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18 야구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18 야구 월드컵은 18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야구 대회로, 초기에는 AAA 세계 야구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2013년부터 18U 야구 월드컵, 2015년부터 WBSC U-18 야구 월드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1년 미국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쿠바가 4연패를 달성하는 등 강세를 보였으며, 미국,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일본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는 오프닝 라운드, 슈퍼 라운드, 컨솔레이션 라운드로 진행되며, 7회까지 동점일 경우 승부치기를 적용한다. 대한민국은 5번 우승했으며, 추신수, 이대호, 김태균, 정근우 등 프로 선수들이 이 대회를 통해 이름을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18 야구 월드컵 - 2019년 18세 이하 청소년 야구 월드컵
2019년 대한민국 기장군에서 개최된 18세 이하 청소년 야구 월드컵은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 주관으로 12개국이 참가하여 중화 타이베이가 우승,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국제 야구 대회이다. - U-18 야구 월드컵 - 2012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2012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12개국이 참가한 18세 이하 야구 국가대표팀 토너먼트 대회로, 미국이 우승하고 대한민국은 5위를 차지했으며 압축 배트 및 고의적인 몸에 맞는 공 판정 논란이 있었다. - U-18 야구 - U-18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U-18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18세 이하 야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대회이며, 1994년에 시작되어 일본과 대한민국이 최다 우승국이다. - U-18 야구 - U-18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
U-18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오세아니아 야구 연맹이 주최하는 18세 이하 야구 선수권 대회로, 오세아니아 지역 야구 발전과 U-18 야구 월드컵 예선을 겸하여 국가 및 지역 대표팀 간 경쟁을 통해 진행되며, 참가팀 증가에 따라 대회 운영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 U-18 스포츠 대회 - U-18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U-18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18세 이하 야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대회이며, 1994년에 시작되어 일본과 대한민국이 최다 우승국이다. - U-18 스포츠 대회 - U-18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
U-18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오세아니아 야구 연맹이 주최하는 18세 이하 야구 선수권 대회로, 오세아니아 지역 야구 발전과 U-18 야구 월드컵 예선을 겸하여 국가 및 지역 대표팀 간 경쟁을 통해 진행되며, 참가팀 증가에 따라 대회 운영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U-18 야구 월드컵 | |
---|---|
기본 정보 | |
이전 명칭 |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1981년 - 2010년) 18U 야구 월드 챔피언십 (2012년) 18U 야구 월드컵 (2013년) |
현재 시즌 | 2023 U-18 야구 월드컵 |
![]() | |
종목 | 야구 |
창설 | 1981년 |
참가 팀 수 | 12개 팀 |
대륙 | 국제 |
최근 우승팀 | 일본 (1회 우승) (2023년) |
최다 우승팀 | 쿠바 (11회 우승) |
웹사이트 | 2023 WBSC U-18 야구 월드컵 |
2. 대회 역사
U-18 야구 월드컵은 초기 '''AAA 세계 야구 선수권 대회'''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었다. 1981년 제1회 대회가 미국에서 개최된 이후, 2010년 제24회 대회까지 해당 명칭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
2011년 국제 야구 연맹(IBAF)은 국제 대회 재편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2013년 제26회 대회부터 '''18U 야구 월드컵'''으로 대회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대회의 개최 주기가 2년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WBSC)이 발족하면서, 2015년에 열린 제27회 대회부터는 '''WBSC U-18 야구 월드컵'''이라는 명칭으로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U-18 야구 월드컵의 초기 대회는 1981년부터 2000년까지 다양한 국가에서 개최되었다.[2] 1981년 미국 뉴어크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는 대한민국 대표팀이 미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 이후 쿠바가 1984년부터 1987년까지 4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초기 대회의 강자로 떠올랐다.[2] 미국은 1988년, 1989년, 1995년, 1999년에 우승하였고,[2] 대한민국은 1994년과 2000년에 우승을 추가하며 초기 대회에서 총 3번의 우승을 기록했다.[2] 캐나다는 1991년에,[2] 중화 타이베이(타이완)는 1983년에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2]
연도 | 결승 개최지 | 메달리스트 | |||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81 자세히 | 22px 뉴어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
1982 자세히 | 22px 녹스빌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일본/日本일본어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
