 정보 (한국어 위키 문서 기반) | |
녹음 | 사운드트랙 스튜디오: 2004년 4월, 뉴욕, 골든웍스 스튜디오/소닉펌프 스튜디오: 2004년 11월 - 2005년 5월 |
장르 | 파워 메탈 |
2. 역사적 배경
2003년 말, 엘리먼츠 파트 2 발매 후 티모 코티펠토와 요르그 미하일이 밴드를 탈퇴했다. 여성 보컬 카타리나 비어러의 영입이 보도되기도 했지만, 이전 라인업으로의 라이브 계약이 남아있는 상태였다. 2004년 4월, 티모 톨키가 스페인 라이브 다음 날 괴한에게 습격당한 후, 정신 질환으로 헬싱키의 정신 병원에 입원하면서 밴드는 해체 상태에 놓였다. 그러나 2005년 초, 코티펠토와 미하일의 복귀와 함께 새 앨범 제작 소식이 전해졌다.
이 앨범은 이전 앨범들의 심포닉 메탈 사운드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보여준다. 곡들은 더 거칠고 느려졌으며, 티모 톨키 특유의 신고전주의 메탈 기타 연주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키보디스트 옌스 요한슨의 역할은 특히 제한적이며, 요르그 미하일의 드럼 연주 역시 그의 특징인 더블 베이스 연주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보컬리스트 티모 코티펠토 또한 평소의 높은 음역대를 피하며 다른 보컬 방식을 시도한다. 톨키는 이후 인터뷰에서 앨범이 밴드의 진정한 스타일에서 너무 벗어났기 때문에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스트라토바리우스 앨범의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3. 음악 스타일 변화
밴드 이름을 딴 앨범이지만, 스피드 튠이 한 곡도 없고, 이전까지의 심포닉 메탈이나 신비적인 멜로디는 사라지고, LA 메탈과 같은 팝적인 곡이 대부분이어서 이전까지의 스트라토바리우스의 음악성과는 상당히 달랐다.[2] 티모 톨키는 후에 이 앨범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인터뷰에서 말했으며, 앨범 발매 후의 라이브에서도 이 앨범에서 연주되는 곡은 거의 없다.[2]
4. 수록곡
번호 제목 작사 작곡 재생 시간 1 Maniac Dance 티모 톨키 티모 톨키 4:33 2 Fight 티모 톨키 티모 톨키 4:03 3 Just Carry On 티모 코티펠토 티모 톨키 5:28 4 Back to Madness 티모 톨키 티모 톨키 7:42 5 Gypsy in Me 티모 코티펠토 티모 톨키 4:28 6 Gotterdammerung (Zenith of Power) 티모 톨키 티모 톨키 7:10 7 The Land of Ice and Snow 티모 톨키 티모 톨키 3:04 8 Leave the Tribe 티모 톨키, 옌스 요한슨 티모 톨키 5:39 9 United 티모 톨키 티모 톨키 7:05 10 Break the Ice 투오모 라실라 티모 톨키 4:26
10번 트랙 "Break the Ice"는 일본반 보너스 비디오 클립으로 수록되었다.
4. 1. 전체 목록
번호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
1 | "Maniac Dance" | 티모 톨키 | 티모 톨키 | 4:33 | ||
2 | "Fight | " | 티모 톨키 | 티모 톨키 | 4:03 | |
3 | "Just Carry On" | 티모 코티펠토 | 티모 톨키 | 5:28 | ||
4 | "Back to Madness" | 티모 톨키 | 티모 톨키 | 7:42 | ||
5 | "Gypsy in Me" | 티모 코티펠토 | 티모 톨키 | 4:28 | ||
6 | "Gotterdammerung (Zenith of Power)" | 티모 톨키 | 티모 톨키 | 7:10 | ||
7 | "The Land of Ice and Snow" | 티모 톨키 | 티모 톨키 | 3:04 | ||
8 | "Leave the Tribe" | 티모 톨키, 옌스 요한슨 | 티모 톨키 | 5:39 | ||
9 | "United" | 티모 톨키 | 티모 톨키 | 7:05 | ||
10 | "Break the Ice" | 투오모 라실라 | 티모 톨키 | 4:26 |
- 10번 트랙 "Break the Ice"는 일본반 보너스 비디오 클립이다.
- 앨범의 총 재생 시간은 49분 20초이다.
4. 2. 곡 해설
"United"는 멤버 간의 화해를 주제로 한 곡이다.5. 참여진
wikitext
5. 1. 스트라토바리우스
역할 | 이름 |
---|---|
보컬 | 티모 코티펠토 |
기타 | 티모 톨키 |
베이스 | 야리 카이누라이넨 |
키보드 | 옌스 요한슨 |
드럼 | 요르그 미하일 |
추가 참여진 | |
첼로 (4번 트랙) | 막스 릴랴 |
테너 보컬 (4번 트랙) | 페트리 백스트룀 |
백 보컬 | 마르코 바아라, 키모 블롬, 파시 란타넨, 안시 스텐베르그 |
스포큰 보컬 (4번 트랙) | "스타벅" |
엔지니어링 (드럼) | 미코 오이노넨 |
마스터링 | 스반테 포르스백 |
- 티모 톨키는 기타 외에도 엔지니어링, 믹싱, 프로듀서를 담당했다.
- 옌스 요한슨은 7번 트랙에서 오케스트라 편곡을 담당했다.
5. 2. 추가 참여진
6. 차트 성적
7. 평가
티모 톨키는 이후 인터뷰에서 이 앨범이 밴드의 진정한 스타일에서 너무 벗어났기 때문에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밝혔으며, 앨범 발매 후 라이브에서는 이 앨범의 곡들이 거의 연주되지 않았다.[3]
이 앨범은 이전 앨범들의 심포닉 메탈 사운드와는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인다. 곡들은 더 거칠고 느려졌으며, 톨키 특유의 신고전주의 메탈 기타 연주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옌스 요한슨의 역할은 특히 제한적이며, 요르그 미하엘의 드럼 연주 역시 그의 특징인 더블 베이스 연주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티모 코티펠토 또한 평소의 높은 음역대를 피하며 다른 보컬 방식을 시도했다.[3]
밴드 이름을 딴 앨범이지만, 스피드 튠이 한 곡도 없고, 이전의 심포닉하거나 신비적인 멜로디는 사라지고, LA 메탈과 같은 팝적인 곡이 대부분으로, 이전의 스트라토바리우스의 음악성과는 상당히 달랐다.[3]
8. 여담
베이시스트 야리 카이누라이넨은 이 앨범 제작 후에 탈퇴했다.[4] 이후 2008년에 티모 톨키가 탈퇴하면서, 톨키와 야리가 참여한 마지막 앨범이 되었다.[4]
참조
[1]
AllMusic
Stratovarius - Stratovarius
https://www.allmusic[...]
RhythmOne
2021-09-06
[2]
Finnishcharts
Stratovarius - Stratovarius (album)
https://finnishchart[...]
Hung Medien
2021-09-06
[3]
Finnishcharts
Stratovarius - Maniac Dance (song)
https://finnishchart[...]
Hung Medien
2021-09-06
[4]
웹사이트
"The Legacy Of Stratovarius!"
http://www.ontrackma[...]
2014-01-07
[5]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6]
웹인용
OnTrack interview
https://web.archive.[...]
2009-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