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프로테오박테리아문의 강(class)으로, 다양한 생태계에 널리 분포하는 세균 집단이다. 이들은 계통 발생학적으로 복잡하며, 여러 목(order)으로 분류된다.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다양한 대사 능력을 가지고 있어 탄소, 질소, 황 순환에 기여하며, 일부 종은 플라스틱 분해에도 관여한다. 또한, 의학적으로 중요한 병원균을 포함하며, 생물 정화, 생합성, 미생물 연료 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정보 | |
| 학문 분야 | 세균학 |
| 역 | 세균 |
| 문 | 슈도모나도타문 |
| 강 |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Gammaproteobacteria) |
| 명명 | Garrity 외, 2005년 |
| 모식 속 | 슈도모나스 |
| 명명자 | Migula 1894 |
| 이명 | 크로마티아강 (Chromatiia, Cavalier-Smith 2020) 크로마티박테리아강 (Chromatibacteria, Cavalier-Smith 2002) |
| 하위 분류 (목) | |
| 분류 미정 과 | |
| 분류 미정 속 | |
| 참고 문헌 | |
2. 어원
"감마"(γ)는 이 세균이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제2권, 1페이지)에서 3등급임을 나타낸다.[7] ''프로테우스''(Proteus)는 모습을 바꿀 수 있는 그리스 바다의 신을 가리킨다.[7] ''세균''(그리스어 βακτήριον|박테리온grc; "막대기", "작은 막대기")은 어원적으로 바실루스 (막대 모양의 세균)를 가리키지만, 이 경우에는 "계통 발생학적 데이터가 공식적인 세균 분류에 통합되는 동안 유용하다."[7]
현재 여러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8][9][4]
3. 계통 발생
2010년 현재, 이 박테리아 강(class)의 계통 발생을 해결하는 것은 여전히 매우 어렵다.
다음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의 분자 계통 발생으로, 356개의 단백질 계열을 기반으로 한다.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를 자매군으로 하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의 분지군은 다음과 같다.
| 계통 |
|---|
| 크산토모나스목 |
| 크로마티움목 |
| 메틸로코쿠스 |
| 베기아토아 |
| 레기오넬라목 |
| 루티아, 베시코미오소시우스, 티오마이크로스피라, 디켈로박터, 프란시스엘라 |
| 모락셀라과, 알카니보락스 |
| 사카로파구스 |
| 오세아노스피릴룸과 |
| 마리노박터 |
| 슈도모나스과 |
| 슈도알테로모나스과, 알테로모나스, 이디오마리나과 |
| 세와넬라과 |
| 사이크로모나스과 |
| 에어로모나스목 |
| 비브리오목 |
| 파스퇴렐라목 |
| 장내세균목 |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의 여러 속은 아직 목(order)이나 과(family)로 분류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알칼리모나스'', ''갈라이키모나스'', ''이그나츠시네리아'', ''리토리비벤스'', ''마리니셀라'', ''플라스티시쿨란스'', ''슈도홍기엘라'', ''세디멘티콜라'', ''티오할로박터'', ''티오할로라브두스'', ''티올라필루스'' 및 ''볼파르티이모나스''가 포함된다.[11]
다음은 2010년에 작성된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의 계통 발생도이다. 아시도티오바실루스강을 자매군으로 하는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강의 분지군은 다음과 같다.
| 계통 |
|---|
| 크산토모나스목 |
| 크로마티움목 |
| 메틸로코쿠스속 |
| 베기아토아속 |
| 레지오넬라목 |
| 루시아, 베시코미오소시우스, 티오미크로스피라속, 디케로박터속, 프란시셀라속 |
| 모락셀라과, Alcalinovorax |
| 사카로파구스속, 레이네케아속 |
| 오세아노스피릴룸과 |
| 마리노박터속 |
| 슈도모나스과 |
| 슈도알테로모나스과, 알테로모나스속, Idiomarinaceae |
| 셰와넬라과 |
| 시클로모나스과 |
| 알테로모나스속 |
| 비브리오목 |
| 파스퇴렐라목 |
| 엔테로박터목 |
단일 계통이 아니므로, 슈도모나스목, 오세아노스피릴룸목, 알테로모나스목은 과와 속을 나타낸다. 단일 계통의 목은 속만을 나타낸다.
