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펭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라파고스펭귄은 훔볼트 펭귄속에 속하는 세 번째로 작은 펭귄 종으로, 다른 펭귄보다 북쪽에 서식하며, 갈라파고스 제도에 고유하게 분포한다. 이들은 주로 페르난디나섬과 이사벨라섬 서쪽에 서식하며, 훔볼트 해류의 영향으로 차갑고 영양분 많은 해역에서 먹이를 얻는다. 48~53cm의 크기에 1.7~2.6kg의 무게를 가지며, 해안 저지대에서 번식하고, 엘니뇨 현상과 같은 기후 변화, 포식,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1년 기재된 새 -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는 여름에는 검은 머리, 겨울에는 흰색 바탕에 어두운 무늬를 가진 29~32cm 크기의 갈매기과 조류로, 짧고 검은 부리와 붉은 다리가 특징이며, 서식지 훼손으로 인해 IUCN 취약종, 한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71년 기재된 새 - 회색왕관솔새
회색왕관솔새는 몸길이 약 10-11cm의 휘파람새과 소형 조류로, 등은 녹색을 띤 갈색, 배는 흰색이며 머리 꼭대기는 회색이고 눈썹선은 노란색이며, 곤충을 먹고 숲이나 관목 지대에 서식하며,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대한민국에서는 흔한 나그네새이자 겨울철새이다. - 줄무늬펭귄속 - 아프리카펭귄
아프리카펭귄은 아프리카 남서부 해안에 서식하며, 몸길이 60~70cm, 몸무게 2.2~3.5kg이고 가슴에 검은색 줄무늬와 반점이 있으며, 개체 수가 감소하여 위급종으로 등재되었다. - 줄무늬펭귄속 - 훔볼트펭귄
훔볼트펭귄은 남아메리카 훔볼트 해류 지역에 서식하는 중형 펭귄으로 검은 머리, 흰 배, 검은 가슴띠가 특징이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고유종 동물 - 갈라파고스가마우지
갈라파고스가마우지는 갈라파고스 제도의 특정 섬에만 서식하며, 비행 능력이 퇴화되었고, 방수 기능이 없는 깃털과 훔볼트 해류의 해양 생물을 먹이로 삼는 특징을 가진 가마우지과 조류이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고유종 동물 - 다윈의 핀치
다윈의 핀치는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며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핀치새들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부리 모양과 크기가 다른 여러 종으로 분화되었고, 뼈 형태 형성 단백질 4(BMP4) 및 칼모듈린 유전자와 같은 분자적 기반 연구를 통해 부리 형태 변이의 유전적 메커니즘이 밝혀지고 있다.
갈라파고스펭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분포 지역 | 갈라파고스 제도 |
서식 범위 | 갈라파고스 제도 해역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pheniscus mendiculus |
명명자 | 순데발, 1871년 |
한국어 이름 | 갈라파고스펭귄 |
영어 이름 | Galápagos penguin |
속 | 케잎펭귄속 Spheniscus |
종 | S. mendiculus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조강 |
목 | 펭귄목 |
과 | 펭귄과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멸종위기 (EN) |
IUCN 평가 기준 | IUCN3.1 |
참조 | https://www.iucnredlist.org/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
기타 정보 | |
화석 기록 | 플라이스토세 ~ 현재 |
서식지 | 해안 지역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https://www.worldwildlife.org/species/galapagos-penguin |
관련 정보 | https://galapagosconservation.org.uk/species/galapagos-penguin/ |
오염 | https://doi.org/10.1007/978-3-319-02769-2_12 |
참고자료 | https://www.iucnredlist.org/apps/redlist/details/106003864/0 |
참고자료 | http://www.iucnredlist.org/apps/redlist/details/106003864/0 |
참고문헌 | 후지와라 고이치, 『갈라파고스 박물학』, 데이터하우스, 2001, 46-51쪽 |
2. 역사
갈라파고스펭귄의 조상은 오래전 훔볼트 해류를 타고 남아메리카 본토에서 갈라파고스 제도로 온 것으로 추정된다.[10] 이후 섬에 고립되어 독자적인 진화 과정을 거쳤다.
