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염은 바이러스(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등)나 세균(대장균, 캄필로박터 등) 감염을 주요 원인으로 하는 위장관 염증 질환이다. 소아에게서 감염 위험이 높으며, 비감염성 원인으로는 약물, 유당 불내증, 셀리악병 등이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구토와 설사가 나타나며, 발열, 복통을 동반할 수 있다. 진단은 징후와 증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탈수 예방 및 영양 유지가 치료의 핵심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해야 하며,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 전 세계적으로 20억 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개발도상국 어린이들에게서 사망률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통 - 크론병
    크론병은 위장관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 면역계 이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복통, 설사, 합병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약물 요법, 영양 요법,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완치 치료법은 없다.
  • 복통 - 골반염
    골반염은 여성 생식 기관에 성병균이 감염되어 아랫배 통증, 발열, 질 분비물 증가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불임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골반 검사, 초음파 검사 등으로 진단하여 항생제 치료를 하며, 콘돔 사용과 정기적인 성병 검사로 예방할 수 있다.
  • 설사 - 이질
    이질은 세균이나 기생충 감염으로 발병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혈액이 섞인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보이며, 세균성과 아메바성으로 나뉘고 위생 환경 개선으로 발생 빈도는 감소했으나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주요한 건강 문제이다.
  • 설사 - 궤양성 대장염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혈변,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을 통해 증상 완화와 관해 유지를 목표로 한다.
  • 식중독 - 살모넬라증
    살모넬라증은 살모넬라균 감염으로 발열, 설사, 복통, 구토를 일으키며, 주로 오염된 음식물 섭취로 감염되고, 영유아나 노약자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식품 안전 수칙 준수와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식중독 - 회충증
    회충증은 회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회충 알이 섞인 음식 섭취를 통해 감염되며 장폐색, 내장 손상,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변 검사로 진단하고 위생 시설 개선과 구충제 사용으로 치료 및 예방한다.
장염
일반 정보
장염 바이러스
장염 바이러스: A = 로타바이러스, B = 아데노바이러스, C = 노로바이러스, D = 아스트로바이러스. 크기 비교를 위해 바이러스 입자는 동일한 배율로 표시됨.
분야감염병학
소화기학
다른 이름위장
위 버그
위 바이러스
위 독감
위장 독감
위장관염
독감 버그
증상설사
구토
복통
합병증탈수
발병불명
지속 시간불명
원인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균류
위험 요인불명
진단증상 기반, 가끔 대변 배양
감별 진단염증성 장 질환
흡수 장애 증후군
유당 불내증
예방손 씻기
깨끗한 물 마시기
인분 적절한 처리
모유 수유
치료경구 수액 보충 (물, 염분, 설탕 조합)
정맥 주사
약물불명
예후불명
빈도24억 건 (2015년)
사망자130만 명 (2015년)

2. 원인

장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증상이 유사하여 원인균을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발병 원인, 발병 부위, 발병 기간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식중독: 오염된 식품이나 물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
  • 급성설사 (급성 위장관염, 급성장염):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감염이나 약제, 독소 등으로 위와 장에 염증이 생겨 2주 미만의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
  • 만성 설사: 과민반응, 흡수장애, 염증성 장질환 등으로 인해 2주 이상 설사가 지속되는 경우.
  •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과 같이 만성적으로 진행되어 완치가 어려운 질환.


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특히 소아의 로타바이러스, 성인의 노로바이러스)와 세균(예: ''대장균'', ''캄필로박터'' 등)에 의한 감염이다.[15][44][122][96] 이 외에도 기생충이나 곰팡이 등 다양한 감염 인자가 원인이 될 수 있다.[17][6] 드물지만 약물, 특정 식품 성분(유당, 글루텐 등), 독소,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비감염성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3][91] 감염성 원인과 비감염성 원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감염성 원인

위장염의 주요 감염성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특히 소아의 로타바이러스 및 성인의 노로바이러스)와 세균(''대장균'', ''캄필로박터'' 종 등)이 있다.[15][44][122][96] 이 외에도 기생충, 곰팡이 등 다양한 감염 인자가 원인이 될 수 있다.[17][6] 비감염성 원인도 가끔 나타나지만, 감염성 원인보다는 덜 흔하다.[3] 감염 위험은 면역력이 부족하거나 위생 관념이 부족한 소아에게서 더 높다.[3][91] 물과 비누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 거주하는 소아는 특히 취약하다.[3]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사포바이러스는 바이러스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101][102][103][104] 로타바이러스는 어린이 위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44][122] 선진국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유사한 발생률을 보인다.[19][97] 바이러스는 소아 감염성 설사의 약 70%를 차지한다.[10][105] 로타바이러스는 획득 면역으로 인해 성인에게는 덜 흔한 원인이다.[25][106] 노로바이러스는 전체 위장염 사례의 약 18%를 차지하며,[26] 선진국에서 바이러스성 위장염은 전체 감염성 설사 사례의 21~40%를 차지한다.[27]

노로바이러스는 미국 성인 위장염의 주요 원인이며 바이러스성 위장염 집단 발생의 약 90% 이상을 차지한다.[18][102] 이러한 지역적 유행은 주로 유람선,[18][102] 병원, 식당 등 사람들이 밀접하게 접촉하는 환경에서 발생한다.[3][91] 감염자는 설사 증상이 멈춘 후에도 전염성이 있을 수 있으며,[18][102] 약 1개월간 바이러스를 배출할 수 있다.[107][102] 노로바이러스는 어린이 위장염 사례의 약 10%를 차지한다.[3][91]

1000배 배율에서 그람 염색을 통해 관찰한 ''Salmonella enterica'' 혈청형 Typhimurium(ATCC 14028)


일부 국가에서 ''캄필로박터 제주니''는 세균성 위장염의 주요 원인이며, 감염 사례의 절반은 가금류 노출과 관련이 있다.[28][108] 소아의 경우, 세균 감염은 전체 사례의 약 15%를 차지하며, 주요 원인균은 ''대장균'', ''살모넬라'', ''시겔라''(이질균), ''캄필로박터'' 종 등이다.[10][105] 세균에 오염된 음식을 실온에 몇 시간 방치하면 세균이 증식하여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17][117] 위장염과 관련된 주요 식품으로는 날고기 또는 덜 익힌 고기, 가금류, 해산물, 계란, 생 싹, 비살균 우유, 연성 치즈, 과일 및 채소 주스 등이 있다.[29][109] 개발도상국,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는 콜레라가 위장염의 흔한 원인이며, 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된다.[30][110]

독소 생성형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은 특히 노인에게서 설사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17][117] 유아는 증상 없이 이 세균을 보유할 수 있다.[17][117] 입원 환자에게 흔한 설사 원인이며, 항생제 사용과 관련이 깊다.[31][111]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성 설사 또한 항생제 사용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32][112] 급성 "여행자 설사"는 대부분 세균성 위장염이며, 만성적인 경우는 기생충 감염일 가능성이 높다.[33] 위산 억제제 사용은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살모넬라'', ''캄필로박터'' 종 등 특정 병원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34][113] 이 위험은 H2 길항제보다 프로톤 펌프 억제제 사용자에게서 더 크다.[34][113]

