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유로 1992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A 유로 1992 선수 명단은 1992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각 국가별 선수 명단을 담고 있다.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잉글랜드, 네덜란드, 독일, 스코틀랜드, 독립국가연합(CIS) 등 8개 팀의 선수 명단, 포지션, 생년월일, 출장 경기 수, 소속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유고슬라비아의 실격으로 대체 출전한 덴마크가 우승을 차지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1996 선수 명단
UEFA 유로 1996 선수 명단은 1996년 잉글랜드에서 열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16개국의 대표팀 선수 정보를 담고 있다. - UEFA 유로 1992 - UEFA 유로 1992 예선
UEFA 유로 1992 예선은 33개국이 참가하여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유럽 지역 예선로, 독일 재통일과 유고슬라비아의 출전 금지라는 변수가 있었다. - UEFA 유로 1992 - UEFA 유로 1992 결승전
덴마크는 UEFA 유로 1992 결승전에서 독일을 2-0으로 꺾고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며 이변을 연출했다. - 소련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국가대표팀 -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는 벨라루스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소비에트 연방 대표팀에서 73경기 출전, UEFA 유로 1988 준우승을 기록했고, 벨라루스의 골든 플레이어로 선정되기도 했다. - 소련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국가대표팀 - 안드레이 칸첼스키스
소련과 러시아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인 안드레이 칸첼스키스는 빠른 속도와 드리블 능력을 가진 윙어로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등에서 활약하며 프리미어리그 우승 2회 등을 기록했고, 소련, CIS, 러시아 국가대표팀에서 59경기 7골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클럽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UEFA 유로 1992 선수 명단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992 |
영어 명칭 | 1992 UEFA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 |
개최국 | 스웨덴 |
개최 기간 | 1992년 6월 10일 ~ 1992년 6월 26일 |
참가 팀 수 | 8 |
경기장 수 | 4 |
최종 결과 | |
우승 | 덴마크 |
준우승 | 독일 |
4강 | 네덜란드 스웨덴 |
개인 기록 | |
최다 득점자 | 헨리크 라르센 (3골) 카를하인츠 리들레 (3골) 데니스 베르흐캄프 (3골) 토마스 브롤린 (3골) |
2. 참가국 및 선수 명단
UEFA 유로 1992 본선에는 8개국이 참가했다. A조에는 개최국 스웨덴을 비롯하여 덴마크, 프랑스, 잉글랜드가 편성되었다. B조에는 네덜란드, 독일, 스코틀랜드, 독립국가연합이 편성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UN으로부터 국제 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아 본선 개막 10일 전에 실격되었고, 예선에서 유고슬라비아에 밀려 탈락했던 덴마크가 대신 출전하게 되었다.[1]
2. 1. A조
