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TuxKart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uperTuxKart는 2000년 시작된 오픈 소스 카트 레이싱 게임으로, 싱글 플레이어, 로컬 및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한다. 이 게임은 마리오 카트 시리즈와 유사한 게임 플레이를 보이며, 다양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마스코트 캐릭터들을 특징으로 한다. SuperTuxKart는 스토리 모드를 통해 게임 내 트랙과 캐릭터를 잠금 해제할 수 있으며, 2004년 TuxKart 프로젝트에서 포크되어 개발되었다. 게임은 2007년 이후 SourceForge.net에서 320만 번 이상, Google Play 스토어에서 50만 번 이상 다운로드되었으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ROS 소프트웨어 - AROS 리서치 오퍼레이팅 시스템
AROS 리서치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아미가OS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x86 PC에서 실행되며 아미가OS와의 소스 코드 호환성을 제공한다. - AROS 소프트웨어 - 넥쉬즈
넥쉬즈는 2001년 퀘이크 모드로 개발되어 2005년 GNU GPL 하에 출시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다양한 멀티플레이어 게임 유형과 맵을 제공하며 오픈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여러 포크 버전이 제작되었다. - 모르프OS 게임 - 둠 (1993년 비디오 게임)
둠은 1993년 id Software가 개발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혁신적인 그래픽과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통해 큰 인기를 얻으며 1인칭 슈팅 게임 장르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모르프OS 게임 - 울펜슈타인: 에너미 테리토리
《울펜슈타인: 에너미 테리토리》는 연합군과 추축군으로 나뉘어 목표를 방어하거나 파괴하는 멀티플레이어 1인칭 슈팅 게임으로, 5개의 클래스 선택과 MOD를 통해 다양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 - macOS 게임 - 토탈 워: 삼국
토탈 워: 삼국은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턴 방식 전략과 실시간 전술을 결합한 게임으로, 12개의 세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중국 통일을 목표로 하며, 장수 간 관계 시스템과 연의·정사 모드를 통해 다양한 플레이를 제공하고, 시리즈 중 가장 많은 사전 주문량과 판매량, 수상 기록을 달성했다. - macOS 게임 - 슈퍼 단간론파 2: 안녕히 절망학원
슈퍼 단간론파 2: 안녕히 절망학원은 2012년에 출시된 비주얼 노벨 게임으로, 살인 게임에 강제로 참여하게 된 학생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학급 재판을 통해 범인을 밝혀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SuperTuxKart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개발자 | Benau Alayan Marianne Gagnon "Auria" Jean-Manuel Clemençon "Samuncle" Joerg Henrichs (Hiker) 기타 대세 |
| 최초 출시일 | 2007년 8월 6일 |
| 최신 버전 | 1.4 |
| 최신 버전 출시일 | 2022년 11월 1일 |
| 플랫폼 | 리눅스 macO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 (베타) 닌텐도 스위치 |
| 장르 | 레이싱 |
| 모드 | 싱글 플레이 멀티 플레이 |
| 라이선스 | GPLv3 (코드) GPL, CC BY-SA 또는 더 관대한 라이선스 (자산) |
| 웹사이트 | SuperTuxKart 공식 웹사이트 |
| 저장소 | GitHub 저장소 |
| 기술 정보 | |
| 프로그래밍 언어 | C++ GLSL AngelScript |
| 게임 엔진 | Antarctica (0.9–) Irrlicht (0.7–0.8.1) PLIB (0.0.0–0.6.2) |
2. 게임 플레이

''SuperTuxKart''의 게임 플레이는 닌텐도에서 출시한 카트 레이싱 게임인 ''마리오 카트'' 시리즈와 기본적인 틀은 유사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니트로 캔을 모아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독자적인 아이템 시스템 등 차별화된 요소를 갖추게 되었다.
이 게임의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마스코트들이 경주 캐릭터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리눅스의 마스코트인 턱스가 주인공이며, 모질라 썬더버드는 심판 역할을 맡아 경주 시작을 알리거나 선수가 코스에서 벗어났을 때 구조하는 역할을 한다.