다수의 기생충(원생동물)이 위장염을 유발할 수 있다.[10] ''람블 편모충''이 가장 흔하며, ''이질 아메바'', ''크립토스포리디움'' 종 등도 원인이 된다.[10][33][105] 이러한 기생충 감염은 어린이 위장염 사례의 약 10%를 차지한다.[23][33][130] ''람블 편모충'' 감염은 개발도상국에서 더 흔하지만, 전 세계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35][114] 유병률이 높은 지역 여행자, 보육 시설 이용 아동, 남성 동성애자, 재해 발생 지역 주민 등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35][114]

위장염은 오염된 물 섭취나 개인 위생용품 공동 사용 등으로 전염될 수 있다.[15][96] 일반적으로 우기에 수질이 악화되어 유행이 발생하기 쉽지만,[15] 건기에 수질이 악화되는 지역도 있다.[96] 사계절이 있는 지역에서는 겨울철에 감염이 더 흔하다.[17][117] 전 세계적으로 젖병의 비위생적인 관리가 주요 감염 원인 중 하나이다.[15][96] 감염률은 비위생적인 환경(특히 어린이 관련),[18][102] 혼잡한 주거 환경,[36][115] 영양 부족 상태와 관련이 깊다.[17][117] 면역력이 생긴 성인은 증상 없이 병원체를 보유하는 자연 숙주(natural reservoirs)가 될 수 있다.[17][117] 일부 병원체(''Shigella'' 등)는 영장류에만 감염되지만, ''Giardia'' 등은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다.[17][117]

위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병원체
병원체장염 비브리오살모넬라캄필로박터O157 등의 장관 출혈성 대장균 (EHEC)병원성 대장균 (장관 출혈성 대장균 제외)세균성 이질균콜레라균노로 바이러스로타 바이러스
병인 인자내열성 용혈독(TDH)장관 상피 세포 침투장관 상피 세포 침투베로독소 (시가독소)장관 병원성 대장균(EPEC)과 장관 침투성 대장균(EIEC)은 장관 상피 세포 침투. 독소원성 대장균(ETEC)은 콜레라 톡신과 유사한 독소를 생산.장관 상피 세포 침투, 베로독소 (시가독소)콜레라 독소 (콜레라 톡신)장관 상피 세포 침투장관 상피 세포 침투
감염원어패류 , 가축 , 조류조류 , 가축가축 , , 감염자의 분변감염자의 분변음료수 , 감염자의 분변 , 원숭이어패류, 음료수, 감염자의 분변음식물, 감염자의 분변감염자의 분변, 기저귀
원인 식품생선 , 조개류 등생고기 , 계란 , 샐러드닭고기 , 돼지고기 , 쇠고기여러 식품. 특히 생 쇠고기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여러 식품음료수 , 여러 식품어패류, 여러 식품여러 식품식품으로부터의 감염은 적다.
잠복 기간12~24시간1~2일2~11일3~8일12~72시간1~5일12시간~5일24~48시간1~3일
주요 증상상복부 통증, 설사 , 구토발열 , 복통 , 설사 , 구토두통 , 복통 , 설사 , 구토출혈성 대장염 (하복부 통증, 설사, 혈변 , 감기 증상)복통, 설사, 구토, 발열하복부 통증, 설사, 혈변, 발열수양성 설사, 구토, 탈수 증상상복부 통증, 구역질, 구토, 설사수양성 설사, 구토, 발열, 탈수 증상
복통상복부에 심함배꼽 주변에 심함배꼽 주변에 심함하복부에 심함EPEC는 배꼽 주변에 심함. EIEC는 하복부에 심함. ETEC에서는 가볍다.하복부에 심함. 때로는 쥐어짜는 듯한 통증 (테네스무스)도 있다.가벼움상복부에 심함상복부에 심함
설사 변의 성상수양변, 중증 사례에서는 점혈변수양변 또는 점혈변수양변 또는 점혈변처음에는 수양변, 나중에는 혈변EPEC에서는 수양변이 많다. EIEC에서는 점혈변이 되는 경우가 많다. ETEC에서는 새하얀 수양변이 대량으로 나올 수도 있다.처음에는 수양변, 나중에는 농혈변"뜨물"이라고 형용될 정도의 새하얀 수양변수양변수양변. 중증 사례에서는 새하얀 수양변이 대량으로 나올 수도 있다.
혈변 (하혈)중증 사례에서는 있음있음있음특히 현저하게 나타남. 전형적인 사례에서는 "변 성분이 거의 없고, 새빨간 혈액 그 자체"와 같은 상태로 나온다.EIEC에서는 많음. EPEC에서도 중증 사례에서는 있음.현저. 혈액뿐만 아니라 고름점액도 섞임. 전형적인 사례에서는 변 성분이 거의 없고, 혈액, 고름, 점액만 빈번하게 배설하게 된다.위장염 자체에서는 없음. 합병증으로 장중첩증을 일으킨 경우에는 있음.
구토많음있음있음드묾있음드묾많음심함많음
발열없음, 또는 경미함 (37℃대)많음, 때로는 38℃ 이상의 고열이 되기도 함있음경미함 (37℃대)인 경우가 많음EPEC, EIEC에서는 많음. ETEC에서는 드묾.있음드묾없음, 또는 경미함 (37℃대)많음
합병증드물게 심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음패혈증 , 수막염패혈증, 길랭-바레 증후군용혈성 요독 증후군 (HUS),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TTP)용혈성 요독 증후군 (HUS), 라이터 증후군탈수 증상탈수 증상, 장중첩증 , 간염 , 심근염 , 뇌염 , 바이러스성 급성 뇌증 , 신부전
2차 감염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염)드묾있음있음있음있음많음있음많음많음
예방법어패류의 생식은 피함, 식전 가열의 구제, 계란의 생식은 피함,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 씻기육류의 생식은 피함,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 씻기육류의 생식은 피함,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 씻기, 2차 감염 방지쥐의 구제, 가열 살균생것이나 생수를 피함, 가열 살균, 냉동 냉장생것이나 생수를 피함, 가열 살균, 냉동 냉장식전 가열, 손 씻기, 양치질, 2차 감염 방지로타 바이러스 백신 접종
감염증법에서의 취급5류 감염증5류 감염증. 일부 균주는 3류 감염증 (장티푸스 , 파라티푸스)5류 감염증3류 감염증 (장관 출혈성 대장균 감염증)5류 감염증3류 감염증 (세균성 이질)3류 감염증 (콜레라5류 감염증5류 감염증, 기저 정점
비고콜레라균과 같은 비브리오속에 분류되는 세균이다.장티푸스파라티푸스를 일으키는 균주는 감염증법에서 3류 감염증으로 지정된다.합병증인 HUS는 치사율이 높고,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다.감염력이 매우 강하고, 아주 소량의 균 수로도 감염이 성립한다.장염 비브리오와 같은 비브리오속에 분류되는 세균이다.유아의 중증 위장염의 원인으로서 중요한 병원체.