4. 하위 분류
국립생물정보센터(NCBI)와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PSN) 등 다양한 분류 체계가 존재하며,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의 계통 발생은 2010년 현재까지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4] 356개의 단백질 계열을 기반으로 한 분자 계통 발생에 따르면,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를 포함한다.
- 아이로모나스목 (Aeromonadales)
- Alteromonadales
- Cardiobacteriales
- 크로마티움목 (Chromatiales)
- 엔테로박테리아목 또는 장내세균목 (Enterobacteriales)
- 레지오넬라목 (Legionellales)
- 메틸로코쿠스목 (Methylococcales)
- 해양나균목
- 파스테우렐라목 (Pasteurellales)
- 극모세균목 (Pseudomonadales)
- 티오트릭스목 (Thiotrichales)
- 비브리오목 (Vibrionales)
- Xanthomonadales
아직 목(order)이나 과(family)로 분류되지 않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속(genus)으로는 ''알칼리모나스'', ''갈라이키모나스'', ''이그나츠시네리아'', ''리토리비벤스'', ''마리니셀라'', ''플라스티시쿨란스'', ''슈도홍기엘라'', ''세디멘티콜라'', ''티오할로박터'', ''티오할로라브두스'', ''티올라필루스'', ''볼파르티이모나스'' 등이 있다.[11]
하위 섹션에 NCBI 및 LPSN에 등재된 목과 LPSN에 미등재된 목이 자세히 나와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주요 목만 나열하고, 분류되지 않은 속 정보만 남겨 중복을 피했다.
4. 1. NCBI 및 LPSN에 등재된 목
다음은 NCBI 및 LPSN에 등재된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의 목(Order) 목록이다(2024년 7월 현재).- Acidiferrobacteralesla 아시디페로박터목
- Aeromonadalesla 에어로모나스목
- Alteromonadalesla 알테로모나스목
- Arenicellalesla 아레니셀라목
- Beggiatoalesla 베기아토아목
- Cardiobacterialesla 카르디오박테리움목
- Cellvibrionalesla 셀비브리오목
- Chromatialesla 크로마티움목
- Enterobacteralesla 엔테로박터목
- Immundisolibacteralesla
- Legionellalesla 레지오넬라목
- Lysobacteralesla 라이소박터목
- Methylococcalesla 메틸로코쿠스목
- Nevskialesla 네브스키아목
- Oceanospirillalesla 오세아노스피릴룸목
- Orbalesla 오르발목
- Pasteurellalesla 파스튜렐라목
- Pseudomonadalesla 슈도모나스목 ('''타입 목''')
- Thiohalobacteralesla 티오할로박터목
- Thiohalorhabdalesla
- "''Comchoanobacteralesla''"
- "''Competibacteralesla''"
- "''Foliamicalesla''"
- "''Johnevansialesla''"
- "''Porifericomitalesla''"
- "''Porisulfidalesla''"
- "''Rariloculalesla''"
- "''Siderophilalesla''"
- "''Spongiifermentalesla''"
- "''Tethybacteralesla''"
- "''Vibrionalesla''" 비브리오목
4. 2. LPSN에 미등재된 목
| LPSN에 미등재된 목 |
|---|
5. 생태
Alteromonadales와 Vibrionales목을 포함하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해양 및 연안 생태계에서 영양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병원체로 알려져 있지만, 생물 정화 및 생합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다양한 금속을 동화시키는 능력을 이용하여 미생물 연료 전지(MFC)의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13][14] 여기서 생산된 에너지는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중 하나로 수집될 수 있다.[15] 또한 생물학적 메탄 필터로도 사용된다.[16]
광합성 자색 황 세균은 폐수 처리 과정에 사용된다.[17] ''Alcanivorax''속[18]과 같은 일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생물 정화를 통해 기름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유출된 원유를 분해하는 데 중요하다.[19] Chromatiaceae과에 속하는 일부 종은 비타민 B12 생산에 관여한다.[20] 일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에 사용되는 중합체인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를 합성하는 데 사용된다.[21] 많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종은 항균성을 가진 2차 대사 산물을 생성할 수 있다.[22]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토양, 담수호 및 강, 대양, 염호 등 다양한 생태계에 널리 분포한다. 예를 들어, 이들은 서로 다른 대양의 세균 플랑크톤의 약 6–20%(평균 14%)를 차지하며,[23] 심해 및 연안 퇴적물 모두에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24] 해수에서 세균 군집의 구성은 인의 가용성, 총 유기 탄소, 염분 및 pH와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25] 토양에서 높은 pH는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 및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의 상대적 풍부도 증가와 상관 관계가 있다.[26]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의 상대적 풍부도는 용존 유기 탄소(DOC) 농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인다.