UEFA 유로 1992 A조에는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잉글랜드 4개국이 편성되었다. 개최국 스웨덴은 4강에 진출했고, 덴마크는 유고슬라비아를 대신하여 극적으로 출전해 우승을 차지했다. 반면 프랑스와 잉글랜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 1. 1. {{축구나라|스웨덴}}
개최국인 스웨덴은 토미 스벤손 감독의 지휘 아래 UEFA 유로 1992에서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토마스 라벨리, 롤란드 닐손, 토마스 브롤린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나이) | 출전 경기 | 득점 | 소속팀 |
---|---|---|---|---|---|
라벨리 | 골키퍼 | 1959년 8월 13일 (32세) | |||
R. 닐손 | 수비수 | 1963년 11월 27일 (28세) | |||
J. 에릭손 | 수비수 | 1967년 8월 24일 (24세) | |||
P. 안데르손 | 수비수 | 1971년 8월 18일 (20세) | |||
비예르클룬 | 수비수 | 1971년 3월 15일 (21세) | |||
시바르스 | 수비수 | 1970년 4월 2일 (22세) | |||
잉에손 | 미드필더 | 1968년 8월 20일 (23세) | |||
렌 | 미드필더 | 1966년 10월 5일 (25세) | |||
테른 (주장) | 미드필더 | 1967년 3월 20일 (25세) | |||
림파르 | 미드필더 | 1965년 9월 24일 (26세) | |||
브롤린 | 공격수 | 1969년 11월 29일 (22세) | |||
L. 에릭손 | 골키퍼 | 1965년 9월 21일 (26세) | |||
M. 닐손 | 수비수 | 1968년 9월 28일 (23세) | |||
엘링마르크 | 수비수 | 1968년 4월 22일 (24세) | |||
얀손 | 수비수 | 1966년 4월 26일 (26세) | |||
K. 안데르손 | 공격수 | 1967년 10월 6일 (24세) | |||
달린 | 공격수 | 1968년 4월 16일 (24세) | |||
융 | 수비수 | 1966년 1월 13일 (26세) | |||
J. 닐손 | 수비수 | 1966년 3월 31일 (26세) | |||
에크스트룀 | 공격수 | 1965년 3월 5일 (27세) | |||
스벤손 | 감독 | 1945년 3월 4일 (47세) |
2. 1. 2. {{축구나라|덴마크}}
덴마크da는 유고슬라비아를 대신하여 UEFA 유로 1992에 극적으로 출전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리샤르 묄레르 닐센 감독이 이끌었다. 주요 선수로는 페테르 슈마이켈, 브리안 라우드루프, 킴 빌포르트 등이 있다.[1]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경기 수 | 득점 | 소속 클럽 |
---|---|---|---|---|---|---|
1 | GK | 슈마이켈 | 1963년 11월 18일 (28세) | 47 | 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2 | DF | 시베베크 | 1961년 10월 25일 (30세) | 77 | 1 | 모나코 |
3 | DF | 켄트 닐센 | 1961년 12월 28일 (30세) | 50 | 3 | 오르후스 |
4 | DF | 올센 (주장) | 1961년 2월 2일 (31세) | 57 | 3 | 트라브존스포르 |
5 | MF | 안데르센 | 1965년 5월 7일 (27세) | 25 | 2 | 1. FC 쾰른 |
6 | DF | 크리스토프테 | 1960년 8월 24일 (31세) | 11 | 1 | 브뢴뷔 |
7 | MF | 옌센 | 1965년 5월 3일 (27세) | 43 | 1 | 브뢴뷔 |
8 | MF | 묄뷔 | 1969년 2월 4일 (23세) | 14 | 0 | 낭트 |
9 | FW | 포울센 | 1966년 12월 3일 (25세) | 45 | 17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0 | FW | 엘스트루프 | 1963년 3월 24일 (29세) | 23 | 11 | 오덴세 |
11 | FW | 라우드루프 | 1969년 2월 22일 (23세) | 25 | 5 | 바이에른 뮌헨 |
