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 석유 기반 플라스틱의 대안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1888년 PHA 발견을 시작으로, 다양한 종류의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었으며, 바이오매스 유래와 석유 유래 플라스틱이 존재한다. 주요 종류로는 폴리락산, 폴리히드록시알칸산, 전분 혼합물 등이 있다. 생분해성은 화학적 조성, 물리적 특성, 외부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퇴비화, 환경 분해성 등 분해 조건에 따라 분류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환경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퇴비화 가능", "생분해성" 등의 용어 혼용으로 인한 혼란, 미세 플라스틱 문제, 생산 비용, 그리고 메탄 방출 등의 논란이 존재한다. 규제 및 표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유전 공학 및 합성 생물학을 통해 생산 최적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의료 분야에서도 활용되며, 한국에서는 해양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 및 도입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지만, 기술적, 경제적 한계와 함께 쓰레기 투기 증가 등의 우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분해성 플라스틱 - 셀로판
    셀로판은 스위스 화학자가 발명한 투명한 셀룰로스 필름으로, 식품 포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생분해성을 가지지만 제조 과정과 방습 기능에 따라 단점이 존재하기도 한다.
  • 생분해성 플라스틱 - 폴리젖산
    폴리젖산(PLA)은 발효된 식물 전분에서 추출한 단량체로 합성된 생분해성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터로, 3D 프린팅, 포장재, 의료용 임플란트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탄소 중립적인 특성으로 주목받지만, 종류에 따라 성질과 분해 조건이 다양하므로 사용 목적에 맞는 선택과 처리가 중요하다.
  • 생분해성 재료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생분해성 재료 - 밀랍
    밀랍은 꿀벌이 분비하는 고체 왁스로 벌집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플라스틱 -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필름은 고분자 원료로 만들어진 얇은 막 형태의 재료로, 두께와 소재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다양한 제조 공정을 거쳐 포장재, 광학 필름, 산업용 재료 등 폭넓게 사용된다.
  • 플라스틱 -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높은 강도 대비 밀도 비율을 가진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직쇄 구조로 인해 강하고 내성이 높으며, 다양한 등급과 성형 가공법으로 생산되어 포장재, 파이프, 필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환경 문제로 인해 재활용이 중요하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2. 역사

1888년 마르티누스 베이에린크가 박테리아에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염(PHA)을 처음 발견했다.[7] 1926년 프랑스 미생물학자 모리스 르모안은 ''Bacillus megaterium''에서 PHA를 추출, 화학적으로 확인했다.[7][8] 1960년대 초, W.R. Grace & Co.(미국)가 PHB 생산 및 분리 특허를 획득했으나, 낮은 수율, 오염된 제품, 높은 추출 비용으로 인해 사업이 중단되었다.[9]

1973년 석유 수출국 기구(OPEC)의 석유 수출 중단으로 국제 유가가 상승하자,[10] 임페리얼 케미컬 인더스트리(ICI UK)는 ''Alcaligenes latus'' 균주를 사용하여 PHB를 70% 수율로 생산했다.[9] 그러나 생산된 PHA의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과 유가 상승 위협 감소로 인해 생산 노력이 둔화되었다.[9]

1983년, ICI는 벤처 자금 지원을 받아 Marlborough Biopolymers를 설립,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Biopol(PHBV)를 생산했다. Biopol은 PHB와 PHV로 구성된 공중합체였지만, 높은 생산 비용으로 인해 시장을 뒤흔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996년 몬산토는 식물에서 중합체 생산 방법을 발견하고, 제네카(ICI의 스핀오프 회사)로부터 Biopol을 인수했다.[11]

2000년대 초 유가 급등(2008년 거의 140USD/배럴)으로 인해 플라스틱 생산 산업은 석유 기반 플라스틱에 대한 대안을 찾기 시작했다.[12] 그 이후로 화학적으로 또는 다른 박테리아, 식물, 해조류 및 식물 폐기물에 의해 생산된 수많은 대안이 등장했다.

1989년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JBPA)의 전신인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회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자연계에서 미생물이 관여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저분자 화합물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 정의했다.[83] JBPA 식별 표시 제도의 그린 플라 마크 취득 표시 기준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통상의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작용으로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생분해성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 규격, 일본 산업 규격(JIS)에 따라 평가된다.[84]

3. 종류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원료에 따라 크게 바이오매스 기반 플라스틱과 석유 기반 플라스틱으로 나뉜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주로 전분이나 당과 같은 생물 자원을 원료로 한다. 하지만 바이오매스가 원료라고 해서 모두 생분해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바이오 PET나 바이오 PE는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지만 생분해되지 않는다.