1983 자세히 | 22px 존스타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캐나다/Canada영어 | |
1984 자세히 | 22px 새스커툰 | 쿠바/Cubaes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1985 자세히 | 22px 올버니 | 쿠바/Cubaes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1986 자세히 | 22px 윈저 | 쿠바/Cubaes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
1987 자세히 | 22px 윈저 | 쿠바/Cubaes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캐나다/Canada영어 | |
1988 자세히 | 22px 시드니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쿠바/Cubaes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1989 자세히 | 22px 트루아리비에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쿠바/Cubaes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
1990 자세히 | 22px 쿠바 | 쿠바/Cubaes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
1991 자세히 | 22px 브랜던 | 캐나다/Canada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
1992 자세히 | 22px 몬테레이 | 쿠바/Cubaes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1993 자세히 | 22px 윈저 | 쿠바/Cubaes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1994 자세히 | 22px 브랜던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1995 자세히 | 22px 케ープ코드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
1996 자세히 | 22px 산티스피리투스 | 쿠바/Cubaes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
1997 자세히 | 22px 몽턴 | 쿠바/Cubaes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캐나다/Canada영어 | |
1999 자세히 | 22px 가오슝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쿠바/Cubaes | |
2000 자세히 | 22px 에드먼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쿠바/Cubaes | |
2000년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추신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김태균 (한화 이글스), 정근우 (SK 와이번스) 등 초호화 멤버를 앞세워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대한민국은 2006년 쿠바 산티스피리투스 대회와 2008년 캐나다 에드먼턴 대회에서 연이어 우승하며 이 시기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2004년 타이완 타이베이 대회에서는 쿠바가 우승, 일본이 준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했다. 2015년 일본 오사카 대회에서는 미국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했다. 2017년 캐나다 선더베이 대회에서는 미국이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거두었다. 2019년 대한민국 기장군에서 개최된 대회에서는 타이완이 우승, 미국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했다. 가장 최근인 2023년 타이완 타이베이와 타이중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일본이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타이완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하며 대회를 마무리했다.
U-18 야구 월드컵 | ||||||
---|---|---|---|---|---|---|
연도 | 결승 개최지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0 자세히 | 22px 에드먼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쿠바/Cubaes | ||
2002 자세히 | 22px 셔브루크 | 쿠바/Cubaes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
2004 자세히 | 22px 타이베이 | 쿠바/Cubaes | 일본/日本일본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
2006 자세히 | 22px 산티스피리투스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캐나다/Canada영어 | ||
2008 자세히 | 22px 에드먼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쿠바/Cubaes | ||
2010 자세히 | 22px 선더베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쿠바/Cubaes | ||
2012 자세히 | 22px 서울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캐나다/Canada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
18U 야구 월드컵 | ||||||
2013 자세히 | 22px 타이중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일본/日本일본어 | 쿠바/Cubaes | ||
U-18 야구 월드컵 | ||||||
2015 자세히 | 22px 오사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일본/日本일본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
2017 자세히 | 22px 선더베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
2019 자세히 | 22px 기장군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
2022 자세히[3] | 22px 사라소타 & 브레이든턴 | 미국/United States영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일본/日本일본어 | ||
