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관주는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대동군 출생으로,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일성고급당학교를 졸업했다. 체육과학연구소 연구원을 시작으로 만경대예술단 섭외부 부부장, 당 문화부 과장, 대외문화연락협회 국장,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 당 통일전선부 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내각 225부 부장으로 재임 중이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지냈고, 김일성훈장을 수여받았다. 김일성, 오진우, 박성철, 김중린, 김정일 사망 당시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동군 출신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 대동군 출신 - 선우종원
    선우종원은 일제강점기 평양고보와 경성제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사, 국무총리 비서실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국회사무총장, 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행정가이다.
  • 조선로동당 당원 - 강명도
    강명도는 평양 출신으로 북한 요직을 거쳐 1994년 탈북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김일성 외척 출신의 북한 전문가로, 대학교수와 방송 활동, 저술 등을 통해 북한 사회의 실상과 내부 비밀을 알리고 있다.
  • 조선로동당 당원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 육군 장교 - 마원춘
    마원춘은 북한의 건축가이자 정치인으로, 김정일·김정은 부자의 별장 등 주요 건축물을 설계했으며, 김정은 집권 후 핵심 실세로 부상했다가 좌천 및 복귀를 겪었다.
  • 육군 장교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강관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인 정보
이름강관주
원어 이름강관주 (康寬柱)
로마자 표기Gang Gwanju
출생일1930년 7월 5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대동
사망일알 수 없음
사망 원인알 수 없음
국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학력
학교김일성종합대학, 김일성고급당학교
경력
직업정치인, 225부 부장, 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조평통 부위원장
외무성 예하 직책대외문화연락협회 국제정치외교국 국장
임기 시작1975년 5월 31일
임기 종료1986년 5월 31일
군 복무조선인민군 지상군 중좌 전역 (1968년)
복무 기간1954년 ~ 1968년
가족 관계
배우자강관숙 (중앙도서관 이전 관장, 김달현의 아내)
자녀강정옥 (딸)
친척김일성(근친인척 아저씨), 손령훈(사위), 김달현(매제)
소속 정당
정당조선로동당

2. 경력

연도직책
1975년 5월대외문화연락협회 국장[4]
1986년당 조직지도부 부부장[4]
1988년 3월당 중앙위 위원, 당 통일전선부 조총련 담당 부부장[4]
1989년 3월당 통일전선부 제1부부장[4]
1990년 8월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4]
1991년 9월보천보전자악단 고문[4]
1993년 1월당 통일전선부 부장[4]
1997년 2월당 대외연락부(이전 사회문화부) 부장[4]
현재내각 225부 부장[4]
2010년 9월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3]



강관주는 김일성 사망(1994년), 오진우 사망(1995년), 박성철 사망(2008년), 김중린 사망(2010년), 김정일 사망(2011년) 당시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이었다.

2. 1. 초기 활동

1930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태어났다.[1] 1960년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했고, 1966년 김일성고급당학교를 졸업했다.[1] 1961년 체육과학연구소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1] 1973년 만경대예술단 섭외부 부부장과 당 문화부 과장을 역임했다.[4]

2. 2. 주요 경력

연도직책
1961년체육과학연구소 연구원
1973년만경대예술단 섭외부 부부장, 당 문화부 과장
1975년 5월대외문화연락협회 국장[4]
1986년당 조직지도부 부부장[4]
1988년 3월당 중앙위 위원, 당 통일전선부 조총련 담당 부부장[4]
1989년 3월당 통일전선부 제1부부장[4]
1990년 8월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4]
1991년 9월보천보전자악단 고문[4]
1993년 1월당 통일전선부 부장[4]
1997년 2월당 대외연락부(이전 사회문화부) 부장[4]
현재내각 225부 부장[4]
2010년 9월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4]


3.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90년 4월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98년 제10기와 2003년 제11기 대의원을 역임했다.[1]

4. 수훈

1992년 4월,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강돈욱
대고모강반석
아버지강린수
여동생강관숙前 평양중앙도서관 관장
매제김달현前 북조선 부총리
강정옥1963년 ~
사위손령훈1960년 ~
삼종증조부강량욱


6. 기타

1994년 김일성, 1995년 오진우, 2008년 박성철, 2010년 김중린, 2011년 김정일 사망 당시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1]

참조

[1] 웹사이트 강관주(남성) https://nkinfo.uniko[...] Ministry of Unification 2020-02-06
[2] 웹사이트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주요 인물 정보 http://unibook.uniko[...] Ministry of Unification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2012-01-10
[3] 뉴스 Members and Alternate Members of WPK Central Committee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0-09-28
[4] 웹인용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주요 인물 정보 http://unibook.uniko[...]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2012-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