반면, 석유 기반 플라스틱 중에서도 생분해성을 갖는 것들이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바이오매스 기반:''' 폴리젖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미생물 생산 폴리에스터), 폴리글리콜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카제인, 변성 전분, 저 치환도 다당류 유도체(저 치환도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등)
  • '''석유 기반:''' PET 공중합체


생분해성 용기 개발

3. 1. 바이오매스 기반 플라스틱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1926년 프랑스 미생물학자 모리스 르모안이 ''Bacillus megaterium''에서 추출하여 이 중합체를 화학적으로 확인했다.[7][8] PHA의 특정 유형에는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발레레이트(PHV), 폴리히드록시헥사노에이트(PHH)가 있다. PHA의 생합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영양소(예: 인, 질소 또는 산소와 같은 거대 원소 부족)를 박탈하고 과도한 탄소 공급원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19] PHA 과립은 미생물을 파열시켜 회수한다.[20]

PHA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유형으로 더 분류할 수 있다.

  • 사슬 길이가 짧은 3~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히드록시 지방산으로 만든 scl-PHA는 ''Cupriavidus necator'' 및 ''Alcaligenes latus'' (PHB)를 포함한 수많은 박테리아에 의해 합성된다.
  • 6~1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사슬 길이가 중간인 히드록시 지방산으로 만든 mcl-PHA는 예를 들어 ''Pseudomonas putida''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21]


폴리락타이드(PLA)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옥수수 전분, 카사바,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 펄프와 같은 발효된 식물 전분과 같은 재생 가능 자원으로부터 합성된다. 2010년, PLA는 전 세계 모든 생분해성 플라스틱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소비량을 기록했다.[22] PLA는 퇴비화 가능하지만, 인공 퇴비화 조건 밖에서는 생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미국 및 유럽 표준에 따르면 생분해성이 아니다.

전분 혼합물은 열가소성 수지의 일종으로, 전분에 가소제를 혼합하여 생산된다. 전분 고분자는 그 자체로는 실온에서 부서지기 쉬우므로, 전분 호화 과정을 통해 가소제를 첨가하여 결정화를 증진시킨다.[23] 모든 전분은 생분해성이지만, 모든 가소제가 생분해성을 띄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소제의 생분해성은 전분 혼합물의 생분해성을 결정한다. 생분해성 전분 혼합물에는 전분/폴리락산,[24] 전분/폴리카프로락톤,[25] 및 전분/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있다. 전분/폴리올레핀과 같은 다른 혼합물은 생분해성이 없다.

셀룰로스 바이오플라스틱은 주로 셀룰로스 에스터(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및 니트로셀룰로스 포함)와 그 유도체, 셀룰로이드를 포함한다. 셀룰로스는 광범위하게 변형되면 열가소성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 셀룰로스 아세테이트가 있는데, 이는 비싸기 때문에 포장재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6]

리그닌 기반 고분자 복합체는 생분해성 특성을 가진 바이오 재생 가능한 천연 방향족 고분자이다. 리그닌은 종이, 에탄올 등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식물 재료로부터 다당류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견된다. 리그닌은 무게가 가볍고 다른 대안보다 환경 친화적이며, 항균성을 가지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현재 기준을 개선할 수 있다.

3. 2. 석유 기반 플라스틱

폴리글리콜산(PGA)은 열가소성 고분자이자 지방족 폴리에스터로, 생분해성 때문에 의료용 봉합사 등에 자주 사용된다. PGA 주쇄의 에스터 결합은 가수분해를 통해 무독성 단량체인 글리콜산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에스테라제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다.[27] 체내에서 글리콜산은 트라이카복실산 회로를 거쳐 물과 이산화탄소로 배설된다.[27]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는 프로필렌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이다. 식품 및 화장품 포장 필름, 농업용 생분해성 멀칭 필름 등에 사용된다.[28] PBS는 ''아미콜라토프시스'' sp. HT-6과 ''페니실리움'' sp. 균주 14-3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29] 또한, ''미크로비스포라 로제아'', ''엑셀로스포라 자포니카'' 및 ''E. viridilutea''가 유화된 PBS를 분해할 수 있다.[29]

폴리카프로락톤(PCL)은 에스터 결합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분해되기 때문에 이식형 생체 재료로 사용된다. 바실루스강과 슈도모나스강이 PCL을 분해할 수 있으며, ''푸른곰팡이속'' sp. 균주 26-1은 고밀도 PCL을 분해할 수 있지만, 내열성 ''아스페르길루스속'' sp. 균주 ST-01만큼 빠르지는 않다.[29] 클로스트리듐 속의 종은 혐기성 조건에서 PCL을 분해할 수 있다.[29]

폴리(비닐 알코올)(PVA)은 수용성 생분해성 비닐 중합체 중 하나이다. PVA는 물에 용해되기 때문에 식품 포장, 섬유 및 종이 코팅, 의료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30]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는 생분해성 랜덤 공중합체이다.