2023 자세히 | 22px 타이베이, 타이중 | 일본/日本일본어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
2025 자세히 | 미정 | colspan=2| |
2. 1. 대회 명칭 및 주최 기관 변경
U-18 야구 월드컵은 초기 '''AAA 세계 야구 선수권 대회'''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었다. 1981년 제1회 대회가 미국에서 개최된 이후, 2010년 제24회 대회까지 해당 명칭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2011년 국제 야구 연맹(IBAF)은 국제 대회 재편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2013년 제26회 대회부터 '''18U 야구 월드컵'''으로 대회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대회의 개최 주기가 2년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WBSC)이 발족하면서, 2015년에 열린 제27회 대회부터는 '''WBSC U-18 야구 월드컵'''이라는 명칭으로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2. 2. 초기 대회 (1981년 ~ 2000년)
U-18 야구 월드컵의 초기 대회는 1981년부터 2000년까지 다양한 국가에서 개최되었다.[2] 1981년 미국 뉴어크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는 대한민국 대표팀이 미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 이후 쿠바가 1984년부터 1987년까지 4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초기 대회의 강자로 떠올랐다.[2] 미국은 1988년, 1989년, 1995년, 1999년에 우승하였고,[2] 대한민국은 1994년과 2000년에 우승을 추가하며 초기 대회에서 총 3번의 우승을 기록했다.[2] 캐나다는 1991년에,[2] 중화 타이베이(타이완)는 1 자연어 처리 모델이므로,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1983년에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2]연도 | 결승 개최지 | 메달리스트 | |||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81 자세히 | 뉴어크 | ||||
1982 자세히 | 녹스빌 | ||||
1983 자세히 | 존스타운 | ||||
1984 자세히 | 새스커툰 | ||||
1985 자세히 | 올버니 | ||||
1986 자세히 | 윈저 | ||||
1987 자세히 | 윈저 | ||||
1988 자세히 | 시드니 | ||||
1989 자세히 | 트루아리비에르 | ||||
1990 자세히 | 쿠바 | ||||
1991 자세히 | 브랜던 | ||||
1992 자세히 | 몬테레이 | ||||
1993 자세히 | 윈저 | ||||
1994 자세히 | 브랜던 | ||||
1995 자세히 | 케ープ코드 | ||||
1996 자세히 | 산티스피리투스 | ||||
1997 자세히 | 몽턴 | ||||
1999 자세히 | 가오슝 | ||||
2000 자세히 | 에드먼턴 | ||||
2. 3. 격년제 전환 이후 (2000년 ~ 현재)
2000년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추신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김태균 (한화 이글스), 정근우 (SK 와이번스) 등 초호화 멤버를 앞세워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대한민국은 2006년 쿠바 산티스피리투스 대회와 2008년 캐나다 에드먼턴 대회에서 연이어 우승하며 이 시기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2004년 타이완 타이페이 대회에서는 쿠바가 우승, 일본이 준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했다. 2015년 일본 오사카 대회에서는 미국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했다. 2017년 캐나다 선더베이 대회에서는 미국이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거두었다. 2019년 대한민국 기장군에서 개최된 대회에서는 타이완이 우승, 미국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했다. 가장 최근인 2023년 타이완 타이페이와 타이중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일본이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타이완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하며 대회를 마무리했다.
U-18 야구 월드컵 | ||||||
---|---|---|---|---|---|---|
연도 | 결승 개최지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0 자세히 | 에드먼턴 | |||||
2002 자세히 | 셔브루크 | |||||
2004 자세히 | 타이페이 | |||||
2006 자세히 | 산티스피리투스 | |||||
2008 자세히 | 에드먼턴 | |||||
2010 자세히 | 선더베이 | |||||
2012 자세히 | 서울 | |||||
18U 야구 월드컵 | ||||||
2013 자세히 | 타이중 | |||||
U-18 야구 월드컵 | ||||||
2015 자세히 | 오사카 | |||||
2017 자세히 | 선더베이 | |||||
2019 자세히 | 기장군 | |||||
2022 자세히[3] | 사라소타 & 브레이든턴 | |||||
2023 자세히 | 타이페이, 타이중 | |||||
2025 자세히 | 미정 | colspan=2| |
3. 대회 방식
3. 1. 참가 자격
기본적으로, 각 나라에서 18세 이하인 선수가 출전한다. 2015년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되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일본의 주력 선수들이 국가 대표 팀을 편성해 참가했다.
3. 2. 경기 진행 방식
U-18 야구 월드컵의 경기 진행 방식은 오프닝 라운드, 슈퍼 라운드, 컨솔레이션 라운드로 구성된다. 오프닝 라운드에서는 12개 팀이 6팀씩 2개 그룹으로 나뉘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각 그룹 상위 3개 팀은 슈퍼 라운드에 진출하고, 하위 3개 팀은 컨솔레이션 라운드에 진출한다.
슈퍼 라운드에 진출한 팀은 오프닝 라운드의 다른 조 3개 팀과 각각 경기를 치른다. 각 팀의 순위는 슈퍼 라운드 경기 결과와 오프닝 라운드에서 슈퍼 라운드 진출 팀과의 경기 결과를 합산하여 결정된다. 1위, 2위 팀은 결승전에 진출하고, 3위, 4위 팀은 3위 결정전에 진출한다. 5위, 6위 팀의 최종 순위는 이 단계에서 확정된다. 과거 2013년 대회까지는 5위 결정전이 있었다.