2. 2. 비감염성 원인

장염은 바이러스세균 등에 의한 감염성 원인이 흔하지만[3], 위장관 염증을 일으키는 비감염성 원인도 다양하게 존재한다.[3][91] 일반적으로 비감염성 원인은 감염성 원인보다 발생 빈도가 낮다.[3]

주요 비감염성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약물: NSAIDs와 같은 특정 약물이 위장관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3][91]
  • 식품 성분: 특정 식품 성분에 대한 민감성이나 불내증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유당: 유당 불내증이 있는 사람이 유당을 섭취했을 경우[3][91]
  • 글루텐: 셀리악병 환자가 글루텐을 섭취했을 경우[3][91]
  •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간헐적 설사, 발열 등)이나 궤양성 대장염(재발성 혈변, 설사, 복통 등)과 같은 만성적인 염증성 장질환도 비감염성 위장염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특히 크론병은 종종 심각한 위장염 증상을 동반한다.[3][91]
  • 독소: 음식물 등에 포함된 독소에 의해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3][37][91][116]
  • 시구아테라 중독: 독성을 가진 플랑크톤을 먹은 어류를 섭취했을 때 발생한다.[37][116]
  • 스콤브로이드 식중독: 부패한 생선(주로 등푸른생선)에 생성된 히스타민으로 인해 발생한다.[37][116]
  • 테트로도톡신 중독: 복어에 들어있는 독소로 인해 발생한다.[37][116]
  • 보툴리누스 중독: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통조림이나 소시지 등에서 증식한 보툴리누스균 독소로 인해 발생한다.[37][116]


미국에서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비감염성 위장염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건수가 30% 감소했다. 당시 응급실 방문이 잦았던 상위 20개 질환 중 비감염성 위장염의 감소 폭이 가장 컸다.[38]

3. 증상

장염의 주요 증상은 설사구토이며[18][102], 때로는 둘 중 하나만 나타나거나 복부 경련을 동반하기도 한다.[3][91] 일반적으로 감염원을 접촉한 후 12~72시간 이내에 증상이 시작된다.[15][96]

장염은 발병 원인, 부위, 기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168] 예를 들어, 2주 미만의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 급성 설사(급성 위장관염, 급성 장염)로,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 설사로 분류한다.[168] 만성 설사는 과민반응, 흡수장애, 염증성 장 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완치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168]

증상만으로는 원인균을 정확히 알기 어렵지만[168],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성은 비교적 단기간 내 호전되는 경향이 있고, 세균성은 혈변이나 장기간의 복통을 유발할 수 있다.[18][28][102][108] (자세한 원인균별 증상은 하위 문단 참고)

장염 진단 시에는 탈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탈수 정도는 경증(3-5% 체중 감소), 중등도(6-9%), 중증(10% 이상)으로 나뉜다.[3][91] 특히 소아의 경우, 중등도 이상의 탈수를 나타내는 주요 징후로는 모세혈관 재충만 시간 지연(피부를 눌렀다 떼었을 때 원래 색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길어짐), 피부 탄력 저하, 비정상적인 호흡 등이 있다.[22][40][100][118] 이 외에도 눈의 함몰, 활동량 감소, 눈물 부족, 입안 건조 등도 탈수를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다.[3][91] 정상적인 소변량과 수분 섭취는 상태가 심각하지 않음을 시사한다.[22][100]

장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는 다른 질환들(충수염, 장염전, 염증성 장 질환, 요로 감염, 당뇨병 등)과의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105][119] 예를 들어, 충수염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 구토, 복통과 함께 소량의 설사가 나타날 수 있으나, 장염의 설사는 일반적으로 양이 많다는 차이가 있다.[91] 또한 소아의 경우 폐나 요로 감염으로도 구토나 설사가 나타날 수 있으며,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은 복통, 메스꺼움, 구토를 유발하지만 설사는 드물다.[91]

3. 1. 증상의 특징 (원인균에 따른 분류)

브리스톨 대변 차트


위장염은 일반적으로 설사구토를 동반하며[18][102], 때로는 둘 중 하나만 나타나기도 한다.[3][91] 복부 경련이 동반될 수 있다.[3][91] 증상 및 징후는 대개 감염원을 접촉한 후 12~72시간 후에 시작된다.[15][96]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 증상은 일반적으로 1주일 이내에 호전되며[18][102], 발열, 피로감(권태감), 두통근육통을 동반할 수 있다.[18][102] 변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경우, 원인이 바이러스일 가능성은 낮고[18][102] 세균일 가능성이 더 높다.[28][108] 일부 세균 감염은 심한 복통을 유발하며 몇 주 동안 지속될 수 있다.[28][108]

원인균에 따른 증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로타바이러스 장염 (주로 영유아): 발병 초기 감기 증세와 유사하며, 2-3일간 구토 후 3-5일간 설사를 동반한다. 감염된 어린이는 대개 3~8일 이내에 완전히 회복된다.[19][97] 그러나 개발도상국 등 의료 접근성이 낮은 곳에서는 심각한 감염 치료가 어려워 지속적인 설사가 흔하며[20][98], 이는 영양실조와 함께 성장 부진 및 장기적인 인지 발달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17][117] 탈수는 설사의 흔한 합병증으로[21][99], 심한 경우 피부를 눌렀다 떼었을 때 원래 색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길어지고(모세혈관 재충만 시간 지연), 피부 탄력 저하, 비정상적인 호흡 등의 징후를 보인다.[22][100]
  • 노로바이러스 장염 (주로 성인): 감염 후 1-3일 지나 구토, 설사, 복통을 동반하나, 대부분 1-3일 지속 후 저절로 호전된다.
  • 살모넬라 위장관염: 6-72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 설사, 고열을 동반하며, 보통 3-7일 후 저절로 호전된다.
  •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해산물 섭취 후 2-48시간 후에 물 설사를 하며,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호전된다.
  • 포도알균 식중독: 1-8시간의 짧은 잠복기 후 심한 구토, 구역질, 설사를 동반하며, 1-3일 경과 후 저절로 호전된다.
  • 장독성 식중독: 1-3일의 잠복기 후 물 같은 설사를 하며, 대부분 미열을 동반하고 3-7일 경과 후 호전된다.
  • 세균성 이질: 1-7일의 잠복기 후 혈액 및 점액이 섞인 설사, 발열, 구토, 복통을 호소한다.
  • 장티푸스: 감염 후 1-2주가 지나면 고열, 복통, 비장 비대, 섬망 등 전신 증상을 보인다.