4. 생분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설계 및 사용에 대한 과제 중 하나는 생분해성이 "시스템 속성"이라는 점이다.[14] 즉, 특정 플라스틱 제품의 생분해 여부는 제품의 고유한 특성뿐만 아니라 제품이 놓이는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14] 플라스틱이 특정 생태계에서 분해되는 속도는 온도 및 특정 미생물의 존재를 포함한 광범위한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14]

생분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요인 종류요인
고유 요인
외부 요인


5. 논란 및 환경 문제

"퇴비화 가능", "생분해성 플라스틱", "옥소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라는 용어는 종종 "생분해성 플라스틱" 대신 사용되지만, 이 용어들은 서로 같은 의미가 아니다. 현재 쓰레기 관리 시설은 일반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 소각 또는 매립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일반 쓰레기 관리 시설에 섞는 것은 환경에 여러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34] 따라서 대체 플라스틱 재료가 올바르게 분해되는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퇴비화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모두 유기 성분으로 분해되는 재료이다. 그러나 일부 퇴비화 플라스틱의 퇴비화에는 더 높은 온도, 압력, 영양 농도, 특정 화학 비율 등 환경 요인의 엄격한 제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은 산업 퇴비화 공장에서만 재현 가능하며, 산업 퇴비화 공장은 드물다.[35] 따라서 일부 퇴비화 플라스틱은 고도로 통제된 환경에서만 분해될 수 있다.[36] 또한, 퇴비화는 일반적으로 호기성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생분해는 혐기성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다.[37]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비생분해성 퇴비화 플라스틱도 실제로 존재한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퇴비화 조건에서 생분해를 겪지만,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분해되기 시작하지 않는다. 즉, 이러한 플라스틱은 생물권에서 자연적으로 생분해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생분해성"으로 주장될 수 없다(미국 및 유럽 표준 모두에서 정의됨). 비생분해성 퇴비화 플라스틱의 예로는 폴리락트산(PLA)이 있다.[39][40]

플라스틱은 생물학적 기원의 고분자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생산된 경우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간주된다. 플라스틱은 특정 시간 내에 물, 이산화탄소 및 바이오매스로 분해될 수 있는 경우 생분해성으로 간주된다(이는 다양한 표준에 따라 다름). 따라서, 이 용어들은 동의어가 아니다. 모든 바이오 플라스틱이 생분해성인 것은 아니다.[42]

옥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생분해성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옥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산화 과정을 가속화하는 프로그레던트라는 첨가제가 포함된 일반 플라스틱일 뿐이다. 옥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햇빛과 산소에 노출되면 빠르게 분해되지만, 생물학적 물질이 아닌 막대한 양의 미세 플라스틱으로 잔존한다.[44] 옥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분해되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미생물이 소비할 수 없는 플라스틱 조각을 남기기 때문에 미국 및 유럽 표준에 따라 생분해성으로 분류될 수 없다.[45]

모든 물질은 본질적으로 생분해성이며, 유기물로 분해되고 광물화되는 데 몇 주가 걸리든, 백만 년이 걸리든 상관없다.[46] 따라서, "생분해성"으로 분류되지만 시간과 환경적 제약 조건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제품은 소비자를 오도하고 투명성이 부족하다.[42]

2021년, 유럽 연합의 과학 자문 메커니즘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증거 검토를 실시하고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14]

> 플라스틱 품목에 대해 생분해에 필요한 조건을 설명하지 않고 '생분해성'이라고 라벨링하면 소비자와 다른 사용자 간에 혼란을 야기한다. 이는 폐기물 흐름 오염과 오염 또는 쓰레기 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봉투가 금속을 방출할 수 있으며, 특정 환경에서는 분해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51] 옥소 생분해성(OBD) 플라스틱은 환경에 관계없이 상당한 속도로 계속 분해되지 않는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생성할 수 있다.[52][53]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을 천연 재료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체 탄소, 화석 연료 사용량, 물 사용량에 대한 논쟁이 많으며, 이러한 제조 과정이 인류의 식량 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다. 가장 흔하게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퇴비화 가능한 플라스틱인 폴리락산 1kg을 생산하는 데 2.65kg의 옥수수가 필요하다.[55]

매립 환경과 같이 혐기성 조건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포함한 모든 생분해성 물질이 분해될 때 또 다른 온실 가스인 메탄이 방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채로 폐기물 관리 시설에 의해 바다에 버려지며, 플라스틱이 결국 짧은 시간 안에 분해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러나 바다는 생분해에 최적의 환경이 아닌데, 생분해 과정은 미생물과 산소가 풍부한 따뜻한 환경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생분해를 거치지 않은 채 남아있는 미세 섬유는 해양 생물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60]

1989년 일본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회(현: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JBPA])에 의해, "자연계에서 미생물이 관여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저분자 화합물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 정의되었다.[83]

환경 분해성의 완전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 탄소로 완전히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인증 기준은 지역 차이가 있으며,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는 "3개월에 60% 이상 분해"인 반면, 유럽에서는 "2년 이내에 90% 이상 분해"로 하고 있다.[85] 따라서, 쓰레기로 투기했을 경우 반 영구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남는 기존 플라스틱에 비해 자연 환경에 대한 부담이 적다.