게임은 혼자서 즐길 수 있는 싱글 플레이어 모드와 여러 명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한다.
2. 1. 게임 모드
''SuperTuxKart''는 여러 가지 게임 모드를 제공한다. 혼자서 즐길 수 있는 싱글 플레이어 모드, 한 기기에서 여러 명이 함께 플레이하는 로컬 멀티플레이어 모드, 그리고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플레이어들과 경쟁하는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모드가 있다. 온라인 멀티플레이어는 WAN과 LAN 환경을 모두 지원하며, 버전 1.0부터 도입되었다.2. 1. 1. 로컬 멀티플레이어

''SuperTuxKart''는 로컬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한다. 이는 하나의 기기에서 여러 명이 함께 플레이하는 방식이다. 분할 화면 기능을 이용하여 최대 4명까지 동시에 게임을 즐길 수 있다.
2. 1. 2.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SuperTuxKart''는 WAN 멀티플레이어 및 LAN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한다. WAN 멀티플레이어는 인터넷을 통해 다른 플레이어들과 경주하는 방식이며, LAN 멀티플레이어는 같은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플레이어들끼리 대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네트워킹을 통한 멀티플레이어 기능은 버전 1.0부터 지원되기 시작했다.2. 2. 아이템
''SuperTuxKart''의 게임 플레이는 닌텐도에서 출시한 ''마리오 카트'' 시리즈와 기본적인 방식은 유사하지만, 니트로 캔 수집 및 사용, 트랙 위의 선물 상자나 바나나 활용 등 차별화된 요소도 가지고 있다. 플레이어는 레이스 중 이러한 아이템들을 획득하여 상대방을 방해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드는 등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3. 캐릭터
''슈퍼턱스카트''에 등장하는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는 대부분 자유 및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마스코트들이다. 대표적으로 리눅스의 마스코트인 턱스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GNU 프로젝트의 마스코트인 그누, GIMP의 마스코트인 윌버 등이 선수로 참여한다. 다만 악당 캐릭터인 놀록은 특정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 ''슈퍼턱스''에서 턱스의 적으로 처음 등장한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게임 방식은 닌텐도의 마리오 카트 시리즈와 같이 카트 스타일의 탈것으로 경주하는 레이싱 게임을 기본으로 하지만,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차이점을 갖게 되었다. 레이스 심판 역할은 모질라 선더버드의 마스코트가 맡고 있으며, 혼자서 즐기는 솔로 플레이와 여러 명이 함께하는 대전 모드를 모두 지원한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캐릭터 외에도, 다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마스코트 캐릭터들을 게임 공식 웹사이트의 "애드온" 페이지를 통해 내려받아 추가할 수도 있다. 각 캐릭터의 상세한 목록과 특징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주요 캐릭터
''SuperTuxKart''의 공식 플레이 가능 캐릭터는 자유 및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마스코트들이다. 캐릭터 놀록은 특정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슈퍼턱스'' 프로젝트에서 턱스의 적대자로 만들어졌다. 다른 프로젝트의 일부 마스코트는 슈퍼턱스카트의 "애드온" 웹사이트에서 애드온으로 사용할 수 있다.기본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캐릭터 | 종족/특징 | 기반 프로젝트/마스코트 |
|---|---|---|
| 턱스 | 펭귄, 주인공 | 리눅스 마스코트 |
| 놀록 | 용, 악당 | 게임 슈퍼턱스의 주요 악당 |
| 그누 | 누, 플라잉 카펫 탑승 | GNU 프로젝트 마스코트 |
