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래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래곤은 고대 그리스어 '드라콘'에서 유래된 단어로, 뱀이나 큰 물고기를 의미하며, 전 세계 다양한 문화와 신화에서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이다. 서양에서는 날개 달린 도마뱀이나 뱀의 모습으로, 동양에서는 용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종종 불을 뿜거나 보물을 지키는 존재로 묘사된다. 고대부터 악마, 사탄과 동일시되기도 했지만, 현대 판타지에서는 동맹, 친구, 또는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문학, 게임, 영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드래곤은 와이번, 바실리스크, 린드웜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드워프, 엘프, 인간 등 다른 종족들과 적대적이거나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래곤 - 스마우그
    스마우그는 J. R. R. 톨킨의 소설 《호빗》에 등장하는 용으로, 에레보르의 보물을 차지하고 데일 마을을 파괴하지만, 호수 마을 공격 후 바르드에게 죽임을 당한다.
  • 드래곤 - 피톤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의 아들로 델포이 신탁소를 지키던 거대한 뱀 괴물이며,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한 후 아폴론이 신탁을 내리게 되었고, 대지의 정령 정복 과정으로 해석되거나 점치는 영으로 언급되며, "python"의 어원이기도 하다.
드래곤
유럽의 드래곤
날개 달린 용의 그림 (프리드리히 요한 유스틴 베르투흐, 1806년)
날개 달린 용의 그림 (프리드리히 요한 유스틴 베르투흐, 1806년)
분류전설 속 생물
하위 분류
유사한 존재다른 용
전승중세 전승
지역유럽 및 지중해 지역
서식지둥지, 동굴, 성, 산

2. 명칭

"드래곤"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드라콘(δράκων)"에서 유래했으며, "", "큰 물고기" 등을 의미한다.[35] 이 단어는 "똑똑히 보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동사 "데르코마이(δέρκομαι)"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δράκων|드라콘grc은 동사 δέρκομαι|데르코마이grc(dérkomai, "(분명히) 보이다"라는 의미)에서 파생된 단어로, 슬라브어파러시아어, 불가리아어 등에서는 дракон|드라콘ru(drakon)이 되었으며, 라틴어로는 dracō (사격: dracōn)로 변화했다.

영어의 dragon은 중세 영어 시대에 고대 프랑스어 dragon을 거쳐 라틴어에서 차용되었으며, 1220년경 동물 우화에 dragun이라는 단어로 처음 등장한다.[35] 그러나 이때는 "큰 뱀"이나 "거대한 비단뱀"을 의미했으며, 날개가 있고 불을 뿜는 도마뱀형 괴물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었다.[35] 후자의 의미로는 1225년 존 클러크가 번역한 "트로이 함락의 전설"에서 dragoun이라는 형태로 처음 등장한다.[35] 이후 100년 이상 dragoun과 그 변형인 dragoune (1297년 처음 등장)이 사용되었지만, 1400년 전후부터 dragon으로 대체되었다.[35]

한국어에서는 "드래곤" 외에도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특히 동아시아 문화권의 용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중국어에서는 동서양의 용을 모두 龍|룽중국어(lóng)으로 표기하며, 서양의 드래곤을 특정할 때는 西方龍|시팡룽중국어이라고 한다.

3. 역사와 문화 속 드래곤

드래곤은 원래 원시 종교나 지모신 신앙에서 자연이나 불사의 상징으로 우러러 받들여지던 뱀이 신격화된 존재이거나, 공룡 화석을 바탕으로 상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공룡과 드래곤은 닮은 점이 많다.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은 인간에게 정복되어야 할 존재’라는 사상이나 새로운 종교의 등장으로 인해, 드래곤은 사악한 존재의 상징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었다.[22]

서양의 드래곤 이미지는 중세 시대에 고대 그리스-로마 문학의 뱀과 같은 드래곤, 성경에 언급된 근동의 드래곤, 그리고 유럽 민속 전통[22]의 조합을 통해 서유럽에서 발전했다. 11세기에서 13세기 사이는 드래곤에 대한 유럽인들의 관심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이다.[22]