부분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생분해성 부분이 분해된 후, 비생분해성 부분은 잔사로서 플라스틱 분말(미세 플라스틱)을 생성한다. 이것이 수계로 유입될 경우, 해면이나 해중에 반 영구적으로 부유한다. 소형 여과 섭식 동물이나 동물성 플랑크톤이 이를 오식하여(바닷새 등이 플라스틱 조각을 오식하는 것처럼), 필터나 소화관을 막는 등의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즉, 부분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세 플라스틱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경제산업성은 2019년, 해양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및 도입·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로드맵을 수립했다.[93] 현재 세계적으로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고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 쌓여 해양 생물의 생태를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6. 환경적 이점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기존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적 이점을 제공한다.[29] 매립지에 남아 환경에 해를 끼치는 기존 플라스틱과 달리,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므로 매립지 부담을 줄일 수 있다.[29] 미생물 분해는 플라스틱 표면에 미생물이 정착하여 탄소원 또는 고분자 기질에 결합된 효소를 분비해 탄화수소 결합을 분해하고, 최종적으로 H2O와 CO2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다.[29]

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도시 고형 폐기물(MSW) 감소에도 기여한다. 2010년 미국 환경 보호국(EPA)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발생한 3,100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 중 8.2%만이 회수되었는데, 이는 전체 도시 고형 폐기물 회수율인 34.1%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였다.[47]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분해 불가능한 플라스틱을 대체하여 도시 퇴비화를 통해 대량의 폐기물을 매립지에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18]

퇴비화 가능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유용성과 산업용 퇴비화 시설에서 완전히 퇴비화될 수 있는 능력을 결합하여, 더 많은 양의 회수 불가능한 고형 폐기물을 퇴비화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매립지 사용을 줄이고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50]

천연 자원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만드는 경우,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7. 생산 비용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보다 생산 비용이 높은 편이다.[9][11][65] 1973년 석유 수출국 기구(OPEC)의 석유 수출 중단으로 국제 유가가 상승했을 때, 많은 기업들이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에 투자했다.[10] 임페리얼 케미컬 인더스트리(ICI)는 ''Alcaligenes latus'' 균주를 이용해 PHB를 70% 수율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으나,[9] 생산 비용 문제로 인해 사업이 둔화되었다.[9] 1983년, ICI는 벤처 자금 지원을 받아 최초로 상용화된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Biopol을 생산했지만, 이 역시 생산 비용이 높아 시장을 뒤흔들지 못했다.[11]

2000년대 초 유가 급등으로 플라스틱 생산 산업은 석유 기반 플라스틱의 대안을 찾기 시작했다.[12] 여러 연구자들이 생분해성 고분자의 에너지 효율을 평가했는데, 게르그로스 등의 연구에 따르면 1kg의 폴리히드록시알칸산(PHA) 생산에 필요한 화석 연료 에너지는 50.4 MJ/kg으로 추정되었다.[61][65] 폴리락산(PLA)는 54~56.7 MJ/kg의 화석 연료 에너지 비용이 드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63] NatureWorks의 PLA 상업 생산 발전으로 화석 연료 의존도를 일부 없앴다. NatureWorks는 1kg의 PLA를 27.2 MJ의 화석 연료 기반 에너지로만 생산한다고 보고했으며, 차세대 공장에서는 이 수치가 16.6 MJ/kg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폴리프로필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각각 85.9와 73.7 MJ/kg이 필요하지만,[64] 여기에는 원료의 내재 에너지가 포함된다.

게르그로스는 1kg의 PHA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총 화석 연료 에너지 등가물(FFE)이 2.65 kg인 반면, 폴리에틸렌은 2.2 kg FFE만 필요하다고 보고한다.[65] 그러나 PHA 생산 기술은 계속 개발 중이며, 음식물 쓰레기를 원료로 사용하거나 사탕수수와 같은 대체 작물을 사용하면 에너지 요구량이 낮아질 수 있다.[66][67] 예를 들어, 브라질에서 사탕수수 찌꺼기를 재생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PHA 제조는 유리한 에너지 소비 체계를 가진다.[67]

결론적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 비용은 여전히 높은 편이지만, 기술 개발과 재생 가능한 자원 활용을 통해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개선될 여지가 있다.

8. 규제 및 표준

생분해성 제품 연구소(BPI)는 미국의 주요 인증 기관이다. ASTM International(국제 재료 시험 협회)은 혐기성 소화와 호기성 분해뿐만 아니라 해양 환경에서도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시험하는 방법을 정의하며, 환경 분해성 플라스틱 및 바이오 기반 제품 위원회 D20.96에서 해당 표준을 감독한다.[69] 현재 ASTM 표준은 표준 규격 및 표준 시험 방법으로 정의된다. 표준 규격은 합격 또는 불합격 시나리오를 만들고, 표준 시험 방법은 플라스틱의 생분해성 시험의 특정 시간 프레임 및 독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특정 시험 매개변수를 식별한다.