12 | DF | 피크니크 | 1963년 5월 21일 (29세) | 4 | 0 | B.1903 |
13 | MF | 라르센 | 1966년 5월 17일 (26세) | 18 | 1 | 링뷔 |
14 | FW | 프랑크 | 1968년 6월 16일 (23세) | 3 | 0 | 링뷔 |
15 | FW | 벤트 크리스텐센 | 1967년 1월 4일 (25세) | 16 | 8 | 샬케 04 |
16 | GK | 크로그 | 1963년 10월 31일 (28세) | 1 | 0 | 브뢴뷔 |
17 | DF | 클라우스 크리스티안센 | 1967년 10월 19일 (24세) | 2 | 0 | 링뷔 |
18 | MF | 빌포르트 | 1962년 11월 15일 (29세) | 42 | 6 | 브뢴뷔 |
19 | MF | 피터 닐센 | 1968년 3월 3일 (24세) | 2 | 0 | 링뷔 |
20 | MF | 브룬 | 1965년 6월 28일 (26세) | 11 | 0 | 실케보르 |
2. 1. 3. {{축구나라|프랑스}}
플라티니 감독이 이끄는 프랑스는 UEFA 유로 1992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파팽, 캉토나, 블랑 등이 있다.[1]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나이) | 출전 경기 | 득점 | 클럽 |
---|---|---|---|---|---|
마르티니 | GK | 1962년 1월 25일 (30세) | 31 | 0 | 오세르 |
아모로스 (주장) | DF | 1962년 2월 1일 (30세) | 82 | 0 | 마르세유 |
실베스트르 | DF | 1967년 4월 5일 (25세) | 11 | 0 | 소쇼 |
프티 | MF | 1970년 9월 22일 (21세) | 4 | 0 | 모나코 |
블랑 | DF | 1965년 11월 19일 (26세) | 23 | 3 | 나폴리 |
카소니 | DF | 1961년 9월 4일 (30세) | 24 | 0 | 마르세유 |
데샹 | MF | 1968년 10월 15일 (23세) | 12 | 2 | 마르세유 |
소제 | MF | 1965년 10월 28일 (26세) | 25 | 6 | 마르세유 |
파팽 | FW | 1963년 11월 5일 (28세) | 35 | 18 | 마르세유 |
페르난데스 | MF | 1959년 10월 2일 (32세) | 60 | 6 | 칸 |
페레 | FW | 1965년 5월 22일 (27세) | 7 | 1 | 오세르 |
코카르 | GK | 1967년 11월 23일 (24세) | 0 | 0 | 오세르 |
볼리 | DF | 1967년 1월 2일 (25세) | 36 | 1 | 마르세유 |
뒤랑 | MF | 1965년 11월 11일 (26세) | 20 | 0 | 마르세유 |
디브르 | FW | 1967년 9월 2일 (24세) | 3 | 0 | 몽펠리에 |
바이뤼아 | MF | 1965년 12월 26일 (26세) | 3 | 1 | 오세르 |
가르드 | MF | 1966년 4월 3일 (26세) | 6 | 0 | 리옹 |
캉토나 | FW | 1966년 5월 24일 (26세) | 22 | 11 | 리즈 유나이티드 |
루세 | GK | 1963년 8월 22일 (28세) | 2 | 0 | 리옹 |
앙글로마 | DF | 1965년 8월 7일 (26세) | 11 | 0 | 마르세유 |
2. 1. 4. {{축구나라|잉글랜드}}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횟수 | 득점 | 클럽 |
---|---|---|---|---|---|
크리스 우즈 | 골키퍼 | 1959-11-14|1959년 11월 14일영어 (32세) | 31 | 0 | 셰필드 웬즈데이 |
키스 컬 | 수비수 | 1963-11-14|1963년 11월 14일영어 (28세) | 2 | 0 | 맨체스터 시티 |
스튜어트 피어스 | 수비수 | 1962-04-24|1962년 4월 24일영어 (30세) | 47 | 5 | 노팅엄 포레스트 |
마틴 키언 | 수비수 | 1966-07-24|1966년 7월 24일영어 (25세) | 6 | 0 | 에버턴 |
데스 워커 | 수비수 | 1965-11-26|1965년 11월 26일영어 (26세) | 44 | 0 | 노팅엄 포레스트 |
마크 라이트 | 수비수 | 1963-08-01|1963년 8월 1일영어 (28세) | 42 | 3 | 리버풀 |
데이비드 플랫 | 미드필더 | 1966-06-10|1966년 6월 10일영어 (26세) | 29 | 11 | 바리 |