컨솔레이션 라운드도 슈퍼 라운드와 같은 방식으로 순위를 산출하여 7위부터 12위까지의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슈퍼 라운드 및 컨솔레이션 라운드 이후 공격 순서는 동전 던지기로 결정한다.
3. 3. 경기 규칙
7회 종료 시 동점인 경우, 연장 8회부터 승부치기를 적용한다. 노 아웃 1, 2루에서 경기를 진행하며, 타순은 이전 이닝의 연속으로 하고, 이전 이닝의 마지막 타자부터 계산하여 2명이 각각 1루, 2루 주자가 된다.
4. 역대 대회 결과
회수 | 연도 | 개최국 | ![]() | ![]() | ![]() |
---|---|---|---|---|---|
1회 | 1981년 | 미국 | 대한민국 | 미국 | 오스트레일리아 |
2회 | 1982년 | 미국 | 미국 | 일본 | 오스트레일리아 |
3회 | 1983년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미국 | 캐나다 |
4회 | 1984년 | 캐나다 | 쿠바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5회 | 1985년 | 미국 | 쿠바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6회 | 1986년 | 캐나다 | 쿠바 | 중화 타이베이 | 미국 |
7회 | 1987년 | 캐나다 | 쿠바 | 미국 | 캐나다 |
8회 | 1988년 | 오스트레일리아 | 미국 | 쿠바 | 중화 타이베이 |
9회 | 1989년 | 캐나다 | 미국 | 쿠바 | 오스트레일리아 |
10회 | 1990년 | 쿠바 | 쿠바 | 중화 타이베이 | 미국 |
11회 | 1991년 | 캐나다 | 캐나다 | 중화 타이베이 | 미국 |
12회 | 1992년 | 멕시코 | 쿠바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13회 | 1993년 | 캐나다 | 쿠바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14회 | 1994년 | 캐나다 | 대한민국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15회 | 1995년 | 미국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오스트레일리아 |
16회 | 1996년 | 쿠바 | 쿠바 | 중화 타이베이 | 미국 |
17회 | 1997년 | 캐나다 | 쿠바 | 중화 타이베이 | 캐나다 |
18회 | 1999년 | 대만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쿠바 |
19회 | 2000년 | 캐나다 | 대한민국 | 미국 | 쿠바 |
20회 | 2002년 | 캐나다 | 쿠바 | 중화 타이베이 | 미국 |
21회 | 2004년 | 대만 | 쿠바 | 일본 | 대한민국 |
22회 | 2006년 | 쿠바 | 대한민국 | 미국 | 캐나다 |
23회 | 2008년 | 캐나다 | 대한민국 | 미국 | 쿠바 |
24회 | 2010년 | 캐나다 | 중화 타이베이 | 오스트레일리아 | 쿠바 |
25회 | 2012년 | 대한민국 | 미국 | 캐나다 | 중화 타이베이 |
26회 | 2013년 | 대만 | 미국 | 일본 | 쿠바 |
27회 | 2015년 | 일본 | 미국 | 일본 | 대한민국 |
28회 | 2017년 | 캐나다 | 미국 | 대한민국 | 일본 |
29회 | 2019년 | 대한민국 | 중화 타이베이 | 미국 | 대한민국 |
30회 | 2022년 | 미국[3] | 미국 | 중화 타이베이 | 일본 |
31회 | 2023년 | 대만 | 일본 | 중화 타이베이 | 대한민국 |
4. 1. 대회별 결과
회수 | 연도 | 개최국 | |||
---|---|---|---|---|---|
1회 | 1981년 | ||||
2회 | 1982년 | ||||
3회 | 1983년 | ||||
4회 | 1984년 | ||||
5회 | 1985년 | ||||
6회 | 1986년 | ||||
7회 | 1987년 | ||||
8회 | 1988년 | ||||
9회 | 1989년 | ||||