2. 1. 진화
오래전, 훔볼트 해류가 남아메리카 본토에서 갈라파고스 제도로 펭귄들을 데려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 펭귄들은 그곳에서 격리된 채 독립적인 종으로 진화했다.[10] 이사벨라섬과 같은 섬들은 차갑고 영양이 풍부한 물 덕분에 풍부한 먹이를 제공하여 펭귄의 생존과 번식을 도왔다.[10] 수백만 년에 걸쳐 펭귄들은 적응을 거듭하며, 현재의 생태적 지위에서 살아가고 번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독특한 특징들을 발전시켰다.[10] 오늘날 갈라파고스펭귄은 가장 작은 펭귄 종 중 하나이다.[11]3. 분포
갈라파고스펭귄은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 제도[51][52][53] 고유종이다. 다른 어떤 펭귄보다 더 북쪽에 서식하며, 전체 개체수의 약 90%는 갈라파고스 제도 서쪽의 페르난디나섬과 이사벨라섬 서해안에 분포한다.[12] 그 외 산티아고섬, 바르톨로메섬, 산타크루스섬 북부, 플로레아나섬 등에서도 소규모 개체군이 발견된다.[12]
이사벨라섬의 북쪽 끝은 적도를 넘어 북반구에 걸쳐 있어, 일부 갈라파고스펭귄은 북반구에 서식하는 유일한 펭귄이 된다.
주요 번식지는 페르난디나섬과 이사벨라섬(서부 및 북동부[54])이다.[55][56] 발트로메섬과 플로레아나섬에서도 번식이 확인되었다.[50] 비번식기에는 주로 번식지 주변에서 보내지만, 산티아고섬[50], 솜브레로 치노섬, 라비다섬[54], 산타크루스섬(북부[54]), 발트라섬, 세이모어 노르테섬 등에서도 관찰될 때가 있다.[50]
4. 형태
갈라파고스펭귄은 훔볼트펭귄속에 속하는 작은 펭귄 종으로, 평균 길이는 48cm에서 53cm 정도이고, 체중은 1.7kg에서 2.6kg 사이이다.[53][7] 이는 리틀펭귄 다음으로 작은 크기에 해당하며, 훔볼트펭귄속 4종 중에서는 가장 작다.[7][51]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크다.[51][57]
전신은 짧은 깃털로 덮여 있다.[53] 머리와 등 쪽은 검은색 또는 흑갈색이고 배 쪽은 흰색이다.[53][56] 눈 뒤에서 시작하여 목까지 이어지는 특징적인 흰색 줄무늬(테두리)가 있으며[8][51][53], 가슴에는 검은 반점과 함께 등에 연결되는 한두 개의 불규칙한 검은색 가로줄 무늬(띠)가 있다.[9][51][53] 부리는 윗부분과 끝이 검고 아랫부분은 분홍색이나 황색/흰색을 띠며,[8][56][58] 다리는 검은색이다.[51] 홍채는 갈색이다.[59]
어린 새는 성체와 달리 머리 부분이 완전히 검거나 회색을 띠고, 얼굴의 흰 줄무늬나 가슴의 검은 띠가 없는 등 외형적인 차이가 있다.[8][54]
4. 1. 크기 및 외형
갈라파고스펭귄은 훔볼트펭귄속에 속하는 4종 중 가장 작은 종으로[51], 길이는 48cm에서 53cm[53], 체중은 1.7kg에서 2.6kg 정도이다.[53] 이는 리틀펭귄 다음으로 작은 크기에 해당한다.[7] 종명 mendiculus|멘디쿨루스la는 "구걸하는 듯한"이라는 뜻으로, 펭귄 중에서도 작은 크기에서 유래했다.[56]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크다.[51][57]전신은 짧은 깃털로 덮여 있으며[53], 머리와 몸 윗면의 깃털은 검은색 또는 흑갈색이다.[56] 눈 뒤쪽에서 시작하여 검은 귀덮깃과 턱을 지나 목까지 이어지는 C자 모양의 흰색 테두리가 있다.[8][51][53] 몸 아랫면은 흰색이며, 가슴에는 검은 반점과 함께 등에 연결되는 불규칙한 검은색 가로 줄무늬(띠)가 한두 개 있다.[9][51][53] 이 가슴의 무늬는 개체마다 다르다.[56]
부리는 윗부분과 끝이 검은색이고, 아랫부분은 분홍색이나 황색/흰색을 띠며 기부 주변은 검다.[8][56][58][51] 다리는 검은색이며[51], 홍채는 갈색이다.[59] 눈 주위와 부리 기부에는 깃털이 없는 부분이 있는데, 번식기가 되면 이 부분의 피부가 분홍색으로 변하며 검은 반점이 나타난다.[51][56] 이 피부 노출 부분의 크기와 무늬 역시 개체마다 차이가 있다.[56]
수컷은 암컷보다 몸의 위쪽과 아래쪽 색깔이 더 선명하며[51][53], 번식기에는 목의 흰색 부분이나 부리 기부의 피부가 노출된 부분이 암컷보다 더 넓다.[57]
어린 개체는 성체와 달리 머리가 완전히 검거나 회색빛을 띠며, 옆면과 턱은 회색이다.[8][54] 또한 성체에게 있는 머리의 흰색 테두리나 가슴의 검은 띠가 없다.[8][54]
