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C 분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IC 분류는 철도 차량의 차륜 배치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구동축과 비구동축의 수를 조합하여 표기한다. 대문자는 구동축, 숫자는 비구동축을 의미하며, 소문자 'o'는 독립 구동, 작은 따옴표 '는 조향 대차, '+'는 영구 연결된 차량을 나타낸다. 괄호는 대차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며, 기관차의 특징을 나타내는 다양한 접미사가 추가될 수 있다. UIC 분류는 맬릿형 기관차와 개럿형 기관차에도 적용되며, 현대 기관차에서는 Bo'Bo' 또는 Co'Co' 형식이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IC 분류 | |
|---|---|
| 개요 | |
| 유형 | 철도 차량의 차축 배열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체계 |
| 적용 대상 | 기관차, 동력 분산식 차량 |
| 주요 목적 | 차륜 배열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기술 |
| 특징 | 차축과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분류 |
| 참고 | 북미에서는 AAR 차륜 배열 방식이 사용됨 |
| 표기 체계 | |
| 숫자 | 동력 구동축의 수 |
| 문자 | 비동력 구동축의 수 |
| 'O' (대문자 오) | 각 차대가 독립적으로 구동됨을 표시 |
| "'" (어포스트로피) | 연결된 차대를 표시 |
| 예시 | 2'C1' (1A)'(A1) |
| 기관차 종류별 표기 | |
| 증기 기관차 | Whyte 표기법 사용 (영국, 북미) |
| 디젤 기관차 | UIC 표기법 또는 자체 표기법 사용 (국가별 상이) |
| 추가 정보 | |
| 참고 | UIC 분류는 화차 및 객차 분류에도 사용됨 (UIC 화차 분류, UIC 객차 분류) |
| 관련 문서 | AAR 차륜 배열 |
2. 분류 방식
UIC 분류 체계는 영국과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 체계이다. 화이트 식 표기보다 융통성이 뛰어나며, 기관차 형식을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다. 특히 디젤 기관차나 전기 기관차 묘사에 적합하다.
UIC 분류는 차륜의 개수 대신 차륜쌍(wheelsets)을 세어 분류한다.
- 대문자 표기: 동축의 개수를 나타낸다. (A: 1축, C: 3축)
- 숫자: 동축이 아닌 축을 나타낸다. (1: 1축, 2: 2축)
- 소문자 "o": 각 동축이 전기 모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Bo: 2개의 동축군이 독립 구동)
- 외따옴표 " ' ": 조향이 가능한 대차에 해당 축이 적재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플러스 기호 "+": 기관차 또는 동차가 반영구연결기 등으로 영구 연결된 2개의 차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괄호 표시: 각각의 문자와 숫자 군이 한 대차를 표현하기 위해 쓰였음을 나타낸다. ((A1A): 3축 보기 대차에서 바깥쪽 2축 만이 동축)
맬릿형 기관차는 앞쪽의 동력 유니트를 괄호로 나타내어 표현한다. 예를 들어, 유니언 퍼시픽의 빅 보이는 (2'D)D2'로 표기한다. 개럿형 기관차는 괄호나 플러스(+) 표기로 개별 유닛을 구분한다.
- 기타 접미사:
- h: 과열 증기
- n: 포화 증기
- v: 복합식
- Turb: 터빈식
- t: 탱크식 증기 기관차
- 숫자: 증기 기관차의 실린더 숫자
현대적인 기관차에서 가장 일반적인 차륜 배치는 Bo'Bo' 또는 Co'Co'이다.[4]
UIC 분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4]
- 대문자: 구동축을 나타내며, 단일 차축의 경우 A로 시작한다. (B: 2개, C: 3개의 연속된 구동 바퀴 쌍)
- 소문자 "o": 구동축(최소 2개, "B")과 관련되어 있으며, 별도의 견인 전동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됨을 나타낸다.
- 숫자: 연속된 비구동 차축으로, 단일 차축의 경우 1로 시작한다.
- 프라임 기호 " ′ ": 단일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된 차축은 보조대차에 장착된다.
- 괄호: 동일한 보조대차를 설명하는 문자 및 숫자를 그룹화한다. ((A1A): 외부 2개의 차축이 구동되는 3축 보조대차)
- 더하기 기호 "+": 기관차 또는 여러 유닛은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기계적으로 분리된 견인 장치로 구성된다.
가렛 기관차는 모든 개별 유닛 사이에 괄호 또는 더하기 기호를 배치하여 표시한다.
