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CK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ACK군은 프로테오고균의 계통 분류군으로, 코르고세균, 크렌고세균, 아이가르고세균, 게오아르고세균, 타움고세균, 바티아르고세균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특히 테르모프로테오타강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TACK군과 진핵생물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TACK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계 | 가이 & 에테마 2011 |
하위 분류군 | |
계층 | 문 |
동의어 | |
추가 정보 | |
![]() |
2. 계통 분류
다음은 프로테오고균의 계통 분류이다.[19][20][21][22]
McKay 외. 2019[7] | 16S rRNA 기반 LTP_06_2022[8][9][10] | 53개 마커 단백질 기반 GTDB 09-RS220 (2024년 4월 24일)[11][12][13] |
---|---|---|
style="vertical-align:top| |
- 테르모프로테오타강 (과거 크레나르키오타강). 해양 생태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가장자리이자 가장 풍부한 고세균이다. 이전에는 황에 의존하기 때문에 황세균이라고 불렸으며 탄소 고정제로서 중요하다. 열수 분출구에는 고온성 세균이 있고, 다른 그룹은 100m 미만 깊이에서 가장 풍부하다.
- "아이가르키오타강". 일본의 금광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후보 종 ''칼디아르키움'' 지하생물의 유전체에서 제안된 문(門)이다. 이 그룹의 유전체 염기서열은 육상 및 해양의 지열 환경에서도 발견되었다.
- "지오아르키오타강". 산성 환경에서 살면서 제2철 이온을 환원하는 호열성 생물을 포함한다. 또는 이 그룹과 이전 그룹이 실제로 질소구균문(Nitrososphaerota)에 속한다는 제안이 있었다.
- 니트로소스파에로타강 (과거 타우마르키오타강). 암모니아 산화 화학영양자생적(질산화) 대사를 하며, 질소 및 탄소 순환과 같은 생화학적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온성 또는 저온성 생물(중간 및 낮은 온도)을 포함한다.
- "바티아르키오타강". 영양분이 부족한 해저 퇴적물에 풍부하다. 적어도 일부 계통은 박테리아에만 고유하다고 생각되었던 호모아세트산 생성이라는 유형의 대사를 통해 발달한다.
- "코라르키오타강". 열수 환경에서만 소량으로 발견되었다. 온도, 염분(담수 또는 해수) 및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계통 발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2. 1. TACK군
다음은 프로테오고균의 계통 분류이다.[19][20][21][22]McKay 외. 2019[7] | 16S rRNA 기반 LTP_06_2022[8][9][10] | 53개 마커 단백질 기반 GTDB 09-RS220 (2024년 4월 24일)[11][12][13] |
---|---|---|
style="vertical-align:top| |
- 테르모프로테오타강 (과거 크레나르키오타강). 해양 생태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가장자리이자 가장 풍부한 고세균이다. 이전에는 황에 의존하기 때문에 황세균이라고 불렸으며 탄소 고정제로서 중요하다. 열수 분출구에는 고온성 세균이 있고, 다른 그룹은 100m 미만 깊이에서 가장 풍부하다.[19][20][21][22]
- "아이가르키오타강". 일본의 금광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후보 종 ''칼디아르키움'' 지하생물의 유전체에서 제안된 문(門)이다. 이 그룹의 유전체 염기서열은 육상 및 해양의 지열 환경에서도 발견되었다.[19][20][21][22]
- "지오아르키오타강". 산성 환경에서 살면서 제2철 이온을 환원하는 호열성 생물을 포함한다. 또는 이 그룹과 이전 그룹이 실제로 질소구균문(Nitrososphaerota)에 속한다는 제안이 있었다.[19][20][21][22]
- 니트로소스파에로타강 (과거 타우마르키오타강). 암모니아 산화 화학영양자생적(질산화) 대사를 하며, 질소 및 탄소 순환과 같은 생화학적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온성 또는 저온성 생물(중간 및 낮은 온도)을 포함한다.[19][20][21][22]
- "바티아르키오타강". 영양분이 부족한 해저 퇴적물에 풍부하다. 적어도 일부 계통은 박테리아에만 고유하다고 생각되었던 호모아세트산 생성이라는 유형의 대사를 통해 발달한다.[19][20][21][22]
- "코라르키오타강". 열수 환경에서만 소량으로 발견되었다. 온도, 염분(담수 또는 해수) 및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계통 발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19][20][21][22]
2. 1. 1. 크렌고세균 (Thermoproteota)
- 테르모프로테오타강 (과거 크레나르키오타강). 해양 생태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가장자리이자 가장 풍부한 고세균이다. 이전에는 황에 의존하기 때문에 황세균이라고 불렸으며 탄소 고정제로서 중요하다. 열수 분출구에는 고온성 세균이 있고, 다른 그룹은 100m 미만 깊이에서 가장 풍부하다.[19][20][21][22]
- "아이가르키오타강". 일본의 금광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후보 종 ''칼디아르키움'' 지하생물의 유전체에서 제안된 문(門)이다. 이 그룹의 유전체 염기서열은 육상 및 해양의 지열 환경에서도 발견되었다.[19][20][21][22]
- "지오아르키오타강". 산성 환경에서 살면서 제2철 이온을 환원하는 호열성 생물을 포함한다. 또는 이 그룹과 이전 그룹이 실제로 질소구균문(Nitrososphaerota)에 속한다는 제안이 있었다.[19][20][21][22]
- 니트로소스파에로타강 (과거 타우마르키오타강). 암모니아 산화 화학영양자생적(질산화) 대사를 하며, 질소 및 탄소 순환과 같은 생화학적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온성 또는 저온성 생물(중간 및 낮은 온도)을 포함한다.[19][20][21][22]
- "바티아르키오타강". 영양분이 부족한 해저 퇴적물에 풍부하다. 적어도 일부 계통은 박테리아에만 고유하다고 생각되었던 호모아세트산 생성이라는 유형의 대사를 통해 발달한다.[19][20][21][22]
- "코라르키오타강". 열수 환경에서만 소량으로 발견되었다. 온도, 염분(담수 또는 해수) 및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계통 발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19][20][21][22]

2. 1. 2. 타움고세균 (Nitrososphaerota)
니트로소스파에로타강(과거 타우마르키오타강)은 암모니아 산화 화학영양자생적(질산화) 대사를 하며, 질소 및 탄소 순환과 같은 생화학적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온성 또는 저온성 생물(중간 및 낮은 온도)을 포함한다.[19][20][21][22]다음은 대략적인 계통 발생 관계이다.