[27]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지구에서 가장 큰 탄소 흡수원인 연안 퇴적물에서 암흑 고정의 주요 역할을 하며, 이 세균의 대부분은 아직 배양되지 않았다.[28] 심해 열수 시스템은 지구상에서 가장 극한 환경 중 하나이며, 거의 모든 분출공 고유 동물은 화학 합성 미생물의 1차 생산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29] 다양한 심해 열수 환경에서 공생 및 자유 생활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구성원의 생물량이 우세하다는 것이 밝혀졌다.[30]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열수 퇴적물에서 광범위한 다양성, 대사적 다재다능함, 기능적 중복성을 가지며, 중요한 유기 탄소 회전율, 질소 및 황 순환 과정을 담당한다.[31] 혐기성 열수 유체는 H2, CH4 및 환원된 금속 이온 외에 H2S와 같은 여러 환원 화합물을 포함한다. 황화수소를 산화시키고 산소를 환원시키는 화학 자가 영양생물은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에서 1차 생산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32] ''Pseudomonas'', ''모락셀라''와 같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에 속하는 종들이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으며, 이 미생물들이 플라스틱 생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33]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에는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비브리오과(*Vibrionaceae*), 슈도모나스과(*Pseudomonaceae*) 등 의학적, 인간 사회에 중요한 세균이 많다. 살모넬라(*Salmonella* spp., 장염과 장티푸스의 원인균), ''페스트균''(*Yersinia pestis*), 콜레라(*Vibrio cholerae*),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기회 감염에 의한 녹농균 감염증), 대장균(*Escherichia coli*, 식중독)과 같은 병원균이 있다.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감귤 궤양병)와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키위), ''Xylella fastidiosa''는 식물 병원균이다. 크로마티움속(*Chromatium*)은 광합성 세균이며, 물 대신 황화 수소를 산화시켜 유황을 배출한다.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의 대부분은 메탄 산화 세균이며, 일부는 심해 생물인 관벌레와 공생하고 있다.
6. 대사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대사적으로 다양하며, 세포 호흡 및 생합성을 위해 다양한 전자 공여체를 사용한다.
일부 그룹은 아질산염 산화 및 암모니아 산화를 하며, 'Nitrosococcus' 속 (''Nitrosococcus mobilis'' 제외)이 이에 속하며, 이들은 절대적 호염성 세균이다.[34][35]
다른 그룹은 화학 독립영양 황 산화제이며, 티오트리칼레스가 그 예이다. 이들은 티레니아해 토르 칼다라 얕은 수심 가스 분출구에서 섬유질 미생물 생물막과 같은 군집에서 발견된다.[36] 16S rRNA 유전자 분석 결과,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강에서 다양한 황화물 산화제가 검출되었으며, ''Beggiatoa'', ''Thioploca'', ''Thiomargarita'' 등이 중요하다. 유기물이 풍부한 연안 퇴적물에서는 황산염 환원 세균에 의해 다량의 황화 수소가 생성된다.[37]
해양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에는 박테리오클로로필을 이용해 전자 전달 연쇄를 지원하는 광합성 세균 (AAP)이 포함된다. 이들은 광범위하고 필수적인 해양 군집으로 여겨진다.[38]
메틸로코칼레스와 같은 메탄 영양 세균은 메탄을 유일한 에너지원으로 대사하며, 전 세계 탄소 순환에 매우 중요하다. 이들은 가스 매장량, 토양, 폐수 등 메탄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발견된다.[39]
자색 황 세균은 황을 산화하는 비산소 광합성 세균이다.[40] 이들은 철과 같은 다른 기질도 산화할 수 있다.[41] ''Chromatiaceae'' (예: ''Allochromatium'', ''Chromatium'', ''Thiodicyton'') 및 ''Ectothiorhodospiraceae'' (예: ''Ectothiorhodospira'') 과가 대표적이다.[40] ''Thermomonas'' 속(''Lysobacter''목)의 일부 종도 동일한 대사를 수행한다.[42]
많은 속이 절대적 또는 일반적인 탄화수소 분해 세균이다. 절대적 탄화수소 분해 세균(OHCB)은 탄화수소를 거의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하며, 현재까지 해양 환경에서만 발견되었다. ''Alcanivorax'', ''Oleiphilus'', ''Oleispira'', ''Thalassolitus'', ''Cycloclasticus'', ''Neptunomonas'', ''Polycyclovorans'', ''Algiphilus''(''Xanthomonadales''목), 그리고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분리된 ''Porticoccus hydrocarbonoclasticus''(''Cellvibrionales''목)의 일부 종이 이에 속한다. 반면, 호기성 "일반" 탄화수소 분해자는 탄화수소 또는 비탄화수소 기질을 탄소 및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Acinetobacter'', ''Colwellia'', ''Glaciecola'', ''Halomonas'', ''Marinobacter'', ''Marinomonas'', ''Methylomonas'', ''Pseudoalteromonas'', ''Pseudomonas'', ''Rhodanobacter'', ''Shewanella'', ''Stenotrophomonas'', ''Vibrio'' 속 등이 그 예이다.[43]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의 생물학적 탄소 고정 경로는 주로 캘빈-벤슨-배샴(CBB) 회로이지만, 일부는 rTCA 회로를 사용한다.[44] 자유 생활 종인 ''Thioflavicoccus mobilis''와 거대 관벌레 ''Riftia pachyptila''의 공생체인 "''Candidatus'' Endoriftia persephone"는 CBB 회로와 rTCA 회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두 경로를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45]