10회 | 1990년 | ||||
11회 | 1991년 | ||||
12회 | 1992년 | ||||
13회 | 1993년 | ||||
14회 | 1994년 | ||||
15회 | 1995년 | ||||
16회 | 1996년 | ||||
17회 | 1997년 | ||||
18회 | 1999년 | ||||
19회 | 2000년 | ||||
20회 | 2002년 | ||||
21회 | 2004년 | ||||
22회 | 2006년 | ||||
23회 | 2008년 | ||||
24회 | 2010년 | ||||
25회 | 2012년 | ||||
26회 | 2013년 | ||||
27회 | 2015년 | ||||
28회 | 2017년 | ||||
29회 | 2019년 | ||||
30회 | 2022년 | [3] | |||
30회 | 2023년 |
U-18 야구 월드컵 | ||||||
---|---|---|---|---|---|---|
연도 | 결승 개최지[2] | width=1% rowspan=34 style="border-top:none;border-bottom:none;"|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81 자세히 | 뉴어크 | |||||
1982 자세히 | 녹스빌 | |||||
1983 자세히 | 존스타운 | |||||
1984 자세히 | 새스커툰 | |||||
1985 자세히 | 올버니 | |||||
1986 자세히 | 윈저 | |||||
1987 자세히 | 윈저 | |||||
1988 자세히 | 시드니 | |||||
1989 자세히 | 트루아리비에르 | |||||
1990 자세히 | 쿠바 | |||||
1991 자세히 | 브랜던 | |||||
1992 자세히 | 몬테레이 | |||||
1993 자세히 | 윈저 | |||||
1994 자세히 | 브랜던 | |||||
1995 자세히 | 케ープ코드 | |||||
1996 자세히 | 산티스피리투스 | |||||
1997 자세히 | 몽턴 | |||||
1999 자세히 | 가오슝 | |||||
2000 자세히 | 에드먼턴 | |||||
2002 자세히 | 셔브루크 | |||||
2004 자세히 | 타이페이 | |||||
2006 자세히 | 산티스피리투스 | |||||
2008 자세히 | 에드먼턴 | |||||
2010 자세히 | 선더베이 |
18U 야구 선수권 대회 | ||||||
---|---|---|---|---|---|---|
연도 | 결승 개최지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12 자세히 | 서울 | |||||
18U 야구 월드컵 | ||||||
2013 자세히 | 타이중 | |||||
U-18 야구 월드컵 | ||||||
2015 자세히 | 오사카 | |||||
2017 자세히 | 선더베이 | |||||
2019 자세히 | 기장군 | |||||
2022 자세히[3] | 사라소타 & 브레이든턴 | |||||
2023 자세히 | 타이페이, 타이중 | |||||
2025 자세히 | 미정 | colspan=2| |
첫 번째 표는 각 대회별 결과(회수, 연도, 개최국, 우승팀, 준우승팀, 3위팀)를 요약하여 보여준다.
두 번째와 세 번째 표는 중복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첫 번째 표에 통합하여 관리한다.
한국 대표팀의 성적은 강조 표시한다. (예: '''''')
4. 2. 국가별 메달 순위
1중화 타이베이는 공식적으로 중화민국으로 알려진 국가를 대표하는 팀에 대한 공식 WBSC의 명칭이며, 더 일반적으로 타이완으로 알려져 있다.(자세한 내용은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 참조).
쿠바는 1984년부터 1987년까지 4연패를 달성하는 등 총 11회 우승을 차지했다. 미국은 1982년, 1988년, 1989년, 1995년, 1999년, 2012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22년에 우승하여 총 10회 우승했다. 대한민국은 1981년, 1994년, 2000년, 2006년, 2008년에 우승하여 총 5회 우승을 기록했다.