4. 2. 깃털
갈라파고스펭귄의 전신은 짧은 깃털로 덮여 있다.[53] 머리와 몸 윗면의 깃털은 흑갈색 또는 검은색이다.[53][56] 눈 뒤쪽에서 시작하여 검은 귀덮깃과 턱을 따라 목까지 이어지는 C자 모양의 흰색 테두리(줄무늬)가 있다.[8][51][53]몸 아랫면과 날개 아랫부분은 흰색이며,[53] 가슴에는 검은 반점과 함께 등에 연결되는 두 개의 검은색 띠가 있다. 아래쪽 띠는 옆구리에서 허벅지까지 이어진다.[9][51][53] 수컷은 암컷보다 몸 윗면과 아랫면의 색깔이 더 선명하다.[51][53]
번식기가 되면 눈 주위와 부리 기부의 깃털이 없는 부분에 분홍색 피부가 드러나는데,[51][56] 수컷이 암컷보다 이 피부 노출 부분과 목의 흰색 부분이 더 넓다.[57] 배의 무늬와 피부 노출 부분의 크기, 무늬는 개체마다 다르다.[56]
어린 개체는 머리가 완전히 검고 옆면과 턱은 회색이며, 성체와 달리 가슴의 띠가 없다.[8][54] 몸 윗면도 성체보다 옅은 회색을 띤다.[54]
4. 3. 번식기 특징
갈라파고스펭귄은 일생 동안 한 짝과 짝짓기를 하는 일부일처제 종이다.[15] 전 세계적으로 약 1,000쌍의 갈라파고스펭귄 번식쌍이 있으며, 번식은 특정 기후 현상에 따라 달라진다. 엘니뇨 현상 동안에는 기후 조건으로 인해 번식하지 않을 수 있다.[16]구애 행동을 마치면 부리로 싸우거나, 지느러미로 서로를 쓰다듬거나, 서로를 다듬는 등의 의식을 치른 후 둥지를 짓고 유지한다.[9] 먹이의 양과 기후 조건이 가장 좋은 5월부터 7월 사이에 둥지가 가장 많이 관찰된다. 둥지는 해안가에서 물가로부터 50m 이내에 만들어지며, 주로 용암으로 형성된 동굴이나 틈새에 자리 잡는다.[15] 이는 직사광선으로 인해 알이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어른 새들은 일 년 내내 배우자와 함께 번식 지역 근처에 머문다.
한 번에 1~2개의 알을 낳는다.[15] 표면 수온 또한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데, 알을 품는 데에는 17°C에서 22°C 사이의 수온을 선호하며, 25°C 이상이 되면 둥지가 실패할 수 있다.[28] 포란 기간은 38~40일이며, 부모 둘 다 교대로 알을 품는다.[17]
한쪽 부모는 항상 알이나 어린 새끼와 함께 있고, 다른 쪽은 먹이를 구하러 며칠 동안 자리를 비울 수 있다.[18] 한 쌍은 보통 한 마리의 새끼만 기른다. 먹이가 충분하지 않으면 둥지를 버릴 수도 있다.[19]
갈라파고스펭귄은 번식 전에 깃털갈이를 하며, 이는 일년에 두 번 깃털갈이를 하는 유일한 펭귄이다. 깃털갈이는 최대 15일이 걸린다.[8] 이는 갈라파고스 제도의 먹이 공급이 일반적으로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안전을 위한 적응으로 여겨진다.[19]
새끼가 독립하는 데는 약 60~65일이 걸린다.[17] 부화한 새끼는 솜털이 나 있으며, 이 솜털은 방수가 되지 않는다.[19] 새끼가 부화한 후 30일이 지나면 어린 새의 깃털을 얻게 되는데, 위쪽은 짙은 갈색 또는 회색이고 아래쪽은 흰색이다. 이 깃털은 주로 새끼를 따뜻하게 하기보다는 강한 햇볕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19]
번식기가 되면 부리 아래 부분의 깃털이 없어지고, 검은 반점이 있는 분홍색 피부가 드러난다.[51][56] 수컷은 암컷보다 목의 흰색 부분과 부리 기부의 피부가 드러난 부분이 더 넓다.[57]
버뮤다의 박물학자 루이스 L. 모브레이(Louis L. Mowbray)는 최초로 갈라파고스펭귄을 사육하여 번식시키는 데 성공했다.[20]
5. 생태
갈라파고스펭귄은 갈라파고스 제도의 고유종으로, 낮에는 주로 시원한 크롬웰 해류가 흐르는 바다에서 먹이를 찾고 밤에는 육지로 돌아와 휴식을 취한다.[56] 먹이를 찾을 때는 물속에 약 30초 미만(최장 79초 기록) 잠수한다.[60]
주된 먹이는 청어, 정어리, 멸치, 앤초비와 같이 떼 지어 다니는 작은 어류(주로 1cm~15cm 크기[60])이며, 때때로 갑각류도 먹는다.[9][53] 갈라파고스펭귄은 이들 해양 생물의 개체 수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어나 고래와 같은 포식자들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9] 바다에서는 20~200마리 정도 무리를 지어 먹이를 찾는 경우가 많지만,[60] 해수 온도가 높고 먹이가 적을 때는 단독이나 작은 무리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56]