크로마티움속(*Chromatium*)은 물 대신 황화 수소를 산화시켜 유황을 배출하는 광합성 세균이다.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의 대부분은 메탄 산화 세균이며, 일부는 심해 생물인 관벌레와 공생한다.
7. 공생
공생은 서로 다른 두 생물 유기체가 가깝게, 장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많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다양한 종과 밀접한 내생 공생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예는 육지,[46][47] 식물,[48] 깊은 해저[49] 등 다양한 생태적 틈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육지에서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종이 아까시나무[50]를 비롯한 여러 식물[51][52]에서 분리되었고, 심해에서는 열수 분출구 굴뚝에서 황 산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가 발견되었다.[53] 심해에서 공생 관계를 맺는 황 산화 화학 독립 영양 미생물은 열수 생태계에서 추가적인 유기 탄화수소를 얻는다. 일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지열 해양 환기구에 사는 동물과 공생하며,[54] 대서양 중앙 해령의 열수 분출구에 서식하는 새우 림리카리스 엑소쿨라타처럼 온천 주변의 다른 종과 복잡한 관계를 맺기도 한다.[55]
내생 공생체들은 대부분 게놈이 크게 줄어들어 원래 속했던 과(Family)의 특성을 많이 잃은 상태이다.[56][57]
8. 병원균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에는 장내세균과, 비브리오과, 슈도모나스과와 같이 의학적, 과학적으로 중요한 여러 세균 집단이 포함된다. 이 강에는 페스트균(Yersinia pestis), 콜레라균(Vibrio cholerae),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그리고 일부 살모넬라 종을 포함한 여러 인간 병원균이 속해 있다. 또한 감귤 궤양을 일으키는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 키위 Psa 발생의 원인인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그리고 ''Xylella fastidiosa''와 같은 식물 병원균도 포함되어 있다. 해양 환경에서는 이 강의 여러 종이 다양한 해양 생물을 감염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어류, 새우, 산호 또는 굴에 영향을 미치는 ''비브리오'' 속에 속하는 종[59]과 회색바다사자(''Halichoerus grypus'')에 영향을 미치는 ''살모넬라'' 종이 있다.[60]
9. 응용
Alteromonadales와 Vibrionales목을 포함한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영양 순환에 관여하는 주요 그룹으로서 해양 및 연안 생태계에서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12] 병원체로 유명하지만, 생물 정화 및 생합성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다양한 금속을 동화시키는 능력을 활용하여 미생물 연료 전지(MFC)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13][14] 생산된 에너지는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중 하나로 수집될 수 있다.[15] 또한 생물학적 메탄 필터로도 사용된다.[16]
광합성 자색 황 세균은 폐수 처리 과정에 사용된다.[17] ''Alcanivorax''속[18] 등 일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가 생물 정화를 통해 기름을 분해하는 능력은 유출된 원유를 분해하는 데 중요하다.[19] Chromatiaceae과에 속하는 일부 종은 비타민 B12 생산에 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20] 일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는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를 합성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에 사용되는 중합체이다.[21] 많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종은 항균성을 가진 2차 대사 산물을 생성할 수 있다.[22]
참조
[1]
간행물
Class III. Gammaproteobacteria class. nov. In: Brenner DJ, Krieg NR, Staley JT, Garrity GM (ed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nd edn, vol. 2
Springer: New York
2005
[2]
문서
Institute of Mechanical, Process and Energy Engineering, School of Engineering and Physical Sciences, Heriot-Watt University, Edinburgh, UK
2019
[3]
논문
Dense populations of a giant sulfur bacterium in Namibian shelf sediments
1999-04
[4]
논문
Phylogeny of gammaproteobacteria
2010-05
[5]
서적
Marine Microbiology: Ecology &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9-11-26
[6]
study guide
Proteobacteria {{!}} Microbiology
https://courses.lume[...]