현대 서양에서 드래곤은 보통 거대한 도마뱀과 비슷하거나, 두 쌍의 도마뱀형 다리를 가진 뱀처럼 묘사되며, 입에서 불을 뿜는 형태이다. [22] 많은 유럽 드래곤은 등에서 박쥐와 같은 날개가 돋아난 모습을 하고 있다. [22]

드래곤은 일반적으로 지하 은신처나 동굴에 살거나, 강에 사는 것으로 묘사된다.[22] 이들은 탐욕스럽고 식욕이 왕성한 존재로 여겨진다.[22] 요한 묵시록에서 사탄을 "드래곤"으로 언급하기 때문에, 드래곤은 종종 사탄과 동일시되기도 한다.[22]

13세기 라틴어로 쓰여진 황금전설에는 안티오키아의 성녀 마르가레타가 흉측한 용과 마주쳤으나 십자가의 성호를 긋자 용이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22]

기독교성 게오르기우스는 용을 죽이고 공주를 구한 이야기로 유명하다. 성 게오르기우스는 창으로 용을 찌르고 십자가의 성호를 그은 후, 공주의 허리띠로 용을 묶어 제압했다. 마을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하자 성 게오르기우스는 칼로 용을 죽였다. 이 이야기는 11세기와 12세기의 초기 자료에서는 카파도키아를 배경으로 하지만, 13세기의 황금전설에서는 그 배경이 리비아로 옮겨졌다.[23]

3. 1. 고대

고대 그리스에서는 커다란 , 상어, 도마뱀, 악어 등 체구가 큰 생물들을 뭉뚱그려 드래곤이라 칭하였다.[3] 기독교에서는 악마를 가리키는 단어 가운데 하나로, 이 영향으로 인해 이후 드래곤에게는 사악한 이미지가 항상 따라다니게 되었다. 로마의 용은 뱀 모양의 그리스 용에서 유래되었으며, 혼합된 그리스/동방 헬레니즘 문화의 맥락에서 근동의 용들과 결합되었다.[3][4]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7]에서 인도 ''드라콘''(drakōn)을 큰 수축성 뱀으로 묘사했는데, 아마도 인도 비단뱀일 것이지만, 목을 조여 코끼리를 죽일 수 있을 정도로 과장되게 묘사했다.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우스는 그의 저서 ''De Natura Animalium(동물의 본성에 관하여)''[8]에서 ''드라코''(draco)를 인도에서 발견되는 큰 수축성 뱀으로 묘사했는데, 아마도 인도 비단뱀일 것이지만, 크기와 힘이 과장되어 목을 조여 코끼리를 죽일 수 있다고 썼다.

3. 2. 중세 유럽

중세 유럽에서 드래곤은 대개 악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악마와 동일시되거나 사악한 생물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3][4] 요한 묵시록에서는 사탄을 "일곱 머리와 열 뿔이 달린 불타는 붉은 큰 용"으로 묘사하고 있다.[3][4]

성 게오르기우스드래곤 슬레이어(용 사냥꾼)로 유명하며, 그의 용 퇴치는 악의 힘과의 싸움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의 『황금전설』을 통해 성 게오르기우스의 이야기가 널리 퍼졌다.

문장학에서 드래곤은 힘과 권위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웨일스의 붉은 용은 웨일스의 기에 그려져 있으며, 1959년에 웨일스의 국가 상징으로 공식 인정되었다.

240px


연금술에서 우로보로스(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뱀 또는 용)는 영원회귀와 영원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수학의 무한대 기호()도 우로보로스에서 유래했다.