위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병원체
병원체장염 비브리오살모넬라캄필로박터O157 등의 장관 출혈성 대장균 (EHEC)병원성 대장균 (장관 출혈성 대장균 제외)세균성 이질균콜레라균노로 바이러스로타 바이러스
병인 인자내열성 용혈독(TDH)장관 상피 세포 침투장관 상피 세포 침투베로독소 (시가독소)장관 병원성 대장균(EPEC)과 장관 침투성 대장균(EIEC)은 장관 상피 세포 침투. 독소원성 대장균(ETEC)은 콜레라 톡신과 유사한 독소를 생산.장관 상피 세포 침투, 베로독소 (시가독소)콜레라 독소 (콜레라 톡신)장관 상피 세포 침투장관 상피 세포 침투
감염원어패류 , 가축 , 조류조류 , 가축가축 , , 감염자의 분변감염자의 분변음료수 , 감염자의 분변 , 원숭이어패류, 음료수, 감염자의 분변음식물, 감염자의 분변감염자의 분변, 기저귀
원인 식품생선 , 조개류 등생고기 , 계란 , 샐러드닭고기 , 돼지고기 , 쇠고기여러 식품. 특히 생 쇠고기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여러 식품음료수 , 여러 식품어패류, 여러 식품여러 식품식품으로부터의 감염은 적다.
잠복 기간12~24시간1~2일2~11일3~8일12~72시간1~5일12시간~5일24~48시간1~3일
주요 증상상복부 통증, 설사 , 구토발열 , 복통 , 설사 , 구토두통 , 복통 , 설사 , 구토출혈성 대장염 (하복부 통증, 설사, 혈변 , 감기 증상)복통, 설사, 구토, 발열하복부 통증, 설사, 혈변, 발열수양성 설사, 구토, 탈수 증상상복부 통증, 구역질, 구토, 설사수양성 설사, 구토, 발열, 탈수 증상
복통상복부에 심함배꼽 주변에 심함배꼽 주변에 심함하복부에 심함EPEC는 배꼽 주변에 심함. EIEC는 하복부에 심함. ETEC에서는 가볍다.하복부에 심함. 때로는 쥐어짜는 듯한 통증 (테네스무스)도 있다.가벼움상복부에 심함상복부에 심함
설사 변의 성상수양변, 중증 사례에서는 점혈변수양변 또는 점혈변수양변 또는 점혈변처음에는 수양변, 나중에는 혈변EPEC에서는 수양변이 많다. EIEC에서는 점혈변이 되는 경우가 많다. ETEC에서는 새하얀 수양변이 대량으로 나올 수도 있다.처음에는 수양변, 나중에는 농혈변"뜨물"이라고 형용될 정도의 새하얀 수양변수양변수양변. 중증 사례에서는 새하얀 수양변이 대량으로 나올 수도 있다.
혈변 (하혈)중증 사례에서는 있음있음있음특히 현저하게 나타남. 전형적인 사례에서는 "변 성분이 거의 없고, 새빨간 혈액 그 자체"와 같은 상태로 나온다.EIEC에서는 많음. EPEC에서도 중증 사례에서는 있음.현저. 혈액뿐만 아니라 고름점액도 섞임. 전형적인 사례에서는 변 성분이 거의 없고, 혈액, 고름, 점액만 빈번하게 배설하게 된다.위장염 자체에서는 없음. 합병증으로 장중첩증을 일으킨 경우에는 있음.
구토많음있음있음드묾있음드묾많음심함많음
발열없음, 또는 경미함 (37℃대)많음, 때로는 38℃ 이상의 고열이 되기도 함있음경미함 (37℃대)인 경우가 많음EPEC, EIEC에서는 많음. ETEC에서는 드묾.있음드묾없음, 또는 경미함 (37℃대)많음
합병증드물게 심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음패혈증 , 수막염패혈증, 길랭-바레 증후군용혈성 요독 증후군 (HUS),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TTP)용혈성 요독 증후군 (HUS), 라이터 증후군탈수 증상탈수 증상, 장중첩증 , 간염 , 심근염 , 뇌염 , 바이러스성 급성 뇌증 , 신부전
2차 감염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염)드묾있음있음있음있음많음있음많음많음
예방법어패류의 생식은 피함, 식전 가열의 구제, 계란의 생식은 피함,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 씻기육류의 생식은 피함,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 씻기육류의 생식은 피함,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 씻기, 2차 감염 방지쥐의 구제, 가열 살균생것이나 생수를 피함, 가열 살균, 냉동 냉장생것이나 생수를 피함, 가열 살균, 냉동 냉장식전 가열, 손 씻기, 양치질, 2차 감염 방지로타 바이러스 백신 접종
감염증법에서의 취급5류 감염증5류 감염증. 일부 균주는 3류 감염증 (장티푸스 , 파라티푸스)5류 감염증3류 감염증 (장관 출혈성 대장균 감염증)5류 감염증3류 감염증 (세균성 이질)3류 감염증 (콜레라5류 감염증5류 감염증, 기저 정점
비고콜레라균과 같은 비브리오속에 분류되는 세균이다.장티푸스파라티푸스를 일으키는 균주는 감염증법에서 3류 감염증으로 지정된다.합병증인 HUS는 치사율이 높고,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다.감염력이 매우 강하고, 아주 소량의 균 수로도 감염이 성립한다.장염 비브리오와 같은 비브리오속에 분류되는 세균이다.유아의 중증 위장염의 원인으로서 중요한 병원체.


합병증

4. 진단

장염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징후와 증상을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진단한다.[18][102]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것은 대부분 치료 방침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15][96]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 대변 배양 검사: 대변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경우, 식중독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최근 개발도상국을 여행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 실시한다.[10][105] 또한 5세 미만의 어린이, 노인, 면역 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에게도 고려될 수 있다.[39] 때로는 질병 감시 목적으로 진단 검사를 수행하기도 한다.[18][102]
  • 혈청 포도당 측정: 저혈당증은 영유아의 약 10%에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연령대에서는 혈당 검사가 권장된다.[22][100]
  • 전해질신장 기능 검사: 심각한 탈수가 우려될 때 확인해야 한다.[10][105]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탈수 여부와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탈수 정도는 일반적으로 경도(체중 감소 3~5%), 중등도(6~9%), 중증(≥10%)으로 나뉜다.[91] 소아의 경우, 중등도 또는 중증 탈수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징후는 모세 혈관 재충전 시간의 지연, 피부 탄력 감소, 호흡 이상이다.[100][118] 눈이 쑥 들어가 보이거나, 아이의 활동성이 떨어지고, 눈물이나 입안이 마르는 등의 소견도 탈수를 의심할 수 있는 유용한 단서가 된다.[91] 정상적으로 소변을 보고 물을 마신다면 탈수 위험은 낮다고 볼 수 있다.[100] 하지만 임상적인 관찰만으로는 탈수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91]

장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들을 감별하는 것도 중요하다. 충수염, 장 비틀림, 염증성 장 질환, 요로 감염, 당뇨병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0][105] 또한 췌장 기능 부전, 단장 증후군, 휘플병, 셀리악병, 그리고 변비약 남용 등도 고려해야 한다.[42][119] 구토와 설사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보다 어느 한 증상만 있을 때 감별 진단이 더 복잡해질 수 있다.[3][91]

  • 충수염: 구토, 복통과 함께 약 33%의 경우 소량의 설사를 동반할 수 있다.[3][91] 이는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설사를 하는 장염과는 대조적이다.[3][91]
  • 하부 호흡기 감염 또는 요로 감염: 소아에서 구토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3][91]
  •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복통, 메스꺼움, 구토를 동반하지만 보통 설사는 없다.[3][91] 한 연구에 따르면 DKA를 앓는 어린이의 17%가 처음에는 장염으로 잘못 진단되었다고 한다.[3][91]