트레버 스티븐 | 미드필더 | 1963-09-21|1963년 9월 21일영어 (28세) | 34 | 3 | 마르세유 |
나이절 클러프 | 공격수 | 1966-03-19|1966년 3월 19일영어 (26세) | 7 | 1 | 노팅엄 포레스트 |
게리 리네커 | 공격수 | 1960-11-30|1960년 11월 30일영어 (31세) | 77 | 48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앤디 신턴 | 미드필더 | 1966-03-19|1966년 3월 19일영어 (26세) | 4 | 0 | 퀸즈 파크 레인저스 |
칼턴 파머 | 미드필더 | 1965-12-05|1965년 12월 5일영어 (26세) | 4 | 0 | 셰필드 웬즈데이 |
나이젤 마틴 | 골키퍼 | 1966-08-11|1966년 8월 11일영어 (25세) | 2 | 0 | 크리스탈 팰리스 |
토니 도리고 | 수비수 | 1965-12-31|1965년 12월 31일영어 (26세) | 10 | 0 | 리즈 유나이티드 |
닐 웹 | 미드필더 | 1963-07-30|1963년 7월 30일영어 (28세) | 24 | 4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폴 머슨 | 미드필더 | 1968-03-20|1968년 3월 20일영어 (24세) | 5 | 1 | 아스널 |
앨런 스미스 | 공격수 | 1962-11-21|1962년 11월 21일영어 (29세) | 11 | 2 | 아스널 |
토니 데일리 | 미드필더 | 1967-10-18|1967년 10월 18일영어 (24세) | 5 | 0 | 애스턴 빌라 |
데이비드 배티 | 미드필더 | 1968-12-02|1968년 12월 2일영어 (23세) | 8 | 0 | 리즈 유나이티드 |
앨런 시어러 | 공격수 | 1970-08-13|1970년 8월 13일영어 (21세) | 2 | 0 | 사우샘프턴 |
[1]
그레이엄 테일러 감독이 이끈 잉글랜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게리 리네커, 앨런 시어러, 데이비드 플랫 등이 있었다.
2. 2. B조
UEFA 유로 1992 B조에는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독립국가연합 축구 국가대표팀이 편성되었다. 미헐스 감독이 이끈 네덜란드는 4강에 진출했고, 포크츠 감독이 이끈 독일은 준우승을 차지했다. 록스버러 감독의 스코틀랜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 2. 1. {{축구나라|네덜란드}}
미헐스 감독이 이끄는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UEFA 유로 1992에서 4강에 진출했다.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클럽 |
---|---|---|---|---|---|
판 브뢰켈런 | 골키퍼 | Hans van Breukelen|한스 판 브뢰켈런nl (1956-10-04) 1956년 10월 4일 (35세) | 69 | 0 | PSV 에인트호벤 |
판 알러 | 수비수 | Berry van Aerle|베리 판 알러nl (1962-12-08) 1962년 12월 8일 (29세) | 31 | 0 | PSV 에인트호벤 |
판 티헬런 | 수비수 | Adrie van Tiggelen|아드리 판 티헬런nl (1957-06-16) 1957년 6월 16일 (34세) | 52 | 0 | PSV 에인트호벤 |
쿠만 | 수비수 | Ronald Koeman|로날트 쿠만nl (1963-03-21) 1963년 3월 21일 (29세) | 56 | 7 | FC 바르셀로나 |
블린트 | 수비수 | Danny Blind|다니 블린트nl (1961-08-01) 1961년 8월 1일 (30세) | 20 | 1 | AFC 아약스 |
바우터르스 | 미드필더 | Jan Wouters|얀 바우터르스nl (1960-07-17) 1960년 7월 17일 (31세) | 48 | 4 | FC 바이에른 뮌헨 |
베르흐캄프 | 공격수 | Dennis Bergkamp|데니스 베르흐캄프nl (1969-05-10) 1969년 5월 10일 (23세) | 13 | 6 | AFC 아약스 |
레이카르트 | 미드필더 | Frank Rijkaard|프랑크 레이카르트nl (1962-09-30) 1962년 9월 30일 (29세) | 52 | 6 | AC 밀란 |