- 기타 접미사:
- h: 과열 증기(Heißdampf|hot steamde)
- n: 포화 증기(Nassdampf|wet steamde)
- v: 복합(Verbund|de)
- Turb: 터빈
- 숫자: 실린더 수
- t: 탱크 기관차
- tr: 트램(도시) 기관차
- E: 엥거트형 기관차
- G: 화물(Güterzug|goods trainde)
- P: 여객(Personenzug|passenger trainde)
- S: 급행 여객(Schnellzug|express trainde)
다음은 UIC 분류의 예시이다.[4]
| UIC 표기 | 설명 | 와이티 표기법 |
|---|---|---|
| (A1A)(A1A) | 각 대차에 1개의 동력 차축, 1개의 무동력 차축, 1개의 동력 차축이 있으며, 모든 동력 차축은 개별 구동된다. | |
| BB | 기관차 프레임에 장착된 4개의 동력 차축이 쌍으로 구동된다. | 0-4-4-0 |
| B′B′ | 각 대차에 구동 막대 또는 기어로 연결된 두 개의 동력 차축이 있다. | |
| Bo′(A1A) | 한쪽 끝에는 Bo′ 대차(두 개의 동력 차축), 다른 쪽 끝에는 (A1A) 대차(1개의 동력 차축, 1개의 무동력 차축, 1개의 동력 차축)가 있으며, 모든 동력 차축은 개별 구동된다. | |
| Bo′Bo′ | 각 대차에 견인 전동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두 개의 동력 차축이 있다. 현대 기관차의 4분의 3이 이 배열 또는 "B′B′" 배열이다. | |
| Bo′Bo′Bo′ | 각 대차에 견인 전동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두 개의 동력 차축이 있는 세 개의 대차가 있다. | |
| C | 기관차 프레임에 장착된 세 개의 동력 차축이 구동 막대 또는 기어로 연결된다. | 0-6-0 |
| C′C′ | 각 대차에 구동 막대 또는 기어로 연결된 세 개의 동력 차축이 있다. (예: 사우스턴 퍼시픽 9010) | |
| Co′Co′ | 각 대차에 견인 전동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세 개의 동력 차축이 있다. | |
| (2Co) | 각각 두 개의 선행 차축과 세 개의 개별적으로 동력이 공급되는 차축을 가진 두 개의 대차가 있는 기관차. (예: JNR Class EF58, PRR GG1) | |
| D | 기관차 프레임에 장착된 네 개의 동력 차축이 구동 막대 또는 기어로 연결된다. | 0-8-0 |
| 1′D1′ | 1개의 선두 무동력 차축(대차), 4개의 구동 차축(프레임, 구동 막대/기어 연결), 1개의 후미 무동력 차축(대차) | 2-8-2 |
| E | 기관차 프레임에 장착된 5개의 동력 차축 | 0-10-0 |
| 2′D1′h3S | 2개의 전방 선두 차축(대차), 4개의 구동 차축, 1개의 후미 차축(대차), 단순 증기 팽창, 과열 증기, 3개의 실린더, 빠른 열차용 | 4-8-2 |
| 1′E1′h2Gt | 1개의 전방 선두 차축(대차), 5개의 구동 차축, 1개의 후미 차축(대차), 단순 증기 팽창, 과열 증기, 2개의 실린더, 화물 열차용, 탱크 기관차 | 2-10-2T |
| 1′Dn4vP | 1개의 전방 선두 차축(대차), 4개의 구동 차축, 포화 증기, 4개의 실린더, 복합(이중 증기 팽창), 여객 열차용 | 2-8-0 |
| D′Dh4vtG | 전방 선두 차축 없음, 4개의 구동 차축(대차), 4개의 동력 차축(프레임, 말렛 기관차), 과열 증기, 4개의 실린더, 복합(이중 증기 팽창), 탱크 기관차, 화물 열차용 | 0-8-8-0T |
UIC 분류는 다양한 기관차의 차륜 배열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아래에는 여러 가지 UIC 분류 예시를 정리했다.
3. UIC 분류의 다양한 예시
UIC 분류 설명 비고 (A1A)(A1A) 2개의 대차가 있으며, 각 대차는 1개의 동력축, 1개의 무동력축, 1개의 추가적인 동력축(OoO형식)으로 구성된다. 모든 동력축은 개별 구동된다. 더 나은 하중 분산을 위해 채택된다. BB 4개의 동력축이 기관차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각 차축 쌍은 연결봉이나 기어로 연결되어 함께 구동된다(OO-OO 형태). B'B' 2개의 대차가 있으며, 각 대차는 2개의 동축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연결봉이나 기어로 연결되어 있다. Bo'(A1A) 2개의 대차가 있다. 한쪽 끝에는 2개의 동력축을 가진 Bo' 대차가, 다른 한쪽 끝에는 1개의 동력축, 1개의 무동력축, 1개의 동력축을 가진 (A1A) 대차가 배치된다. 모든 동축은 개별 구동된다. Bo'Bo' 2개의 대차를 가지며, 각 대차에는 2개의 독립 구동되는 동축이 있다. C'C' 2개의 대차를 가지며, 각 대차는 3개의 동축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기어 또는 연결봉으로 연결되어 있다. Co'Co' 2개의 대차를 가지며, 각 대차는 3개의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동축을 가지고 있다. D 4개의 동축이 하나의 연결봉이나 기어로 연결되어 기관차 차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다. 1'D1' 1쌍의 전륜(동축이 아닌)이 대차에 설치, 4개의 동축이 기관차 차체에 직접 설치되어 연결봉 또는 기어로 연결, 1쌍의 후륜(동축이 아닌)이 대차에 설치. 