5. 치료

장염은 대부분 구토와 설사를 동반하므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염 치료의 주요 목표는 탈수증을 치료하고 예방하며,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169] 장염은 일반적으로 급성이며 저절로 낫는 질환이므로 대부분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21][99]

=== 탈수 평가 ===

탈수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탈수 정도는 일반적으로 경증(체중 감소 3–5%), 중등도(6–9%), 심각(≥10%)으로 나뉜다.[3] 특히 소아의 경우, 중등도 또는 심각한 탈수의 가장 정확한 징후는 모세혈관 재충전 시간 지연, 피부 탄력 저하, 비정상적인 호흡이다.[22][40] 그 외 함몰된 눈, 활동 감소, 눈물 부족, 구강 건조 등도 탈수를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다.[3] 정상적인 소변량과 경구 수분 섭취 능력은 상태가 심각하지 않음을 시사한다.[22] 일반적으로 실험실 검사나 소변 검사, 초음파 등은 탈수 정도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아 잘 시행하지 않는다.[3][41]

=== 수분 및 전해질 보충 ===

장염 치료의 핵심은 소아와 성인 모두에서 수분 보충이다.[133]


  • 경구 수액 보충 요법 (ORT): 경증 또는 중등도 탈수 환자에게 가장 먼저 권장되는 치료법이다.[23][130]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권장하는 경구 수액 용액(ORS)은 전해질과 포도당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수분 흡수를 돕는다. 단순 당보다는 밀이나 쌀과 같은 복합 탄수화물로 만든 수분 보충 제품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59][135] 시중의 이온 음료나 끓인 물, 보리차 등도 수분 보충에 도움이 되지만,[170] 청량 음료나 과일 주스처럼 당분이 많은 음료는 삼투압성 설사를 유발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21][99][170] 경구 수액을 구하기 어렵거나 환자가 마시기 힘들어하면 일반 물을 마시게 할 수도 있다.[21][99] 필요한 경우 어린 아이에게는 비위관을 통해 수액을 투여할 수 있다.[10][105] 최근 연구에서는 소아의 경증 위장염에 2배 희석한 사과 주스가 경구 수액 요법보다 치료 실패율이 낮았다는 보고도 있다.[136]
  • 정맥 주사 수액 공급: 환자의 의식 저하가 있거나 탈수가 심하여 경구 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정맥 주사를 통해 수액을 공급해야 한다.[57][58][133][134] 대개 1~4시간 정도의 정맥 수액 투여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60]


=== 식이 요법 ===

설사가 줄어들기 시작하면 미음이나 쌀죽 등 기름기가 없는 담백한 음식부터 섭취를 시작한다.[170] 차가운 음식, 당분이 많은 음료, 과일즙, 탄산 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다.[170] 하지만 음식을 먹고 설사가 다시 심해질 수 있으므로, 완전히 멎은 후에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다.[170]

  • 영유아: 모유 수유 중인 아기는 평소대로 모유 수유를 계속하고, 분유를 먹는 아기는 경구 수분 보충 후 바로 분유를 다시 먹이는 것이 좋다.[61][137] 유당이 없는 특수 분유나 유당 감소 분유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61][137]
  • 소아 및 성인: 설사 중에도 평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단순당 함량이 높은 음식은 피해야 한다.[61][137] 과거에 권장되었던 BRAT 식단 (바나나, 쌀, 사과 소스, 토스트)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고 특별한 이점이 없어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다.[61][137]


=== 약물 치료 ===

장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성이며 자연적으로 회복되므로 약물 치료가 필수적인 경우는 드물다.

  • 항구토제: 구토가 심하여 경구 수분 보충이 어려운 경우, 특히 소아에게 온단세트론이나 메토클로프라미드 같은 항구토제를 1회 투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55][68][131][142][143][144] 이는 정맥 주사 수액의 필요성을 줄이고 입원율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55][66][67][68] 다만, 온단세트론 사용이 소아의 재입원율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69][145] 디멘히드리네이트는 구토를 줄일 수는 있으나 임상적으로 큰 이점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3][91] 의사의 처방 없이 임의로 항구토제를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170]
  • 항생제: 항생제는 세균성 장염이 강력히 의심되거나 확인된 경우, 또는 증상이 매우 심각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71][72][147][148] 고열, 혈변, 심한 설사 등 증상이 악화될 때 고려할 수 있다.[170] 세계 보건 기구(WHO)는 혈변과 발열이 함께 있는 어린이에게 항생제 사용을 권장한다.[3][91] 항생제 선택 시에는 내성률을 고려하여 플루오로퀴놀론보다는 마크로라이드 계열(아지트로마이신 등)이 선호될 수 있다.[28][108] 치료가 필요한 주요 세균 및 원생동물에는 ''시겔라'',[73][149] ''살모넬라 타이피'',[74][150] ''지알디아'' 등이 있다.[35][114] ''지알디아''나 아메바성 이질의 경우 티니다졸이 메트로니다졸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35][75][151][114] 항생제 사용으로 가성막 대장염이 발생하면 원인 항생제를 중단하고 메트로니다졸이나 반코마이신으로 치료한다.[79][158]
  • 항운동성 약물 (지사제): 설사를 멈추게 하는 약물(예: 로페라미드)은 장 운동을 억제하여 독소 배출을 방해하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42] 따라서 혈변이나 발열이 동반된 설사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76][152] 특히 로페라미드는 어린 소아에게는 중추신경계 독성 위험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77] 비스무트 서브살리실산염은 경증에서 중등도 설사에 사용될 수 있으나,[42] 살리실산염 중독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3][91] 지사제 역시 의사의 지시 없이 임의로 복용해서는 안 된다.[170]


=== 기타 치료법 ===

  • 프로바이오틱스: 일부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설사 기간과 빈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했지만,[138] 2020년 코크란 리뷰에서는 설사가 2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효과가 거의 없다고 결론지었다.[62] 다만, 항생제 복용으로 인한 설사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는 유용할 수 있다.[63][139]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유 제품 섭취도 도움이 될 수 있다.[64][140]
  • 아연 보충: 개발도상국 어린이의 경우, 아연 보충이 설사를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65][141]
  • 보온: 전신을 따뜻하게 하고, 특히 배와 손발을 따뜻하게 유지하면 복통이나 불쾌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70]
  • 복통 완화: 부틸스코폴라민과 같은 진경제는 복통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56][132]

6. 예방

장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171]


  • 손 씻기 등 청결을 유지하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관리한다.
  • 음식물을 완전히 익히고, 조리되었던 음식은 완전하게 재가열하여 섭취한다.
  • 익히지 않은 음식과 익힌 음식은 따로 분리하여 보관한다.
  • 의심되는 식재료는 사용하지 않고, 조리한 음식은 2시간 이내에 냉장 보관한다.
  •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마신다.
  • 비위생적인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얼음, 생 채소, 깎지 않은 과일 등은 섭취하지 않는다.