판 바스턴 | 공격수 | Marco van Basten|마르코 판 바스턴nl (1964-10-31) 1964년 10월 31일 (27세) | 51 | 23 | AC 밀란 |
휠릿 (주장) | 미드필더 | Ruud Gullit|뤼트 휠릿nl (1962-09-01) 1962년 9월 1일 (29세) | 57 | 16 | AC 밀란 |
판 어트 스히프 | 미드필더 | John van 't Schip|욘 판 어트 스히프nl (1963-12-30) 1963년 12월 30일 (28세) | 36 | 2 | AFC 아약스 |
키프트 | 공격수 | Wim Kieft|빔 키프트nl (1962-11-12) 1962년 11월 12일 (29세) | 40 | 11 | PSV 에인트호벤 |
멘조 | 골키퍼 | Stanley Menzo|스탄러이 멘조nl (1963-10-15) 1963년 10월 15일 (28세) | 3 | 0 | AFC 아약스 |
비츠허 | 미드필더 | Rob Witschge|로프 비츠허nl (1966-08-22) 1966년 8월 22일 (25세) | 7 | 0 | 페예노르트 |
빈터르 | 미드필더 | Aron Winter|아론 빈터르nl (1967-03-01) 1967년 3월 1일 (25세) | 23 | 2 | AFC 아약스 |
보스 | 미드필더 | Peter Bosz|페터르 보스nl (1963-11-21) 1963년 11월 21일 (28세) | 5 | 0 | 페예노르트 |
더 부르 | 수비수 | Frank de Boer|프랑크 더 부르nl (1970-05-15) 1970년 5월 15일 (22세) | 7 | 1 | AFC 아약스 |
용크 | 미드필더 | Wim Jonk|빔 용크nl (1966-10-12) 1966년 10월 12일 (25세) | 3 | 1 | AFC 아약스 |
피스칼 | 공격수 | Eric Viscaal|에리크 피스칼nl (1968-03-20) 1968년 3월 20일 (24세) | 2 | 0 | K.A.A. 헨트 |
로이 | 미드필더 | Bryan Roy|브리얀 로이nl (1970-02-12) 1970년 2월 12일 (22세) | 8 | 1 | AFC 아약스 |
2. 2. 2. {{축구나라|독일}}
UEFA 유로 1992에서 독일은 준우승을 차지했다. 베르티 포크츠 감독이 이끌었으며, 주요 선수로는 위르겐 클린스만, 토마스 헤슬러, 안드레아스 브레메 등이 있다.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횟수 | 소속 클럽 | |
---|---|---|---|---|---|---|
1 | GK | 보도 일그너 | Bodo Illgner|보도 일그너de | 1967년 4월 7일 (25세) | 34 | 1. FC Köln|1. FC 쾰른de |
2 | DF | 슈테판 로이터 | Stefan Reuter|슈테판 로이터de | 1966년 10월 16일 (25세) | 32 | Juventus|유벤투스it |
3 | DF | 안드레아스 브레메 | Andreas Brehme|안드레아스 브레메de | 1960년 11월 9일 (31세) | 69 | Internazionale|인테르나치오날레it |
4 | DF | 위르겐 콜러 | Jürgen Kohler|위르겐 콜러de | 1965년 10월 6일 (26세) | 42 | Juventus|유벤투스it |
5 | DF | 만프레트 빈츠 | Manfred Binz|만프레트 빈츠de | 1965년 9월 22일 (26세) | 11 | Eintracht Frankfurt|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de |
6 | DF | 귀도 부흐발트 | Guido Buchwald|귀도 부흐발트de | 1961년 1월 24일 (31세) | 51 | VfB Stuttgart|VfB 슈투트가르트de |
7 | MF | 안드레아스 묄러 | Andreas Möller|안드레아스 묄러de | 1967년 9월 2일 (24세) | 21 | Eintracht Frankfurt|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de |
8 | MF | 토마스 헤슬러 | Thomas Häßler|토마스 헤슬러de | 1966년 5월 30일 (26세) | 29 | Roma|AS 로마it |
9 | FW | 루디 푈러 | Rudi Völler|루디 푈러de | 1960년 4월 13일 (32세) | 83 | Roma|AS 로마it |