3. 3. 동아시아

동아시아에서 은 신성한 동물이나 을 상징하며, 물, 불, 대지, 바람 등 자연의 기본적인 요소를 뜻한다.[3][4] 반면 서양에서의 용은 인간들과 대립하는 사악한 존재로 인식된다. 동서양의 용은 생김새도 다른데, 둘 다 비늘로 덮여 있지만 동양의 용은 날개가 작거나 없는 경우가 많은 반면, 서양의 드래곤은 날개가 훨씬 크다. 또한 드래곤의 다리가 용의 다리보다 훨씬 큰 경우가 많다.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동양 용은 그냥 드래곤, 서양 용은 유로피언 드래곤으로 표기하여 구분한다.

한국 신화와 전설에는 이무기, 용왕 등 다양한 용이 등장한다. 일본 신화에는 야마타노오로치가 등장하며, 용왕은 바다를 다스리는 신으로 묘사된다.

3. 4. 남아시아

인도 신화에는 뱀과 관련된 신들이 등장한다. 브리트라는 가뭄을 상징하는 거대한 뱀 또는 용으로, 인드라 신에게 퇴치당한다.[3] 마카라는 물과 관련된 신화 속 생물로, 종종 뱀과 물고기, 코끼리 등 여러 동물의 특징을 결합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나가는 뱀의 형상을 한 신격 존재로, 지혜와 힘을 상징하며, 때로는 인간에게 우호적인 존재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들은 지하 세계 또는 물속에 산다고 여겨지며, 나가라자는 나가들의 왕을 의미한다.[3] 나가라자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존재들은 다음과 같다:

  • 셰사: 비슈누 신이 눕는 침대 역할을 하는 거대한 뱀이다.
  • 바수키: 신들이 우유 바다를 휘저을 때 사용한 밧줄 역할을 한 뱀이다.
  • 탁샤카: 파리크시트 왕을 죽인 뱀으로 알려져 있다.
  • 무찰린다: 붓다가 명상할 때 비바람을 막아준 뱀이다.


나가는 불교 설화에도 등장하는데, 무찰린다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나가의 왕 무찰린다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명상하던 붓다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펼쳐 비바람을 막아주었다고 전해진다.[3]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7]에서 인도의 ''드라콘''(drakōn)을 큰 뱀으로 묘사했는데, 아마도 인도 비단뱀일 것이지만, 코끼리를 목 졸라 죽일 수 있을 정도로 과장되게 묘사했다.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우스는 그의 저서 ''De Natura Animalium(동물의 본성에 관하여)''[8]에서 ''드라코''(draco)를 인도에서 발견되는 큰 뱀으로 묘사했는데, 아마도 인도 비단뱀일 것이지만, 크기와 힘이 과장되어 코끼리를 목 졸라 죽일 수 있다고 묘사했다.

3. 5. 기타 지역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는 깃털 달린 뱀의 형상을 한 신 케찰코아틀이 숭배되었다. 중동 지역 신화에는 티아마트, 아지 다하카와 같은 용과 관련된 존재들이 등장한다.

4. 드래곤의 종류

종류설명
와이번두 개의 다리와 날개를 가진 드래곤이다. 중세 후기의 문장학에서는 사탄의 폭정과 그의 악마적 세력을 전복하는 것을 상징한다.[3]
바실리스크뱀의 왕으로 불리며, 독과 치명적인 시선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세 후기 문장학에서 바실리스크는 아홉 살 된 코카트리스가 거름더미에 낳은 알을 두꺼비가 부화할 때 태어나는 꼬리 끝에 드래곤의 머리를 가진 뱀으로 묘사된다.[3]
드레이크날개 없는 드래곤, 혹은 작은 드래곤을 의미한다.
히드라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뱀 형태의 괴물이다. 헤라클레스에게 퇴치되었다.
우로보로스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뱀 또는 용으로, 영원회귀나 영원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파프니르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드래곤으로, 지크프리트 전설에서는 원래 드워프였으나 용으로 변한 것으로 묘사된다.
니드호그북유럽 신화에서 세계수의 뿌리를 갉아먹는 뱀 또는 용이다.
즈메이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 드래곤으로, 인간과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유목 민족과 사악함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5. 현대 판타지에서의 드래곤