| 아디우미 | 오리 |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아디움 마스코트 |
| 가브로쉬 | 고블린 | 미디어 호스팅 시스템 미디어고블린 마스코트 |
| 아만다 | 판다 | 윈도우 매니저 윈도우 메이커 마스코트 |
| 이뮬 | 노새 | 파일 공유 앱 eMule 마스코트 |
| 퍼피 | 복어 | OpenBSD 프로젝트 마스코트 |
| 피진 | 비둘기 | 채팅 서비스 피진 마스코트 |
| 사라 | 마법사 | 웹사이트 OpenGameArt.org 마스코트 |
| 헥슬리 | 오리너구리 | Darwin 마스코트 |
| 콘키 | 아시아 용 | KDE 프로젝트 마스코트 |
| 고데트 | Godot 엔진 마스코트 | 게임 디자인 프로그램 Godot 마스코트 |
| 수잔 | 침팬지 | 블렌더 마스코트 |
| 키키 | 다람쥐 | 아트 프로그램 Krita 마스코트 |
| 윌버 | GIMP 마스코트 | 이미지 편집 도구 GIMP 마스코트 |
| 페퍼 | 마녀, 빗자루 탑승 | 웹코믹 Pepper&Carrot 마스코트 |
| 슈에 | 쥐, 호버크래프트 운전 | Xfce 마스코트 |
3. 2. 추가 캐릭터
''슈퍼TuxKart''의 공식 플레이 가능 캐릭터는 대부분 자유 및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마스코트이다. 기본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턱스''': 리눅스 마스코트인 펭귄. 게임의 주인공이다.
- '''놀록''': 게임 ''슈퍼턱스''의 주요 악당인 드래곤. 특정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 '''그누''': GNU 프로젝트의 마스코트인 누. 마법 양탄자를 탄다.
- '''아디우미''':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아디움의 마스코트인 오리.
- '''가브로쉬''': 미디어 호스팅 시스템 미디어고블린의 마스코트인 고블린.
- '''아만다''': 윈도우 매니저 윈도우 메이커의 마스코트인 판다.
- '''이뮬''': 파일 공유 프로그램 eMule의 마스코트인 노새.
- '''퍼피''': OpenBSD 프로젝트의 마스코트인 복어.
- '''피진''': 채팅 서비스 피진의 마스코트인 비둘기.
- '''사라''': 웹사이트 OpenGameArt.org의 마스코트인 마법사.
- '''헥슬리''': Darwin 운영체제의 마스코트인 오리너구리.
- '''콘키''': KDE 프로젝트의 마스코트인 동양 용.
- '''고데트''': 게임 엔진 Godot의 마스코트.
- '''수잔''': 3D 모델링 소프트웨어 블렌더의 마스코트인 침팬지.
- '''키키''': 디지털 페인팅 프로그램 Krita의 마스코트인 다람쥐.
- '''윌버''':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GIMP의 마스코트.
- '''페퍼''': 웹코믹 Pepper&Carrot의 주인공인 마녀. 빗자루를 탄다.
- '''줴''': 데스크톱 환경 Xfce의 마스코트인 쥐. 호버크래프트를 운전한다.
위에 언급된 캐릭터 중 그누, 놀록, 아만다, 사라, 수잔은 이야기 모드를 진행하여 잠금을 해제해야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마스코트 일부는 ''슈퍼TuxKart'' 공식 웹사이트의 애드온 페이지를 통해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4. 스토리 모드
마리오 카트와 달리, 슈퍼턱스카트(STK)는 크래시 팀 레이싱과 유사하게 게임 플레이와 관련된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STK의 "스토리 모드"는 혼자 또는 여럿이 플레이하며 트랙과 캐릭터를 잠금 해제하는 데 사용된다. 상세한 줄거리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줄거리
''마리오 카트'' 시리즈와는 다르게, 슈퍼턱스카트(STK)는 ''크래시 팀 레이싱''과 유사하게 게임 플레이와 관련된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 게임 내 '스토리 모드'는 혼자 또는 여럿이 플레이하며 트랙과 캐릭터를 얻기 위해 진행하게 된다.이야기는 자유와 오픈 소스 세계의 지도자인 그누(Gnu)가 악당 놀록(Nolok)에게 그의 우주선과 함께 납치되면서 시작된다. 놀록은 주인공 턱스(Tux)에게 찾아가 그누를 납치했다는 사실을 알린다. 스스로를 '카트의 왕'이라 칭하는 놀록은, 만약 턱스와 친구들이 자신과의 대결에서 이기지 못한다면 그누를 저녁 식사로 삼겠다고 위협한다. 이에 턱스는 그누를 구하기 위해 친구들과 힘을 합쳐 놀록에게 맞서기로 결심한다. 플레이어가 스토리 모드의 마지막 트랙인 'Fort Magma'에서 놀록을 물리치면, 턱스는 감옥에 갇혀 있던 그누를 성공적으로 구출하게 된다.