갈라파고스 제도의 기온은 15°C~28°C 범위이며, 열대 기후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행동을 보인다. 육지에 있을 때는 주로 그늘에 숨어 더위를 피하고,[53] 햇빛을 등지고 서서 다리 등에 그늘이 지도록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56] 더 심한 더위에는 헐떡이며(panting|팬팅영어) 입과 기도의 증발을 통해 체온을 낮춘다.[56] 물속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체온 조절 방법이다.
지느러미처럼 생긴 날개와 유선형 몸은 물속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데 유리하며,[14] 흑백의 깃털은 위장과 체온 조절에 도움을 준다.[14] 이러한 신체적 특징과 행동적 적응은 갈라파고스 제도의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면 먹이가 급격히 줄어들어 생존에 큰 위협이 되며, 이 시기에는 번식을 미루는 경우가 많다.[13] 수명은 11년 이상 살았다는 기록이 있다.[56]
5. 1. 서식지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의 고유종이다.[51][52][53] 갈라파고스펭귄의 약 90%는 갈라파고스 제도 서쪽의 페르난디나섬과 이사벨라섬 서부 해안에 서식한다.[12] 이 외에도 산티아고섬, 바르톨로메섬, 산타크루즈섬 북부, 플로레아나섬 등에서도 소규모 개체군이 발견된다.[12]
이사벨라섬의 북쪽 끝 일부는 적도 북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일부 갈라파고스펭귄은 북반구에도 서식하게 되는데, 이는 펭귄 중 유일한 사례이다.[12] 주로 페르난디나섬과 이사벨라섬(서부, 북동부[54])에서 번식하며[55][56], 발트로메섬과 플로레아나섬에서도 번식이 확인되었다.[50]
갈라파고스펭귄은 해안에 가까운 저지대에서 번식하며, 밤에는 육지로 올라와 휴식을 취한다. 육상에서는 그늘에 숨어 더위를 식히는 행동을 보인다. 바다에서는 20~200마리 정도의 무리를 지어 함께 먹이를 찾는 경우가 많지만, 바닷물 수위가 높은 시기에는 단독으로 행동하거나 무리를 거의 이루지 않는다. 털갈이는 번식하지 않는 시기에 부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서식지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페르난디나섬과 이사벨라섬의 암석 해안선은 둥지를 틀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크롬웰 해류의 영향으로 주변 해역에는 갈라파고스펭귄의 주 먹이인 물고기와 갑각류가 풍부하다.[46] 갈라파고스펭귄은 이러한 먹이 활동을 통해 지역 해양 생태계의 먹이 사슬 균형을 유지하고 영양 순환에 기여한다. 배설물인 구아노는 질소와 인이 풍부하여 해안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고, 이는 특정 식물 종의 생장을 돕는다.[16]
비번식기에는 주로 번식지 주변에서 생활하지만, 때때로 산티아고섬[50], 솜브레로 치노섬, 라비다섬[54], 산타 크루스섬(북부[54]), 발트라섬, 세이모어 노르테섬 등에서도 관찰된다.[50]
5. 2. 번식
갈라파고스펭귄은 일생 동안 한 짝과 지내는 일부일처제 종으로,[15] 전 세계적으로 약 1,000쌍의 번식쌍이 존재한다.[16]번식은 특정 기후 조건, 특히 엘니뇨 현상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엘니뇨 시기에는 먹이가 부족해져 번식을 미루는 경우가 많다.[16] 이는 새끼를 성공적으로 기를 확률보다 번식을 시도하다가 생존에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1982-83년 엘니뇨 당시에는 개체 수가 77%나 급감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13] 일반적으로 해수면 온도가 25°C 이하일 때 번식하며,[17] 17°C에서 22°C 사이의 수온을 선호한다.[28] 해수 온도가 25°C 이상으로 올라가면 둥지가 실패할 가능성이 커진다.[28] 연중 번식이 가능하지만,[51][53] 주로 해수 온도가 낮고 먹이가 풍부한 시기에 번식한다. 먹이와 기후 조건이 최적인 5월부터 7월 사이에 둥지가 가장 많이 관찰되며,[9] 일반적으로 6~9월과 12~3월에 번식 활동이 활발하다.[61] 일부는 4~5월 우기에도 번식한다.[61]