시험 방법제목
ASTM D5511-18고형분 혐기성 소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혐기성 생분해성 측정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ASTM D5526-18가속 매립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혐기성 생분해성 측정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위의 두 표준 모두 혐기성 조건에서 생분해성으로 간주되려면 재료의 최소 70%가 30일(ASTM D5511-18) 또는 시험 절차 기간(ASTM D5526-18) 내에 생분해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시험 방법은 시험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지만 결과에 대한 합격/불합격 지침은 제공하지 않는다.[70]

규격제목
ASTM D6400도시 또는 산업 시설에서 호기성 퇴비화되도록 설계된 플라스틱의 라벨링에 대한 표준 규격
ASTM D6868도시 또는 산업 시설에서 호기성 퇴비화되도록 설계된 종이 및 기타 기질에 코팅 또는 첨가제로 플라스틱 및 폴리머를 통합하는 최종 품목의 라벨링에 대한 표준 규격



위의 두 표준 모두 호기성 퇴비화 조건에서 생분해성 테스트 및 라벨링 절차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플라스틱은 재료의 90%가 180일(약 6개월) 이내에 CO2로 완전히 무기화될 때 호기성 환경에서 생분해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규격에는 합격/불합격 기준 및 보고가 포함된다.[70]

표준제목
EN 13432:2000포장: 퇴비화 및 생분해를 통해 회수 가능한 포장재 요구 사항[71]



미국 표준과 유사하게 유럽 표준은 중합체 조각의 90%가 6개월 이내에 CO2로 완전히 무기화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71]

표준제목
EN 14046:2004관리 퇴비화 조건에서 포장재의 최종 호기성 생분해성 및 붕괴 평가.[72]



2021년, 유럽 위원회의 과학 자문 기구는 위원회에 개방 환경에서 플라스틱의 생분해에 대한 새로운 인증 및 시험 표준 개발을 권고했다.[14]

2020년 10월,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발표했다. 이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2년 이내에 미세 플라스틱이나 나노 플라스틱을 포함하지 않는 왁스로 분해되어야 한다.[74]

1989년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회(현: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JBPA])는 "자연계에서 미생물이 관여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저분자 화합물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 정의했다.[83] JBPA 식별 표시 제도의 그린 플라 마크 취득 표시 기준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통상의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작용으로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생분해성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 규격, 일본 산업 규격(JIS)에 따라 평가된다.[84]

9. 유전 공학 및 합성 생물학의 역할

생분해성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연구자들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유전자 공학과 합성 생물학의 적용을 탐구하고 있다. 이는 유기체의 내생적 유전자 구성 또는 기타 생물학적 시스템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75]

1995년 "세균과 식물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엘라스토머 계열인 폴리히드록시알칸산(PHAs)의 생산"이라는 제목의 논문은 특히 ''애기장대'' 식물에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PHAs)의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합성 생물학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76] 1999년에 수행된 연구는 유채 식물이 PHBV를 생산하도록 유전자 변형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했다. 높은 수율은 생산되지 않았지만, 이것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유전자 공학의 초기 사용을 보여준다.[77]

유전자 조작 및 재설계를 통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 방향으로의 노력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2014년에 발표된 "유전자 공학은 남세균으로부터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수율을 증가시킨다"라는 제목의 논문은 산업적으로 유사한 수준의 더 높은 PHBs 수율을 생산하기 위해 수행된 절차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Rre37 및 SigE 단백질은 ''Synechocystis'' 균주의 남세균에서 PHB 생산 활성에 각각 관여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Synechocystis'' 균주를 질소 제한 조건에서 Rre37 및 SigE 단백질을 함께 과발현하도록 수정했다.[78]

현재, 버지니아 대학교(Virginia iGEM 2019)의 학생 주도 연구 그룹은 폴리스티렌의 단량체인 스티렌을 P3HBs(PHA의 일종)로 전환하기 위해 ''대장균''을 유전자 조작하는 과정을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폐 폴리스티렌을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탄소원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여, 매립지 내 폴리스티렌 폐기물 축적 문제와 PHA의 높은 생산 비용 문제를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79]

10. 의료 분야에서의 응용

생분해성 전도성 고분자(CP)는 인체 내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고분자 재료이다. 이 재료의 중요한 특성은 기존 도체에 필적하는 전기 전도성과 생분해성이다. 생분해성 CP의 의료 적용은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과 같은 의료 전문 분야에서 매력적이다.[80] 조직 공학에서 핵심 초점은 손상된 장기에 수리할 수 있는 물리화학적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나노복합체 스캐폴딩을 사용하여 달성된다.[82] 재생 의학은 신체의 수리 과정을 개선하면서 세포를 재생하도록 설계되었다.[81] 생분해성 CP는 생체 의학 영상과 임플란트 등에 사용될 수 있다.[80]

11. 한국의 현황 및 과제

2000년대에는 일본의 많은 자치단체에서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환영받아 인감 등록증 카드 소재로 사용되었지만, 발행 후 몇 년 만에 카드가 분해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다수 발생하여 해당 자치단체는 교환을 요청하고 있다. 따라서 용도에 맞는 생분해성을 가진 재료의 이용이 필요하다.[93]

