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루아벌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루아벌레는 갈루아벌레속에 속하는 곤충들을 통칭한다. 이들은 일본, 한국,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바위가 많은 지역과 서늘하고 습한 환경의 숲 속 시냇가 근처에서 서식한다. 갈루아벌레는 잡식성으로, 식물성 및 동물성 물질을 모두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뚜라미붙이목 - 귀뚜라미붙이과
    귀뚜라미붙이과는 귀뚜라미붙이목에 속하는 곤충 분류군으로, 귀뚜라미붙이속을 포함한 여러 속이 있으며 한국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서식하고, 계통 분류상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등과 함께 신시류에 속하며 대벌레붙이목과 가장 가깝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갈루아벌레 - [생물]에 관한 문서
갈루아벌레속
학명Galloisiana
명명자Caudell, 1924
하위 분류 계급
하위 분류12종
이명Galloisia Caudell & King 1924 (선취명)

2. 종 목록

갈루아벌레는 갈루아벌레목 갈루아벌레과의 갈루아벌레속(''Galloisiana'')에 속하는 곤충들을 아우르는 말이다. 이 속에는 여러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동아시아(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등)의 서늘하고 습한 환경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자세한 종 목록과 각 종의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한국의 종

한국(한반도)에서는 다음과 같은 갈루아벌레 종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한국어 이름학명명명자 및 연도기준 서식지
고수귀뚜라미붙이 / 고수갈루아벌레Galloisiana kosuensis남궁준, 1974고수동굴
비룡귀뚜라미붙이 / 비룡갈루아벌레Galloisiana biryongensis남궁준, 1974(정보 없음)
백두귀뚜라미붙이 / 백두갈로와벌레Galloisiana sinensisWang, 1987백두산
묘향귀뚜라미붙이 / 묘향갈로와벌레Galloisiana sofiaeSzeptycki, 1987묘향산
오대산귀뚜라미붙이 / 오대산갈로아벌레Galloisiana odaesanensis김보연 & 이원규, 2007오대산
예봉산귀뚜라미붙이 / 예봉산갈로아벌레Galloisiana yebongsanensis(정보 없음)(정보 없음)


2. 2. 동아시아의 종

갈루아벌레속(''Galloisiana'')에 속하는 동아시아의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1]

종명명명자 및 연도기준 지 (서식지)
Galloisiana chujoi거니 1961오니노이와야 동굴, 일본 남부
Galloisiana kiyosawai아사히나 1959히라유 온천, 혼슈, 일본
Galloisiana kosuensis남궁 1974고수동굴, 대한민국
Galloisiana nipponensis(카우델 & 킹 1924)주젠지 호, 혼슈, 일본 (일본귀뚜라미붙이)
Galloisiana notabilis실베스트리 1927나가사키현, 일본 남부
Galloisiana odaesanensis김 & 이 2007오대산, 대한민국
Galloisiana olgae브르샨스키 & 스토로젠코 2001올가 산, 러시아
Galloisiana sinensis왕 1987백두산, 중화인민공화국
Galloisiana sofiae세프티츠키 1987묘향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Galloisiana ussuriensis스토로젠코 1988프리모르스키 지방, 러시아
Galloisiana yezoensis아사히나 1961미야자키 고개, 일본
Galloisiana yuasai아사히나 1959도쿠고 고개, 혼슈, 일본


3. 분포 및 서식지

갈루아벌레속(Grylloblattidae)에 속하는 종들은 주로 바위가 많고 서늘하며 습한 환경을 선호한다. 일본에서는 잘 발달된 숲의 시냇가 근처, 특히 바위 아래에서 자주 발견된다. 이는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쥐며느리벌레속 종들이 눈밭에서 먹이를 찾는 것과는 다른 행동 양상이다.[1] 일본 내 구체적인 분포 지역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일본


  • 일본귀뚜라미붙이 또는 일본갈루아벌레 (''G. nipponensis'')


일본에서 서식하는 갈루아벌레속 종은 바위가 많은 지역과 서늘하고 습한 환경을 선호한다. 특히 잘 발달된 숲의 시냇가 근처, 주로 바위 아래에서 자주 발견된다. 북아메리카의 쥐며느리벌레속 종과는 달리, 눈밭에서 먹이를 찾는 행동은 관찰되지 않았다.[1]

이들은 주로 혼슈 중부의 산악 지대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혼슈 중부에서 갈루아벌레속 표본이 채집된 주요 산과 산맥은 다음과 같다.[2]

산 / 산맥비고
마히루 산맥
후나가타 산
자오 산화산군
다이샤쿠 산맥
에치고 산맥
아가키 산화산
하루나 산화산
간토 산지
조신에쓰 고원
야쓰가타케화산군
묘코 산
히다 산맥
기소 산맥
지쿠마 산맥
아카이시 산맥
북부 료하쿠 산맥
남부 히다 고원
스즈카 산맥



또한, 시코쿠에서도 표본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유전적으로 스즈카 산맥에서 발견된 표본과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

3. 2. 한국

종명학명명명자 및 연도
고수귀뚜라미붙이 (고수갈루아벌레)G. kosuensisNamkung, 1974
비룡귀뚜라미붙이 (비룡갈루아벌레)G. biryongensisNamkung, 1974
백두귀뚜라미붙이 (백두갈로와벌레)G. sinensisWang, 1987
묘향귀뚜라미붙이 (묘향갈로와벌레)G. sofiaeSzeptycki, 1987
오대산귀뚜라미붙이 (오대산갈로아벌레)G. odaesanensisKim & Lee, 2007
예봉산귀뚜라미붙이 (예봉산갈로아벌레)G. yebongsanensis


3. 3. 기타 지역

일본에서 갈루아벌레속 종은 바위가 많은 지역과 서늘하고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잘 발달된 숲의 시냇가 근처(종종 바위 아래)에서 자주 발견된다. 북아메리카의 쥐며느리벌레속 종과 달리, 눈밭에서 먹이를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1] 이들은 혼슈 중부의 산악 지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혼슈 중부에서 갈루아벌레속 표본이 채집된 주요 산과 산맥은 다음과 같다.

혼슈 중부 갈루아벌레속 표본 채집 지역[2]
지역구분
마히루 산맥산맥
후나가타 산
자오 산화산군
다이샤쿠 산맥산맥
에치고 산맥산맥
아가키 산화산
하루나 산화산
간토 산지산지
조신에쓰 고원고원
야쓰가타케화산군
묘코 산
히다 산맥산맥
기소 산맥산맥
지쿠마 산맥산맥
아카이시 산맥산맥
북부 료하쿠 산맥산맥
남부 히다 고원고원
스즈카 산맥산맥



표본은 시코쿠에서도 채집되었으며, 이는 스즈카 산맥의 표본과 유전적으로 가깝다.[2]

4. 먹이

갈루아벌레 속 종은 식물성 및 동물성 물질을 모두 먹는 잡식성 청소동물이다.[1]

참조

[1] 논문 Ice Crawlers (Grylloblattodea) – the history of the investigation of a highly unusual group of insects https://www.mapress.[...] 2014-01-20
[2] 논문 Colliding fragment islands transport independent lineages of endemic rock-crawlers (Grylloblattodea: Grylloblattidae) in the Japanese archipelago https://pubmed.ncbi.[...] 2013-03
[3] 간행물 Change of a preoccupied generic name. 1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