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령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령군은 황해남도 남서부 옹진반도에 위치한 군이다. 옹진군, 벽성군과 경계를 이루며, 해안선을 따라 많은 섬과 간석지가 발달했다. 조선 시대에는 강령현이 설치되었고, 1952년 한국 전쟁 중 옹진군과 벽성군 일부를 통합하여 신설되었다. 옹진선과 부포선 철도가 지나가며, 강령탈춤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령군 - 옹진반도
    옹진반도는 리아스식 해안의 복잡한 지형을 가지며 읍저반도, 마산반도, 강령반도로 나뉘지만 한국 전쟁 이후 본토는 북한 관할이 되었고 일부 도서 지역만 대한민국에 속하며, 어업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다.
  • 강령군 -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은 2020년 9월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북한군에 의해 사살된 사건으로, 남북 관계 냉각, 9.19 군사합의 위반 여부, 월북 논란 등을 야기했으며 김정은 위원장의 사과에도 불구하고 진상 규명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1909년 폐지 - 법관양성소
    법관양성소는 1895년 대한제국 고종이 근대적 사법 제도 도입 후 법관 양성을 목적으로 평리원 안에 설치한 국립 교육 기관으로, 법학교, 경성전수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연원이 되었다.
  • 1909년 폐지 -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대한제국의 장교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나 일본의 영향력 확대로 폐교되었고, 졸업생 중 독립운동가와 조선총독부 관리로 나뉜 인물들이 있다.
  • 황해남도의 군 - 과일군
    과일군은 북한 황해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군으로, 1967년 송화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북한 과일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과일 산지이자 은률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황해남도의 군 - 송화군
    송화군은 황해남도 북서부 내륙에 위치하며 고구려 시대에는 마경이와 판마곶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송화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952년 군면리 통폐합으로 설치되어 현재 1읍 10리로 구성, 과일 재배가 활발하고 송화온천 등의 명승지가 있는 지역이다.
강령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강령군
원어명강령군 (강령군)
한자 표기康翎郡
로마자 표기Gangryeong-gun
맥큔-라이샤워 표기Kangryŏng-gun
위치황해남도
국가북한
행정 구역
종류
하위 행정 구역1읍 31리
통계 정보
면적522.7km²
인구 (2008년)106,827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2. 지리

황해 쪽으로 돌출한 황해남도 남서부 옹진반도에 있다. 서북쪽은 옹진군, 북쪽은 벽성군이며, 나머지는 황해로 둘러싸여 있다. 산이 많고 평지는 적다. 해안에는 순위도, 대수압도, 어화도 등 많은 섬들이 있다.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358m의 까치산이다.[2]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여 간석지가 발달하였고, 기후가 온화한 평야 지대이다. 두루미를 비롯해 많은 새들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강령군은 북한 내 4곳의 지정된 두루미 번식지 중 하나인 대규모 강령 두루미 서식지가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130호로 지정되어 있다.

3. 역사

조선 시대에는 황해도에 속했고 강령현이 설치되었다. 1895년, 23부제의 시행에 의해 해주부 강령군이 되었다가, 이듬해인 1896년에 황해도 강령군이 되었다. 1909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4]

한국 전쟁 중인 1952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 때 옹진군의 동남부와 벽성군의 일부 (해남면 · 동강면 · 송림면)가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강령군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4]

연도내용
1952년 12월황해도 옹진군 용연면, 봉구면, 해남면, 동강면 및 부민면, 흥미면, 송림면의 각 일부 지역(송림면은 연평도를 제외한 전역)을 합쳐 강령군 설치 (1읍 21리): 강령읍, 광천리, 금수리, 오봉리, 인봉리, 향죽리, 신암리, 평화리, 등암리, 쌍교리, 부민리, 용연리, 부포리, 식여리, 삼봉리, 봉오리, 사연리, 수압리, 동포리, 송현리, 동강리, 내동리
1954년 10월황해도 분할에 따라 황해남도 강령군이 됨 (1읍 23리): 황해남도 옹진군 어화도리, 순위리를 편입, 부민리, 용연리의 각 일부가 강령읍에 편입.
1972년부포리가 부포노동자구로 승격 (1읍 1노동자구 22리)
1981년평화리가 부포노동자구, 향죽리에 분할 편입 (1읍 1노동자구 21리)
1983년금수리가 금정리로 개칭 (1읍 1노동자구 21리)
1991년 9월1읍 1노동자구 23리: 쌍교리 일부가 분립되어 금동리가 발족, 향죽리 일부가 분립되어 평화리가 발족, 쌍교리 일부가 식여리에 편입.


4. 행정 구역

강령군은 1읍(강령읍), 1구(부포로동자구), 23리로 구성되어 있다.[3]

강령군의 행정 구역
한글한자
강령읍康翎邑|강령읍중국어
부포로동자구釜浦勞動者區|부포로동자구중국어
광천리廣泉里|광천리중국어
금동리金洞里|금동리중국어
금정리錦井里|금정리중국어
내동리內洞里|내동리중국어
동강리東江里|동강리중국어
동포리東浦里|동포리중국어
등암리登岩里|등암리중국어
룡연리龍淵里|룡연리중국어
봉오리蜂梧里|봉오리중국어
부민리富民里|부민리중국어
사연리舍鳶里|사연리중국어
삼봉리三峰里|삼봉리중국어
송현리松峴里|송현리중국어
수압리睡鴨里|수압리중국어
순위리巡威里|순위리중국어
식여리食餘里|식여리중국어
신암리莘岩里|신암리중국어
쌍교리雙橋里|쌍교리중국어
어화도리漁化島里|어화도리중국어
오봉리梧鳳里|오봉리중국어
인봉리印峯里|인봉리중국어
평화리平和里|평화리중국어
향죽리香竹里|향죽리중국어


5. 교통

강령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옹진선부포선이 지나가며, 광범위한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

6. 문화

강령탈춤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이미지 http://www.cybernk.n[...] 2022-03-01
[3] 웹사이트 더 북한 http://nk.joins.com/[...]
[4] 웹사이트 황해남도 강령군 역사 http://www.cybernk.n[...]
[5]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