환경성은 해양 분해 플라스틱이나 식물 유래 플라스틱 등 혁신적인 플라스틱 대체 기술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다양성을 제시했다. 분해를 담당하는 미생물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존재한다. 일례로, 변형되어도 따뜻하게 하면 원래대로 돌아가는 형상 기억 성질을 가진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2006년에 개발되었다고 보도되었다. 주요 원료는 대두유이며, 제조법이 간단하여 기존 형상 기억 플라스틱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제조 비용이 예상된다. 또한,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플라스틱 재료로 활용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경제산업성은 2019년 해양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 도입 및 보급 촉진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했다.[93] 현재 세계적으로 부적절하게 처리되어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 쌓여 해양 생물의 생태를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010년에는 1270만ton~4800만ton의 플라스틱이 해양으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바다에서 분해되는 플라스틱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물질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종류에 따라 분해되기 쉬운 환경과 분해되기 어려운 환경이 존재한다. 수환경에서 분해되는 플라스틱은 PHBH 등 극히 일부인데, 이는 육상에 비해 해중에 미생물이 적기 때문이다. 페트병, 비닐봉투, 편의점 도시락 등 해양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플라스틱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만들면,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더라도 수개월 내에 분해되어 해양 쓰레기를 줄이고 해양 생물의 생태를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94][95]

경제산업성은 다음과 같은 혁신적인 소재 연구 개발을 지원하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다.[93]


  • 새로운 해양 생분해성을 가진 수지 개발 및 수요 개척
  • 새로운 미생물 발견
  • 해양 생분해성 제어 기능


한편, 생분해성 표시로 인해 쓰레기 투기가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86]

  • 생분해성 BB탄 - 서바이벌 게임용 플라스틱 탄환으로 사용되는 에어건이나 전동건의 탄환(BB탄).
  • 페트병 - 자연 환경 보호를 중시하여 개발된 페트병. 2~3주 정도면 미생물에 의해 흙의 비료가 된다.
  • 빨대 - 소각해도 유해 가스나 잔사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고온과 다습에 약하다는 단점도 있다.


분류:생분해성 플라스틱

분류:환경 문제

분류:플라스틱

12. 결론 및 전망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물질이다. Biodegradable plastic영어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분해되기 쉬운 환경과 분해되기 어려운 환경이 있다. 특히 해양에서는 육상에 비해 미생물이 적기 때문에, 수환경에서 분해되는 PHBH영어 등은 극히 일부이다.[94][95]

2010년에는 1270만~4800만 톤의 플라스틱이 해양으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페트병, 비닐봉투, 편의점 도시락 등 해양으로 흘러나갈 가능성이 높은 플라스틱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면,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들어가더라도 수개월 내에 분해되어 바다 쓰레기를 줄이고 해양 생물의 생태를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94][95]

일본 경제산업성은 2019년, 해양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및 도입·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로드맵을 수립했다.[93] 경제산업성은 혁신적인 소재의 연구 개발을 지원하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으며,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해양 생분해성을 가진 수지의 개발 및 수요 개척
  • 새로운 미생물 발견
  • 해양 생분해성 제어 기능[93]


한편, 생분해성 표시로 인해 쓰레기 투기가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86]