로타바이러스 검사 양성률(%), 주별, 미국, 2000년 7월 ~ 2009년 6월


오염되지 않은 물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좋은 위생 습관을 유지하는 것은 감염률과 임상적으로 심각한 위장염 발생률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17][117] 비누를 사용한 손 씻기와 같은 개인 위생 수칙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위장염 발생률을 최대 30%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2][100] 소독용 알코올 젤도 효과적일 수 있다.[22][100] 오염되었다고 생각되는 음식이나 음료는 피해야 한다.[43][120]

모유 수유는 특히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곳에서 중요하며, 전반적인 위생 개선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15][96] 모유는 감염 빈도와 지속 시간을 모두 줄여준다.[3][91]

백신 접종 또한 중요한 예방 수단이다. 2009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효과와 안전성을 고려하여 모든 어린이에게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44][45][121][122] 현재 두 가지 상업용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있으며, 여러 백신이 개발 중에 있다.[45][121]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이 백신은 영아의 심각한 질병을 감소시켰으며,[45][121] 국가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시행한 국가에서는 질병 발생률과 심각성이 감소했다.[46][47][123][124] 이 백신은 또한 순환하는 감염의 수를 줄여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어린이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48][125] 미국에서는 2000년 이후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 프로그램 시행으로 설사 발생 건수가 최대 80%까지 크게 감소했다.[49][50][51][126][127][128] 백신 첫 번째 접종은 생후 6주에서 15주 사이의 영아에게 실시하는 것이 권장된다.[44][122] 콜레라 백신은 2년 동안 약 50~60%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2][129]

현재 장염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균에 대한 여러 백신이 개발 중이다. 예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세균성 장염의 주요 원인 중 두 가지인 이질균(Shigella)과 독소원성 대장균(ETEC)에 대한 백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53][54][160][161]

7. 합병증

설사의 흔한 합병증으로 탈수가 나타날 수 있다.[21][99] 어린이에게 심각한 탈수가 발생하면 피부를 눌렀다 뗐을 때 원래 색과 위치로 돌아오는 시간이 길어지고(모세혈관 재충전 지연), 피부 탄력이 저하되며, 호흡이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징후를 보일 수 있다.[22][100]

위생 상태가 좋지 않거나 영양실조가 있는 지역에서는 장염 감염이 반복될 수 있으며[15][96], 이는 성장 부진이나 장기적인 인지 기능 발달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17][117] 이는 특히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완전히 회복하기 어려운 빈곤 국가의 어린이들에게서 문제가 될 수 있다.[20][98]

특정 감염원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 ''캄필로박터'' 종 감염 후 약 1%에서 반응성 관절염이, 0.1%에서 길랭-바레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28][108]
  • 시가 독소를 생성하는 ''대장균''이나 ''시겔라''(이질균)에 감염되면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이 발생할 수 있다.[23][130] HUS는 혈소판 감소증, 신부전, 용혈성 빈혈을 특징으로 하며[23][130], 성인보다 어린이가 더 걸리기 쉽다.[17][117]
  • 일부 바이러스 감염은 양성 유아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3][91]

8. 기타

(내용 없음)

8. 1. 역학

2012년 설사 질환으로 인한 인구 백만 명당 사망자 수


2004년 설사로 인한 인구 100,000명당 장애보정 생존 연수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위장염 환자는 약 20억 명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13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3][14] 위장염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어린이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15] 2011년 통계에 따르면, 5세 미만 어린이에게서 약 17억 건의 위장염 사례가 발생하여 70만 명이 사망했으며,[16] 사망 사례 대부분은 세계적으로 빈곤한 국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17] 5세 미만 어린이 사망자 중 45만 명 이상은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다.[7][78] 콜레라 역시 매년 약 300만에서 500만 건의 발병을 유발하며, 약 10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다.[30] 개발도상국에서는 2세 미만의 어린이들이 1년에 6번 이상 심각한 위장염을 앓는 경우가 흔하다.[17] 성인의 경우, 여러 차례 감염을 통해 면역을 획득하게 되므로 어린이보다 발병 빈도가 낮다.[18]

과거 1980년에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위장염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460만 명의 어린이가 사망했으며, 이 역시 대부분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79] 그러나 경구 수분 보충 요법의 도입과 광범위한 사용 덕분에 2000년대에 들어서는 사망률이 연간 약 150만 명 수준으로 크게 감소했다.[80]

미국에서는 위장염을 유발하는 감염이 감기 다음으로 흔한 질병으로, 연간 2억에서 3억 7,500만 건의 급성 설사 사례가 보고된다.[17][18] 이로 인해 미국 내에서 매년 약 1만 명이 사망하며,[17] 그중 150명에서 300명 정도는 5세 미만의 어린이이다.[3]

8. 2. 용어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상이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단순히 증상만 가지고는 그 원인균을 알 수 없으며, 발병 원인, 발병 부위, 발병 기간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 식중독: 식품 또는 물의 섭취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이다.
  • 급성설사(급성 위장관염, 급성장염):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에 의한 감염, 약제, 독소 등의 원인으로 위와 장에 염증이 발생되어 2주 미만의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를 말한다.
  • 만성 설사: 과민반응, 흡수장애, 염증성 장질환 등의 원인으로 2주 이상 설사가 지속되는 경우이다.
  •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을 말하며, 만성으로 진행되어 완치가 잘 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위장염"이라는 용어는 1825년에 처음 사용되었다.[83] 이 전에는 일반적으로 장티푸스 또는 "콜레라 모르부스" 등으로 알려졌으며, 덜 구체적으로는 "장의 경련", "과식", "설사", "산통", "장의 불만", 또는 급성 설사에 대한 다른 여러 가지 오래된 이름으로 불렸다.[84] 콜레라 모르부스는 특히 콜레라가 아닌 위장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던 역사적 용어이다.[85]

8. 3. 다른 동물

고양이와 개 역시 사람처럼 다양한 원인으로 위장염을 앓을 수 있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캄필로박터''(Campylobacterlat) 속,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Clostridioides difficilelat),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lat), ''살모넬라''(Salmonellalat) 속 등이 흔하다.[86][162] 또한, 여러 종류의 독성 식물 섭취도 위장염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87][163]

일부 병원체는 특정 동물 종에게 더 특이적으로 감염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전염성 위장염 코로나바이러스(TGEV)는 돼지에게 감염되어 구토, 설사, 탈수 증상을 유발한다.[88][164] 이 바이러스는 야생 조류를 통해 돼지에게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아직 특별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89][165] 다행히 이 바이러스는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90][166]