짝짓기 전에는 서로 부리를 부딪치거나(bill dueling영어), 지느러미로 서로를 쓰다듬고, 깃털을 다듬어주는 등 구애 행동을 한다.[9][56] 이러한 의식을 통해 유대감을 형성한 후 둥지를 짓고 함께 관리한다.[9] 교미는 육지와 바다 모두에서 이루어진다.[56]
둥지는 해안에 가까운 사막 지대의 저지대[60] 또는 해안가에서 물가로부터 50m 이내에 만든다.[9] 강한 직사광선은 알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15] 햇볕을 피할 수 있는 바위 틈이나 동굴[15][51][53] 등에 한 번에 1~2개의 알을 낳는다.[15] 어른 펭귄들은 일 년 내내 짝과 함께 번식지 근처에 머무른다.[9] 단독으로 번식하거나 작은 규모의 집단 번식지(콜로니)를 형성하기도 한다.[53]
알을 품는 기간은 38일에서 40일 정도이며, 암수가 교대로 알을 품는다.[17][61] 한쪽 부모가 알이나 새끼를 지키는 동안 다른 한쪽은 먹이를 구하러 바다로 나간다.[18] 한 쌍은 보통 한 마리의 새끼만 성공적으로 기르며, 먹이가 부족할 경우 둥지를 포기하기도 한다.[19]
새끼는 부화 후 약 30일간 어미의 보살핌을 받으며,[62] 60일에서 65일 정도가 지나면 독립하여 둥지를 떠난다.[17][51][61] 갓 태어난 새끼는 솜털로 덮여 있는데, 이 솜털은 방수가 되지 않는다.[19] 부화 후 약 30일이 지나면 어린 새의 깃털이 자라는데, 등 쪽은 짙은 갈색이나 회색이고 배 쪽은 흰색이다. 이 깃털은 체온 유지보다는 강한 햇볕으로부터 새끼를 보호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19]
갈라파고스펭귄은 번식 전에 깃털갈이를 한다. 펭귄 중 유일하게 1년에 두 번 깃털갈이를 하는 종이며,[8] 깃털갈이 기간은 최대 15일 정도 소요된다.[8] 이는 먹이 공급이 불규칙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19]
버뮤다의 박물학자 루이스 L. 모브레이는 갈라파고스펭귄을 사육 환경에서 번식시키는 데 최초로 성공한 인물이다.[20]
5. 3. 털갈이
갈라파고스펭귄은 번식 전에 깃털갈이를 한다.[8] 털갈이 시기는 불규칙하며, 주로 번식기가 아닌 시기에 이루어진다.[52] 갈라파고스펭귄은 펭귄 중 유일하게 1년에 두 번 털갈이를 하는 종으로, 털갈이는 최대 15일 정도 걸린다.[8] 갈라파고스 제도의 먹이 공급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털갈이는 먹이가 부족한 시기를 대비하여 자신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행동으로 여겨진다.[19]
6. 인간과의 관계
갈라파고스펭귄은 갈라파고스 제도의 중요한 관광 자원 중 하나이다.[42][43] 펭귄을 보기 위한 생태 관광이 활발하지만, 부적절한 관광 활동은 펭귄의 서식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44][45] 또한, 인간 활동으로 인한 외래종 유입, 해양 오염, 혼획 등은 펭귄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51][52][53]
과거 일본의 동물원에서 갈라파고스펭귄을 사육한 기록이 있다. 1963년 하마마쓰시 동물원에 들어온 1마리가 1965년 우에노 동물원으로 옮겨졌으며, 이것이 일본 내 유일한 사육 사례이다.[64]
6. 1. 위협 요인
갈라파고스펭귄은 IUCN 적색 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3], 여러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개체 수는 약 1,200마리(2018년 기준) 정도로 추정되며, 노란눈펭귄 다음으로 가장 희귀한 펭귄 종 중 하나이다.[22] 개체 수는 환경 변화, 특히 기후 현상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23][25]엘니뇨와 기후변화가장 큰 위협 요인은 엘니뇨 현상이다.[26] 엘니뇨는 갈라파고스 주변 해역의 수온을 상승시켜, 차갑고 영양이 풍부한 해수의 용승을 감소시킨다. 