참조

[1] 논문 An overview of degradable and biodegradable polyolefins 2011-08
[2] 웹사이트 How long does it take for plastics to biodegrade? http://www.howstuffw[...] How Stuff Works 2010-12-15
[3] 웹사이트 Are bioplastics better for the environment than conventional plastics? https://ensia.com/fe[...] 2023-05-20
[4] 서적 The Elements of Polymer Science & Engineering
[5] 웹사이트 We need to have a serious conversation about 'bioplastics' - Thai Enquirer Current Affairs https://www.thaienqu[...] 2022-04-27
[6] 웹사이트 Why Bioplastics Will Not Solve the World's Plastics Problem https://e360.yale.ed[...] 2022-01-12
[7] 서적 Monomers, Polymers and Composites from Renewable Resources
[8] 웹사이트 Bioplastic https://www.britanni[...] 2019-08-08
[9] 논문 Polyhydroxyalkanoates: biodegradable polymers with a range of applications 2007-03
[10] 웹사이트 Oil Price History Over the Decades https://www.thebalan[...] 2019-08-08
[11]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Most Important Innovations of Bioplastics https://bioplasticsn[...] 2018-07-05
[12] 논문 A microbial polyhydroxyalkanoates (PHA) based bio- and materials industry 2009
[13] 논문 Plastics Derived from Biological Sources: Present and Future: A Technical and Environmental Review 2012-04-11
[14] 서적 Biodegradability of plastics in the open environment Science Advice for Policy by European Academies
[15] 논문 Applications and societal benefits of plastics 2009-07-27
[16] 웹사이트 Consiglio dei Ministri conferma la messa al bando dei sacchetti di plastica non biodegradabili {{!}} Ministero dell'Ambiente e della Tutela del Territorio e del Mare https://www.minambie[...] 2019-08-07
[17] 논문 That's a Wrap: Edible Food Wraps from ARS https://agresearchma[...] 2018-02
[18] 논문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plastics 2009-07-27
[19] 서적 Polyesters from Microorganism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1
[20] 논문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bacterial poly(3-hydroxyalkanoates) 2008-04
[21] 논문 Polyhydroxyalkanoates: biodegradable polymers with a range of applications 2007-03
[22] 웹사이트 Bioplastics Market Report: Industry Analysis, 2023 https://www.ceresana[...] 2019-08-07
[23] 서적 Mechanical Properties of Starch-Based Plastics Elsevier 2014
[24] 논문 Poly(lactic acid)/starch composites: Effect of microstructure and morphology of starch granules on performance 2017-12-10
[25] 웹사이트 Starch based Bioplastic Manufacturers and Suppliers — Bioplastics http://bioplasticson[...] 2011-08-14
[26] 서적 Nanobiocomposites Based on Plasticized Starch Elsevier 2014
[27] 논문 Biodegradable synthetic polymers for tissue engineering 2003-10-01
[28] 서적 Microbial Succinic Acid, Its Polymer Poly(butylene succinate), and Application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0
[29] 논문 Biodegradability of Plastics 2009-08-26
[30] 논문 Biodegradation of poly (vinyl alcohol) based materials 2003-06
[31] 웹사이트 What are the required circumstances for a compostable product to compost? https://www.european[...] European Bioplastics e.V. 2018-12-17
[32] 웹사이트 Who Is Certified in Aus & NZ https://www.bioplast[...] Australasian Bioplastics Association 2018-12-17
[33] 웹사이트 Biodegradable Plastic Additive http://www.biosphere[...] 2019-08-13
[34] 뉴스 Biodegradable Plastic: Its Promises and Consequences http://dujs.dartmout[...] DUJS Online 2013-03-03
[35] 웹사이트 Biodegradable Packaging Options https://www.sierraco[...] 2019-08-08
[36] 웹사이트 Compostable Plastics: The Next Generation Of Plastics https://www.worldcen[...] 2019-08-08
[37] 웹사이트 Aerobic Composting vs Anearobic{{sic|hide=y|reason=spelling error in source title}} {{!}} Global Composting Solutions https://www.globalco[...] 2019-08-08
[38] 간행물 Alternative and Renewable Bio-based and Biodegradable Plastic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39] 논문 Mineralization of Poly(lactic acid) (PLA), Poly(3-hydroxybutyrate-co-valerate) (PHBV) and PLA/PHBV Blend in Compost and Soil Environments 2016-04-06
[40] 웹사이트 Is PLA Compostable and Biodegradable http://www.biosphere[...] 2019-08-09
[41] 웹사이트 ASTM International - Compass Login https://compass.astm[...] 2019-08-08
[42] 간행물 Focus on "Biobased," "Biodegradable," & "Compostable" Plastics https://www.bpiworld[...] Department of Ecology, State of Washington
[43] 웹사이트 The Green Plastic "Bio-PET" https://www.scgchemi[...] 2019-08-09
[44] 논문 Biodegradability of Plastics: Challenges and Misconceptions 2017-11-07
[45] 웹사이트 Publications https://ecostandard.[...] 2019-08-08
[46] 웹사이트 Learn Why Not Everything Biodegradable Breaks Down https://www.thebalan[...] 2019-08-09
[47] 웹사이트 Municipal Waste Factsheet http://www.epa.gov/o[...] EPA 2013-05-07
[48] 논문 Plastics,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current consensus and future trends 2009-06-14
[49] 웹사이트 Guide to the Facts and Figures Report about Materials, Waste and Recycling https://www.epa.gov/[...] EPA 2018-09-08