10 | MF | 토마스 돌 | Thomas Doll|토마스 돌de | 1966년 4월 9일 (26세) | 9 | Lazio|SS 라치오it |
11 | FW | 카를하인츠 리들레 | Karl-Heinz Riedle|카를하인츠 리들레de | 1965년 9월 16일 (26세) | 20 | Lazio|SS 라치오it |
12 | GK | 안드레아스 쾨프케 | Andreas Köpke|안드레아스 쾨프케de | 1962년 3월 12일 (30세) | 3 | 1. FC Nürnberg|1. FC 뉘른베르크de |
13 | FW | 안드레아스 톰 | Andreas Thom|안드레아스 톰de | 1965년 9월 7일 (26세) | 4 | Bayer 04 Leverkusen|바이어 04 레버쿠젠de |
14 | DF | 토마스 헬머 | Thomas Helmer|토마스 헬머de | 1965년 4월 21일 (27세) | 7 | Borussia Dortmund|보루시아 도르트문트de |
15 | DF | 미하엘 프론체크 | Michael Frontzeck|미하엘 프론체크de | 1964년 3월 26일 (28세) | 17 | VfB Stuttgart|VfB 슈투트가르트de |
16 | MF | 마티아스 자머 | Matthias Sammer|마티아스 자머de | 1967년 9월 5일 (24세) | 7 | VfB Stuttgart|VfB 슈투트가르트de |
17 | MF | 슈테판 에펜베르크 | Stefan Effenberg|슈테판 에펜베르크de | 1968년 8월 2일 (23세) | 7 | Bayern Munich|FC 바이에른 뮌헨de |
18 | FW | 위르겐 클린스만 | Jürgen Klinsmann|위르겐 클린스만de | 1964년 7월 30일 (27세) | 36 | Internazionale|인테르나치오날레it |
19 | DF | 미하엘 슐츠 | Michael Schulz|미하엘 슐츠de | 1961년 9월 3일 (30세) | 1 | Borussia Dortmund|보루시아 도르트문트de |
20 | DF | 크리스티안 뵈른스 | Christian Wörns|크리스티안 뵈른스de | 1972년 5월 10일 (20세) | 2 | Bayer 04 Leverkusen|바이어 04 레버쿠젠de |
토마스 돌(29경기), 안드레아스 톰(51경기), 마티아스 자머(23경기)는 이전에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출전한 경력이 있다.[1]
2. 2. 3. {{축구나라|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는 UEFA 유로 1992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앤디 록스버러 감독이 팀을 이끌었으며, 앨리 맥코이스트, 브라이언 매클레어, 게리 매컬리스터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경기 수 | 소속팀 |
---|---|---|---|---|
고럼 | GK | 1964-04-13|1964년 4월 13일영어 (28세) | 20 | 레인저스 |
거프 | DF | 1962-04-05|1962년 4월 5일영어 (30세) | 56 | 레인저스 |
맥스테이 | MF | 1964-10-22|1964년 10월 22일영어 (27세) | 57 | 셀틱 |
맬퍼스 | DF | 1962-08-03|1962년 8월 3일영어 (29세) | 50 | 던디 유나이티드 |
매코이스트 | FW | 1962-09-24|1962년 9월 24일영어 (29세) | 38 | 레인저스 |
매클레어 | FW | 1963-12-08|1963년 12월 8일영어 (28세) | 23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듀리 | FW | 1965-12-06|1965년 12월 6일영어 (26세) | 19 | 토트넘 홋스퍼 |
데이비드 맥퍼슨 | DF | 1964-01-28|1964년 1월 28일영어 (28세) | 20 | 레인저스 |
매키미 | DF | 1962-10-27|1962년 10월 27일영어 (29세) | 17 | 애버딘 |
맥콜 | MF | 1964-06-10|1964년 6월 10일영어 (28세) | 17 | 레인저스 |
매컬리스터 | MF | 1964-12-25|1964년 12월 25일영어 (27세) | 15 | 리즈 유나이티드 |