이는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펭귄의 주 먹이인 작은 물고기들의 개체 수를 줄여 먹이 부족을 야기한다.[28] 먹이가 부족해지면 펭귄들은 번식을 미루거나[9] 번식에 실패하며, 심각한 경우 굶주림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28] 특히 강력한 엘니뇨가 발생했던 1982-1983년과 1997-1998년에는 갈라파고스펭귄 개체 수가 각각 77%와 65%나 급감했다.[26] 엘니뇨는 암컷의 몸 상태 악화 및 성체 체중 감소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개체 수 감소와 성비 불균형을 초래하여 장기적인 개체군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28]
기후변화는 엘니뇨 현상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켜 갈라파고스펭귄에게 가해지는 위협을 더욱 심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된다.[27][34] 예측 모델에 따르면, 현재와 같은 엘니뇨 패턴이 지속될 경우 펭귄의 멸종 가능성은 30%에 달하며, 강력한 엘니뇨 빈도가 두 배로 증가하면 멸종 가능성은 80%까지 높아질 수 있다.[16] 또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펭귄의 번식지인 저지대 해안 지역을 침수시켜 번식 공간을 빼앗는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35]
반대로,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라니냐 현상 동안에는 먹이 가용성이 높아져 펭귄 개체 수가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26][24]
인위적 요인인간 활동 역시 갈라파고스펭귄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다.
- 오염: 도시화와 관련된 쓰레기, 특히 플라스틱과 화학 물질이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 생태계를 파괴한다. 펭귄은 먹이 사슬을 통해 오염 물질을 섭취하게 되며, 이는 생물 축적으로 이어져 건강 악화와 개체 수 감소를 유발한다.[29] 화석 연료 사용 증가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은 기후변화를 가속화시켜 펭귄 서식 환경을 더욱 악화시킨다.[30] 선박 사고로 인한 기름 유출 또한 심각한 위협이다.[51]
- 외래종 유입: 인간에 의해 갈라파고스 제도에 유입된 고양이, 개, 쥐 등은 펭귄의 알이나 새끼를 잡아먹고, 둥지를 파괴하며, 질병을 퍼뜨리는 등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15][36][51] 이들은 펭귄과 먹이 및 서식지를 두고 경쟁하기도 한다.
- 어업 활동: 크릴새우나 작은 물고기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적 어업은 펭귄과의 먹이 경쟁을 유발한다.[37] 또한, 펭귄이 어망에 걸려 죽는 혼획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며, 불법 어업 활동은 펭귄의 번식을 방해하기도 한다.[37]
- 서식지 교란: 관광객 증가 등으로 인한 서식지 교란도 펭귄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번식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51]
질병질병 또한 잠재적인 위협 요인이다. 2009년 연구에서 조류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기생충(''말라리아원충속'')이 갈라파고스펭귄에게서 발견되었다.[24] 이는 외부 질병이 고립된 펭귄 개체군으로 유입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철새 등을 통한 종간 전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33] 질병의 전파 경로와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감시가 필요하다.