[50] 뉴스 Biodegradable Plastics: Yes or No? https://www.environm[...] Jennifer Hermes 2019-04-23
[51] 뉴스 Oxo-degradable plastic bags carry more ecological harm than good https://www.theguard[...] Pearce F. 2009
[52] 논문 Methods for Assessment of Biodegradability of Plastic Films in Soil 1994-10
[53] 논문 Environmental biodegradation of polyethylene 2003-01
[54] 논문 Kinetics of abiotic and biotic degradability of low-density polyethylene containing prodegradant additives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microbial communities 2011-05
[55] 뉴스 European Parliament Committee Vote for 100% Biodegradable Plastic Bags Sudhipto Ghosh, Modern Plastics and Polymers. Network 18 2014-03-19
[56] 웹사이트 Eight Million Tonnes of Plastic Are Going into the Ocean Each Year https://www.iflscien[...] 2019-08-02
[57] 논문 Global warming threatens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Africa and South Asia 2012-10-26
[58] 웹사이트 594 Landfills Turn Methane to Energy in United States http://www.biosphere[...] 2019-08-09
[59] 웹사이트 Fact Sheet - Landfill Methane {{!}} White Papers {{!}} EESI https://www.eesi.org[...] 2019-08-09
[60] 웹사이트 Biodegradable Plastics: Environmental Impacts And Waste Management Strategies https://apfoodonline[...] 2019-08-06
[61] 논문 Can biotechnology move us toward a sustainable society?
[62] 논문 Environmental life cycle comparison of polyhydroxyalkanoates produced from renewable carbon resources by bacterial fermentation 2003
[63] 논문 Applications of life cycle assessment to NatureWorks™ polylactide (PLA) production 2003-01
[64] 문서 Oko-inventare von Energiesystemen Frischknecht, R.; Suter, P. 1997
[65] 논문 How Green are Green Plastics? 2000-08
[66] 논문 Technology Solutions: Microbes manufacture plastic from food waste
[67] 웹사이트 Tianjin GuoYun Biological Material Co., Ltd. http://www.tjgreenbi[...] 2019-08-09
[68] 논문 ORIGINAL RESEARCH: The eco-profiles for current and near-future NatureWorks® polylactide (PLA) production 2007-03
[69] 웹사이트 ASTM Subcommittee D20.96: Published standards under D20.96 jurisdiction http://www.astm.org/[...] Astm.org 2011-06-30
[70] 웹사이트 Position Paper on Degradable Additives https://www.plastics[...] Plastics Industry Association 2018
[71] 웹사이트 Packaging waste directive and standards for compostability https://www.bpf.co.u[...] 2019-08-08
[72] 웹사이트 Bio Based and Degradable Standards https://www.bpf.co.u[...] 2019-08-08
[73] 간행물 European Green Deal: Putting an end to wasteful packaging, boosting reuse and recycling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22-11-30
[74] 웹사이트 New British standard for biodegradable plastic introduced http://www.theguardi[...] 2020-10-01
[75] 논문 Synthetic biology 2005-07
[76] 논문 Production of Polyhydroxyalkanoates, a Family of Biodegradable Plastics and Elastomers, in Bacteria and Plants 1995-02
[77] 웹사이트 Biodegradable plastic grown on GM plants http://www.independe[...] 1999-09-29
[78] 웹사이트 Genetic engineering increases yield of biodegradable plastic from cyanobacteria https://phys.org/new[...] 2019-08-07
[79] 웹사이트 Team:Virginia - 2019.igem.org https://2019.igem.or[...] 2019-08-07
[80] 논문 Recent Advances in Biodegradable Conducting Polymers and Their Biomedical Applications 2018-06-11
[81] 논문 Regenerative medicine: Current therapies and future directions 2015-11-24
[82] 논문 Gold Nanoparticle-Integrated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2019-03-18
[83] 논문 生分解性高分子材料の開発動向 https://doi.org/10.5[...] 日本木材保存協会
[84] 웹사이트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の現状と課題 https://www.env.go.j[...] 日本バイオプラスチック協会(JBPA)百地 正憲 2021-09-19
[85] 뉴스 【直談専門家に問う】産業技術総合研究所審議役 国岡正雄氏/生分解性プラ 海での国際規格/欧州主導 日本出遅れ 日経産業新聞 2019-01-28
[86] 웹사이트 プラスチックによる海洋汚染対策としての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 https://www.chemistr[...] 日本生化学会 2019-04-24
[87] 뉴스 「生分解性プラ 海中でも分解/群馬大 少ない酸素で機能/東大 微生物の合成利用」 日本経済新聞 2018-08-28
[88] 뉴스 久しぶりに印鑑登録証を出したら粉々… 過去に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を使用、複数の自治体が交換呼びかけ BIGLOBEニュース編集部 2019-05-14
[89] 웹사이트 環境省における海洋プラスチック問題への取り組み事業 https://kawagomi.jp/[...] 2021-12-05
[90] 논문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の現状と課題 https://doi.org/10.7[...] 日本緑化工学会
[91] 뉴스 https://t21.nikkei.co.jp/g3/ATCD017.do?keyPdf=20060907NSSX90T6008D92%5CNSS%5C13%5C13%5C01%5C%5C699%5CY%5C%5C2006%2F0907%2F20060907NSSX90T6008D92.pdf%5CPDF%5C20060907%5Cc8a10c3c&analysisIdentifer=fromSearchA&analysisPrevActionId=CMNUF10 2021-12-05
[92] 논문 未利用バイオマスからの新規バイオベースプラスチック開発の取り組み https://doi.org/10.5[...] 日本油化学会 2022-01-25
[93] 웹사이트 広がる代替素材開発「海洋生分解性」に挑む https://meti-journal[...] METI Journal(経済産業省) 2020-05-15
[94] 뉴스 大阪大、海で分解されるプラスチック開発 植物材料使い https://www.nikkei.c[...] 2020-03-05
[95] 웹사이트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の課題と将来展望 https://www.mri.co.j[...] 三菱総合研究所 2019-04-09
[96] 웹인용 How long does it take for plastics to biodegrade? http://www.howstuffw[...] How Stuff Works 2013-05-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