현대 판타지 작품에서 드래곤은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드래곤 라자, 드래곤 남매, 해리포터 등 많은 판타지 소설과 영화에서 드래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던전 앤 드래곤, 드래곤 퀘스트 등 롤플레잉 게임에서도 드래곤은 자주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판타지 작품 속 드래곤은 과 같은 강력한 존재, 세상에 큰 위협을 주는 악당, 인간과 친구가 되거나 인간의 탈것으로 이용되는 등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드래곤을 물리친 사람을 '드래곤 슬레이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드래곤은 인간보다 똑똑하고 오래 살면서 마법을 쓰는 존재로 그려지기도 한다.

드래곤은 보통 보석이나 황금을 좋아하고, 산속 동굴에 살며, 인간의 말을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드래곤의 심장에는 엄청난 마력이 있고, 단단한 비늘은 칼로도 벨 수 없을 정도라고 한다. 어떤 드래곤은 입에서 불을 뿜지만, 롤플레잉 게임에서는 불 외에도 얼음, 번개, 독가스 등 다양한 것을 뿜어내는 드래곤도 있다.

과학적으로 보면 드래곤이 날기 위해서는 지금 그림으로 그려지는 것보다 훨씬 큰 날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야기 속에서는 마법을 써서 날아다니거나, 심지어 제트기처럼 빠르게 날 수 있다는 설정도 있다.

6. 한국의 관점: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의 시각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에서는 드래곤을 기존 권위에 도전하고 변화를 추구하는 상징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23년 영화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에서는 진보적 가치를 옹호하는 인물이 드래곤(용)의 힘을 빌려 악에 맞서 싸우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한다. 반면, 보수 진영과 관련된 부정적인 이미지를 드래곤에 투영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7. 드래곤과 다른 종족과의 관계