5. 역사
''SuperTuxKart''는 2000년 스티브 베이커(Steve Baker)가 시작한 ''TuxKart'' 프로젝트에 뿌리를 두고 있다. ''TuxKart'' 프로젝트가 내부적인 의견 불일치로 인해 2004년 개발이 중단된 후,[3] 2006년 요르그 "하이커" 하인리히(Joerg "Hiker" Henrichs) 등이 이를 포크하고 부활시켜 ''SuperTuxKart'' 개발을 이어갔다.
이후 커뮤니티 주도의 꾸준한 개발을 통해 그래픽 엔진을 Irrlicht Engine으로 교체하고(버전 0.7, 2010년), 'Antarctica'라는 자체 렌더링 엔진을 도입하는(버전 0.9, 2015년) 등 기술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2021년에는 포스 피드백 기능을 지원하는 버전 1.3이 출시되는 등[4]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5. 1. 개발 과정




''SuperTuxKart''는 2000년 4월 스티브 베이커(Steve Baker)가 시작한 프로젝트인 ''TuxKart''에 기반을 둔다. ''TuxKart'' 프로젝트는 내부적인 의견 불일치로 인해 개발이 원활하지 못했고, 결국 2004년 3월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SuperTuxKart''로 포크되었으나,[3] 초기에는 플레이가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였다. 2006년, 요르그 "하이커" 하인리히(Joerg "Hiker" Henrichs)가 에두아르도 "코즈" 에르난데스 무노즈(Eduardo "Coz" Hernandez Munoz)의 도움을 받아 프로젝트를 다시 활성화하여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게임을 출시했다. 2008년에는 마리안 가뇽(Marianne Gagnon, "Auria")이 프로젝트에 합류하여 은퇴한 코즈를 대신해 프로젝트 리더 중 한 명이 되었다.
게임의 라이선스는 과거 GPL 버전 2였으나, 2008년 소스 코드가 재라이선스되어 GPLv3를 따르게 되었다. 게임의 자산(텍스처, 모델, 사운드, 음악 등)은 자유 콘텐츠와 DFSG를 준수하는 다양한 라이선스(GPL, CC BY, CC BY-SA, 퍼블릭 도메인) 하에 배포된다.
2010년, ''SuperTuxKart''는 그래픽 처리를 위해 사용하던 SDL 및 PLIB 라이브러리(버전 0.6.2까지 사용) 대신 Irrlicht Engine을 도입했다. 이 변경 사항은 버전 0.7부터 적용되었다. 2013년과 2014년에는 Google Summer of Code 프로그램에 멘토링 기관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코드 저장소는 2014년 1월 17일, 기존의 SourceForge에서 GitHub로 이전되었으나, 자산 저장소와 다운로드는 여전히 SourceForge에 남아있다.
2015년 4월에 출시된 버전 0.9에서는 Irrlicht를 크게 수정한 버전과 함께 'Antarctica'라는 새로운 그래픽 렌더러가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동적 조명, 앰비언트 오클루전, 피사계 심도, 실시간 그림자 매핑 등의 고급 그래픽 효과 구현이 가능해졌다. 2018년 초에는 Antarctica 렌더링 엔진에 PBR 기술이 적용되었다. Antarctica 렌더링 엔진은 주로 OpenGL 3.3 이상 버전(또는 적절한 플랫폼에서 OpenGL ES)과 GLSL을 사용하여 그래픽을 처리한다.