2016
[7]
논문
Proteobacteria classis nov., a Name for the Phylogenetic Taxon That Includes the "Purple Bacteria and Their Relatives"
[8]
웹사이트
Silva
https://www.arb-silv[...]
2020-11-22
[9]
논문
Phylogeny of gammaproteobacteria
2010-05
[10]
논문
Phylogeny of gammaproteobacteria
2010-05
[11]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domains and phyla -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prokaryotes (bacteria) - ''Gammaproteobacteria''
http://www.bacterio.[...]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2017-01-13
[12]
논문
Ecology of type II secretion in marine gammaproteobacteria
2008-05
[13]
논문
Miniaturizing microbial fuel cells
2011-02
[14]
논문
Electrically conductive bacterial nanowires produced by Shewanella oneidensis strain MR-1 and other microorganisms
2006-07
[15]
논문
Ecology and biotechnology of the genus Shewanella
2007-09
[16]
서적
The Prokaryotes: Gammaproteobacteria
https://www.springer[...]
Springer-Verlag
2014
[17]
논문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 solutions and production of useful by-products using a photosynthetic bacterial method
https://dx.doi.org/1[...]
1973-08-01
[18]
논문
Petroleum biodegradation in marine environments
https://pubmed.ncbi.[...]
1999-08
[19]
논문
Molecular detection of marine bacterial populations on beaches contaminated by the Nakhodka tanker oil-spill accident
https://pubmed.ncbi.[...]
2001-04
[20]
논문
Extracellular metabolites from phototrophic bacteria as possible intermediates in the biosynthesis of vitamin B12
Pergamon
[21]
논문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Salinicola: transfer of Halomonas salaria and Chromohalobacter salarius to the genus Salinicola as Salinicola salarius comb. nov. and Salinicola halophilus nom. nov., respectively
2010-04
[22]
웹사이트
Marine bacteria associated with marine macroorganisms: The potential antimicrobial resources - AMiner
https://www.aminer.o[...]
2020-11-20
[23]
문서
Wastewater irrigation increases the abundance of potentially harmful Gammaproteobacteria in soils in Mezquital Valley, Mexico. Appl Environ Microbiol.
2014
[24]
논문
Diversity and Biogeography of Bathyal and Abyssal Seafloor Bacteria
2016-01-27
[25]
논문
Microbial Diversity in the Deep Marine Sediments from the Qiongdongnan Basin in South China Sea
2007-09-26
[26]
논문
Soil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across a pH gradient in an arable soil
2010-10
[27]
논문
Dissolved organic carbon influences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and diversity in managed aquifer recharge systems
2012-10
[28]
논문
Sedimentary organic matter preservation: an assessment and speculative synthesis.
1995-04
[29]
논문
Molecular ecology of hydrothermal vent microbial communities
2000-02
[30]
논문
Chemosynthetic endosymbioses: adaptations to oxic-anoxic interfaces
2005-09
[31]
논문
Genomic resolution of linkages in carbon, nitrogen, and sulfur cycling among widespread estuary sediment bacteria
2015
[32]
문서
Geomicrobiologyofdeep- sea hydrothermalvents. Science 229, 717–725
1985
[33]
웹사이트
Explore to understand, share to bring about change
https://oceans.tarae[...]