헨리 스미스 | GK | 1956-03-10|1956년 3월 10일영어 (36세) | 3 | 하트 오브 미들로시안 |
네빈 | MF | 1963-09-06|1963년 9월 6일영어 (28세) | 12 | 에버턴 |
갤러처 | FW | 1966-11-23|1966년 11월 23일영어 (25세) | 9 | 코벤트리 시티 |
톰 보이드 | DF | 1965-11-24|1965년 11월 24일영어 (26세) | 9 | 셀틱 |
매키널리 | MF | 1964-02-19|1964년 2월 19일영어 (28세) | 7 | 던디 유나이티드 |
화이트 | DF | 1968-08-31|1968년 8월 31일영어 (23세) | 4 | 셀틱 |
데이브 보먼 | MF | 1964-03-10|1964년 3월 10일영어 (28세) | 2 | 던디 유나이티드 |
맥라렌 | DF | 1971-01-04|1971년 1월 4일영어 (21세) | 3 | 하트 오브 미들로시안 |
덩컨 퍼거슨 | FW | 1971-12-27|1971년 12월 27일영어 (20세) | 2 | 던디 유나이티드 |
2. 2. 4. {{축구나라|독립국가연합|유로92}}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나이) | 출장 횟수 | 득점 | 클럽 |
---|---|---|---|---|---|
하린 | GK | 1968년 8월 16일(23세) | |||
체르니쇼프 | DF | 1968년 1월 7일(24세) | |||
츠하다제 | DF | 1968년 9월 7일(23세) | |||
츠베이바 | DF | 1966년 9월 10일(25세) | |||
O. 쿠즈네초프 | DF | 1963년 3월 22일(29세) | |||
샬리모프 | MF | 1969년 2월 2일(23세) | |||
미하일리첸코 (주장) | MF | 1963년 3월 30일(29세) | |||
칸첼스키스 | MF | 1969년 1월 23일(23세) | |||
알레이니코프 | MF | 1961년 11월 7일(30세) | |||
도브로볼스키 | MF | 1967년 8월 27일(24세) | |||
유란 | FW | 1969년 6월 11일(22세) | |||
체르체소프 | GK | 1963년 9월 2일(28세) | |||
키리야코프 | FW | 1970년 1월 1일(22세) | |||
류티 | MF | 1962년 4월 20일(30세) | |||
콜리바노프 | FW | 1968년 3월 6일(24세) | |||
D. 쿠즈네초프 | MF | 1965년 8월 28일(26세) | |||
코르네예프 | MF | 1967년 9월 4일(24세) | |||
오놉코 | MF | 1969년 10월 14일(22세) | |||
레댜호프 | MF | 1968년 5월 22일(24세) | |||
이바노프 | DF | 1967년 4월 6일(25세) | |||
비쇼베츠 | 감독 | 1946년 4월 23일(46세) |
UEFA 유로 1992 본선에 참가한 8개국 선수 명단은 5월 31일까지 제출되었다. 선수들은 총 20명까지 명단에 올릴 수 있었다. 덴마크의 선수 명단 교체는 5월 31일 이후에 발생했는데, 이 선수들은 부상 등의 이유로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게 된 선수들을 대신해 교체 투입된 선수들이었다.
UEFA 유로 1992 대회 10일 전,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다.[1] 대체 출전한 덴마크는 짧은 준비 기간에도 불구하고 모두의 예상을 깨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극적인 우승은 "동화"로 불리며, 스포츠 역사상 가장 놀라운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대회 10일 전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실격되었다.[1]
해당 섹션에 대한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기타'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3. 대회 진행 과정
4. 유고슬라비아의 실격과 덴마크의 기적
5. 사회적, 정치적 배경
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