기타 위협자연적인 포식자들도 위협이 된다. 육상에서는 게, 뱀, 쌀쥐(Oryzomyini), 갈라파고스매, 칡부엉이 등이 있으며,[9] 수중에서는 상어, 물개, 바다사자 등이 펭귄을 공격한다.[17][38] 불안정한 먹이 자원과 화산 활동의 위험도 존재한다.[17]
유전적 취약성갈라파고스펭귄은 상대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 질병, 포식, 환경 변화와 같은 위협에 더욱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39]
6. 2. 보존 노력
갈라파고스펭귄은 다양한 위협 요인으로 인해 2010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34] 주요 위협으로는 인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과 해수면 상승, 인간 활동에 의한 외래종(개, 고양이, 쥐 등) 유입, 기름 유출 및 해양 오염, 어업 활동 중 발생하는 혼획 등이 있다.[35][36][15][37][51][52][53] 특히 엘니뇨 현상 발생 시 먹이 부족으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51][53] 낮은 유전적 다양성 또한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다.[39]이러한 위협에 맞서 갈라파고스펭귄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1959년 체결된 남극조약을 통해 다른 펭귄들과 함께 보호받고 있다.[40] 갈라파고스펭귄의 서식지인 갈라파고스 제도가 에콰도르 영토이므로, 에콰도르 정부 차원에서의 보호 조치가 중요하다. 갈라파고스 국립공원청과 갈라파고스 해양보호구역 당국은 인간의 무분별한 활동과 어업, 그리고 새로운 외래종의 유입을 엄격히 제한함으로써 갈라파고스펭귄과 서식지를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41] 이러한 노력은 섬의 독특한 생태계를 보존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갈라파고스펭귄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6. 3. 생태 관광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관광은 중요한 산업 활동으로, 매년 수백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한다.[42] 갈라파고스펭귄은 이 제도에서만 서식하는 고유종이기 때문에, 펭귄을 보기 위한 조류 관찰 및 생태 관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정보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43]그러나 생태 관광이 확산되면서 갈라파고스펭귄을 포함한 토착 야생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44] 관광 활동이 잘못된 방식으로 진행되거나 관리가 부실할 경우, 펭귄의 번식 실패, 둥지 붕괴, 서식지 교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45][51][52][53]
참조
[1]
웹사이트
Fossilworks: Spheniscus mendiculus
https://paleobiodb.o[...]
2022-02-01
[2]
웹사이트
Fossilworks: Spheniscus
https://paleobiodb.o[...]
2022-02-01
[3]
IUCN
Spheniscus mendiculus
2020-00-00
[4]
웹사이트
World Wide Fund for Nature – Galapagos Penguin Facts
https://www.worldwil[...]
[5]
웹사이트
Galapagos penguin
https://galapagoscon[...]
2024-06-13
[6]
논문
Pollution as an Emerging Threat for the Conservation of the Galapagos Marine Reserve: Environmental Impacts and Management Perspective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10-25
[7]
웹사이트
Galapagos Penguin
https://a-z-animals.[...]
2020-11-09
[8]
웹사이트
Galapagos Penguin – Penguin Facts and Information
https://www.penguins[...]
2020-10-21
[9]
웹사이트
Spheniscus mendiculus (Galapagos penguin)
https://animaldivers[...]
2020-10-20
[10]
서적
Galápagos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0-00
[11]
논문
High-coverage genomes to elucidate the evolution of penguins
2019-09-01
[12]
웹사이트
Galapagos Penguin Species
https://galapagoscon[...]
2020-10-01
[13]
논문
The Climate of the "El Niño" Winter of 1982–83—A Season of Extraordinary Climatic Anomalies
1983-00-00
[14]
논문
Composition and function of the Galapagos penguin gut microbiome vary with age, location, and a putative bacterial pathogen
2023-04-01
[15]
웹사이트
Galapagos Penguin
https://oceana.org/m[...]
2020-11-02
[16]
논문
Modelling the effect of El Niño on the persistence of small populations: The Galápagos penguin as a case study
https://www.scienced[...]
2007-06-01
[17]
웹사이트
Galapagos Penguins
https://marinebio.or[...]
2020-10-12
[18]
웹사이트
Galapagos Penguin Facts Birds of the Galapagos Islands
https://www.nathab.c[...]
2020-11-12
[19]
웹사이트
Galápagos Penguin Biology
https://ecosystemsen[...]
2020-10-12
[20]
웹사이트
Louis Mowbray
https://web.archive.[...]
2011-07-23
[21]
논문
Population size and trends of the Galápagos Penguin Spheniscus mendiculus
https://onlinelibrar[...]
2005-04-00
[22]
웹사이트
The Galapagos penguin, one of the world's rarest, sees a glimmer of hope
https://web.archive.[...]