5. 한국 대표팀
5. 1. 한국 대표팀의 참가 과정
기본적으로, 각 나라에서 18세 이하인 선수가 U-18 야구 월드컵에 출전한다.[7] 한국 대표팀의 경우, U-18 야구 월드컵은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고시엔)와 시기가 겹쳐 선수 선발에 어려움이 있었다. 1982년 제2회 대회에는 도토 대학 야구 연맹의 1, 2학년 선수들이, 1999년 제18회 대회에는 오키나와현 선발 선수들이 참가하기도 했다.[7] 그러나 고시엔 출전 선수를 포함한 전일본팀으로 출전한 것은 2004년 제21회 대회가 처음이었다.[7]5. 2. 역대 한국 대표팀 감독
회 | 감독 | 소속 학교(당시) |
---|---|---|
2 | 오타 마코토/太田 誠일본어 | 고마자와 대학 |
18 | 가미야 켄/神谷 健일본어 | 고난 |
21 | 와타나베 모토치/渡辺 元智일본어 | 요코하마 |
25 | 오구라 마사요시/小倉 全由일본어 | 니치다이 산 |
26 | 니시타니 코이치/西谷 浩一일본어 | 오사카 토인 |
27 | 니시타니 코이치/西谷 浩一일본어 | 오사카 토인 |
28 | 코에다 마모루/小枝 守일본어 | 전・타쿠쇼쿠 대학 료린 |
29 | 나가타 유지/永田 裕治일본어 | 전・호토쿠가쿠엔 |
30 | 마부치 시로/馬淵 史郎일본어 | 메이토쿠기주쿠 |
31 | 마부치 시로/馬淵 史郎일본어 | 메이토쿠기주쿠 |
5. 3. 한국 대표팀 관련 기타 정보
6. 논란 및 사건 사고
2023년에 개최된 제31회 U-18 야구 월드컵에서는 9월 3일 일본 대 미국전에서 플라이볼을 쫓는 과정에서 유격수 코바야시와 좌익수 하시모토가 충돌하여, 하시모토는 왼쪽 무릎을 타박했고 코바야시는 얼굴에 하시모토의 오른쪽 팔꿈치가 부딪혀 왼쪽 옆구리도 타박했다.[10] 머리 부위 검사를 위해 현지 병원에 입원했지만, 6일 오전에 퇴원했다.[11][12] 검사 결과 이상이 없었지만, 팀은 만약을 위해 일본 야구 기구(NPB)의 "뇌진탕 특례 조치" 규정에 따른 일수에 맞춰 최종일(10일)에 코바야시를 출전시키겠다는 뜻을 대회 본부에 전달했다. 그러나 대회 본부로부터 답변이 없었고, 10일 오전에 이유는 비공개인 채로 결승전 출전이 허용되지 않았다. 2023년 대회 개최 시점에서는, WBSC 주최 경기에서는 뇌진탕을 입은 선수에 관한 규정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아 (검사 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명된 후에도) 충돌 등으로 머리 부위에 접촉한 후의 대응 기준이 없다.[13]
6. 1. 2023년 대회 머리 부위 접촉 사고
2023년에 개최된 제31회 대회에서는 9월 3일 일본 대 미국전에서 플라이볼을 쫓는 과정에서 유격수 코바야시와 좌익수 하시모토가 충돌하여, 하시모토는 왼쪽 무릎을 타박했고 코바야시는 얼굴에 하시모토의 오른쪽 팔꿈치가 부딪혀 왼쪽 옆구리도 타박했다.[10] 머리 부위 검사를 위해 현지 병원에 입원했지만, 6일 오전에 퇴원했다.[11][12] 검사 결과 이상이 없었지만, 팀은 만약을 위해 일본 야구 기구(NPB)의 "뇌진탕 특례 조치" 규정에 따른 일수에 맞춰 최종일(10일)에 코바야시를 출전시키겠다는 뜻을 대회 본부에 전달했다. 그러나 대회 본부로부터 답변이 없었고, 10일 오전에 이유는 비공개인 채로 결승전 출전이 허용되지 않았다. 2023년 대회 개최 시점에서는, WBSC 주최 경기에서는 뇌진탕을 입은 선수에 관한 규정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아 (검사 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명된 후에도) 충돌 등으로 머리 부위에 접촉한 후의 대응 기준이 없다.[13]7. 미디어 중계
과거 BS 아사히와 TV 아사히에서 U-18 야구 월드컵을 중계해 왔다. 2013년 대회는 BS 아사히가 일본 대표팀 경기를 중계했으며, 실황은 TV 아사히와 아사히 방송(ABC) 아나운서가 담당했다. 결승전은 지상파 TV 아사히 계열 24개국에서 방송되었다. 2015년 대회는 BS 아사히가 ABC의 제작 협력을 받아 일본 대표팀 전 경기를 중계했다.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승리하여 결승 진출을 확정 지었을때, 쿠바전은 TV 아사히와 ABC 테레비에서도 방송되었고, 결승전은 지상파 TV 아사히 계열 24개국에서 방송되었다. 2017년 대회는 AbemaTV와 TV 아사히에서 일부 중계되었다. 2019년 대회까지 BS 아사히와 TV 아사히에서 중계했으나, 2021년 대회부터는 BS11에서 중계한다.