2020-11-22
[34]
논문
Nitrite-Oxidizing Bacteria Community Composition and Diversity Are Influenced by Fertilizer Regimes, but Are Independent of the Soil Aggregate in Acidic Subtropical Red Soil
2018
[35]
문서
High levels of nitrifying bacteria in intermittently aerated reactors treating high ammonia wastewater. FEMS Microbiology Ecology, Volume 54, Issue 3, November 2005, pp. 391–400
[36]
논문
Gammaproteobacteria During Colonization of a Shallow-Water Gas Vent
2018
[37]
문서
Sabine Lenk, Julia Arnds, Katrice Zerjatke, Niculina Musat, Rudolf Amann and Marc Mußmann* Max Planck Institute for Marine Microbiology, Celsiusstraße 1, 28359 Bremen, Germany. Novel groups of Gammaproteobacteria catalyse sulfur oxidation and carbon fixation in a coastal, intertidal sediment.
2011
[38]
논문
Polyphyletic photosynthetic reaction centre genes in oligotrophic marine Gammaproteobacteria
https://sfamjournals[...]
2007-06
[39]
논문
Methylococcales) Calls for the Reclassification of Members at the Genus and Species Levels
2018
[40]
서적
The Purple Phototropic Bacteria
Springer
2009
[41]
논문
Microbial anaerobic Fe(II) oxidation - Ecology, mechanisms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2018-10
[42]
문서
Sabrina Hedrich, Michael Schlomann and D. Barrie Johnson. The iron-oxidizing proteobacteria.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Bangor University, Deiniol Road, Bangor LL57 2UW, UK 2 Interdisciplinary Ecological Center, TU Bergakademie Freiberg, Leipziger Strasse 29, 09599 Freiberg, Germany.
2011
[43]
문서
Terry J. McGenity, Taxonomy, Genomics and Ecophysiology of Hydrocarbon-Degrading Microbes, 2019 143-152; 181-189; 191-205.
2019
[44]
논문
Physiological proteomics of the uncultured endosymbiont of Riftia pachyptila
https://www.science.[...]
2007-01
[45]
논문
Genetic Evidence for Two Carbon Fixation Pathways (the Calvin-Benson-Bassham Cycle and the Reverse Tricarboxylic Acid Cycle) in Symbiotic and Free-Living Bacteria
2019-01
[46]
논문
Gammaproteobacteria as essential primary symbionts in the striped shield bug, Graphosoma Lineatum (Hemiptera: Pentatomidae)
null
2016-09
[47]
논문
Gut symbiotic bacteria in the cabbage bugs Eurydema rugosa and Eurydema dominulus (Heteroptera: Pentatomidae).
2012-02
[48]
논문
Profiling the Lolium perenne microbiome: from seed to seed.
2020-08
[49]
논문
High-contiguity genome assembly of the chemosynthetic gammaproteobacterial endosymbiont of the cold seep tubeworm Lamellibrachia barhami.
2020-09
[50]
논문
Nodulation in black locust by the Gammaproteobacteria Pseudomonas sp. and the Betaproteobacteria Burkholderia sp
2010-08
[51]
논문
Ascorbic acid production in root, nodule and Enterobacter spp. (Gammaproteobacteria) isolated from root nodule of the legume Abrus precatorius L.
2015-04-01
[52]
논문
Gamma proteobacteria can nodulate legumes of the genus Hedysarum
2004-08
[53]
논문
Physiological and genomic features of a novel sulfur-oxidizing gammaproteobacterium belonging to a previously uncultivated symbiotic lineage isolated from a hydrothermal vent
2014-08-18
[54]
웹사이트
Description of the Phylum Gammaproteobacteria
http://comenius.susq[...]
2013-02-06
[55]
논문
Dual symbiosis of the vent shrimp Rimicaris exoculata with filamentous gamma- and epsilonproteobacteria at four Mid-Atlantic Ridge hydrothermal vent fields
2010-08
[56]
논문
Genome sequence of the endocellular bacterial symbiont of aphids Buchnera sp. APS
2000-09
[57]
논문
Massive genomic decay in Serratia symbiotica, a recently evolved symbiont of aphids
2011
[58]
논문
Ecology of type II secretion in marine gammaproteobacteria
2008-05
[59]
논문
Salmonella infection in grey seals (Halichoerus grypus), a marine mammal sentinel species: pathogenicity and molecular typing of Salmonella strains compared with human and livestock isolates
http://doi.wiley.com[...]
2016-03
[60]
논문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ions in the United States, 1973-1998
2000-05
[61]
논문
Arbeiten aus dem Bakteriologischen Institut der Technischen Hochschule zu Karlsruh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