2017년 3월, ''SuperTuxKart''는 디지털 배포 플랫폼인 Steam의 그린라이트 프로그램을 통과했으나, 2023년 7월 기준으로 아직 Steam에서는 정식으로 배포되지 않고 있다. 2019년 5월, 초기 프로젝트 부활을 이끌었던 요르그 "하이커" 하인리히가 리드 개발자 자리에서 물러났고, "Benau"와 "Alayan"이 새로운 프로젝트 리더로 임명되었다.
2021년 9월에 출시된 ''SuperTuxKart'' 1.3 버전에서는 포스 피드백 기능이 추가되었다.[4] 포스 피드백 지원은 자유 소프트웨어 게임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문 기능이다.
5. 2. 라이선스
과거에는 GPL 버전 2로 라이선스되었지만, 2008년 게임의 소스 코드는 재 라이선스되어 GPLv3가 되었다. 게임의 자산(텍스처, 모델, 사운드, 음악 등)은 자유 콘텐츠와 DFSG를 준수하는 혼합된 라이선스인 GPL, CC BY, CC BY-SA, 및 Public Domain 하에 라이선스된다.6. 평가
슈퍼턱스카트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 여러 게임 리뷰 매체로부터 꾸준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리눅스 환경에서의 대표적인 카트 레이싱 게임 중 하나로 인정받으며, 재미있고 창의적인 게임 플레이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상당한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며 오픈 소스 게임으로서의 인기를 증명하기도 했다.
6. 1. 수상 및 평가
2004년, 튜스카트는 리눅스 게임 톰에 의해 "이달의 게임"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2007년 풀 서클 매거진은 슈퍼튜스카트를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5대 레이싱 게임 중 하나로 선정하며, 사실적인 운전에 지친 게이머들을 위한 게임이라고 평가했다. 리눅스 저널 역시 슈퍼튜스카트의 코스가 "재밌고", "다채롭고", "창의적"이라고 칭찬했다. 2008년에는 APC 매거진의 5대 무료 게임에는 포함되지 못했지만, 명예로운 언급을 받았다. 2009년, 테크레이더는 리눅스 넷북에 설치하기 가장 좋은 게임 중 하나로 슈퍼튜스카트를 꼽았다. 2016년, OMG! 우분투!는 슈퍼튜스카트를 "마리오, 두꺼비 또는 디디콩이 등장하지 않는 최고의 카트 레이싱 게임"이라고 평가했다.
2007년 8월 이후 슈퍼튜스카트는 SourceForge.net에서 320만 번 이상 다운로드되었으며,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는 50만 번 이상 다운로드되었다.
6. 2. 다운로드 수
2007년 8월 이후 ''슈퍼튜스카트''는 SourceForge.net에서 320만 번 이상 다운로드되었으며,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50만 번 이상 다운로드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supertuxkart/stk-code on GitHub
https://github.com/s[...]
2021-09-05
[2]
웹사이트
Scripting Dev - SuperTuxKart
https://web.archive.[...]
2021-09-05
[3]
웹사이트
Re: Still alive?
http://www.happypeng[...]
2012-06-06
[4]
웹사이트
SuperTuxKart
https://github.com/s[...]
SuperTuxKart
2022-09-03
[5]
웹사이트
SupertuxKart 1.4 release
https://blog.supertu[...]
2022-11-01
[6]
웹사이트
SuperTuxKart Downloads
http://supertuxkart.[...]
SuperTuxKart
2012-07-24
[7]
웹인용
SuperTuxKart Downloads
https://supertuxkart[...]
SuperTuxKart
2012-07-24
[8]
뉴스
SuperTuxKart 1.0 Released For Open-Source Linux Racing
https://www.phoronix[...]
[9]
웹인용
Antarctica engine
http://supertuxkart.[...]
2019-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