드래곤은 다른 종족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는다. 드워프는 드래곤의 '드'자만 들어도 이를 갈 정도로 적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드래곤들은 항상 드워프들을 못살게 하며 필요한 것이 있을 때마다 드워프들의 물건을 빼앗고 강제로 노역을 시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워프들은 희귀하고 비싼 광물이 많은 광산을 가지고 있어도 부유하게 살지 못한다고 한다. 엘프들 역시 가끔 노예로 잡혀 레어(드래곤의 집 혹은 둥지)에서 강제 노역을 하지만 순리의 종족답게 딱히 불평을 하지 않지만, 드래곤이 무서워 드러내지 못하는 것도 있다. 오직 인간들만이 스스로 위대한 종족이라 칭하는 드래곤을 무서워하지 않고 드래곤 슬레이어라는 전설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ppendix Vergiliana: Culex http://www.thelatinl[...]
[2] 웹사이트 Legend of the European Dragon https://www.medieval[...] 2021-12-27
[3] 논문 Leviathan and the Beast in Revelation
[4] 논문 Antecedents of the Medieval Dragon in Sacred History
[5] 논문 Of Dragons, Basilisks, and the Arms of the Seven Kings of Rome
[6] 논문 An Ancient Greek Drakos-Tale in Apuleius' Metamorphoses VIII, 19-21 1977-07
[7]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8] 웹사이트 De Natura Animalium book 6 http://www.attalus.o[...]
[9] 웹사이트 Medieval Bestiary : Dragon http://bestiary.ca/b[...]
[10] 서적 Celtic Symbols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2008
[11] 서적 Celtic Art in Europe: Making Connections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14-08-29
[12] 서적 The Roman Occupation of Britain
[13] 서적 The Princes and Principalities of Wales
[14] 웹사이트 Y Ddraig yn Nychymyg a Llenyddiaeth y Cymry c.600 – c.1500 ("The dragon in imagination and literature of the Welsh") https://pure.aber.ac[...]
[15] 웹사이트 sword; sword-sheath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3-01-30
[16] 서적 Antiquaries Journal (Vol.64)
[17] 웹사이트 sword; sheath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3-01-31
[18] 웹사이트 sword; sword-sheath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3-01-31
[19] 서적 British Iron Age swords and scabbards https://books.google[...] British Museum
[20] 논문 Celtic Dragons from the River Thames https://www.cambridg[...] 1984-09
[21] 서적 Celtic Coinage of Britain https://books.google[...] Spink 1989
[22] 서적 Drager, mellom myte og virkelighet (Dragons: between myth and reality) Humanist forlag A/S
[23] 논문 Re-Reading Jackson Pollock's "She-Wolf" 2004
[24] 문서 Historia Brittonum
[25] 서적 The Mabinogion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Celtic Symbols Sterling Pub.
[27] 간행물 Kronika Polska Ossolineum, Wrocław
[28] 논문 Ślady recepcji legend arturiańskich w heraldyce Piastów czerskich i kronikach polskich http://www.kulturaih[...] 2013-07-14
[29] 웹사이트 Corpo de Deus http://www.cm-moncao[...] Municipal de Monção
[30]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openlibrary.[...] Gramercy Books
[31] 웹사이트 Dragones buenos, dragones malos https://www.heraldo.[...] 2020-01-25
[32] 웹사이트 La misteriosa leyenda del dragón que formó parte del escudo de Madrid durante tres siglos https://www.abc.es/m[...] 2019-08-08
[33] 웹사이트 Madrid: El dragón alado en el escudo de Madrid http://madridjrcalza[...] 2019-08-08
[34] 간행물 Who Was 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35] 웹사이트 The Destruction of Troy < Middle English Alliterative Poetry https://mediakron.bc[...] Boston College 2020-11-10
[36] 웹사이트 恐龍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0-11-08
[37] 서적 動物奇譚集』第6巻21「象対大蛇」 2017
[38] 서적 歴史
[39] 간행물 パルサリア; Dramatic Episodes of the Civil Wars http://www.gutenberg[...] プロジェクト・グーテンベルク 1896
[40] 위키문헌 Easton's Bible Dictionary (1897)/Dragon
[41] 위키문헌 ヨハネの黙示録(口語訳)
[42] 도서관 サー・ダンカン・ライス図書館 아바디ーン대학교
[43] 웹사이트 What is a Bestiary? http://www.abdn.ac.u[...] The Aberdeen Bestiary Project - University of Aberdeen 2015-06-18
[44] 문서 最初の邦題『阿蘭陀禽獣虫魚図和解』が付いたのは寛文2年(1663年)にオランダ商館長から江戸幕府に献上されたオランダ語翻訳版であり、この書籍の「年」を「1663年」と記している資料が多いのはそのため。
[45] 웹사이트 705 https://www.biodiver[...] Biodiversity Heritage Library (BHL) 2020-11-11
[46] 웹사이트 Dragon Legends - Pilatus Bahnen http://www.pilatus.c[...] 2015-07-06
[47] 서적 ベーオウルフ
[48] 서적 ベーオウルフ
[49] 서적 ベーオウルフ
[50] 웹사이트 dragonet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0-11-10
[51] 웹사이트 dragonet https://eow.alc.co.j[...] アルク 2020-11-10
[52] 서적 プログレッシブ英和中辞典
[53] 웹사이트 Illumination 3 http://www.vortigern[...] VORTIGERN STUDIES
[54] 서적 The Face in the Pool: A Faerie Tale https://www.amazon.c[...] A. C. McClurg 1905-01-01
[55] 서적 幻獣 ドラゴン 新紀元社
[56] 뉴스 Where Did Dragons Come From? https://www.smithson[...] スミソニアン 2012
[57] 지도 Lake Nacimiento https://www.google.c[...]
[58] 지도 Dragon Lake G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