참조

[1] 서적 In a Page: Emergency medicin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3
[2] 서적 Clinical infectious disea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3] 논문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Practice Acute Gastroenteritis — An Update http://www.ebmedicin[...] 2010-07
[4]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5: 5 Books in 1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5] 서적 The microbial challenge: a public health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13
[6] 서적 Textbook of therapeutics: drug and disease management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7] 논문 2008 estimate of worldwide rotavirus-associated mortality in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before the introduction of universal rotavirus vaccination program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zenodo.org/r[...] 2012-02
[8] 논문 The dynamics of norovirus outbreak epidemics: recent insights 2011-04
[9] 논문 The clinical importance of emerging Campylobacter species 2011-12
[10] 논문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2005-04
[11] 논문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neonatal and pediatric gastroenteritis. 2013-10-29
[12] 논문 Therapy of acute gastroenteritis: role of antibiotics. 2015-08
[13]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14]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15] 서적 Communicable disease epidemiology and control :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bi 2009
[16] 논문 Global burden of childhood pneumonia and diarrhoea. 2013-04-20
[17] 서적 Mandell, Douglas, and Bennett's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10
[18] 논문 Viral gastroenteritis in adults 2011-01
[19] 논문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rotavirus infection: an underestimated issue? 2011-10
[20] 웹사이트 Toolkit http://www.defeatdd.[...] 2012-05-03
[21] 웹사이트 Management of acute diarrhoea and vomiting due to gastoenteritis in children under 5 http://guidance.nice[...] 2009-04
[22] 서적 Emergency Medicine: A Comprehensive Study Guide (Emergency Medicine (Tintinalli)) McGraw-Hill Companies 2010
[23] 논문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2007-01-06
[24] 서적 Kumar and Clark's Clinical Medicine Elsevier 2020
[25] 논문 Immune responses to rotavirus infection and vaccination and associated correlates of protection 2011-01
[26] 논문 Global prevalence of norovirus in cases of gastroenter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zenodo.org/r[...] 2014-08
[27] 논문 Viral Gastroenteritis in Adults https://www.eurekase[...] 2020-12-22
[28] 논문 Campylobacter and bacterial gastroenteritis. 2007-09-11
[29] 논문 Foodborne illness: is it on the rise? 2010-05
[30] 논문 Cholera in the 21st century. 2011-10
[31] 논문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a review. 2012-02
[32] 논문 Staphylococcal enterocolitis: forgotten but not gone? 2010-05
[33] 웹사이트 Persistent Travelers' Diarrhea http://wwwnc.cdc.gov[...] United Stat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01-09
[34] 논문 Systematic review of the risk of enteric infection in patients taking acid suppression. 2007-09
[35] 논문 Giardiasis: the ever-present threat of a neglected disease 2010-10
[36] 논문 Acute and persistent diarrhea 2009-12
[37] 논문 Food poisoning 2007-05
[38] 논문 Trends in Emergency Department Visits, 2006–2011 https://www.hcup-u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4-09
[39] 논문 2017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arrhea 2017-10-19
[40] 논문 Is this child dehydrated? 2004-06-09
[41] 논문 Diagnosing clinically significant dehydration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using noninvasive methods: a meta-analysis 2015-04
[42] 서적 The Oxford Textbook of Medicine http://otm.oxfordmed[...] Oxford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Viral Gastroenteritis https://www.cdc.gov/[...] 2011-02
[44] 논문 Gastrointestinal infection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2010-01
[45] 논문 Rotavirus vaccines: an update https://www.who.int/[...] 2009-12
[46] 논문 Summary of effectiveness and impact of rotavirus vaccination with the oral pentavalent rotavirus vaccine: a systematic review of the experienc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http://www.landesbio[...] 2011-07
[47] 논문 Performance of rotavirus vaccines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http://www.landesbio[...] 2010-07
[48] 논문 Real-world impact of rotavirus vaccination 2011-01
[49] 논문 Delayed onset and diminished magnitude of rotavirus activity—United States, November 2007 – May 2008 https://www.cdc.gov/[...]
[50] 논문 Reduction in rotavirus after vaccine introduction—United States, 2000–2009 https://www.cdc.gov/[...] 2009-10
[51] 논문 Uptake, impact, and effectiveness of rotavirus vaccination in the United States: review of the first 3 years of postlicensure data 2011-01
[52] 논문 Oral vaccines for preventing cholera. 2011-03-16
[53] 웹사이트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https://www.who.int/[...]
[54] 웹사이트 Shigellosis https://www.who.int/[...]
[55] 논문 Antiemetics for reducing vomiting related to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1-09-07
[56] 논문 Hyoscine butylbromide: a review of its use in the treatment of abdominal cramping and pain
[57] 웹사이트 BestBets: Fluid Treatment of Gastroenteritis in Adults http://www.bestbets.[...]
[58]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ehydration in children 2009-10
[59] 논문 Polymer-based oral rehydration solution for treating acute watery diarrhoea 2016-12-13
[60] 논문 Rapid Intravenous Rehydration Therapy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A Systematic Review 2016-02
[61] 논문 Managing acute gastroenteritis among children: oral rehydration, maintenance, and nutritional therapy https://www.cdc.gov/[...] 2003-11
[62] 논문 Probiotics for treating acute infectious diarrhoea 2020-12
[63] 논문 Probiotic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5-09
[64] 웹사이트 Does yogurt decrease acute diarrhoeal symptoms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http://www.bestbets.[...] 2007-06
[65] 논문 Oral rehydration salts, zinc supplement and rota virus vaccine in the management of childhood acute diarrhea. 2010-05
[66] 논문 Use of antiemetic agents in acute gastroenter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8-09
[67] 논문 Ondansetron for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http://www.cfp.ca/cg[...]
[68] 논문 Antiemetics for reducing vomiting related to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1-09-07
[69] 논문 Ondansetron use in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and effects on hospitalization and return rates: are we masking alternative diagnoses? 2010-05
[70] 웹사이트 Ondansetron http://www.merckmanu[...] 2011-05
[71] 논문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dysentery in children 2010-04
[72] 논문 Acute and persistent diarrhea 2009-12
[73] 논문 Antibiotic therapy for Shigella dysentery. 2010-08-04
[74] 논문 Fluoroquinolones for treating typhoid and paratyphoid fever (enteric fever). https://ecommons.aku[...] 2011-10-05
[75] 논문 Antiamoebic drugs for treating amoebic colitis 2019-01-09
[76]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books.mcgraw-[...] McGraw-Hill 2006-04-22
[77] 서적 Sleisenger &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https://archive.org/[...] Saunders
[78] 논문 Global networks for surveillance of rotavirus gastroenteritis, 2001–2008 https://www.who.int/[...] 2012-05-10
[79] 서적 Mandell's Principles and Practices of Infection Diseases http://www.ppidonlin[...] Churchill Livingstone 2006-04-22
[80] 논문 Reducing deaths from diarrhoea through oral rehydration therapy
[81] 논문 "[Epidemiology of viral gastroenteritis in France and Europe]." http://archive-ouver[...] 2010-11
[82] 서적 Essential infectious disease topics for primary care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83] 웹사이트 Gastroenteritis http://www.oed.com/ 2012-01-15