대한민국의 미카형 증기 기관차(2-8-2) 2'C1' 2쌍의 전륜(동축이 아닌)이 대차에 설치, 3개의 동축이 기관차 차체에 직접 설치되어 연결봉 또는 기어로 연결, 1쌍의 후륜(동축이 아닌)이 대차에 설치. 대한민국의 파시형 증기 기관차(4-6-2) (2Co)() 각각 두 개의 선행 차축과 세 개의 개별적으로 동력이 공급되는 차축을 가진 두 개의 대차가 있는 기관차. JNR Class EF58, PRR GG1 E 기관차 프레임에 장착된 5개의 동력 차축 2D1h3S 대차에 그룹화된 두 개의 전방 선두 차축, 네 개의 구동 차축, 대차에 있는 하나의 후미 차축, 단순 증기 팽창, 과열 증기, 3개의 실린더, 빠른 열차용 1E1h2Gt 대차에 1개의 전방 선두 차축, 다섯 개의 구동 차축, 1개의 후미 후미 차축, 단순 증기 팽창, 과열 증기, 2개의 실린더 기계, 화물 열차용, 탱크 기관차 1'Dn4vP 대차에 1개의 전방 선두 차축, 네 개의 구동 차축, 포화 증기, 4개의 실린더 기계, 복합(이중 증기 팽창), 여객 열차용 D'Dh4vtG 전방 선두 차축 없음, 대차에 4개의 구동 차축, 프레임에 장착된 4개의 동력 차축(말렛 기관차), 과열 증기, 4개의 실린더 기계, 복합(이중 증기 팽창), 탱크 기관차, 화물 열차용 3. 1. 현대 기관차
B'B'는 두 개의 대차 또는 차축군을 가진 차량으로, 각 대차는 두 개의 동축을 가지며 이들은 연결봉이나 기어로 연결되어 있다. 현대적인 기관차들과 동차들의 70% 이상이 이 방식 또는 Bo'Bo' 차륜 배치를 채택하고 있다.[4]
Bo'Bo'는 차량에 2개의 대차 또는 동축군이 있으며, 각각의 대차에는 두 개의 독립 구동되는 동축이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노면전차가 이 배치를 채용하고 있다.[4]
Bo'(A1A)는 두 개의 대차 또는 차축군을 가지고 있다. Bo' 트럭은 차량의 한쪽 끝에 배치되어 두 개의 동력 축을 가진다. 다른 한쪽 끝에는 (A1A) 대차가 배치되어 하나의 동력축, 하나의 부수축, 하나의 동력축이 설치되어 있다. 모든 동축은 개별 구동된다.[4]
Co'Co'는 차량에 2개의 보기 또는 차축군이 있으며, 각각의 대차는 3개의 동축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형식이다. 7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이 방식의 대차를 가지고 있다.[4]
C'C'는 차량에 2개의 보기 또는 차축군이 있다. 각각의 대차는 3개의 동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기어 또는 연결봉으로 연결되어 있다.[4]
(A1A)(A1A)는 2개의 대차 또는 차축군을 가진 차량이다. 각각의 대차는 하나의 동력축, 하나의 부수축, 그리고 하나의 추가적인 동력축을 가지는(즉, OoO형식의 대차 구성) 형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륜 배치는 더 나은 하중 분산을 위하여 채택된다. 모든 동력축은 독립적으로 구동한다.[4]
BB는 4개의 동력축이 있으며 이것이 기관차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한 쌍으로 구동된다. 각 차축 쌍은 연결봉이나 기어로 연결되어 있다. OO-OO 형태이다.[4]
D는 4개의 동축이 있고, 이들은 모두 하나의 연결봉이나 기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두 기관차 차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다.[4]
1'D1'는 한 쌍의 전륜(동축이 아닌)이 대차에 설치되어 있고, 4개의 동축이 기관차의 차체에 직접 설치되어 서로 연결봉 또는 기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 쌍의 후륜(동축이 아닌)이 대차에 설치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미카형 증기 기관차가 여기에 해당하며, 화이트 식 표기로 2-8-2이다.[4]
2'C1'는 두 쌍의 전륜(동축이 아닌)이 대차에 설치되어 있고, 3개의 동축이 기관차의 차체에 직접 설치되어 서로 연결봉 또는 기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 쌍의 후륜(동축이 아닌)이 대차에 설치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파시형 증기 기관차가 여기에 해당하며, 화이트 식 표기로 4-6-2이다.[4]
3. 2. 증기 기관차
UIC 분류에서 증기 기관차는 차륜 배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4]3. 3. 특수 기관차
참조
[1]
서적
The Railway Data File
Silverdale
2000
[2]
서적
Locomotive cyclopedia of American practice, 1950–52, Association of American Railroads Mechanical Division
Simmons-Boardman Pub. Co.
1950
[3]
서적
Steam Locomotives
Crescent
1985
[4]
서적
IRS 60650 Railway Application - Rolling Stock - Standard designation of axle arrangement on locomotives and multiple-unit sets
https://www.shop-etf[...]
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