2023-11-15
[23]
논문
Low MHC variation in the endangered Galápagos penguin (Spheniscus mendiculus)
https://pubmed.ncbi.[...]
2007-07-00
[24]
논문
Plasmodium blood parasite found in endangered Galapagos penguins (Spheniscus mendiculus)
https://www.scienced[...]
2009-12-01
[25]
웹사이트
Galapagos Penguin
https://abcbirds.org[...]
2022-03-08
[26]
논문
Biological effects of El Niño on the Galápagos penguin
http://dx.doi.org/10[...]
2006-01-00
[27]
논문
El Niño and climate change
1997-12-01
[28]
논문
Population Trends of the Galápagos Penguin: Impacts of El Niño and La Niña
1998-05-00
[29]
웹사이트
Pollution
https://galapagoscon[...]
2023-11-14
[30]
논문
Asymmetric relationship of urbanization and CO2 emissions in less developed countries
2018-12-07
[31]
논문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A Review
2020-00-00
[32]
논문
Avian Malaria and Marek's disease: Potential threats to Galapagos penguins Spheniscus mendiculus
2001-00-00
[33]
논문
Multiple Lineages of Avian Malaria Parasites (Plasmodium) in the Galapagos Islands and Evidence for Arrival via Migratory Birds
http://dx.doi.org/10[...]
2013-08-23
[34]
웹사이트
Why Is the Galapagos Penguin Endangered? Threats and How You Can Help
https://www.treehugg[...]
2023-11-14
[35]
웹사이트
What issues do Galapagos penguins face?
https://www.discover[...]
2023-11-14
[36]
웹사이트
Challenges Facing the Galápagos Islands
https://www.igtoa.or[...]
2024-02-20
[37]
논문
Pollution, habitat loss, fishing, and climate change as critical threats to penguins
2014-08-07
[38]
웹사이트
The Adaptations of the Galapagos Penguin For a Harsh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
http://www.stanford.[...]
[39]
논문
Low genetic diversity and lack of population structure in the endangered Galápagos penguin (Spheniscus mendiculus)
http://dx.doi.org/10[...]
2007-11-21
[40]
서적
SeaWorld Parks and Entertainment
http://dx.doi.org/10[...]
Routledge
2023-11-16
[41]
웹사이트
A Governance Analysis of the Galápagos Marine Reserve
http://dx.doi.org/10[...]
2023-11-16
[42]
웹사이트
The Galápagos Islands: Economy over Ecosystems
https://hir.harvard.[...]
2024-02-20
[43]
웹사이트
Top 4 Places To See Galapagos Penguins
https://gohobo.net/e[...]
2023-11-15
[44]
논문
Penguins as Marine Sentinels
https://doi.org/10.1[...]
2024-02-20
[45]
논문
The power of penguins: Where tourists travel to see penguins in the wild
https://www.scienced[...]
2021-02-15
[46]
논문
Penguins as Marine Sentinels
http://dx.doi.org/10[...]
2008-07-01
[47]
논문
'''The Penguins'''T.D. Williams With Illustrations by ''J.N. Davies & J. Busby''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5). 295 pages. £35.00. ISBN 0 19 854667 x.
http://dx.doi.org/10[...]
1996-06
[48]
논문
Present Status of the Flightless Cormorant, Galapagos Penguin and Greater Flamingo Populations in the Galapagos Islands, Ecuador, after the 1982-83 El Nino
http://dx.doi.org/10[...]
1987-05
[49]
웹사이트
Spheniscus mendiculus
http://www.iucnredli[...]
BirdLife International
2012
[50]
서적
ガラパゴス博物学
データハウス
[51]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3 中央・南アメリカ
講談社
[52]
서적
動物大百科7 鳥I
平凡社
[53]
서적
絶滅危惧動物百科4 カザリキヌバネドリ―クジラ(シロナガスクジラ)
朝倉書店
[54]
서적
A Guide to The Birds of the Galápagos Islands
Prinston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Clements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56]
서적
ペンギン ハンドブック
どうぶつ社
[57]
서적
ペンギン大百科
[58]
서적
Seabirds: An Identification Guide
Houghton Mifflin
[59]
서적
三省堂 世界鳥名事典
三省堂
[60]
서적
ペンギン大百科
[61]
서적
ペンギン大百科
[62]
서적
ペンギン大百科
[63]
서적
ペンギン大百科
[64]
서적
長崎ペンギン物語
長崎文献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