[84] 웹사이트 Rudy's List of Archaic Medical Terms http://www.antiquusm[...]
[85] 서적 The Cholera Years the United States in 1832, 1849, and 186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
[86] 논문 Bacterial enteritis in dogs and cats: diagnosis, therapy, and zoonotic potential 2011-03
[87] 서적 Fundamentals of toxicologic path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88] 서적 Fenner's veterinary vir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Academic Press
[89] 서적 Laboratory animal medicine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90] 서적 Diseases of Swin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5-15
[91] 논문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Practice Acute Gastroenteritis — An Update http://www.ebmedicin[...]
[92] 웹사이트 感染性胃腸炎(ノロウィルス等)│暮らしのガイド|島根県松江市 http://www1.city.mat[...]
[93] 논문 2008 estimate of worldwide rotavirus-associated mortality in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before the introduction of universal rotavirus vaccination program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94] 논문 The dynamics of norovirus outbreak epidemics: recent insights
[95] 논문 The clinical importance of emerging Campylobacter species
[96] 서적 Communicable disease epidemiology and control :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bi
[97] 논문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rotavirus infection: an underestimated issue? 2011-10
[98] 웹사이트 Toolkit http://www.defeatdd.[...] 2012-05-03
[99] 웹사이트 Management of acute diarrhoea and vomiting due to gastoenteritis in children under 5 http://guidance.nice[...] 2009-06-11
[100] 서적 Emergency Medicine: A Comprehensive Study Guide (Emergency Medicine (Tintinalli)) McGraw-Hill Companies
[101] 논문 小児における腸管アデノウイルス胃腸炎の疫学
[102] 논문 Viral gastroenteritis in adults
[103] 논문 Viral gastroenteritis in children
[104] 간행물 今日の小児治療指針 第16版第11章「感染症,寄生虫症」-ウイルス性胃腸炎 医学書院 2015-09-01
[105] 논문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2005-04
[106] 논문 Immune responses to rotavirus infection and vaccination and associated correlates of protection
[107] 논문 ノロウイルスによる食中毒について https://doi.org/10.3[...]
[108] 논문 Campylobacter and 細菌性 gastroenteritis. 2007-09-11
[109] 논문 Foodborne illness: is it on the rise? 2010-05
[110] 논문 Cholera in the 21st century. 2011-10
[111] 논문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a review. 2012-02
[112] 논문 Staphylococcal enterocolitis: forgotten but not gone? 2010-05
[113] 논문 Systematic review of the risk of enteric infection in patients taking acid suppression. 2007-09
[114] 논문 Giardiasis: the ever-present threat of a neglected disease. 2010-10
[115] 논문 Acute and persistent diarrhea. 2009-12
[116] 논문 Food poisoning. 2007-05
[117] 논문 Mandell 2010 Chp. 93
[118] 논문 Is this child dehydrated? 2004-06-09
[119] 서적 The Oxford Textbook of Medicine http://otm.oxfordmed[...] Oxford University Press
[120] 웹사이트 Viral Gastroenteritis http://www.cdc.gov/n[...] 2012-04-16
[121] 논문 Rotavirus vaccines: an update http://www.who.int/w[...] 2012-05-10
[122] 논문 Gastrointestinal infection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2010-01
[123] 논문 Summary of effectiveness and impact of rotavirus vaccination with the oral pentavalent rotavirus vaccine: a systematic review of the experienc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http://www.landesbio[...] 2012-05-10
[124] 논문 Performance of rotavirus vaccines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http://www.landesbio[...] 2012-05-10
[125] 논문 Real-world impact of rotavirus vaccination. 2011-01
[126] 논문 Delayed onset and diminished magnitude of rotavirus activity—United States, November 2007 – May 2008 http://www.cdc.gov/m[...] 2012-05-03
[127] 논문 Reduction in rotavirus after vaccine introduction—United States, 2000–2009 http://www.cdc.gov/m[...]
[128] 논문 Uptake, impact, and effectiveness of rotavirus vaccination in the United States: review of the first 3 years of postlicensure data. 2011-01
[129] 논문 Oral vaccines for preventing cholera. 2011-03-16
[130] 논문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2007-01-06
[131] 논문 Antiemetics for reducing vomiting related to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32] 논문 Hyoscine butylbromide: a review of its use in the treatment of abdominal cramping and pain
[133] 웹사이트 BestBets: Fluid Treatment of Gastroenteritis in Adults http://www.bestbets.[...] 2008-12-20
[134]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ehydration in children
[135] 논문 Polymer-based oral rehydration solution for treating acute watery diarrhoea
[136] 뉴스 軽症胃腸炎の小児には希釈したリンゴジュース 電解質入りの経口補水液より治療失敗が少ない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6-05-30
[137] 논문 Managing acute gastroenteritis among children: oral rehydration, maintenance, and nutritional therapy http://www.cdc.gov/m[...]
[138] 논문 Probiotics for treating acute infectious diarrhoea
[139] 논문 Probiotic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5-09
[140] 웹사이트 Does yogurt decrease acute diarrhoeal symptoms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http://www.bestbets.[...] 2008-12-18
[141] 논문 Oral rehydration salts, zinc supplement and rota virus vaccine in the management of childhood acute diarrhea. 2010-05
[142] 논문 Use of antiemetic agents in acute gastroenter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43] 논문 Ondansetron for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http://www.cfp.ca/cg[...]
[144] 논문 Antiemetics for reducing vomiting related to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1-09-07
[145] 논문 Ondansetron use in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and effects on hospitalization and return rates: are we masking alternative diagnoses?
[146] 웹사이트 Ondansetron http://www.merckmanu[...] 2012-04-16
[147] 논문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dysentery in children
[148] 논문 Acute and persistent diarrhea
[149] 논문 Antibiotic therapy for Shigella dysentery. 2010-08-04
[150] 논문 Fluoroquinolones for treating typhoid and paratyphoid fever (enteric fever). 2011-10-05
[151] 논문 Antiamoebic drugs for treating amoebic colitis. 2009-04-15
[152]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books.mcgraw-[...] McGraw-Hill
[153] 서적 Sleisenger &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http://www.elsevier-[...] Saunders
[154] 논문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2007-01-06
[155]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causes of child mortality in 2008: a systematic analysis. 2010-06-05
[156] 논문 2008 estimate of worldwide rotavirus-associated mortality in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before the introduction of universal rotavirus vaccination program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2
[157] 논문 Global networks for surveillance of rotavirus gastroenteritis, 2001–2008 http://www.who.int/w[...] 2012-05-10
[158] 서적 Mandell's Principles and Practices of Infection Diseases http://www.ppidonlin[...] Churchill Livingstone
[159] 논문 Reducing deaths from diarrhoea through oral rehydration therapy
[160] 웹사이트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http://www.who.int/v[...] 2012-05-03
[161] 웹사이트 Shigellosis http://www.who.int/v[...] 2012-05-03
[162] 논문 細菌性 enteritis in dogs and cats: diagnosis, therapy, and zoonotic potential. 2011-03
[163] 서적 Fundamentals of toxicologic path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164] 서적 Fenner's veterinary vir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Academic Press
[165] 서적 Laboratory animal medicine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66] 서적 Diseases of swine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67] URL 식중독 및 장염 http://health.search[...]
[16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nsan.kumc.or[...] 2011-05-10
[169] URL 장염 http://sev.iseveranc[...]
[170] URL https://terms.naver.[...]
[17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nsan.kumc.or[...] 2011-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