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벽성군은 황해남도에 위치한 군으로, 북쪽은 수양산맥이 뻗어 있으며, 동쪽과 서쪽에 각각 화양강과 광탄천이 흐른다. 역사를 살펴보면,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에 속했으며, 신라 시대에는 폭지군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해옥 사건으로 인해 군으로 강등되어 벽성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1938년 해주군이 벽성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45년 38선 분할로 인해 남측 벽성군은 폐지되었다. 현재는 1읍 21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과 광업이 발달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옹진선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설치 - 장단면
장단면은 경기도 파주시 북서부에 위치하며 한국전쟁 후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다 파주군에 편입되었고, 군사분계선과 임진강으로 둘러싸여 경의선 도라산역이 있으며 현재 대부분 지역에 거주 인구가 없는 군사 작전 지역이다. - 1938년 설치 - 침산동 (대구)
침산동은 대구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동이자 법정동이며, 1965년에 분동된 후 관공서, 교육 시설 및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황해남도의 군 - 과일군
과일군은 북한 황해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군으로, 1967년 송화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북한 과일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과일 산지이자 은률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황해남도의 군 - 송화군
송화군은 황해남도 북서부 내륙에 위치하며 고구려 시대에는 마경이와 판마곶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송화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952년 군면리 통폐합으로 설치되어 현재 1읍 10리로 구성, 과일 재배가 활발하고 송화온천 등의 명승지가 있는 지역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벽성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벽성군 |
한자 표기 | 碧城郡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Pyŏksŏng-gun |
로마자 표기 (개정) | Byeokseong-gun |
국가 | 북한 |
도 | 황해남도 |
행정 구역 종류 | 군 |
면적 정보 | |
총 면적 | 439.9km² |
인구 정보 | |
총 인구 (2008년) | 90,753명 |
행정 구역 정보 | |
행정 구역 | 행정 구역 |
읍 | 1개 |
리 | 21개 |
2. 지리
서쪽은 태탄군과 옹진군, 남쪽은 강령군, 동쪽은 해주시와 신원군, 북쪽은 신천군으로 둘러싸여 있다. 동남쪽으로 강령군과 해주시 사이에 황해와 면해 있다.
벽성군은 본래 마한의 영역이었다가 삼국 시대에 백제의 영역이 되었다. 313년(미천왕 14)부터 고구려에 소속되어 내미홀군(內米忽郡) 또는 지성(池城)·장지(長池)라고 불렸다. 신라 시대 757년(경덕왕 16)에 폭지군(瀑池郡)으로 개칭되었다.[2] 고려 태조는 이 군의 남쪽이 바다에 임하였다고 하여 해주라는 지명을 내렸다고 전해진다.[2] 조선 시대 1616년(광해군 8) 해옥사건(海獄事件) 때문에 군으로 강등되었는데, 이때 벽성이라 부르게 되었다.[2]
해주만을 둘러싸고 중앙에 해주시가 자리잡고 있는 형세였으나 현재는 많은 지역이 분리되어 해주만의 끝만 둘러싸고 있다. 군의 북부 일대는 수양산맥이 동서로 길게 뻗어 운달산(雲達山, 581m), 중앙에 수양산(首陽山/雲留峯, 945m), 서부에 달마산(達磨山, 596m) 등 여러 고산준봉이 솟고 남사면에 동서 약 30km의 대단층애를 보이며 해안에 연하여 4~10km 너비의 해안평지가 있다. 동쪽의 화양강, 서쪽의 광탄천을 비롯하여 어사천·읍천·신광천·취야천 등이 각각 유역에 충적평야를 이루고 있다. 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동부에 청룡반도, 서부에 장상(掌狀)의 동강반도의 돌출로 해주만이 깊숙이 만입하고 만구의 끝에 위치한다.
3. 역사
1938년 10월 1일 해주부 신설로 해주군이 벽성군으로 개칭되었고,[4] 1943년 10월 1일 서석면 일부가 해주부에 편입되었다.[5]
1945년 9월 2일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할 점령되면서, 미군정은 11월 4일 38선 이남의 황해도 지역을 경기도에 편입하여 남측의 벽성군이 폐지되었다.[7][6]
1947년 북측에서 벽성군청을 구 취야리로 이전했다. 1952년 신원군, 청단군, 강령군이 신설되며 일부 지역이 분리되었고, 1954년 황해도 분할로 황해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1961년 벽성군 신광리가 해주시에 편입되었다.[2]
현재 한국 측 인천광역시옹진군에 속하는 대연평도·소연평도는 과거 벽성군에 속했으나, 38선 이남에 위치하여 미군 점령하에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되었고, 한국전쟁 이후에도 한국의 통치하에 있다.[2]
4. 행정 구역
2000년 1월 현재 벽성군의 행정구역은 1읍(벽성읍(碧城邑))과 21리(내호리(內湖里), 도현리(道峴里), 대성리(大成里), 룡정리(龍井里), 백운리(白雲里), 사현리(士峴里), 상림리(桑林里), 서원리(書院里), 석담리(石潭里), 석동리(席洞里), 장현리(長峴里), 장천리(獐川里), 죽천리(竹川里), 통산리(通山里), 쌍암리(雙岩里), 안곡리(安谷里), 옥정리(玉井里), 원평리(原坪里), 월봉리(月峯里), 월현리(月峴里), 남창리(南艙里))로 이루어져 있었다.
5. 산업
벽성군에서는 농산물로 쌀·밀·조·두류·소·돼지·고치 등의 생산이 많다. 광업으로는 대차면(大車面) 해주광산의 금·은광, 소연평도의 티탄철·자철·침철광 등이 알려져 있다. 제조업으로는 취야의 정미·양조업, 해주 부근의 도자기 공업 등이 있다.
군내 상업은 청단·취야·지경·죽천·온천·통산·충암(忠岩) 등 7개 정기시(定期市)를 통하여 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며, 그 중 취야·온천은 도내 5대 시장에 들어가는 큰 시장이다.
6. 교통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황해남도 벽성군 역사
http://www.cybernk.n[...]
[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6호
1943-09-29
[6]
웹사이트
황해도 벽성군 지도
https://encykorea.ak[...]
2017-07-01
[7]
법률
군정법률 제22호 시도직제
1945-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