2. 1. 3. 아이가르고세균 (Aigarchaeota)
일본의 금광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후보 종 ''칼디아르키움'' 지하생물의 유전체에서 제안된 문(門)이다.[19][20][21][22] 이 그룹의 유전체 염기서열은 육상 및 해양의 지열 환경에서도 발견되었다.2. 1. 4. 코르고세균 (Korarchaeota)
TACK군의 하위 분류 중 하나이다.[19][20][21][22] 열수 환경에서만 소량으로 발견되었다. 온도, 염분(담수 또는 해수) 및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계통 발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7]2. 1. 5. 바티아르고세균 (Bathyarchaeota)
"바티아르키오타강"은 영양분이 부족한 해저 퇴적물에 풍부하다. 적어도 일부 계통은 박테리아에만 고유하다고 생각되었던 호모아세트산 생성이라는 유형의 대사를 통해 발달한다.[21]2. 1. 6. 지오아르고세균 (Geoarchaeota)
산성 환경에서 살면서 제2철 이온을 환원하는 호열성 생물을 포함한다. 또는 이 그룹과 아이가르키오타강이 실제로 질소구균문(Nitrososphaerota)에 속한다는 제안이 있었다.[19][20][21][22]2. 2. 아스가르드고세균 (Asgard)
아스가르드고세균은 프로테오고세균의 계통 분류군 중 하나이다.[19][20][21][22] 로키고세균, 오딘고세균, 토르고세균, 헤임달고세균 등이 이에 속하며, 진핵생물과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도 이 계통군에 포함된다.[19][20][21][22]3. 진핵생물과의 관계
제임스 레이크에 의해 1980년대 제안된 고세포 가설은 진핵생물이 원핵생물 고세포 내에서 출현했다는 가설이다.[15] POLR2H의 상동체가 유리아르키오타가 아닌 Thermotoproteota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TACK군과 진핵생물 간의 밀접한 관계를 뒷받침하는 증거 중 하나이다.[16]
다음은 프로테오고균의 계통 분류이다.[19][20][21][22]
프로테오고세균
:{| class="wikitable"
|-
|TACK군
:{| class="wikitable"
|-
|코르고세균
|-
|크렌고세균
|-
|
아이가르고세균 |
게오아르고세균 |
|-
|
타움고세균 |
바티아르고세균 |
|}
|-
|아스가르드고세균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로키고세균
|-
|
오딘고세균 |
토르고세균 |
|}
|-
|
헤임달고세균 |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
진핵생물역 |
|}
|}
|}
참조
[1]
논문
Major New Microbial Groups Expand Diversity and Alter our Understanding of the Tree of Life
[2]
논문
Eocytes: A new ribosome structure indicates a kingdom with a close relationship to eukaryotes
[3]
논문
Eukaryotic origins
[4]
논문
The archaeal 'TACK' superphylum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5]
논문
Multidomain ribosomal protein trees and the planctobacterial origin of neomura (Eukaryotes, archaebacteria)
[6]
논문
Valid publication of names of two domains and seven kingdoms of prokaryotes
https://www.research[...]
2024-01-22
[7]
간행물
Co-occurring genomic capacity for anaerobic methane and dissimilatory sulfur metabolisms discovered in the Korarchaeota
https://www.nature.c[...]
[8]
웹사이트
The LTP
https://imedea.uib-c[...]
2023-05-10
[9]
웹사이트
LTP_all tree in newick format
https://imedea.uib-c[...]
2023-05-10
[10]
웹사이트
LTP_06_2022 Release Notes
https://imedea.uib-c[...]
2023-05-10
[11]
웹사이트
GTDB release 09-RS220
https://gtdb.ecogeno[...]
2024-05-10
[12]
웹사이트
ar53_r220.sp_label
https://data.gtdb.ec[...]
2024-05-10
[13]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4-05-10
[14]
논문
The archaebacterial origin of eukaryotes
[15]
웹사이트
(UCLA) The origin of the nucleus and the tree of life
http://genomics.ucla[...]
2003-02-07
[16]
논문
Early evolution of eukaryotic DNA-dependent RNA polymerases
[17]
논문
Major New Microbial Groups Expand Diversity and Alter our Understanding of the Tree of Life
https://www.cell.com[...]
[18]
간행물
The archaeal 'TACK' superphylum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https://www.ncbi.nlm[...]
[19]
논문
Complex archaea that bridge the gap between prokaryotes and eukaryotes
[20]
논문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http://www.escholars[...]
[21]
논문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http://www.escholars[...]
2017-01-19
[22]
논문
A briefly argued case that Asgard Archaea are part of the Eukaryote tree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