7. 1. 한국 중계 방송사
과거 BS 아사히와 TV 아사히에서 U-18 야구 월드컵을 중계해 왔다. 2013년 대회는 BS 아사히가 일본 대표팀 경기를 중계했으며, 실황은 TV 아사히와 아사히 방송(ABC) 아나운서가 담당했다. 결승전은 지상파 TV 아사히 계열 24개국에서 방송되었다. 2015년 대회는 BS 아사히가 ABC의 제작 협력을 받아 일본 대표팀 전 경기를 중계했다.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승리하여 결승 진출을 확정 지었을때, 쿠바전은 TV 아사히와 ABC 테레비에서도 방송되었고, 결승전은 지상파 TV 아사히 계열 24개국에서 방송되었다. 2017년 대회는 AbemaTV와 TV 아사히에서 일부 중계되었다. 2019년 대회까지 BS 아사히와 TV 아사히에서 중계했으나, 2021년 대회부터는 BS11에서 중계한다.8. BFA U-18 아시아 선수권 대회
아시아 야구 연맹(BFA)이 주최하는 BFA U-18 아시아 선수권 대회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U-18 야구 월드컵이 개최되지 않는 해에 개최되며, U-18 월드컵의 아시아 예선을 겸하고 있다.
1994년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매회 일본을 포함한 7-8개국이 출전하고 있다. 고시엔 종료의 흥분이 가시지 않은 가운데, 대회를 흥분시켰던 선수를 중심으로 한 드림팀이라고 할 수 있는 멤버가 결성되기 때문에, 고교 야구 팬들의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제7회 대회는 한국·대만 주도로 규칙이 변경되어 사용 배트가 금속제에서 목제로 변경된 것에 대해, 일본에 사후 보고의 형태가 되면서 일본 고교 야구 연맹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 "대회의 취지에서 벗어났다"며 불참을 결정했다. 이 때문에 사회인 야구를 통괄하는 일본 야구 연맹이, 연맹 관할 기업 (고졸 1년차의 빠른 생일 선수), 클럽, 전문학교의 18세 이하 선수를 소집하여 대표팀을 편성했다. 이 팀은 전일본 아마추어 야구 연맹(BFJ)의 대표팀으로 인정받아, 일본은 처음으로 정식 U-18 대표팀을 이 대회에 파견하게 되었다. 유니폼도 프로, 사회인, 대학생이 착용하는 타입이 되었고, 프로나 사회인의 대표팀과 마찬가지로 신일본 석유(에네오스)가 스폰서가 되었다.
제8회 대회는, 간토 지역의 여름 고시엔 불참교 선수로 편성된 선발팀 (감독·모리 사토시 / 우라와 가쿠인)을 파견했다. 또한 유니폼은 고교 선발팀에서는 아마 처음으로 보이는 BFJ 공식 유니폼을 채용했다. 그러나 2회 연속으로 우승을 놓쳤다. 제9회 대회는, 일본 개최라는 점을 감안해 2011년 봄·여름 고시엔 출전교 선수를 메인으로 선발팀 (감독·와타나베 모토치 / 요코하마)이 편성되어, 3 대회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BAF World Ranking Notes
http://ibaf.org/file[...]
IBAF
2009-01-13
[2]
웹사이트
Editions
https://www.wbsc.org[...]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WBSC)
2022-04-30
[3]
문서
[4]
웹사이트
IBAF Congress approves new Format of International Tournaments
http://www.ibaf.org/[...]
[5]
웹사이트
WBCに18歳以下のユース大会構想 13年開催へ
https://www.sponichi[...]
[6]
뉴스
Future stars and Olympic hopefuls to be unveiled for 2015 U18 Baseball World Cup in Japan as groups revealed
http://www.wbsc.co/p[...]
2015-04-10
[7]
웹사이트
第27回WBSC U-18ワールドカップ - 全日本野球協会
http://www.baseballj[...]
[8]
문서
[9]
문서
[10]
뉴스
【U18W杯】宿敵米国戦でアクシデント 遊撃小林隼翔が左翼橋本航河と激突、即座に起き上がれず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3-09-03
[11]
뉴스
【U18W杯】米国戦で激突した小林隼翔主将の退院が1日延期 検査のため6日午前中に退院予定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3-09-05
[12]
뉴스
【U18W杯】小籠包と主将で元気百倍! 頭部検査入院の小林隼翔主将が3日ぶりにチーム合流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3-09-06
[13]
뉴스
【U18W杯】日本代表怒り!主催WBSCが小林隼翔に欠場通告、根拠示されず「対応疑問」団長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3-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